비라코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라코차는 잉카 신화에 등장하는 창조신으로, 스페인 기록에 따르면 어둠 속에서 나타나 빛을 가져왔으며, 해, 달, 별을 만들고 인류를 창조했다. 그는 태평양을 건너 사라졌으며, 문명을 가르치고 기적을 행하며 어려움이 닥칠 때 다시 나타날 것으로 여겨졌다. 비라코차는 "바다 거품"을 의미하며, 어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16세기 스페인 연대기 작가들은 비라코차를 수염을 가진 "백인 신"으로 묘사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이미지가 스페인의 창작이라고 본다. 오얀따이땀보의 암석 형상은 비라코차의 형상으로 여겨지며, 스페인 통역가들은 비라코차를 기독교의 "하느님"과 동일시하여 잉카인들의 복음화에 활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카 신화 - 파차마마
파차마마는 잉카의 여신으로, '대지의 어머니' 또는 '세계 어머니'로 번역되며 생명의 기원과 풍요를 관장하는 존재로 숭배받고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가 행해지며 현대에는 정치적인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잉카 문명 - 마추 픽추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마추픽추는 15세기 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80년간 사용된 후 버려진 유적으로, 1911년 하이럼 빙엄 3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후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 불리며 세계적인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잉카 문명 - 쿠스코
쿠스코는 페루 남부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잉카 제국의 옛 수도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유적, 케추아 문화와 스페인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지닌 주요 관광지이다. - 바람의 남신 - 루드라
루드라는 베다 시대부터 숭배된 인도의 신으로, 리그베다에 초기 언급이 나타나며, '포효하는 자'로 해석되는 무시무시한 모습과 질병 치료 및 풍요를 가져다주는 자비로운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고, 후대에 시바와 동일시되었으며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언급되는 등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나타난다. - 바람의 남신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비라코차 | |
---|---|
신화 정보 | |
이름 | 비라코차 |
다른 이름 | 와이라코차 (Wayraqocha) 콘티키 비라코차 (Qun Tiksi Wiraqucha) 투눈루 비라코차 (Tununru Wiraqucha) 아푸 콘 티키 와이라코차 (Apu Qun Tiksi Wiraqucha) 우수 파우카르 와이라코차 (Usu Pawqar Wiraqucha) |
역할 | 창조신, 태양신 |
문화 | 잉카 신화 |
특징 | |
형상 | 수염이 있는 백인 남성 |
상징 | 태양, 지팡이 |
관련 장소 | 티티카카 호수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마마 코차 (Mama Qucha) |
자녀 | 인티 마마 키야 (Mama Killa) 파차마마 (Pachamama) |
신화 내용 | |
창조 | 비라코차는 혼돈으로부터 세상을 창조하고, 태양, 달, 별을 만들었으며, 인간을 흙이나 돌로 빚어 창조했다고 한다. |
문명 전파 | 사람들에게 문명을 가르치고 질서를 부여한 후, 안데스를 여행하며 다양한 기적을 행했다고 전해진다. |
귀환 | 먼 땅으로 떠났지만, 언젠가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예언되었다. |
2. 스페인 기록에 따른 천지창조
후안 데 베탄조스의 기록에 따르면[15], 비라코차는 어둠의 시대에 티티카카 호수(또는 파카리탐푸 동굴)에서 나타나 빛을 가져왔다.[16] 그는 해, 달, 별을 만들었다. 이후 돌에 숨결을 불어넣어 인류를 창조했으나, 첫 창조물인 지능 없는 거인들이 마음에 들지 않아 홍수로 멸망시켰다. 그리고 작은 돌들로 더 나은 존재인 인간을 다시 만들었으며, 이들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17]
2. 1. 비라코차의 모습과 행적
