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행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행성은 항공기의 조종성, 안정성, 그리고 조종사의 조작에 대한 반응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비행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안정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안정성은 외부 교란에 대한 항공기의 복원력과 관련된다. 1904년 G. H. 브라이언에 의해 항공기 안정성 이론이 만들어졌으며, 초기 비행기 설계자들은 만족스러운 비행 특성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비행성 평가는 조종 위치, 힘, 항공기 각속도, 가속도, 속도, 고도 등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숙련된 시험 조종사의 의견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미국에서는 MIL-F-8785C 및 MIL-STD-1797A와 같은 비행성 기준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행 포락선은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속도, 중량, 고도의 범위를 나타낸다. 플라이 바이 와이어, 고양력 장치, 추력 편향 등의 기술 발전은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비행 특성을 가진 항공기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우주공학 - 처녀 비행
    처녀 비행은 항공기나 로켓의 최초 비행을 의미하며, 본 문서는 몽골피에 형제의 열기구부터 벌컨 센타우르 로켓까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항공기 및 로켓의 처녀 비행 목록과 기술적 의미를 다룬다.
  • 항공우주공학 - 풍동
    풍동은 제어된 공기 흐름으로 물체 주변의 공기역학적 현상을 연구하고 측정하는 장치이며, 항공기, 자동차, 건물 등의 공기 저항, 양력, 연비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비행성
비행 품질
정의항공기의 조종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
관련 분야항공 공학
비행 제어
인간 공학
평가 요소안정성
조종성
반응성
예측 가능성
제어 용이성
승객 편안함
관련 표준MIL-STD-1797
FAR Part 23
FAR Part 25
EASA CS-23
EASA CS-25
비행성
일본어 표기飛行性 (ひこうせい)
정의비행기 및 우주선의 조종 용이성
관련 요소안정성
조종성
조종사의 작업량
피로도
승객 편안함
연구 분야비행 시뮬레이터
인공 비행 테스트
비행성
한국어 표기비행성
정의항공기나 우주선의 조종 용이성을 나타내는 특성
평가 요소안정성
조종성
조종사의 작업량
피로도
승객 편안함
관련 표준MIL-STD-1797
FAR Part 23
FAR Part 25
EASA CS-23
EASA CS-25

2. 안정성과의 관계

비행성을 이해하려면 안정성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안정성은 항공기가 트림 상태, 즉 안정된 비행에서 벗어나게 하는 불균형한 힘이나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정의된다. 항공기가 안정성을 가지면 외부 교란이 발생하더라도 트림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인다. 항공기가 트림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으면 정적으로 안정하다고 한다. 오버슈트 없이 트림 상태에 접근하는 경우 해당 동작을 감쇠라고 한다. 움직임으로 인해 항공기가 트림된 상태를 초과하게 되면 앞뒤로 진동할 수 있다. 이 진동이 감쇠되면 감쇠 진동이라고 하며 항공기는 동적으로 안정하다고 한다. 반면에 움직임의 진폭이 증가하면 항공기는 동적으로 불안정하다고 한다.

항공기의 안정성 이론은 1904년 잉글랜드의 G. H. 브라이언이 정립했다. 이 이론은 오늘날 항공학도들이 배우는 이론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브라이언이 이 이론을 개발할 당시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소식을 듣지도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지적 성취였다. 이론이 복잡하고 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계산이 지루하여 비행기 설계자는 거의 적용하지 않았다. 조종사가 없는 비행기가 성공적으로 비행하려면 역학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했다. 라이트 형제가 조종한 비행기와 그 이후 비행한 대부분의 비행기는 안정적이지 않았지만, 시행착오를 거쳐 설계자들은 만족스러운 비행성을 갖춘 몇 대의 비행기를 개발했다. 그러나 다른 많은 비행기들은 비행성이 좋지 않아 때때로 충돌이 발생했다.

초기 일부 비행기 설계자들은 동적으로 안정적인 비행기를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안정성 요구 사항이 만족스러운 비행 특성 요구 사항과 상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역사적 발전

초기 일부 비행기 설계자들은 동적으로 안정적인 비행기를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안정성 요구 사항이 만족스러운 비행 특성 요구 사항과 상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계자에게 만족스러운 비행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특성을 통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없었다.

