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버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버 전쟁은 17세기 북아메리카에서 이로쿼이 연맹과 프랑스, 그리고 그 동맹 부족들 간에 벌어진 일련의 분쟁을 일컫는다. 이 전쟁은 모피 무역 경쟁, 유럽 열강의 식민지 확장, 원주민 부족 간의 세력 다툼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1600년대 초 프랑스는 이로쿼이 연맹에 대항하여 알곤킨족, 휴런족 등과 동맹을 맺었고, 이로쿼이족은 네덜란드와의 교역을 통해 무기를 얻어 세력을 확장했다. 이로쿼이족은 휴런족, 뉴트럴족, 에리족 등 주변 부족들을 정복하면서 세력을 확장했고, 프랑스 식민지에 대한 공격도 감행했다. 프랑스는 카리냥-살리에르 연대를 파견하여 반격에 나섰고, 이후 영국과의 경쟁 속에서 이로쿼이족은 영국과 동맹을 맺었다. 비버 전쟁은 북미 원주민 사회의 지형을 바꾸고,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지 경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701년 몬트리올 대평화 조약을 통해 일단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간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폰티액 전쟁
    폰티액 전쟁은 폰티액 추장의 주도 하에 오대호 지역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영국에 맞서 벌인 저항 운동으로, 영국 정책 변화에 대한 불만과 강압적인 정책, 토지 문제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했으며, 1763년 선언의 계기가 되었다.
  • 웬다트 연맹 - 웬다트어
    웬다트어는 17세기 세인트로렌스 강 유역에서 쓰이던 언어로 와이앤도트어와 관련이 깊으며, 웬다트족의 이주 후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별개의 언어로 여겨지고 퀘벡 웬데이크에서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이다.
  • 오하이오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폴른 팀버스 전투
    폴른 팀버스 전투는 1794년 미국이 오하이오 영유권을 주장하며 서부 인디언 연맹과 벌인 전투로, 앤서니 웨인 장군의 미군이 승리하여 그린빌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현재 전투터는 국립 사적지 및 기념 공원으로 남아있다.
  • 오하이오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북서 인디언 전쟁
    북서 인디언 전쟁은 1785년부터 1795년까지 미국 북서부 영토에서 미국과 여러 원주민 부족 연합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로, 미국 정착민의 서부 확장과 원주민의 토지 방위 갈등 심화, 하마르 원정 실패, 세인트 클레어 패배, 폴른 팀버스 전투를 거쳐 그린빌 조약과 제이 조약으로 미국의 북서부 영토 지배권 확립을 가져왔으며, 미국 서부 진출 과정에서 원주민의 희생과 강제 이주를 야기한 미국과 원주민 관계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비버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비버 전쟁
일부아메리카 원주민 전쟁
장 레옹 제롬 페리스의 1898년 삽화, 새뮤얼 드 샹플랭과 이로쿼이족의 전투, 티콘데로가, 1609년 7월''
날짜1609년 7월 – 1701년 8월 4일
장소오대호 지역
결과미결정
몬트리올 대평화 조약
휴런-웬다트 연맹 파괴
교전 세력
교전국 1이로쿼이 연맹
모호크족
오네이다족
세네카족
오논다가족
카유가족
지원 세력 1잉글랜드 왕국
네덜란드 공화국
교전국 2휴런
앨곤퀸
서스쿼해넉족
에리
중립국
페툰족
오타와족
오지브와족
웬로
모히칸족
인누
아베나키족
지원 세력 2프랑스 왕국
병력
병력 1약 4,500명
병력 2약 20,000명
사상자
사상자 1알 수 없음
사상자 2알 수 없음
기타 정보
일본어 명칭ビーバー戦争
한국어 명칭비버 전쟁

2. 전쟁의 기원

1540년대 프랑스 탐험가 자크 카르티에세인트로렌스강 유역을 탐험하면서 세인트로렌스 이로쿼이족과 만나, 스타다코나와 호첼라가를 비롯한 몇몇 요새 마을을 점령하였다고 기록했다. 또한, 스타다코난족이 투다만족과 전쟁 중이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유럽의 전쟁과 정책 때문에 17세기 초까지 프랑스의 세인트 로렌스 계곡 식민지화는 진척이 없었다. 프랑스인들이 돌아왔을 때, 스타다코나와 호첼라가는 버려진 채 파괴되어 있었다.