후안 데 베탄조스가 기록한 신화에 따르면, 비라코차는 어둠의 시대에 티티카카 호수 또는 때때로 파카리탐푸 동굴에서 나타나 세상에 빛을 가져왔다고 한다.[15][16] 그는 해, 달, 별을 창조했으며, 돌에 숨결을 불어넣어 인류를 만들었다. 하지만 처음 만든 거인들은 지능이 없어 마음에 들지 않았고, 이에 홍수로 그들을 멸망시킨 뒤 작은 돌들로 더 나은 인간들을 다시 창조했다고 전해진다.[17]페드로 사르미엔토 데 감보아는 비라코차의 모습을 "키가 중간 정도이고, 흰색이며, 허리에 고정된 알브와 같은 흰색 옷을 입고 지팡이와 책을 손에 들고 있는 사람"이라고 기록했다.[18]
창조 이후 비라코차는 거지로 변장하고 세상을 떠돌아다녔다. 그는 자신이 만든 인간들에게 문명의 기초를 가르치고 여러 기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그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전쟁과 악행을 저지르며 타락의 길을 걸었다. 비라코차는 자신이 창조한 존재들의 타락한 모습에 슬퍼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17] 결국 그는 태평양을 걸어서 건너 사라졌으며,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사람들은 어려운 시기가 닥치면 비라코차가 다시 나타날 것이라고 믿었다.[17]
한 전설에서는 비라코차가 아들 인티(태양신)와 두 딸 마마 킬라(달의 여신), 파차마마(대지의 여신)를 두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60일 밤낮으로 계속된 '우누 파차쿠티'라는 대홍수로 티티카카 호수 주변 사람들을 멸망시켰으나, 두 사람을 구해 세상에 문명을 가져오게 했다. 이 두 사람은 인티의 아들(혹은 비라코차의 아들)인 만코 카팍(빛나는 토대)과 마마 우클루(어머니 비옥함)로, '타파크-야우리'라는 황금 지팡이를 가지고 잉카 문명을 세웠다고 한다. 다른 전설에서는 그가 최초의 여덟 문명화된 인간의 아버지였다고 하며, 어떤 이야기에서는 마마 코차(바다의 여신)라는 아내를 두었다고도 전해진다.
또 다른 전설에서는[19], 비라코차에게 이마마나 비라코차와 토카포 비라코차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 대홍수와 창조 이후, 비라코차는 이 아들들을 북동쪽과 북서쪽으로 보내 부족들이 여전히 그의 계명을 잘 지키고 있는지 확인하게 했다. 비라코차 자신도 북쪽으로 여정을 떠났다. 그의 아들들은 여행하며 모든 나무, 꽃, 과일, 약초에 이름을 붙이고, 사람들에게 어떤 것이 먹을 수 있고, 약이 되며, 독이 있는지를 가르쳤다. 마침내 비라코차와 그의 아들들은 쿠스코(오늘날의 페루)와 태평양 해안에 도착하여 바다를 건너 사라졌다. '비라코차'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바다 거품"을 의미한다고도 한다.[19]
2. 2. 다른 전설들
한 전설에 따르면 비라코차는 아들 인티와 두 딸 마마 킬라와 파차마마를 두었다고 한다. 이 전설에서는 비라코차가 60일 밤낮으로 계속된 '우누 파차쿠티'라는 대홍수로 티티카카 호수 주변의 사람들을 멸망시켰다고 이야기한다. 이때 그는 세상에 문명을 가져올 두 사람을 구했는데, 이들은 만코 카팍(종종 인티의 아들, 때로는 비라코차의 아들로 여겨짐)과 마마 우클루였다. 이 두 사람은 '타파크-야우리'라는 황금 지팡이를 가지고 잉카 문명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다른 전설에서는 비라코차가 최초의 여덟 문명화된 인간의 아버지였다고도 하며, 어떤 이야기에서는 마마 코차라는 아내를 두었다고도 한다.또 다른 전설에서는[19] 비라코차에게 이마마나 비라코차와 토카포 비라코차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 대홍수와 창조 이후, 비라코차는 자신의 계명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들들을 북동쪽과 북서쪽 부족들에게 보냈다. 이마마나와 토카포는 여행 중에 모든 나무, 꽃, 과일, 약초에 이름을 붙였으며, 부족들에게 어떤 것이 식용 가능하고, 약효가 있으며, 독성이 있는지를 가르쳤다. 결국 비라코차와 두 아들은 쿠스코(현재의 페루)와 태평양 해안에 도착하여 물 위를 걸어 사라졌다고 한다. '비라코차'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바다 거품'을 의미한다.[19]
3. 어원
''틱시 비라코차''(Ticci Viracocha|틱시 비라코차es)는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케추아어에서 ''티크시''(tixi)는 "기원" 또는 "시작"을 의미하며, ''위라''(wira)는 지방을, ''쿠차''(qucha)는 호수, 바다 또는 저수지를 뜻한다.[20] 비라코차에게는 "위대한", "모든 것을 아는", "강력한" 등 다양한 별칭이 있다.
