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오서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오서 강은 그리스 에피루스 핀두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알바니아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고대에는 아오스(Aoos)로 불렸으며, 알바니아어로는 Vjosë 또는 Vjosa로 불린다. 비오서 강은 알바니아와 그리스의 국경을 이루며, 보이도마티스 강, 드리노 강 등 여러 지류를 포함한다. 강 유역은 비옥한 환경을 제공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해왔다. 최근에는 수력 발전 댐 건설 계획과 환경 보호 간의 갈등이 발생하여, 알바니아 정부는 강 구간을 "관리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환경 단체들은 비오서 강 국립공원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오아니나현 - 아케론강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케론강은 '고통의 강'으로 불리는 지하 세계의 강으로, 망자들이 사공 카론을 통해 하데스의 세계로 건너가는 입구이자 여러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의미로 상징되는 강이다.
  • 알바니아의 강 - 슈쿰빈강
    슈쿰빈강은 알바니아를 가로지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리적 경계선이자 교통로였으며, 고대 일리리아인들의 터전, 로마 제국의 비아 에그나티아 통로, 여러 제국 간 경계, 오스만 제국 통상로, 알바니아 민족 부흥 운동 상징, 토스크 알바니아어와 게그 알바니아어의 언어적 경계 역할을 했다.
  • 알바니아의 강 - 드린강
    알바니아 북부를 흐르는 드린강은 흑도린강과 백도린강의 합류로 시작되어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드린 만을 형성하며, 수력 발전을 통해 알바니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역사적으로 유고슬라비아와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 이피로스주의 지리 - 핀도스산맥
    핀도스산맥은 그리스 북부에 위치하여 에피루스 지역을 마케도니아, 테살리아 지역과 구분하며, 스몰리카스 산을 비롯한 주요 봉우리들과 깊은 협곡, 다양한 민족, 그리고 비코스-아오스 국립공원과 핀도스 국립공원을 포함한 보호 지역을 포함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가진 산맥이다.
  • 이피로스주의 지리 - 아케론강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케론강은 '고통의 강'으로 불리는 지하 세계의 강으로, 망자들이 사공 카론을 통해 하데스의 세계로 건너가는 입구이자 여러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의미로 상징되는 강이다.
비오서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비오서
아오오스 (Αώος,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Vjosë (비오서)
Aoös (아오오스)
다른 이름아오스 (Aous)
위치그리스 북서부 및 알바니아 남서부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비오서강 하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비오서강 하구
NASA 지구 관측소의 비오서강 (2022)
NASA 지구 관측소의 비오서강 (2022)
지리
수원핀두스 산맥, 그리스
하구아드리아해, 알바니아
하구 좌표좌표: 40°38′34″N 19°19′2″E
길이272km
유역 면적6706km2
평균 방류량195m3/s
국가알바니아
그리스
기타 정보
특징유럽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야생 하천 중 하나
보호 구역 지정2023년 3월 15일, 유럽 최초의 야생 하천 국립공원으로 지정

2. 명칭

비오서강은 여러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에는 그리스어로 Ἄωος, Ἀῶος, Ἀῷος|Aoösgrc (예: 에라토스테네스의 지리학[7])으로 불렸고, 라틴어로는 ''Aous''로 불렸다. 알바니아어로는 ''Vjosësqi'' 또는 ''Vjosasqi''로 불리며, 그리스에서는 고대 이름(현대 표기법으로 Αώοςel)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 라틴어 지도에서는 ''Viossa''와 ''Βοβούσα|Vovousael'' 또는 ''Αίας, Αἴας|Aiasel''로 불렸다.[8] 그리스어로는 특히 20세기 이전의 문헌에서 Βοϊούσα|Voioussael (vo-i-usa로 발음)로도 알려져 있다.[9][10] 역사가 Ap. 바칼로풀로스(1977)에 따르면 Βοϊούσα|Voioussael라는 이름은 Aoos의 일반적인 그리스 이름이다.[11]

''Vjosa''는 또한 흔한 여성 알바니아 이름이다.[12][13][14]

3. 지리

노란색 영역은 비오서 강과 주요 지류인 드리노 강의 유역을 나타내며, 빨간색 선은 알바니아와 그리스의 국경을 표시한다.