스타다코나와 호첼라가의 파괴에 대해 이로쿼이 연방을 언급하는 역사가들도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 예수회 보고서에 실린 이로쿼이족의 구전에 따르면, 모호크 이로쿼이족과 수스케하녹족, 알곤킨족의 동맹 간에 1580년대부터 1600년까지 치열한 전투가 있었다고 한다. 1601년 프랑스인들이 이 지역에 다시 나타났을 때, 세인트 로렌스 계곡은 여러 세대에 걸쳐 혈족 간의 전투가 이어져 온 곳이었다. 사무엘 드 샹플랭이 세인트로렌스강의 타두삭에 상륙했을 때, 그는 몽타내족, 알곤킨족, 휴런족에게 전사로 받아들여져 그들의 적과 싸우는 데 도움을 주었다.

1603년 이전, 샹플랭은 이로쿼이족에 대항하는 동맹을 형성했다. 이는 상업적인 이유 때문이었는데, 캐나다 원주민들은 프랑스에 모피를 제공하는 원천이었고, 이로쿼이족은 이 무역을 방해했다. 1609년 샹플랭은 화승총으로 이로쿼이족 추장 세 명을 죽였다. 1610년 샹플랭 부대는 알곤킨족과 휴런족을 도와 이로쿼이족의 급습 부대를 물리쳤다. 1615년 샹플랭은 휴런족 습격대에 참가하여 이로쿼이족 취락을 침략했지만, 공격은 실패하고 샹플랭은 부상을 당했다.[19]

1630년대까지 이로쿼이족은 네덜란드와의 교역을 통해 유럽의 무기를 획득하고 화승총을 다루는 데 익숙해졌다. 이들은 알곤킨족, 휴런족 등 전통적인 적들과의 전쟁에 이 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한편 프랑스는 동맹 부족에게 화기를 교역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에게는 선물로 화승총을 주기도 했다. 이로쿼이족의 초기 공격 대상은 알곤킨족, 모히칸족, 몽타내족, 휴런족이었지만, 이들 부족과 프랑스의 동맹으로 인해 이로쿼이족은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과 격렬하고 참혹한 싸움을 벌이게 되었다.

1620년대에 네덜란드인이 허드슨 계곡에 교역 거점을 마련하면서, 이로쿼이족, 특히 모호크족은 무기와 다른 유럽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 교역에 의존했다. 그러나 총의 도입으로 비버의 개체 수가 줄면서 1640년 즈음에는 허드슨 계곡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로써 교역의 중심은 북쪽의 세인트로렌스 강가로 옮겨졌고, 이 지역은 프랑스인과 밀접한 교역을 하던 휴런족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로쿼이족은 스스로를 가장 문명화된 민족이라고 생각했지만, 모피 교역에서 다른 민족에게 뒤처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역병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을 두려워한 이로쿼이족은 지배 지역 확대를 위한 공격적인 움직임에 돌입하였다.

2. 1. 네덜란드의 경쟁

1610년부터 1614년까지 네덜란드인들은 허드슨강델라웨어강에 계절적인 무역 기지를 여러 곳 설립했는데, 여기에는 올버니 근처 모호크족 영토 동쪽 끝에 있는 캐슬 아일랜드에 있는 기지도 포함되었다.[6] 이를 통해 이로쿼이족은 모호크족을 통해 유럽 시장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네덜란드의 무역 노력과 뉴저지와 델라웨어에 이어진 식민지는 곧 해안에 사는 델라웨어족(레나페족)과 남쪽의 서스퀘해녹족과도 무역을 시작했다. 네덜란드인들은 1614년에 포트 나사우를 세웠고, 1624년에 이를 대체하는 포트 오렌지(둘 다 올버니에 위치)를 세웠는데, 이로 인해 이로쿼이족은 프랑스와 그들의 동맹 부족에 의존하거나 유럽 상인에게 도달하기 위해 남쪽 부족 영토를 통과할 필요가 없어졌다. 네덜란드인들은 모호크족과 다른 이로쿼이족에게 총을 공급했으며,[6] 새로운 무역 기지는 이로쿼이족이 동물 가죽과 교환하여 귀중한 도구를 얻을 수 있게 해주었다.[6] 그들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규모 모피 사냥을 시작했다.[6]

네덜란드인들은 1624년에 포트 오렌지를 올버니에 세웠다. 이 요새는 이로쿼이족이 프랑스 상인과 그들의 인디언 동맹국에 의존하여 유럽 상품을 얻는 것을 없애주었다.