일부에서는 ''위라쿠차''(Wiraqucha)가 "바다의 지방(또는 거품)"을 의미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1][21]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잉카 가르실라소 이후 케추아어의 문법적 구성 순서를 고려할 때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독일의 고고학자 막스 울레 역시 "거품 호수"라는 이름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라''(wira)가 케추아어 단어 ''후이라''(huira, "모든 것의 끝")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에 따라 ''틱시 비라코차''는 "기원과 모든 것의 끝의 호수"를 의미할 수 있다고 보았다.[22]
한편, 일부 언어학자들은 언어학적,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 이름이 아이마라어의 ''윌라 쿠타''(Wila Quta|윌라 쿠타ay, ''윌라''는 "피", ''쿠타''는 "호수"를 의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잉카 문명 이전에 안데스 지역에서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던 문화권에서 티티카카 호수에 낙타과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을 행했던 사실에 근거한다.[23]
4. "백인 신" 논란
16세기 초 스페인 연대기 작가들은 비라코차에 대해 기록하기 시작했다. 페드로 시에사 데 레온은 1553년에 처음으로 그를 언급했으며[24], 후안 데 베탄조스와 같은 다른 스페인 작가들은 비라코차를 종종 수염을 기르고 피부가 하얀 "백인 신"으로 묘사했다.[25]
하지만 이러한 '백인 신'의 모습은 잉카 원주민들의 원래 전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스페인 정복 이후, 유럽인들의 시각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26] 이는 정복자들이 자신들의 이해에 맞춰 토착 신화를 변형시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잉카 제국의 비라코차뿐만 아니라, 아즈텍의 신 케찰코아틀이나 무이스카의 신 보치카 등 다른 중앙 및 남아메리카 신화 속 신들도 수염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7]
일부에서는 이러한 수염 묘사나 도기 등을 근거로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과 접촉했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31]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중에서도 수염을 가진 집단이 존재했다는 사실[32][33]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스페인 연대기 작가들은 16세기 초부터 비라코차에 대해 기록하기 시작했는데, 1553년 페드로 시에사 데 레온이 처음으로 비라코차를 언급했으며[24], 후안 데 베탄조스와 같은 다른 작가들은 비라코차를 종종 수염을 가진 "백인 신"으로 묘사했다.[25] 그러나 이러한 "백인 신" 이미지는 잉카 원주민들의 원래 전설에는 등장하지 않는 내용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스페인 정복 이후 식민지배 과정에서 유럽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으며[26], 이는 유럽 중심적인 시각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비라코차 외에도 아즈텍 신 케찰코아틀이나 무이스카 신 보치카처럼 중앙 및 남아메리카의 다른 신들 역시 전설 속에서 수염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7] 과거에는 이러한 수염 묘사를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로 여기기도 했으나, 이는 식민 시대의 관점이 과장되게 반영된 해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와틀어로 쓰여 중요한 초기 자료로 평가받는 ''쿠아우티틀란 연대기''는 케찰코아틀의 외모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즉시 그는 녹색 가면을 만들었고, 붉은색으로 입술을 붉게 만들었으며, 노란색으로 얼굴을 만들고 송곳니를 만들었다. 이어서 깃털로 수염을 만들었다...[28]
이 기록에서 케찰코아틀의 수염은 실제 털이 아닌 깃털로 만들어진 장식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메소아메리카 미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징적인 표현 방식과 일치한다. 이야기는 케찰코아틀이 자신의 외모가 보기 흉하다고 여겨 가면과 깃털 수염으로 가렸다고 설명하며[29], 실제 얼굴에 털이 있었는지 여부는 명확히 언급하지 않는다.
