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지하철은 1840년대부터 계획되어,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U1, U2, U3, U4, U6의 5개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19세기부터 다양한 계획이 시도되었으며, 1970년대부터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다. 2017년 U1 노선 연장을 통해 총 83.1km의 노선과 109개 역을 갖추었으며, 2020년대에는 U5 노선 신설 및 U2 노선 연장 계획이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U1, U2, U3, U4 노선은 U형, V형 열차를, U6 노선은 T형 및 T1형 열차를 사용하며, 향후 X형 열차가 도입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의 교통 - 빈 국제공항
빈 국제공항은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동남쪽으로 18km 떨어진 슈베하트에 위치한 오스트리아 최대 규모의 국제공항이자 오스트리아 항공의 허브 공항으로, 동유럽의 관문 역할을 하며 연간 3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한다. - 빈의 교통 - 카를스플라츠역
카를스플라츠역은 켄 럼의 "파이", 페터 코글러의 "공간 설치", 에른스트 프리드리히와 엘레오노르 프리드리히의 "프리즈 '색상의 조화'" 등 다양한 미술 작품이 전시된 공간이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빈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고유 명칭 | U-Bahn Wien |
종류 | 지하철 |
관할 구역 | 빈, 오스트리아 |
운영 기관 | Wiener Linien |
노선 수 | 6개 (U1, U2, U3, U4, U5(미래), U6) |
역 수 | 98개 |
연간 수송량 | 4억 5980만 명 (2019년) |
웹사이트 | Wiener Linien |
운행 | |
개통 | 1976년 5월 8일 (시험 운행) 1978년 2월 25일 (공식 개통) |
운영자 | Wiener Linien |
차량 수 | 778량 |
배차 간격 | 2–15분 |
시스템 길이 | 83.3 km |
전철화 | (U1–U4) 가공선 (U6) |
평균 속도 | 32.5 km/h |
최고 속도 | 85 km/h |
일일 이용객 | 130만 명 (2009년 평균) |
노선도 | |
![]() | |
추가 정보 | |
![]() |
2. 역사
빈 지하철의 역사는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계획과 변화를 거쳐왔다.
1840년대부터 지하철 건설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으나,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 19세기 말에는 증기 기관차를 이용한 슈타트반이 건설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과 대공황 등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978년 첫 번째 노선인 U1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확장과 노선 신설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초기에는 오토 바그너가 설계한 유겐트 양식 역사가 슈타트반의 일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U4 노선과 U6 노선의 일부로 남아있다.
날짜 | 노선 | 개통 구간 | 폐쇄 구간 |
---|---|---|---|
1976-05-08 | U4 | Heiligenstadt – Friedensbrücke | |
1978-02-25 | U1 | Reumannplatz – Karlsplatz | |
1978-04-03 | U4 | Friedensbrücke – Schottenring | |
1978-08-15 | U4 | Schottenring – Karlsplatz | |
1978-11-18 | U1 | Karlsplatz – Stephansplatz | |
1979-11-24 | U1 | Stephansplatz – Nestroyplatz | |
1980-08-30 | U2 | Karlsplatz – Schottenring | |
1980-10-26 | U4 | Karlsplatz – Meidling | |
1981-02-28 | U1 | Nestroyplatz – Praterstern | |
1981-08-31 | U4 | Meidling Hauptstraße – Hietzing | |
1981-12-20 | U4 | Hietzing – Hütteldorf | |
1982-09-03 | U1 | Praterstern – Kagran | |
1989-10-07 | U6 | Philadelphiabrücke –Heiligenstadt/Friedensbrücke | |
1991-03-04 | U6 | Nußdorfer Straße – Friedensbrücke | |
1991-04-06 | U3 | Erdberg – Volkstheater | |
1993-09-04 | U3 | Volkstheater – Westbahnhof | |
1994-09-03 | U3 | Westbahnhof – Johnstraße | |
1995-04-15 | U6 | Philadelphiabrücke – Siebenhirten | |
1996-05-04 | U6 | Nußdorfer Straße – Floridsdorf | Nußdorfer Straße – Heiligenstadt |
1998-12-05 | U3 | Johnstraße – Ottakring | |
2000-12-02 | U3 | Erdberg – Simmering | |