비오서 강은 그리스 북서부 핀두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알바니아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다.[15][16] 강은 그리스의 에피루스 지역과 알바니아 남부를 가로질러 흐르며, 여러 협곡과 마을, 도시를 통과한다.

주요 지류로는 그리스에서 흘러오는 보이도마티스 강, 사란타포로스 강과 알바니아의 드리노 강, 슈시체 강 등이 있다. 강 하구는 비오사-나르타 보호 구역에 속하며, 알바니아 구간은 2020년 정부에 의해 "관리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18]

3. 1. 발원지 및 상류



비오서 강은 그리스 에피루스의 핀두스 산맥에 있는 보부사 마을 근처에서 발원한다.[15][16] 발원지 부근 1350m 고도에는 인공 호수가 건설되었으며,[17] 1987년부터 수력 발전을 위한 댐이 운영되고 있다. 강은 비코스-아오스 국립공원의 협곡을 지나 코니차 마을을 통과하며, 이곳에서 보이도마티스 강과 합류한다. 이후 차르쇼베 마을 근처에서 알바니아 영토로 들어가 사란타포로스 강과 만난다. 이 상류 구간의 주요 지류는 그리스의 보이도마티스 강과 사란타포로스 강이며, 강을 따라 그리스의 보부사, 코니차와 알바니아의 차르쇼베 등의 마을이 위치한다.

3. 2. 중류

차르쇼베 근처에서 알바니아 영토로 들어오며, 이 지점에서 그리스로부터 흘러온 사란타포로스 강과 합류한다. 이후 강은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페르메트, 켈치레 등의 도시를 차례로 지나간다. 테펠레네에 이르러서는 알바니아 내 주요 지류인 드리노 강과 만난다.

3. 3. 하류

비오서강은 차르쇼베 근처에서 알바니아로 들어서며, 이곳에서 사란타포로스 강과 합류한다. 이후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흐르다가 테펠레네에서 주요 지류인 드리노 강과 만나고, 슈시체 강도 알바니아 구간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이다. 강은 계속해서 발로러 북서쪽의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가며, 하구는 비오사-나르타 보호 구역 내에 위치한다.[18]

알바니아 정부는 2020년 12월, 비오사 강의 알바니아 구간을 "관리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18]

강 하류를 따라 위치한 주요 도시와 마을로는 차르쇼베, 페르메트, 켈치레, 테펠레네, 메말리아이, 셀레니체, 노보셀레 등이 있다.

4. 역사

비오서 강 유역은 고대부터 에피루스의 산악 내륙 지역과 아드리아 해를 잇는 중요한 자연 경로로 이용되어 왔다.[19] 고대 문헌에서는 이 강을 Αἴας|아이아스grc, Ἄνιος|아니오스grc, ''아오오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20] 고대에는 강의 상류가 에피루스에, 하류는 일리리아 지역에 속했으며,[24][25][21] 이후 로마 제국 시대에는 에피루스 노바와 에피루스 베투스 속주 사이의 경계를 이루기도 했다.[24][25][21][22][23] 강 유역을 따라 고대 도시들이 발달했으며,[27] 특히 하구 근처에는 중요한 폴리스인 아폴로니아가 건설되어 번성했다.[28][29][30] 또한 이 지역은 에피루스의 피로스와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 사이의 전투(기원전 274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와 로마 사이의 전투(기원전 198년) 등 여러 역사적 충돌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33]

4. 1. 고대

비오서 강 계곡은 에피루스의 산악 내륙 지역과 남부 일리리아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이어지는 중요한 자연 경로 중 하나이다. 이 경로는 수천 년 동안 이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19] 헤카타이오스(기원전 550–476년)는 이 강을 ''아이아스''(Αἴαςgrc)라고 불렀고, 플루타르코스카이사르에서 ''아니오스''(Ἄνιοςgrc)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20] 폴리비오스, 리비우스, 스트라보는 ''아오오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빌리스에서 바라본 비오서 강 계곡. 빌리스는 일리리아의 ''코이논'' 빌리오네스의 주요 도시이자 두 중심지 중 하나이다.