비라코차의 외모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지만, 수염을 가진 남성의 모습은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훨씬 이전인 모체 문화 시기 페루에서 제작된 도기에서도 자주 발견된다.[30] 일부 콜럼버스 이전의 대양 횡단 접촉 이론 지지자들은 이 도기와 비라코차의 수염 묘사를 근거로 고대 페루에 아메리카 원주민이 아닌 다른 인종, 특히 유럽인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31]
그러나 아메리카 원주민 중 수염이 없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모든 원주민이 수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라과이의 아체족이나 미국 남부 파이유트족 일부 남성들처럼 수염이 있는 원주민 집단도 존재했으며, 이들은 유럽인이나 아프리카인과의 혼혈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33] 1776년 남부 파이유트족과 처음 접촉한 유럽인들은 일부 남성들이 짙은 수염을 가지고 있어 아메리카 원주민보다는 스페인 사람과 더 비슷해 보였다고 기록하기도 했다.[33] 따라서 단순히 수염이 묘사되었다는 사실만으로 유럽인의 존재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5. 오얀따이땀보의 암석 형상
페루 남부의 작은 마을 오얀따이땀보에는 현지 전설에 따라 비라코차(Viracocha)의 메신저인 비라코찬(Wiracochan) 또는 투누파(Tunupa)를 닮은 암석 형상이 있다. 이 형상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졌거나 사람이 조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쿠스코 주에 위치한 오얀따이땀보는 우루밤바 계곡을 따라 자리 잡은 마을 중 하나로, 과거 잉카 제국의 중요한 요새였던 성스러운 계곡에 속한다.
오얀따이땀보의 고대 잉카 유적 맞은편에 있는 '세로 핑크이유나' 암벽에는 높이 140m에 달하는 비라코찬의 형상으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있다. 이 얼굴 형상 위에 지어진 잉카 시대 유적은 비라코찬의 왕관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술가들은 이 암벽 형상을 묘사할 때 덥수룩한 수염과 어깨에 맨 큰 자루를 함께 그리기도 한다. 이러한 전설은 1995년 페르난도 엘로리에타 살라자르와 에드가르 엘로리에타 살라자르 형제가 관련 내용을 담은 책을 출간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34][35]
전설 속에서 비라코찬은 지식을 전파하는 순례자이자 시간의 지배자로, 초인적인 힘을 지녔다고 묘사된다. 그는 수염을 길렀고 키가 크며, 사제나 천문학자와 같은 복장을 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6. 기독교로의 개종
스페인 학자들과 연대기 저술가들은 비라코차의 정체성에 대해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비라코차가 "만물의 창조주"를 의미한다고 설명했고,[36] 후안 데 베탄소스 역시 "우리는 비라코차를 하느님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를 뒷받침했다.[37] 폴로, 사르미엔토 데 감보아, 블라스 발레라, 그리고 아코스타 역시 비라코차를 창조주로 언급했으며,[36] 원주민 연대기 저술가인 구아만 포마도 "비라코차"라는 용어를 "창조주"와 동일하게 사용했다.[38]
식민지 초기, 스페인 통역가들은 일반적으로 비라코차를 기독교의 최고 창조주와 동일시했다.[36] 이러한 접근은 잉카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한 복음화의 첫 단계로 간주되었다.[36] 스페인 정복자들은 잉카인들이 기독교의 '하느님' 개념을 쉽게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고, 익숙한 '비라코차'를 '하느님'과 동일시하여 설명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지역의 고유한 신성 개념을 기독교 신학으로 대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36]
참조
[1]
논문
Spatial configuration in Tiwanaku art. A review of stone carved imagery and staff gods
Boletín del Museo Chileno de Arte Precolombino
2014
[2]
서적
Die Ruinenstätte von Tiahuanaco im Hochlande des alten Perú: Eine kulturgeschichtliche Studie auf Grund selbständiger Aufnahmen.
https://digi.ub.uni-[...]
Hiersemann, Leipzig
1892
[3]
서적
Die Ruinenstätte von Tiahuanaco im Hochlande des alten Perú: Eine kulturgeschichtliche Studie auf Grund selbständiger Aufnahmen.
https://digi.ub.uni-[...]
Hiersemann, Leipzig
1892
[4]
서적
Viracocha o el océano: naturaleza y funciones de una divinidad inca
https://www.worldcat[...]
IFEA Institutos Francés de Estudios Andinos, UMIFRE 17, CNRS/MAE : IEP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2013
[5]
서적
Las lenguas de los incas: el puquina, el aimara y el quechua
https://www.peterlan[...]
Peter Lang D
2013
[6]
서적
Die Ruinenstätte von Tiahuanaco im Hochlande des alten Perú: Eine kulturgeschichtliche Studie auf Grund selbständiger Aufnahmen.
https://digi.ub.uni-[...]