2006-09-02 | U1 | Kagran – Leopoldau | |
2008-05-10 | U2 | Schottenring – Stadion | |
2010-10-02 | U2 | Stadion – Aspernstraße | |
2013-10-05 | U2 | Aspernstraße – Seestadt | |
2017-09-02 | U1 | Reumannplatz – Oberlaa |
2. 1. 초기 도시 철도 계획 (19세기)
빈 지하철에 대한 계획은 1840년대부터 논의되었다. 이후 수많은 계획과 허가가 이루어져, 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지하철 계획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1]1844년, 엔지니어 하인리히 시치로프스키는 메드허스트와 클레그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압식 철도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이 노선은 로브코비츠플라츠에서 비엔나 글레이스를 지나 빈 강을 따라 퓌텔도르프까지 이어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런던과 파리에서 유사한 열차가 건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빈에서는 투자자를 찾지 못해 이 아이디어는 무산되었다.[1] 1849년 율리우스 폴락의 연결 철도 프로젝트 역시 대기압 시스템으로 구상되었다.[1] 시치로프스키의 요청은 주로 승인되지 않고 구현될 수 없었던 일련의 계획의 시작점이었다.[1]
1858년, 도시 계획가 루드비히 제틀은 이전 해자를 덮고, 이 밀폐된 도랑에 철도 트램을 설치하여 도시를 우회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는 중앙역과 시장 홀 사이의 연결을 만들고, 가스등 터널은 식료품 창고 역할을 할 수 있었다.[1] 1873년까지 최소 25개의 시립 철도 시스템 계획이 나왔으며, 1858년 빈 도시 확장을 위한 프로젝트에서 칼 리터 폰 게가의 훨씬 더 큰 전체 계획에 이미 나타난 Verbindungsbahn만이 나중에 간선 철도 노선의 일부로 구현되었다.[1] 게가는 이미 1845년에 노선 벽을 따라 벨트 철도 프로젝트를 연구했다.[1] 1873년 에밀 빈클러의 깊은 터널 지하철에 대한 첫 번째 계획은 빈에서 최초의 체계적인 교통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하였다.[1]
빈 링 로드 완공 무렵, 또 다른 대중 교통 프로젝트 물결이 나타났다. 1881년에 승인된 계획에는 터널, 개방형 절개지 및 고가 선로에서 운행되는 열차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국의 엔지니어 제임스 번튼과 조셉 포거티의 구상이 채택되었다.[1]
1883년, 지멘스 & 할스케 회사의 "전기 보조 철도" 프로젝트는 세 개의 노선이 있는 소형 프로파일 철도 시스템을 계획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도시 중심부의 비즈니스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의회의 우려 때문에 무산되었다.[1]
가장 먼저 건설된 시스템은 증기 열차를 사용하는 4개 노선 슈타트반 철도 네트워크였다(세 개의 주요 노선과 세 개의 지역 노선을 갖도록 계획됨).[1] 1892년에 착공되었고, 1898년 5월 11일부터 1901년 8월 6일까지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다.[1] 퓌텔도르프에서 슈타트반은 서쪽으로, 빈 하일리겐슈타트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북서쪽으로 에거까지 운행했던 프란츠 요제프 노선의 철도 서비스와 연결되었다.[1] 오토 바그너가 디자인한 이 시스템의 일부 유겐트 양식 역은 아직 사용되고 있다.[1] 그러나 슈타트반은 대중 교통에 부적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트램보다 덜 성공적이었다.[1]
2. 2. 슈타트반 건설과 전철화 (19세기 말 ~ 20세기 초)
빈 지하철에 대한 계획은 184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수많은 계획과 허가가 있었고, 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지하철 계획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가장 먼저 건설된 시스템은 증기 열차를 사용하는 4개 노선 슈타트반 철도 네트워크였다(세 개의 주요 노선과 세 개의 지역 노선을 갖도록 계획됨). 1892년에 착공되었고, 1898년 5월 11일부터 1901년 8월 6일까지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다. 퓌텔도르프에서 슈타트반은 서쪽으로 철도 서비스와 연결되었고, 빈 하일리겐슈타트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북서쪽으로 에거까지 운행했던 프란츠 요제프 노선의 철도 서비스와 연결되었다. 오토 바그너가 디자인한 이 시스템의 일부 유겐트 양식 역은 아직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슈타트반은 대중 교통에 부적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트램보다 덜 성공적이었다. 1910년부터 지하 시스템에 대한 계획이 고려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고, 이는 또한 슈타트반을 민간인의 사용을 위해 폐쇄해야 했다. 전쟁 후, 더 작고 가난한 국가의 경제 상황은 계획을 계속하는 것을 배제했다. 그러나 1924년 5월 26일부터 슈타트반은 전철화되었는데, 이는 많은 사람들이 전쟁 전에 요구했던 것이었고, 1925년 가을부터는 철도보다는 트램과 통합되었다. 열차 운행 빈도가 세 배로 늘었다.