3. 전쟁의 전개

1640년대 초, 이로쿼이족은 프랑스와의 무역을 방해하기 위해 세인트로렌스강을 따라 있는 변방의 휴런족 마을들을 공격하면서 전쟁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로쿼이족은 1630년대까지 네덜란드인과의 교역으로 얻은 유럽의 무기로 무장하여 화승총을 취급하는 데 익숙해졌으며, 알곤킨족, 모히칸족, 몽타뉴족, 휴런족을 비롯한 다른 전통적인 적들과의 전쟁에 효과적이었다. 한편 프랑스인은 동맹 종족에게 화기를 교역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었지만,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에게는 선물로 화승총을 이따금 제공하는 일이 있었다.[18]

1641년, 모호크족은 뉴프랑스의 트로아리비에르로 가서 프랑스와 그들의 동맹 부족들과 평화를 제안하고, 이로쿼이족 영토에 무역 기지를 설립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총독 몽마니는 이 제안을 거절했는데, 이는 그들의 휴런족 동맹을 버리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1641년, 뉴프랑스 총독 샤를 드 몽마니는 모호크족과의 평화 협정을 거부했는데, 이는 그들의 휴런족 동맹을 버리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었다.


1645년, 프랑스는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한 조약을 협상하기 위해 부족들을 소집했고, 이로쿼이족 지도자 데가나웨이다와 코이세이턴은 협상에 참여하기 위해 뉴프랑스로 갔다.[19] 프랑스는 이로쿼이족의 대부분의 요구를 받아들여 뉴프랑스에서의 무역권을 부여했다. 그러나 다음 해 여름, 80척의 카누 함대가 이로쿼이족 영토를 통과하여 대량의 모피를 뉴프랑스로 가져가 팔았지만, 프랑스는 모피를 사는 것을 거부하고 이로쿼이족에게 중개인 역할을 할 휴런족에게 팔라고 했다. 이로쿼이족은 분노하여 다시 전쟁을 재개했다.[19]

1647년 여름에는 여러 차례 소규모 충돌이 있었고, 1648년에는 두 알곤킨 부족이 이로쿼이족의 차단을 통과하여 모피 수송대를 보냈을 때 큰 전투가 발생하여 이로쿼이족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19]

1650년대 초, 이로쿼이족은 프랑스인들을 직접 공격하기 시작했지만, 일부 이로쿼이족 부족, 특히 오네이다족과 오논다가족은 프랑스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그들은 연맹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이었고 프랑스의 존재에 적대감을 가진 모호크족의 통제를 받았다. 카나퀘이스 추장이 협상한 평화 조약이 실패한 후, 이로쿼이족은 샹플랭 호수와 리슐리외 강을 따라 뉴프랑스 북쪽으로 이동하여 몬트리올을 공격하고 봉쇄했다.

3. 1. 휴런족의 패배

1648년, 네덜란드모호크족에게 상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무기를 판매하는 것을 허가했고, 곧 이로쿼이 연맹에 400정의 총을 팔았다. 이로쿼이 연맹은 겨울이 시작되자 새로 무장한 1,000명의 전사들을 휴런족 영토로 보냈고, 휴런족 영토 중심부를 향해 파괴적인 공격을 가하여 여러 주요 마을을 파괴하고 많은 전사들을 죽였으며 수천 명을 포로로 잡아 나중에 부족으로 받아들였다.[7] 사망자 중에는 예수회 선교사 장 드 브뢰뵈프, 샤를 가르니에, 가브리엘 라르망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로마 가톨릭교회의 순교자로 여겨진다. 살아남은 휴런족들은 흩어져 도망쳤는데, 일부는 퀘벡예수회에 피신했고, 일부는 이로쿼이에 의해 동화되어 받아들여졌으며, 다른 일부는 또 다른 이로쿼이 계통의 부족인 페툰 혹은 담배족에 합류하여 와이앤닷족이 되었다. 오타와족은 일시적으로 이로쿼이족의 북서쪽으로의 확장을 저지했지만, 이로쿼이족은 모피가 풍부한 지역을 장악했고, 더 이상 캐나다의 프랑스 식민지로 가는 길을 막는 부족이 없었다.

장 드 브뢰뵈프는 이로쿼이족의 휴런족 영토 중심부 공격 중에 살해된 여러 예수회 선교사 중 한 명이다.


그러나 전쟁이 일어나기 전 몇 년 동안 질병이 이로쿼이족과 이웃 부족들에게 큰 타격을 입혀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다. 이로쿼이족은 잃어버린 전사들을 대체하기 위해 포로로 잡힌 적들의 많은 수를 자신의 부족으로 받아들여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그들은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을 가르치기 위해 예수회 선교사들을 자신의 영토로 초대했다. 예수회 선교사들도 이로쿼이족에게 다가갔고, 많은 이로쿼이족이 로마 가톨릭교회에 개종하거나 그 가르침을 자신의 전통적인 신앙과 혼합했다.