Hiersemann, Leipzig
1892
[7]
논문
Spatial configuration in Tiwanaku art. A review of stone carved imagery and staff gods
Boletín del Museo Chileno de Arte Precolombino
2014
[8]
서적
Die Ruinenstätte von Tiahuanaco im Hochlande des alten Perú: Eine kulturgeschichtliche Studie auf Grund selbständiger Aufnahmen.
https://digi.ub.uni-[...]
Hiersemann, Leipzig
1892
[9]
서적
Die Ruinenstätte von Tiahuanaco im Hochlande des alten Perú: Eine kulturgeschichtliche Studie auf Grund selbständiger Aufnahmen.
https://digi.ub.uni-[...]
Hiersemann, Leipzig
1892
[10]
서적
Inca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at Ollantaytambo.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3
[11]
서적
Andean cosmologies through time: persistence and emergence. Caribbean and Latin American studi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11-22
[12]
서적
Inca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at Ollantaytambo.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3
[13]
서적
Tiwanaku: Papers from the 2005 Mayer Center Symposium at the Denver Art Museum
https://books.google[...]
Denver Art Museum
[14]
논문
Spatial configuration in Tiwanaku art. A review of stone carved imagery and staff gods
Boletín del Museo Chileno de Arte Precolombino
2014
[15]
웹사이트
Valley of the Spirits: a Journey into the Lost Realm of the Aymara
http://www.mc.marico[...]
1996
[16]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Viracocha
http://www.credorefe[...]
Bloomsbury Publishing Ltd., London
2009-02-10
[18]
웹사이트
Viracocha and the Coming of the Incas
http://www.sacred-te[...]
History of the Incas
1907
[19]
웹사이트
Glossary, Inca Gods
http://www.firstpeop[...]
First People of America and Canada – Turtle Island
2009-02-10
[20]
문서
Diccionario Bilingüe, Iskay simipi yuyay k'ancha, Quechua – Castellano, Castellano – Quechua
[21]
서적
Popular art and social change in the retablos of Nicario Jiménez Quispe
https://books.google[...]
Edwin Mellen Press
2009-11-22
[22]
서적
Die Ruinenstätte von Tiahuanaco im Hochlande des alten Perú: Eine kulturgeschichtliche Studie auf Grund selbständiger Aufnahmen.
https://digi.ub.uni-[...]
Hiersemann, Leipzig
1892
[23]
서적
Las lenguas de los incas: el puquina, el aimara y el quechua
https://www.peterlan[...]
Peter Lang D
2013
[24]
문서
Colonial Spanish America: a documentary history
Rowman & Littlefield
1998
[25]
문서
Pre-Columbian America: Myths and Legends
Senate
1996
[26]
문서
1998
[27]
논문
Viracocha as God and Hero in the Comentarios Reales.
Hispanic Review
1979
[28]
문서
Anales de Cuauhtitlan.
1975
[29]
웹사이트
Readings in Classical Nahuatl: The Death of Quetzalcoatl
http://weber.ucsd.ed[...]
[30]
웹사이트
Portrait Vase of Bearded Figure
http://www.brooklynm[...]
Brooklyn Museum
[31]
문서
In Quest of the Great White Gods
Crown Publishers
1992
[32]
서적
Aché life history: the ecology and demography of a foraging people
https://books.google[...]
Aldine Transaction
2011-05-31
[33]
웹사이트
Dominquez and Escalante Expedition, 1776
http://www.uintahbas[...]
UintahBasintah.org
2010-11-16
[34]
서적
Exploring Cusco: The Classic Guide to Cusco, Machu Picchu and Peru's Most Famous Region
https://books.google[...]
Nuevas Imágenes
[35]
웹사이트
Is that the Inca Creator God you see in the cliffs overlooking Ollantaytambo?
https://www.fertur-t[...]
Fertur Peru Travel
2018-10-11
[36]
서적
Viracocha o El Océano: Naturaleza y Funciones De Una Divinidad Inca
IFEA; IEP
2012
[37]
웹사이트
Suma y narración De Los Incas [Electronic Resource]
http://www.classicly[...]
2016-05-03
[38]
웹사이트
Nueva crónica y Buen Gobierno
Casa de la Cultura del Perú
1969
[39]
서적
Andean cosmologies through time: persistence and emergence. Caribbean and Latin American studies
http://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11-22
[40]
서적
Tiwanaku: Papers from the 2005 Mayer Center Symposium at the Denver Art Museum
http://books.google.[...]
Denver Art Museum
2009-11-22
[41]
웹사이트
Viracocha
http://www.panthe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