1930년대에는 비행기가 동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인식이 있었지만, 일부 항공 공학자들은 안정성 요구 사항과 비행 특성 요구 사항 간의 상충 문제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글러스 항공사의 대형 4발 엔진 수송기인 DC-4 설계에 대한 자문을 맡고 있던 에드워드 워너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만족스러운 비행 특성에 대한 요구 사항을 작성하려고 시도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CA)의 주요 위원회 위원이기도 한 워너 박사는 제안된 요구 사항에 따라 비행기의 비행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비행 연구를 요청했다. 이 연구는 랭글리의 하틀리 A. 술레에 의해 수행되었다. "비행기의 비행 특성에 대한 예비 조사"라는 제목의 술레의 보고서는 제안된 요구 사항을 수정해야 할 몇 가지 영역을 보여주었고 다른 유형의 비행기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6] 그 결과, 로버트 R. 길루스가 멜빈 N. 고프를 수석 시험 조종사로 하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4. 비행성 평가

로버트 R. 길루스(Robert R. Gilruth)는 비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어 위치 및 힘, 항공기 각속도, 선형 가속도, 속도, 고도와 같은 관련 수치를 기록하는 장비를 설치했다. 그런 다음 숙련된 시험 조종사가 지정된 비행 조건 및 기동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했다. 비행 후에는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조종사의 의견과 비교, 연관시켰다.[8]

선회 또는 상승 기동에서 비행 특성 측정에 중요한 수치는 g 단위로 표현된 비행 방향에 수직인 가속도 값에 따른 조종간 또는 조종 핸들의 조종력 변화인데, 이를 일반적으로 g당 힘(force per g)이라고 불렀다.[9]

이러한 길루스의 접근 방식은 오늘날에도 일상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NASA 랭글리 연구소(Langley)의 비행 기록 계기와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항공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 기여했다.[8]

5. 비행성 기준

미국에서는 MIL-F-8785C (미국 해군) 및 MIL-STD-1797A (미국 공군)와 같은 비행성 기준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1] 이 기준들은 주어진 항공기 유형 및 비행 작업에 대해 우수한 조종성을 제공하는 역학 및 제어 설계 공간의 하위 집합을 정의한다.

일본에서는 공식적으로 정의된 "비행성"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비슷한 것으로는 항공법이나 내공성 심사 요령 등에서 정한 "내공성"이라는 개념이 있지만, 의미가 상당히 다르다. 따라서 기준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6. 비행 포락선 (Flight Envelope)

비행 포락선(Flight envelope)은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속도, 중량, 고도의 범위를 말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안정적인 비행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체 파손이나 공중 분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ly-by-wire) 항공기에서는 비행 범위 보호 장치(영문)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허용치 내에서 기동이 제한되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된다.[8]

7. 현대적 발전

최근에는 플라이 바이 와이어와 각종 고양력 장치 및 추력 편향의 도입으로,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비행 특성을 가진 항공기도 개발되고 있다. NASA이 우주왕복선을 대체하고 우주비행사를 달로 다시 보내기 위해 개발 중인 차세대 우주선은 여러 임무 수행에 대한 수동 제어 기능을 갖추게 될 것이며, 조종사가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 용이성과 정밀성은 성능, 임무 위험 및 훈련 비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현재 조종 우주선의 비행 특성에 대한 참조 표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In-Flight Simulators and Fly-by-Wire/Light Demonstrators: A Historical Account of International Aeronautical Research https://www.springer[...] Springer
[2] 논문 The Use of Pilot Rating in the Evaluation of Aircraft Handling Qualities NASA 1969-04-00
[3] 논문 Requirements for Satisfactory Flying Qualities of Airplanes NACA 1943-00-00
[4] 간행물 Military Standard, Flying Qualities of Piloted Airplanes 1987-03-00
[5] 간행물 Aeronautical Design Standard, Performance Specification: Handling Qualities Requirements for Military Rotorcraft 1996-05-00
[6] 서적 Airplane stability and control: a history of the technologies that made aviation possib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In-Flight Simulators and Fly-by-Wire/Light Demonstrators: A Historical Account of International Aeronautical Research https://www.springer[...] Springer
[8] 논문 The Use of Pilot Rating in the Evaluation of Aircraft Handling Qualities NASA 1969-04-00
[9] 논문 Requirements for Satisfactory Flying Qualities of Airplanes NACA 1943-00-00
[10] 간행물 Military Standard, Flying Qualities of Piloted Airplanes 1987-03-00
[11] 간행물 Aeronautical Design Standard, Performance Specification: Handling Qualities Requirements for Military Rotorcraft 1996-05-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