이러한 전투들이 이로쿼이족에게 엄청난 승리로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승리는 이로쿼이 연맹에 문제를 가져왔다. 이로쿼이족은 동화시킬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포로를 사로잡았고, 이는 연맹 내 분열과 파벌을 초래했다. 많은 포로는 동화되는 대신 이전의 신앙을 고수했다. 많은 분파가 프랑스와의 동맹을 받아들이고 프랑스와 무역하기 위해 몬트리올 북쪽으로 이주했다. 이로쿼이족은 휴런족을 파괴하고 포로로 잡음으로써 우연히 프랑스를 도왔다.[7]

3. 2. 에리족과 뉴트럴족의 패배

네덜란드 상인들로부터 얻은 화기 덕분에 이로쿼이족은 알곤킨족과 휴런족에 대해 효과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로쿼이족은 1650년에 뉴트럴족을 공격하여 1651년 말까지 그들의 전통 영토에서 완전히 몰아냈고, 수천 명을 죽이거나 동화시켰다.[8] 뉴트럴족은 나이아가라 반도에서 그랜드 강 계곡까지 이르는 지역에 거주했다.

1654년 이로쿼이족은 에리족을 공격했지만, 처음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전쟁은 2년 동안 지속되었고, 1656년까지 이로쿼이족은 서쪽으로 도망치기를 거부한 에리 연합을 파괴했다. 에리족의 영토는 이리호의 남동쪽 해안에 위치해 있었고, 1650년에는 약 1만 2천 명의 인구가 있었던 것으로 추산된다.[6] 이로쿼이족은 정복한 부족들보다 훨씬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네덜란드인들로부터 구입한 화기를 사용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3. 3. 프랑스의 반격

카리냥-살리에르 연대(Carignan-Salières Regiment)는 1660년대 중반, 약 1,000명의 프랑스 정규군으로 구성되어 캐나다에 도착했다. 이들은 캐나다 최초의 제복을 입은 전문 군인들이었다.[9] 이들의 도착으로 전쟁의 흐름은 바뀌기 시작했다. 행정부 변화로 뉴프랑스 정부는 인디언 동맹국들에게 무기와 기타 군사 지원을 직접 판매하도록 허가했다. 1664년, 이로쿼이족의 동맹국이었던 네덜란드는 영국에 뉴네덜란드 식민지를 넘겨주면서, 이로쿼이족에 대한 유럽의 지원은 약해졌다.[9]

1666년, 알렉상드르 드 프루빌 드 트레이시(Alexandre de Prouville de Tracy)는 1,300명의 프랑스군을 이끌고 뉴욕의 모호크족 마을을 공격했다.


1666년, 다니엘 드 레미 드 쿠르셀(Daniel de Rémy de Courcelle) 총독은 모호크족의 고향을 침략하려 했다. 그러나 프랑스 군인들이 추위와 깊은 눈 속에서 작전을 수행할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0]

이후 알렉상드르 드 프루빌 드 트레이시(Alexandre de Prouville de Tracy)가 이끄는 두 번째 침략군이 1666년 9월에 출발하여 10월 중순에 모호크족 마을에 도착했다. 마을은 비어 있었지만, 프랑스군은 긴 집과 농작물을 파괴했다.[10] 이 과정에서 이로쿼이족 지도자를 포로로 잡기도 했다. 프랑스군의 초토화 작전으로 인해 많은 이로쿼이족이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4. 전쟁의 재개

1680년대, 프런트낙 백작 루이 드 부아드 총독이 서부 지역의 모피 무역을 독점하려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프랑스와 이로쿼이족 간의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11] 이 전쟁은 10년 동안 이어졌으며, 이전 전쟁만큼이나 잔혹했다.

1683년 이후 프랑스군은 "프랑스 해병 중대"라는 소규모 정규군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 이 부대는 누벨프랑스에 가장 오래 주둔한 프랑스 정규군이었으며, 병사들은 수년간 식민지에 머무르며 동료애를 쌓았고, 장교들은 완전히 캐나다화되었다. 민병대와 프랑스 중대 장교는 식민지 사회에서 유망한 지위였다. 민병대는 프랑스 중대 병사들과 함께 알곤킨족 연합 인디언의 복장을 하고, 이로쿼이족의 전투 방식인 소규모 전투, 신속하고 기동성 있는 전투에 능숙했다. 이들은 "소리 없이 숲을 통과하는 장기 행군"과 "적의 야영지나 거주지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프랑스군은 이 전투 방식을 영국 식민지에도 사용했다. 1690년 뉴욕주 스케넥터디, 뉴햄프셔주 샐먼 폴스, 메인주 포틀랜드에서 영국 식민지 주민들을 무차별 학살하거나 포로로 잡아갔다.[11]