고대에는 강의 상류가 에피루스에, 하류는 일리리아 지역에 속했다.[24][25][21] 강의 첫 부분은 케라우니아 산맥과 함께 테펠레네까지 일리리아와 에피루스의 고전적 경계를 이루었으며, 이후 로마 제국 시대에는 에피루스 노바와 에피루스 베투스 속주 사이의 경계가 되었다.[24][25][21][22][23] 하류 계곡의 오른쪽 강둑에는 토착 부족인 빌리오네스가, 왼쪽 강둑에는 아만테스가 거주했다.[24][25][26] 기원전 7세기 중반부터 아오오스 하류의 남부 일리리아 지역에서는 초기 도시 중심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오른쪽 강둑에는 쿠테, 클로스, 마슈크제, 마르게리치, 스트룸 등의 요새가, 왼쪽 강둑에는 아만티아, 마브로베, 트레포르트 등의 요새가 건설되었다.[27] 기원전 600년경, 그리스 식민지화 과정에서 강 하구 근처 오른쪽 강둑에 아폴로니아가 세워졌다. 이는 코린토스와 아마도 코르키라에서 온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지역 일리리아인들의 초청을 받아 버려진 해안 부지에 무역 정착지를 건설한 것이다.[28][29][30] 아폴로니아는 독립적인 폴리스로 발전하여 고대 시대 동안 번성했으며, 광범위한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심지 중 하나이자, 같은 이름을 가진 여러 고전 도시 중에서도 가장 중요했을 가능성이 높다. 테스프로티아 부족인 파라우아이오이는 강 옆에 살았기 때문에 강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파우사니아스는 테스프로티아를 통과하는 이 강에 "상어"[31] (θηρίαell)가 있다고 기록했다. 6세기 스테파누스 오브 비잔티움은 강을 ''아보스'' (Αύοςell)라고 언급했다.[32]

비오서 강의 의인화. 아폴로니아에서 발견됨


비오서 강 유역에서는 여러 전투가 벌어졌다. 기원전 274년, 에피루스의 피로스는 강둑 근처에서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를 격파했다. 기원전 198년에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와 로마의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가 아오우스 전투에서 맞붙었다. 기원전 170년에는 몰로시아인들이 로마의 아울루스 호스틸리우스 만키누스를 납치하려던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기도 했다.[33]

4. 2. 중세 및 근대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부족합니다.)

4. 3. 현대

(내용 없음)

5. 환경 및 보존 노력

비오서강은 그리스알바니아를 가로지르며 독특하고 중요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야생 강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그 가치를 지키려는 움직임과 개발 압력 사이의 긴장이 존재한다.

그리스 구간에서는 강 상류 지역을 포함하는 비코스-아오오스 국립공원이 1973년에 설립되어 강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있다. 이 국립공원은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도 지정되어 국제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34]

알바니아 구간에서는 강의 보존과 개발을 둘러싼 논의가 더욱 활발하다. 2005년 비오서-나르테 습지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고,[18] 과거에는 관개를 위한 수로가 건설되기도 했다. 그러나 강의 풍부한 수력 발전 잠재력으로 인해 여러 건설 계획이 제안되었으며,[35] 이는 강의 자연적인 흐름과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이러한 개발 계획에 맞서 유럽의 여러 환경 단체[36][37]와 지역 사회는 강의 자연 상태 보존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환경 운동가들과 과학자, 지역 주민들은 비오서강을 유럽 최초의 '야생 강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온전히 보존할 것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39] 2020년 알바니아 정부는 강 일부를 '관리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지만,[18] 이 조치가 대규모 개발 사업을 막기에는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보다 강력한 보호 조치인 국립공원 지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2] 특히 특정 대규모 댐 건설 계획은 강의 생태계 파괴, 1,100여 종이 넘는 동식물 서식지 침수, 생물 다양성 감소, 지역 주민들의 삶의 터전 상실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논란이 되고 있다.[40][2]