2. 3. 지하철 건설 계획과 좌절 (20세기 초 ~ 중반)
빈 지하철에 대한 계획은 184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수많은 계획과 허가가 있었고, 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지하철 계획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1]엔지니어 하인리히 시치로프스키는 1844년에 메드허스트와 클레그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압식 철도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이 노선은 로브코비츠플라츠에서 빈 강을 따라 퓌텔도르프까지 이어질 예정이었으나, 투자자를 찾지 못해 무산되었다. 1849년 율리우스 폴락의 연결 철도 프로젝트 역시 대기압 시스템으로 구상되었다.[1] 시치로프스키의 요청은 주로 승인되지 않고 구현될 수 없었던 일련의 계획의 시작점이었다. 1858년 도시 계획가 루드비히 제틀은 이전 해자를 덮고 철도 트램을 설치하여 도시를 우회하는 것을 제안했다. 1873년까지 최소 25개의 시립 철도 시스템 계획이 나왔으며, 칼 리터 폰 게가는 1845년에 이미 노선 벽을 따라 벨트 철도 프로젝트를 연구했다. 에밀 빈클러의 깊은 터널 지하철에 대한 첫 번째 계획은 1873년에 나왔다.[1]
빈 링 로드 완공 무렵, 또 다른 대중 교통 프로젝트 물결이 개발되었다. 1881년에 승인된 계획에는 터널, 개방형 절개지 및 고가 선로에서 운행되는 열차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영국의 엔지니어 제임스 번튼과 조셉 포거티의 구상이었다.[1]
1883년, 지멘스 & 할스케 회사는 세 개의 노선이 있는 소형 프로파일 철도 시스템을 계획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도시 중심부의 비즈니스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의회의 우려 때문에 실패했다.[1]
가장 먼저 건설된 시스템은 증기 열차를 사용하는 4개 노선 슈타트반 철도 네트워크였다. 1892년에 착공되어 1898년 5월 11일부터 1901년 8월 6일까지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다. 오토 바그너가 디자인한 이 시스템의 일부 유겐트 양식 역은 아직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슈타트반은 대중 교통에 부적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트램보다 덜 성공적이었다. 1910년부터 지하 시스템에 대한 계획이 고려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고, 이는 또한 슈타트반을 민간인의 사용을 위해 폐쇄해야 했다. 전쟁 후, 더 작고 가난한 국가의 경제 상황은 계획을 계속하는 것을 배제했다. 그러나 1924년 5월 26일부터 슈타트반은 전철화되었고, 1925년 가을부터는 철도보다는 트램과 통합되었다. 열차 운행 빈도가 세 배로 늘었다. 1912-14년에 계획된 U-Bahn 계획이 부활했고 1929년에 논의가 있었지만, 대공황으로 인해 다시 계획을 포기해야 했다.[1]
1937년과 빈이 나치 독일에 합병(''안슐루스'')되어 표면적으로 가장 큰 도시가 되었을 때, U-Bahn과 새로운 중앙역에 대한 야심찬 계획이 논의되었다. 시험 터널링이 진행되었지만, 이 계획 역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보류될 수밖에 없었다.[1]
심각한 전쟁 피해로 인해 슈타트반 시스템은 일부 지역에서 1945년 5월 27일까지 중단되었다. 역의 재개발은 1950년대까지 이어졌다. 한편, 빈은 1955년까지 4개의 연합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6년에는 전쟁 전 확장된 대빈의 3/4을 니더외스터라이히주로 반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Bahn 시스템에 대한 두 가지 제안이 1953년과 1954년에 제시되었다. 자동차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S-Bahn 네트워크가 축소되었고, 이는 부분적으로 버스로 보충되었다. U-Bahn 문제도 정치화되었다. 1954년과 1959년 시의회 선거에서 보수적인 오스트리아 국민당은 U-Bahn 건설을 옹호했지만, 더 강력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은 주택을 우선시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시의회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U-Bahn 아이디어를 반복적으로 거부했다.[1]