4. 1. 서스퀘해녹족의 패배

이로쿼이족은 남쪽에 있는 서스퀘해녹족을 공격했다. 1674년 메릴랜드 식민지 주민들은 인디언 정책을 바꾸면서 이로쿼이족과 평화를 협상하고 서스퀘해녹족과의 동맹을 파기했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1674년경 이로쿼이족(호덴노쇼니족)이 서스퀘해녹족에게 큰 패배를 안겼다고 믿고 있다.[13] 1675년 예수회 기록에는 세네카족이 "그들의 오랜 강력한 적들을 완전히 패배시켰다"고 보고하고 있다.[13]

1675년, 서스퀘해녹족은 메릴랜드 남쪽으로 이동했다. 그해 후반, 버지니아와 메릴랜드의 민병대는 서스퀘해녹족 요새를 포위하고 회담 중에 서스퀘해녹족 추장들을 암살했다. 포위 공격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결국 이로쿼이족에 흡수되었다.[13]

5. 몬트리올 대평화

1698년, 이로쿼이족은 이 전쟁이 본질적으로 영국이 부추긴 것이며, 자신들이 이용당하는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그들은 전쟁을 끝내고자 했다.[15] 반면 프랑스는 이로쿼이족을 누벨프랑스와 남쪽 영국 사이의 방어선으로 유지하고 싶어했다.

1701년, 몬트리올에서 31명의 이로쿼이족 추장들과 프랑스 식민지 정부 및 영국 식민지 정부가 서명한 "대평화"(Grande Paix)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서 이로쿼이족은 약탈을 중단하고, 오대호 지역의 난민들이 동부로 돌아오는 것을 허용했다. 결과적으로 쇼니족은 오하이오주와 저지대 애팔래치아 강 유역의 영토를 되찾았다.[15]

6. 전쟁의 결과 및 영향

신프랑스와 39개의 제1민족 간의 적대 행위를 종식시킨 평화 조약 사본


이로쿼이족은 1698년에 프랑스보다 13개 식민지의 부상을 더 큰 위협으로 여겼다. 1681년에 설립된 펜실베이니아 식민지의 지속적인 성장은 이로쿼이족의 남쪽 국경을 침범하기 시작했다.[9] 약 50년간의 전쟁 후, 프랑스는 이로쿼이족과의 우호 관계를 통해 북부 모피 무역 독점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판단하여 정책을 변경했다. 13개 식민지는 이 조약 소식을 듣고 즉시 조약 체결을 막으려 했으나, 프랑스와 인디언들은 결국 조약을 체결했다. 이로 인해 올바니의 이로쿼이족과의 모피 무역이 손실되었고, 13개 식민지의 북쪽 측면은 프랑스의 공격에 취약해졌다.

1701년, 프랑스와 39명의 인디언 추장들은 몬트리올 대평화에 서명했다. 이로쿼이족은 약탈을 중단하고 오대호 지역 난민들의 동쪽 귀환을 허용하기로 합의했다. 쇼니족은 오하이오 지역과 앨러게니 강 하류를, 마이애미족은 인디애나와 오하이오 북서부를, 포타와토미족미시간주를, 일리노이족은 일리노이주를 다시 장악했다. 이 평화는 172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1768년, 13개 식민지 중 일부는 오하이오와 일리노이 지역에 대한 "이로쿼이족의 권리"를 매입하고, 북서부 전체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기 위해 인디애나 토지 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1798년 미국 대법원에 의해 해산될 때까지 이로쿼이족의 정복권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권리를 유지했다.[16]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모호크족, 카유가족, 오논다가족, 세네카족 등 많은 이로쿼이족 전사들은 영국과 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영국과 오랜 무역 관계를 맺어왔고, 미국이 자신들의 땅을 침범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를 바랐다. 미국이 승리한 후, 영국 의회는 북미 지역 영토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미국에 양도하고, 미국 왕당파를 캐나다에 재정착시키고 왕당파와 원주민들이 미국에 빼앗긴 토지에 대한 일부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 모호크족 추장 조셉 브랜트는 많은 이로쿼이족을 이끌고 뉴욕에서 온타리오주 그랜드 리버 6개 부족 보호구역으로 이동했다. 새로 부여된 토지는 모두 캐나다 군사 기지 근처에 위치하여 미국의 침입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17]

서부 연합으로 알려진 원주민 부족 연합은 1795년 그린빌 조약에서 오하이오주 현재 지역 대부분을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할양하도록 강요당했다.