5. 1. 그리스

비코스-아오오스 국립공원(Εθνικός Δρυμός Βίκου–Αώου|에트니코스 드리모스 비쿠-아오우el)은 1973년에 설립되었으며, 에페이로스 북서부 그리스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이다. 이 국립공원은 126km2의 산악 지형을 포함하며, 수많은 강, 호수, 동굴, 협곡, 침엽수림 및 활엽수림이 있다. 3400ha 규모의 공원 핵심 지역[34]은 보이도마티스강이 깎아 놓은 비코스 협곡이며, 아오스 협곡, 팀피산은 해발 2497m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가밀라를 가지고 있으며, 공원의 주변 지역을 형성하는 여러 정착지가 있다.

5. 2. 알바니아

테펠레네 상류의 비오서 강


차르쇼바 근처 비오서 강과 네메르체 산의 모습


비오서 계곡


알바니아 정부는 2004년 12월 교토 의정서 비준에 따라, 2005년 2월 비오서-나르테 습지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강은 1950년대 미제케 지역 관개를 위해 건설된 비오서-레반-피에르 관개 운하의 주요 수원이다.

그러나 비오서 강의 풍부한 수력 발전 잠재력은 개발 대상으로 여겨졌다. 개발자들은 강 본류와 지류 곳곳에 댐 건설 계획을 제출했으며, 2017년까지 발칸 반도 전역에서 비오서 강을 포함한 여러 구간에 2,000개 이상의 댐 프로젝트가 정부 승인을 받았다.[35] 이러한 개발 계획은 RiverWatch, 유로네이처,[36] 에코알바니아 등 유럽 환경 단체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37] 2012년 연구에 따르면, 발칸 반도 강들의 30%는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50%는 약간 변형된 상태로, 비교적 온전한 수문 형태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38]

2020년 2월, 에코알바니아를 중심으로 20개 환경 단체는 비오서 유역을 유럽 최초의 야생 강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는 300km에 달하는 강과 하천을 보호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39] 같은 해 9월, 알바니아 총리 에디 라마는 비오서 강 주변에 보호 구역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고, 12월에는 강 알바니아 구간을 "관리 자연 보호 구역"(자연 공원)으로 지정했다.[18] 하지만 환경 단체들은 이 조치가 수력 발전 프로젝트나 공항 건설 등 개발 사업을 막기에는 불충분하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국립공원 지정만이 실질적인 보호를 보장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2]

2021년 4월, 비오서 강 연구 과학자들은 알바니아 대통령 일리르 메타에게 댐 건설 계획 중단을 촉구하는 청원을 전달했다.[40] 특히 우려되는 것은 터키-알바니아 합작 회사인 Ayen ALB가 추진하는 50m 높이의 수력 발전 댐 건설 계획이다. 이 댐은 알바니아 내 200km 구간의 강 흐름을 바꾸는 첫 대규모 개발 사업이 될 수 있다. 환경 운동가들은 이 댐 건설이 멸종 위기에 처한 1,175종의 동식물 서식지를 침수시키고 농경지와 어장을 파괴하며, 수천 명의 주민을 삶의 터전에서 몰아낼 것이라고 경고한다. 또한 정부가 환경 파괴적인 수력 발전 대신 다른 덜 해로운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