슈타트반 시스템의 확장은 항상 새로운 U-Bahn을 건설하는 대안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 슈타트반과 슐넬반이 증가하는 대중 교통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없게 되면서 새로운 네트워크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1968년 1월 26일, 시의회는 30km 기본 네트워크(Grundnetz)의 건설을 시작하기로 투표했다. 1969년 11월 3일, 기본 네트워크의 세 노선이 만나는 카를스플라츠와 U-Bahn의 중앙 제어소가 있는 곳에서 건설이 시작되었다. 1976년 5월 8일 U4 노선에서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고, 1978년 2월 25일에는 첫 번째 신설 (지하) U1 노선 구간(로이만플라츠와 카를스플라츠 사이의 U1 5개 역)이 개통되었다.[1]
2. 4.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 (1960년대 ~ 현재)
1960년대 후반, 슈타트반과 슐넬반이 증가하는 대중교통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새로운 지하철 건설이 결정되었다. 1968년 1월 26일, 빈 시의회는 30km 기본 네트워크(Grundnetz) 건설을 시작하기로 의결했다.[4] 1969년 11월 3일, 카를스플라츠에서 U-Bahn 건설이 시작되었다.1976년 5월 8일, U4 노선에서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고,[4] 1978년 2월 25일에는 첫 번째 신설 (지하) 구간인 U1 노선의 로이만플라츠-카를스플라츠 구간 5개 역이 개통되었다.
1898년에 개통한 슈타트반은 유서 깊은 도시 철도로, 카를스플라츠역을 비롯한 U4 노선과 U6 노선의 역사는 오토 바그너의 건축물이다.
1982년 9월 3일, 12번의 부분 개통을 거쳐 빈 U-Bahn 기본 노선이 완료되었다.[4]

현재 빈 U-Bahn은 5개의 노선(U1, U2, U3, U4, U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83.1km의 노선에 109개 역을 운행하고 있다.[5][3] 2017년 9월에는 U1 노선의 로이만플라츠-오버라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9]
2020년대에는 U5 노선 신설과 U2 노선 연장이 완료될 예정이며, 완료 후에는 총 90km 길이의 116개 역을 갖춘 네트워크가 구축될 것이다.[4] U2/U5 프로젝트가 완료되는 2027년 이후의 시스템에 대한 몇 가지 계획이 제안되었지만, 현재 자금은 확보되지 않았다.

빈 U-Bahn은 오전 5시부터 약 01시까지 운행되며, 낮에는 2~5분 간격, 20시 이후에는 최대 8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2010년 9월 4일부터는 금요일과 토요일 저녁, 그리고 공휴일 전날 저녁에 15분 간격으로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4시간 U-Bahn은 빈 나이트라인 버스 서비스로 보완된다.
노선 | 색상 | 경로 | 길이 | 역 |
---|---|---|---|---|
U1 | 빨간색 | 오버라 – 레오폴다우 | 19.2km | 24 |
U2 | 보라색 | 쇼텐토어 – 제슈타트 | 16.7km | 20 |
U3 | 주황색 | 오타크링 – 지머링 | 13.5km | 21 |
U4 | 녹색 | 휘텔도르프 – 하일리겐슈타트 | 16.5km | 20 |
U6 | 갈색 | 지벤히르텐 – 플로리츠도르프 | 17.4km | 24 |
날짜 | 노선 | 개통 구간 | 폐쇄 구간 |
---|---|---|---|
1976-05-08 | U4 | Heiligenstadt – Friedensbrücke | |
1978-02-25 | U1 | Reumannplatz – Karlsplatz | |
1978-04-03 | U4 | Friedensbrücke – Schottenring | |
1978-08-15 | U4 | Schottenring – Karlsplatz | |
1978-11-18 | U1 | Karlsplatz – Stephansplatz | |
1979-11-24 | U1 | Stephansplatz – Nestroyplatz | |
1980-08-30 | U2 | Karlsplatz – Schottenring | |
1980-10-26 | U4 | Karlsplatz – Meidling | |
1981-02-28 | U1 | Nestroyplatz – Praterstern | |
1981-08-31 | U4 | Meidling Hauptstraße – Hietzing | |
1981-12-20 | U4 | Hietzing – Hütteldorf | |
1982-09-03 | U1 | Praterstern – Kagran | |
1989-10-07 | U6 | Philadelphiabrücke –Heiligenstadt/Friedensbrücke | |
1991-03-04 | U6 | Nußdorfer Straße – Friedensbrücke | |
1991-04-06 | U3 | Erdberg – Volkstheater | |
1993-09-04 | U3 | Volkstheater – Westbahnhof | |
1994-09-03 | U3 | Westbahnhof – Johnstraße | |