뉴프랑스와 이로쿼이족 및 기타 원주민 부족과의 관계는 그레이트레이크스 지역에서 프랑스 식민지의 미래와 해당 지역 원주민 부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뉴프랑스는 샹플랭 등이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수익성이 낮고 폭력적이었다. 프랑스의 원주민 무역 개입은 복잡한 원주민 동맹에 휘말리게 했고, 이는 부족들을 프랑스와 서로 대립하게 만들었다. 또한 질병, 무기, 전쟁을 가져와 해당 지역 부족의 추가적인 파괴로 이어졌다.[7] 17세기, 이로쿼이 연맹은 세력을 확장하고 프랑스 상인들과 서부 오대호 지역 부족들 간의 모피 무역, 특히 비버 모피 무역을 독점하려 했다. 이 분쟁으로 이로쿼이 연맹 내 부족 간의 세력 다툼이 격화되어, 대부분의 알곤킨어족 계통 부족들이 모호크족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전쟁은 매우 잔혹했으며, 미국 인디언 전쟁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의 연속이었다. 이로쿼이족의 영토 확장은 와이앤닷족, 뉴트럴족, 에리족, 서스케하나족 등과 같은 큰 부족 연맹들을 파괴하고 북동부의 세력 지도를 바꿔놓았으며, 다른 북동부 부족들을 미시시피강 서쪽으로 몰아냈다. 오하이오 준주와 미시간 반도 저지대는 난민들이 이로쿼이 전사들을 피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한때 인디언이 사라진 지역이 되었으나, 곧 오하이오의 인디언 부족들이 돌아와 여러 부족이 혼합된 “연합 공화국”을 형성했다.

알곤킨어족계 인디언 부족과 이로쿼이족 사회는 이 전쟁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뉴네덜란드 식민지의 네덜란드인과 이로쿼이족의 동맹이 깨지고, 프랑스가 이로쿼이족과의 동맹을 추구하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이로쿼이족은 영국과의 무역을 통해 영국 제국의 식민지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6. 1. 이로쿼이 연맹의 변화

이로쿼이족이 거둔 전투의 승리들은 이로쿼이 연맹에 문제를 야기했다. 이로쿼이족은 동화시킬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포로를 사로잡았고, 이는 연맹 내 분열과 파벌을 초래했다. 많은 포로들은 동화되는 대신 이전의 신앙을 고수했으며, 많은 분파들이 프랑스와의 동맹을 받아들이고 프랑스와 무역하기 위해 몬트리올 북쪽으로 이주했다. 결과적으로 이로쿼이족은 후론족을 파괴하고 포로로 잡음으로써 우연히 프랑스를 돕게 되었다.[7]

6. 2. 북미 원주민 사회의 변화

이로쿼이 전쟁으로 많은 원주민 부족들이 멸망하거나 서쪽으로 쫓겨났다. 오하이오 준주(Ohio Country)와 미시간 반도 저지대(Lower Peninsula of Michigan)는 난민들이 이로쿼이 전사들을 피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한때 인디언이 사라진 지역이 되었다.[11] 이 지역에는 곧 오하이오의 인디언 부족들이 돌아왔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부족이 혼합된 “연합 공화국”이었지 개별 인디언 부족은 아니었다.[11]

수족과 같은 일부 부족들은 미시시피 강 서쪽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생활 방식을 채택했다. 다른 난민들은 북미 대호수 지역으로 몰려들어 그 지역의 기존 부족들과 갈등을 빚었다. 오하이오 지역에서는 쇼니족마이애미족이 우세했다. 이로쿼이족은 중부 오하이오의 쇼니족 영토를 신속하게 잠식하여 그들을 마이애미족 영토로 도피하게 만들었다. 마이애미족은 강력한 부족이었고, 미시간과 일리노이에 거주하는 포타와토미족과 일리니 연맹을 포함한 이웃 동맹들의 연합을 결성했다. 대부분의 전투는 아니시나베 연합과 이로쿼이 연합 사이에서 벌어졌다.[11]

6. 3. 프랑스와 영국의 관계

이로쿼이 연맹과 프랑스가 지원하는 부족들 사이에 갈등이 커지기 시작했다. 이로쿼이족은 온타리오 호 남쪽과 허드슨 강 서쪽의 뉴욕 지역에 거주했는데, 이들의 땅은 남쪽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 알곤킨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이들은 모두 이로쿼이족의 전통적인 적이었다.[6] 오하이오 지역의 쇼니족, 온타리오 호 서쪽 해안과 휴런 호 남쪽 해안에 있는 중립국과 휴런 연맹, 그리고 남쪽에 있는 서스퀘해녹족이 그들이었다. 이 부족들은 역사적으로 이로쿼이족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6]