참조

[1] 논문 The quality of Albanian natural waters and the human impact https://www.research[...]
[2] 뉴스 Undammed, undimmed: The battle over a unique European river https://www.bangkokp[...] 2021-05-14
[3] 웹사이트 Vjosa, lumi i fundit i egër në Evropë u shpall sot 'Park Kombëtar' me mbrojtje të plotë kombëtare dhe ndërkufitare, sipas standardeve më të larta Ndërkombëtare https://kryeministri[...] 2023-03-15
[4] 웹사이트 Vjosa, one of our last wild rivers, becomes Europe's first Wild River National Park https://www.iucn.org[...]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2023-03-15
[5] 웹사이트 'Historic moment' for nature as Europe's first wild river national park announced in Albania https://www.theguard[...] 2023-03-15
[6] 웹사이트 Europe's First Wild River National Park Is Here https://eu.patagonia[...] Patagonia, Inc. 2023-03-16
[7] 서적 Eratosthenes' Geograph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 Press
[8] 서적 Ζαγοριακά Τυπογραφείον Αυγής
[9] 서적 "Ἠπειρωτικα. Ἠτοι ἱστορια και γεωγραφια της Ἠπειρου ..." https://books.google[...] Βιέννη (Wien)
[10] 서적 "Neoellēnika analekta ..." https://books.google[...] Athens
[11] 서적 "Πηγές της ιστορίας του νέου ελληνισμού" https://books.google[...] Εταιρεία Μακεδονικών Σπουδών (Society of Macedonian Studies)
[12] 웹사이트 From 20000 names babynames website http://www.20knames.[...]
[13] 웹사이트 From Aboutnames babynames website http://www.aboutname[...]
[14] 웹사이트 Albanian names website http://www.albanian.[...]
[15] 서적 Acta Hydrochimica Et Hydrobiologica https://books.google[...] VCH Verlagsgesellschaft
[16] 서적 Epirus Vetus: the archaeology of a late antique province https://books.google[...] Duckworth
[17] 웹사이트 Egnatia Municipality http://www.egnatia-i[...]
[18] 웹사이트 Për miratimin e kufijve të zonave te mbrojtura https://planifikimi.[...] 2020-12-28
[19] 논문 A new type of Early Iron Age fibula from Albania and northwest Greece The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20] 문서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21] 서적 Illyrian Apollonia: Toward a New Ktisis and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lony https://books.google[...]
[22] 서적 Epirus Vetus: The Archaeology of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3] 간행물 https://books.google[...]
[24] 학위논문 Etudes des interactions culturelles en aire Illyro-épirote du VII au III siècle av. J.-C. https://tel.archives[...] Université de Lyon; Instituti i Arkeologjisë (Albanie)
[25] 서적 I processi formativi ed evolutividella città in area adriatica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26] 논문 Ricerca archeologica e valorizzazione: riflessioni sul Parco Archeologico di ''Byllis'' (Albania) Società Friulana di Archeologia
[27] 서적 Fortificazioni e società nel Mediterraneo occidentale: Albania e Grecia settentrionale https://books.google[...] Quasar
[28] 논문 Ilirët, kolonitë greke, monedhat dhe lufta https://www.persee.f[...]
[29] 논문 Evidence for Long-Term Migration on the Balkan Peninsula Using Dental and Cranial Nonmetric Data: Early Interaction Between Corinth (Greece) and its Colony at Apollonia (Albania) Wiley Periodicals
[30] 논문 Mother City and Colony: Bioarchaeological Evidence of Stress and Impacts of Corinthian Colonisation at Apollonia, Albania John Wiley & Sons, Ltd.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336-167 B.C
[34] 문서
[35] 뉴스 Rising On Edges: Anti-Damming on the Wild Rivers of the Balkans https://www.zafiri.c[...] 2017-03-22
[36] 웹사이트 Vjosa National Park NOW https://www.balkanri[...] 2021-05-14
[37] 웹사이트 Profile https://www.ecoalban[...] 2021-05-14
[38] 웹사이트 Balkan Rivers - The Blue Heart of Europe; Hydromorphological Status and Dam Projects Report https://www.balkanri[...] FLUVIUS 2021-05-14
[39] 웹사이트 Proposal for establishing the Vjosa Wild River National Park https://www.ecoalban[...] 2021-05-14
[40] 웹사이트 Petition of Scientists of the Vojsa River handed to Albanian President https://tourduvalat.[...] 2021-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