1995-04-15 | U6 | Philadelphiabrücke – Siebenhirten | |
1996-05-04 | U6 | Nußdorfer Straße – Floridsdorf | Nußdorfer Straße – Heiligenstadt |
1998-12-05 | U3 | Johnstraße – Ottakring | |
2000-12-02 | U3 | Erdberg – Simmering | |
2006-09-02 | U1 | Kagran – Leopoldau | |
2008-05-10 | U2 | Schottenring – Stadion | |
2010-10-02 | U2 | Stadion – Aspernstraße | |
2013-10-05 | U2 | Aspernstraße – Seestadt | |
2017-09-02 | U1 | Reumannplatz – Oberlaa |
빈 지하철의 궤간은 모두 1435mm이지만, U1~U4 노선은 제3궤조 집전 방식으로 대형 차량을 사용하는 반면, U6 노선은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으로 노면 전차와 같은 크기의 차량을 사용하며 9량 정도의 편성을 이루고 있다.
2. 5. U5 노선 신설 및 추가 확장 계획
2017년 9월 U1 노선의 4.6km 연장 개통[9]으로 빈 U-Bahn 네트워크는 총 83.1km의 노선에 109개 역을 운행하고 있다.[5][3] 2020년대에는 U5 노선 신설과 U2 노선 연장 공사가 완료될 예정이다.[10] U5와 U2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총 90km 길이의 116개 역을 갖춘 네트워크가 구축될 것이다.[4]2014년 3월, U5 노선은 U2/U5 노선 교차의 일환으로 여러 단계의 개발을 거쳐 건설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카를스플라츠에서 시작하여 새로운 노선은 기존의 U2 구간을 사용하며, 라트하우스역에서 북쪽으로 새로운 구간이 건설될 예정이다. 첫 번째 확장 단계에서는 2023년까지 구 AKH 지역의 프랑크플라츠에 있는 한 정거장까지만 노선이 운행될 것이다. 17구역에서의 추가 건설이 계획되어 있지만, 건설 비용은 먼저 연방 정부와 협상해야 한다.
현재의 U2 노선은 라트하우스에서 노이바우가세에서 U3와 연결되고, 필그람가세에서 U4와 연결되어 더 남쪽으로 운행하며, S-반 네트워크의 마츨라인스도르퍼 플라츠에서 연결될 예정이다. 건설에 필요한 재원은 이전에 계획되었지만 폐기된 U2의 구드룬슈트라세 방향 남부 연장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U2의 원래 계획되었던 구드룬슈트라세(Gudrunstraße)로의 남쪽 연장은 재정적인 이유로 무기한 연기되었으며, 더 이상 필요성이 제기되지 않았다.[16] 예산된 자금으로 U2/U5 노선 교차 지점이 대신 건설될 예정이다. 제에슈타트(Seestadt)와 쇼텐토어(Schottentor)에서 오는 U2 노선은 S반 역인 마츨라인스도르퍼 플라츠(Matzleinsdorfer Platz)로 연결되는 새로운 남쪽 지선을 받게 된다. 칼스플라츠(Karlsplatz)와 유니베르시테츠슈트라세(Universitätsstraße) 사이의 U2 노선의 나머지 구간은 새로 건설될 U5 노선이 이어받을 예정이며, 당분간 프랑크플라츠(Frankhplatz) (알테스 AKH) 역이 추가될 것이다.[19] U5 노선은 뉘른베르크 U-Bahn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완전 자동 운행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빈 최초의 무인 지하철 노선이 될 것이다.[17][18]

U2 노선을 마츨라인스도르퍼 플라츠에서 비너베르크까지, U5 노선을 프랑크플라츠에서 헤르날스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또 다른 가능성은 U1의 두 번째 남부 지선을 건설하여 로트노이질에서 종착하는 것이다.[19]

다른 확장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 U5를 헤르날스(Hernals) 너머 도른바흐(Dornbach)까지 연장
- U5를 4단계 확장 계획에 따라 U2의 카를스플라츠(Karlsplatz) 너머로 연장
3. 노선
빈 지하철은 5개의 노선(U1, U2, U3, U4, U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83.1km에 달하고 109개의 역을 운영하고 있다.[5][3] 2017년 9월 U1 노선이 연장 개통되면서 현재의 노선망을 갖추게 되었다.[9] U5 노선 신설과 U2 노선 연장 공사가 완료되면 총 90km 길이의 116개 역을 갖춘 네트워크가 구축될 예정이다.[4]
U-Bahn 서비스는 오전 5시부터 약 새벽 1시까지 운행되며, 낮에는 2~5분 간격, 20시 이후에는 최대 8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2010년 9월 4일부터는 금요일과 토요일 저녁, 그리고 공휴일 전날 저녁에 15분 간격으로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빈 나이트라인 버스 서비스로 보완된다.