이로쿼이족은 계속해서 뉴프랑스의 시골 지역을 장악하고 퀘벡과 몬트리올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정착지 가장자리까지 습격을 가했다. 1660년 5월, 160명의 이로쿼이족 전사들이 몬트리올을 공격하여 프랑스 식민지 주민 17명을 사로잡았다. 다음 해에는 250명의 전사들이 공격하여 10명을 포로로 잡았다.[9] 1661년과 1662년에 이로쿼이족은 프랑스와 동맹을 맺은 아베나키족을 상대로 여러 차례 습격을 가했다. 프랑스 왕실은 캐나다 통치 방식을 바꾸도록 명령했다. 이로쿼이족의 습격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인, 휴런족, 알곤킨족으로 구성된 소규모 군대를 편성했지만, 이로쿼이족은 그들이 시골로 진출하자 공격했다. 프랑스인 중 29명만 생존하여 탈출했고, 5명은 이로쿼이족에게 사로잡혀 고문을 받고 죽었다. 승리에도 불구하고 이로쿼이족도 상당한 사상자를 냈고, 그들의 지도자들은 프랑스와의 평화 협상을 고려하기 시작했다.[9]

1660년대 중반, 약 1,000명의 프랑스 정규군으로 구성된 카리냥-살리에르 연대가 도착하면서 전쟁의 흐름은 바뀌기 시작했다. 이들은 캐나다 최초의 제복을 입은 전문 군인들이었다.[9] 행정부의 변화로 뉴프랑스 정부는 인디언 동맹국들에게 무기와 기타 군사 지원을 직접 판매하도록 허가했다. 1664년, 이로쿼이족의 동맹국이었던 네덜란드는 영국에 뉴네덜란드 식민지를 넘겨주었다. 네덜란드 패배 직후, 이로쿼이족에 대한 유럽의 지원은 약해졌다.[9] 오논다가족, 세네카족, 케이유가족은 프랑스와 평화 협정을 맺었지만, 모호크족과 오네이다족은 여전히 거부했다.

1666년 1월, 다니엘 드 레미 드 쿠르셀 총독은 모호크족의 고향을 침략하려 했다. 400~500명으로 구성된 침략군은 모호크족과 잠시 교전했지만, 프랑스 군인들이 추위와 깊은 눈 속에서 작전을 수행할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마을에 도착하지 못했다.[10]

두 번째 침략군은 루이 14세가 아메리카 총독으로 임명한 알렉상드르 드 프루빌 드 트레이시가 이끌었다. 약 1,300명으로 구성된 침략군은 1666년 9월 출발하여 10월 중순에 모호크족 마을에 도착했다. 마을은 서둘러 버려진 상태였다. 트레이시는 긴 집과 농작물을 파괴하도록 명령했고, 원정대는 뉴프랑스로 돌아왔다. 1667년 7월, 모호크족과 오네이다족과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10]

영국 정착민들이 뉴욕 주 상부의 이전 네덜란드 영토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식민지 주민들은 프랑스 식민지 확장에 맞서 이로쿼이족과 동맹을 맺어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네덜란드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이로쿼이족에게 화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뉴프랑스의 총독 루이 드 부아드는 서부 모피 무역을 부흥시키려고 했다. 그의 노력은 이로쿼이족의 무역 장악 노력과 경쟁했고, 이로쿼이족은 다시 프랑스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전쟁은 10년 동안 지속되었다.

1680년 1월 2일, 이로쿼이 마을에서 평화를 호소하는 드 톤티


인디언 동맹군과 함께 있는 뉴프랑스의 총독 루이 드 부아드 드 프론테낙; 그가 국경 지대의 모피 무역을 부흥시키려는 시도는 이로쿼이족과의 새로운 적대 행위로 이어졌다


1681년, 르네 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살은 마이애미족과 일리노이족과 조약을 체결했다.[14] 프랑스는 인디언에게 화기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해제했고, 식민지 주민들은 알곤킨족에게 신속하게 무기를 제공하여 이로쿼이족과 그들의 적들 사이의 균형을 맞췄다.

적대 행위가 재개되면서 1683년 이후 뉴프랑스의 민병대는 콩파니 프랑슈 드 라 마린 소속의 소규모 정규 프랑스 해군 부대에 의해 강화되었다. 1687년 6월, 드농빌 총독과 드 트루아는 잘 조직된 부대를 이끌고 프론테낙 요새로 향했고, 그곳에서 그들은 오논다가 평의회에서 온 이로쿼이 연맹의 50명의 추장들을 만났다.[15] 이 50명의 추장들은 이로쿼이족의 최고 지도자들이었고, 드농빌은 그들을 체포하여 프랑스 마르세유로 보내 갤리선 노예로 삼았다. 그런 다음 그는 온타리오 호 해안을 따라 여행하며 나이아가라 강이 온타리오 호와 만나는 지점에 드농빌 요새를 건설했다. 이로쿼이족은 농가를 파괴하고 온 가족을 학살하며 보복했다. 그들은 1689년 8월 4일 라신을 불태웠다. 프론테낙은 드농빌을 대신하여 다음 9년(1689년~1698년) 동안 총독이 되었고, 그는 추장들의 투옥으로 인해 발생한 위험을 인식했다. 그는 살아남은 13명의 지도자들을 찾아 1698년 10월에 그들과 함께 뉴프랑스로 돌아왔다.