노선 | 색상 | 경로 | 길이 | 역 수 |
---|---|---|---|---|
U1 | 빨간색 | 오버라 – 레오폴다우 | 19.2km | 24 |
U2 | 보라색 | 쇼텐토어 – 제슈타트 | 16.7km | 20 |
U3 | 주황색 | 오타크링 – 짐메링 | 13.5km | 21 |
U4 | 녹색 | 휘텔도르프 – 하일리겐슈타트 | 16.5km | 20 |
U6 | 갈색 | 지벤히르텐 – 플로리츠도르프 | 17.4km | 24 |
1978년에 U1호선이 처음 개통되었고, 1976년에는 슈타트반의 일부를 개조한 U4호선이 개통되었다. 카를스플라츠역 등 U4호선과 U6호선의 역사는 오토 바그너가 설계한 유서 깊은 건축물이다.
U6호선은 슈타트반을 지하철로 변경한 것으로, 대부분 고가 구간이다. U2호선은 노면 전차의 지하선을 일부 활용하여 개통되었다. U1~U4호선은 제3궤조 집전 방식의 대형 차량을 사용하는 반면, U6호선은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의 노면 전차 크기 차량을 사용한다.
날짜 | 노선 | 개통 구간 | 폐쇄 구간 |
---|---|---|---|
1976-05-08 | U4 | 하일리겐슈타트 – 프리덴스브뤼케 | |
1978-02-25 | U1 | 로이만플라츠 – 카를스플라츠 | |
1978-04-03 | U4 | 프리덴스브뤼케 – 쇼텐링 | |
1978-08-15 | U4 | 쇼텐링 – 카를스플라츠 | |
1978-11-18 | U1 | 카를스플라츠 – 슈테판플라츠 | |
1979-11-24 | U1 | 슈테판플라츠 – 네스트로이플라츠 | |
1980-08-30 | U2 | 카를스플라츠 – 쇼텐링 | |
1980-10-26 | U4 | 카를스플라츠 – 마이들링 | |
1981-02-28 | U1 | 네스트로이플라츠 – 프라터슈테른 | |
1981-08-31 | U4 | 마이들링 – 히칭 | |
1981-12-20 | U4 | 히칭 – 휘텔도르프 | |
1982-09-03 | U1 | 프라터슈테른 – 카그란 | |
1989-10-07 | U6 | 필라델피아브뤼케 –하일리겐슈타트/프리덴스브뤼케 | |
1991-03-04 | U6 | 누스도르퍼 슈트라세 – 프리덴스브뤼케 | |
1991-04-06 | U3 | 에르트베르크 – 폴크스테아터 | |
1993-09-04 | U3 | 폴크스테아터 – 베스트반호프 | |
1994-09-03 | U3 | 베스트반호프 – 존슈트라세 | |
1995-04-15 | U6 | 필라델피아브뤼케 – 지벤히르텐 | |
1996-05-04 | U6 | 누스도르퍼 슈트라세 – 플로리츠도르프 | 누스도르퍼 슈트라세 – 하일리겐슈타트 |
1998-12-05 | U3 | 존슈트라세 – 오타크링 | |
2000-12-02 | U3 | 에르트베르크 – 짐메링 | |
2006-09-02 | U1 | 카그란 – 레오폴다우 | |
2008-05-10 | U2 | 쇼텐링 – 슈타디온 | |
2010-10-02 | U2 | 슈타디온 – 아스페른슈트라세 | |
2013-10-05 | U2 | 아스페른슈트라세 – 제슈타트 | |
2017-09-02 | U1 | 로이만플라츠 – 오버라 |
3. 1. U1 노선
U-Bahn-Linie 1|우반 리니에 아인스de (U1) 노선은 오버라에서 레오폴다우까지 운행되며, 2017년 9월에 4.6km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총 19.2km, 24개 역을 갖추게 되었다.[9]2001년 10월 19일, 20년 동안 두 지역이 기다려온 U1 연장 공사의 기공식이 열렸다.[4] 5년간의 건설 끝에, 4.6km 길이의 U1 연장선이 2006년 9월 2일에 개통되었다.
2012년 3월, U1 노선의 남쪽 지선은 원래 계획되었던 로트노이시들 대신 오버라까지 연장될 것이 공식 발표되었다. 이는 기존의 67번 트램 노선을 확장하여 이루어졌다. 원래 계획의 변경은 비용 문제 또는 로트노이시들 주변 지역의 미비한 개발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다. 이 연장은 결국 2017년 9월 2일에 일반에 공개되었다.[15] 알라우다게세역 구역에서는 향후 로트노이시들의 추가 개발이 지선의 필요성을 뒷받침할 경우를 대비하여 노선 분기 준비가 이루어졌다.
3. 2. U2 노선
1980년부터 2013년까지 U2 노선은 제슈타트에서 카를스플라츠 구간을 운행했다. U2 노선의 총 길이는 16.8km이며, 20개의 역이 있다.[13][14]2008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를 위해 비너 리니엔은 경기장까지 U2 노선을 연장 개통하였다. 2010년 10월 2일에는 U2 노선이 도나우 강을 건너 도나우슈타트교를 통해 도나우슈타트의 아스퍼른슈트라세까지 연장되었다.[12] 2013년 10월 5일에는 제슈타트까지의 4.2km 연장 구간(3개 역)이 개통되었다.[13][14]
원래 계획되었던 U2 노선의 구드룬슈트라세(Gudrunstraße)로의 남쪽 연장은 재정적인 이유로 무기한 연기되었다.[16] 대신 예산된 자금으로 U2/U5 노선 교차 지점이 건설될 예정이다. 제슈타트(Seestadt)와 쇼텐토어(Schottentor)에서 오는 U2 노선은 S반 역인 마츨라인스도르퍼 플라츠(Matzleinsdorfer Platz)로 연결되는 새로운 남쪽 지선을 받게 된다. 칼스플라츠와 유니베르시테츠슈트라세(Universitätsstraße) 사이의 U2 노선의 나머지 구간은 새로 건설될 U5 노선이 이어받을 예정이며, 당분간 프랑크플라츠(Frankhplatz) (알테스 AKH) 역이 추가될 것이다.[19]
3. 3. U3 노선
U3de 노선(주황색)은 오타크링에서 짐메링까지 운행하며, 총 길이는 13.5km이다. 21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5][3]
3. 4. U4 노선
1898년에 개통한 유서 깊은 도시 철도(슈타트반)의 일부를 지하철로 개조한 노선이다.[9] 카를스플라츠역을 비롯한 U4호선의 역사는 오토 바그너의 건축물이다.노선 | 색상 | 경로 | 길이 | 역 |
---|---|---|---|---|
U4 | 녹색 | 휘텔도르프 - 하일리겐슈타트 | 16.5km | 20 |
3. 5. U6 노선
U6 노선은 원래 U4 노선과 같이 도시 철도 전환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빈 슈타트반(Vienna Stadtbahn)의 역사적인 역과 구조물의 보존, 건설 비용 및 기존 서비스 중단 등의 문제로 U6 노선은 원래 운영 방식을 대부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오늘날 U6 노선은 가선, 저상 경전철 및 시각 신호(LZB 없음)를 사용하는 다른 U-Bahn 노선과 비교하여 독특하다.[19]U6호선은 슈타트반을 지하철로 변경한 것으로, 노선의 대부분이 고가이다. 또한 U6 노선은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으로 노면 전차와 같은 크기의 차량을 사용하며 9량 정도의 편성을 이루고 있다.