윌리엄 왕조 전쟁(1688년~1697년) 동안 프랑스는 인디언 동맹군과 함께 영국 정착지를 공격하기 위한 약탈 부대를 편성했는데(영국은 프랑스에 대항하여 이로쿼이족과 동맹을 맺었기 때문) 뉴욕 식민지의 셰넥터디 대학살, 뉴햄프셔의 살몬 폭포 습격, 메인주 포틀랜드의 로열 요새 전투를 자행했다. 프랑스와 그들의 동맹군은 습격에서 정착민들을 죽이고 일부를 납치하여 캐나다로 데려갔다. 뉴잉글랜드의 정착민들은 포로들을 되찾기 위해 자금을 모았지만, 일부는 부족에 의해 입양되었다. 프랑스 정부는 일반적으로 인디언들이 포로들을 계속 보유할 때 개입하지 않았다. 1690년대 내내 프랑스와 그들의 동맹군은 이로쿼이 영토 깊숙이 계속 침입하여 1692년에는 모호크 마을을 파괴했고, 세네카족, 오네이다족, 오논다가족 마을을 습격했다. 영국과 이로쿼이족은 프랑스에 대항하는 작전을 위해 연합했지만, 이러한 작전은 대부분 효과가 없었다. 가장 성공적인 침입은 1691년 라 프레리 전투로 이어졌다. 프랑스의 공세는 프랑스와 영국 사이에 평화를 가져온 1697년 리스위크 조약에 의해 중단되지 않았고, 영국의 그 분쟁 참여는 종식되었다.

1698년, 이로쿼이족은 이 전쟁이 본질적으로 영국이 부추긴 것이며, 자신들이 이용당하는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전쟁을 끝내고자 했다. 반면 프랑스는 이로쿼이족을 누벨프랑스와 남쪽 영국 사이의 방어선으로 유지하고 싶어했다.

1701년, 몬트리올에서 31명의 이로쿼이족 추장들과 프랑스 식민지 정부 및 영국 식민지 정부가 서명한 "대평화"(Grande Paix)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서 이로쿼이족은 약탈을 중단하고, 오대호 지역의 난민들이 동부로 돌아오는 것을 허용했다.

참조

[1] 논문 The Iroquois practice of genocidal warfare (1534–1787) https://www.tandfonl[...] 2022-03-09
[2] 서적 Riparian Research and Management, Chapter 7. Euro-American Beaver Trapping and Its long-term Impact on Drainage Network Form and Function, Water Abundance, Delivery, and System Stability ''via''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3] 논문 The Omnipotent Beaver in Van der Donck's A Description of New Netherland: A Natural Symbol of Promise in the New World https://escholarship[...] 2015-04-01
[4] 논문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onomorphism and low levels of DNA fingerprinting variability in a reintroduced and rapidly expanding population of beavers 1993-09-01
[5] 논문 The Confusing Identities Attributed to Stadacona and Hochelaga https://www.proquest[...] 1998-12-01
[6] 서적 American Heritage Book of Indians https://books.google[...] American Heritage 1961
[7] 서적 American colonies: the settling of North America Penguin Books 2002
[8] 서적 The Archaeology Of Southern Ontario To A.D. 1650 https://books.google[...] London Chapter of the Ontario Archaeological Society
[9] 서적 The Good Regiment: The Carignan Salières Regiment in Canada, 1665–1668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1
[10] 웹사이트 Prouville de Tracy, Alexandre de http://www.biographi[...] 2011-12-08
[11] 서적 The Ojibwa of Southern Ontari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1
[12] 논문 Glory, Death, and Transfiguration: The Susquehannock Indians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www.jstor.org[...] 1968
[13] 서적 Susquehanna's Indians https://archive.org/[...] Pennsylvania Historical and Museum Commission 1984
[14] 서적 Michigan Pioneer and History Collections
[15] 웹사이트 Brisay de Denonville, Jacques-René de http://www.biographi[...] 2011-12-08
[16] 웹사이트 The naming of Indiana http://www.in.gov/hi[...] Indiana Historical Bureau, State of Indiana 2008-09-29
[17] 웹사이트 Thayendanegea http://www.biographi[...] University of Toronto/Université Laval
[18] 문서 Jennings, p. 42
[19] 서적 The Children of Aataentsic: A History of the Huron People to 1660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