4. 운영
2단계는 U3 및 U6 노선의 확장(약 61km)을 포함했다. 기본 네트워크가 완성된 후, 1989년에 비엔나 지하철 시스템은 U6 노선으로 확장되었다. 벨트 라인의 경우, 마지막으로 남은 경전철 노선이 현대화되어 법적 교통 수단으로 전환되었다. 귀중한 건물 구조를 보존하기 위해 노선은 다른 노선의 지하철 차량으로 운행하기 위해 재건되지 않았으며, 가공 전선을 갖춘 트램 또는 지하철과 같은 열차가 사용되었다. 북부 노선 종점은 이제 헬리겐슈타트뿐이었고, 마지막 경전철 노선의 대체 북부 종점인 프리덴스브뤼케(U4)는 접근하지 않았다. 이전 경전철의 두 개의 남은 버려진 연결부는 U6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자전거 도로로 부분적으로 사용된다.[1]
4. 1. 운행 시간 및 간격
1983년 9월 7일 필라델피아 다리의 포텐스도르퍼 거리에서 U3 및 U6 노선 확장(약 61km) 기공식이 열렸다. 6년 후 U6의 필라델피아 다리와 헬리겐슈타트/프리덴스브뤼케 사이의 중앙 구간이 운영에 들어갔다.[1]1989년에 비엔나 지하철 시스템은 헬리겐슈타트-필라델피아브뤼케(10.6km) 노선으로 U6 노선이 확장되었다. 1995년에는 필라델피아브뤼케(현재 메이들링역)에서 지벤히르텐까지 5.2km 길이로 U6 노선의 남쪽으로 첫 번째 연장이 이어졌다. 1996년에는 U6이 북쪽으로 플로리드스도르프까지 연장되었다.[1]
1991년에는 에르드베르크와 폴크스테아터 사이의 완전히 새로 건설된 U3 노선이 개통되었다. 1998년에 서부 종점 오타크링에 도달했으며, 2000년부터 U3의 남동쪽 끝은 심머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 두 번째 단계의 건설로 네트워크의 총 길이는 61km로 증가했다.[1]
5. 차량
빈 빈 지하철은 세 종류의 철도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궤도 설비를 갖추고 있다. U1, U2, U3, U4 노선은 1972년에 도입된 구형 U/U1/U2형과 2002년에 도입된 신형 V형 두 종류의 철도차량을 사용한다. U6 노선은 T/T1형(1993년 도입) 한 종류의 열차를 사용하며, 구형 E6/C6형은 2008년에 퇴역하여 현재 대부분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와 폴란드의 크라쿠프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한 편성만이 빈의 트램 박물관("Remise")에 보존되어 있다.[22]
노선의 총 연장은 74.2km이다. 궤간은 모두 1435mm이지만, U1~U4호선은 제3궤조 집전 방식으로 대형 차량을 사용하는 반면, U6호선은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으로 노면 전차와 같은 크기의 차량을 사용하며 9량 정도의 편성을 이루고 있다.
5. 1. U1, U2, U3, U4 노선
U1, U2, U3, U4 노선은 1972년에 도입된 구형 U/U1/U2형과 2002년에 도입된 신형 V형의 두 종류 철도차량을 사용한다.[22]짐머링-그라츠-파우커(SGP)가 개발한 U형의 첫 번째 차량은 1972년에 인도되었다. 가장 작은 유닛은 길이 36.8m, 너비 2.8m의 2축 전동차로, 영구적으로 연결된 쌍동차이다. 열차는 3량의 이중 객차로 구성된다. 기술적으로 이 차량들은 뮌헨 지하철과 뉘른베르크 지하철 열차와 매우 유사하지만, 차량 디자인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1982년까지 총 135대의 U형 이중 객차가 인도되었지만, 현재는 퇴역했다.[22]
1987년부터 SGP는 외관상 이전 모델과 유사한 2세대 U1형(이후 U11로 지칭)을 공급했다. 기술 장비가 더욱 발전되었으며, 수냉식 3상 모터, 에너지 회생 제동 장치, 현대화된 비상 제동 및 안전 장비가 포함된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U형의 후기 모델 열차는 개조되어 새로운 3상 모터를 장착하여 수명을 20년 더 연장했다. 개조된 열차는 U2형이라고 불린다. 이 차량들은 U2 및 U3 노선에서 운행된다.[22]
차량의 내부는 중간 부분에 8쌍의 마주 보는 좌석, 운전실이 없는 쪽에 9개의 좌석, 차량 반대편 끝에 서로 마주 보는 2쌍의 좌석으로 구성된다. 2006년, U1과 U2형은 원래의 입출구 조명 표시 장치를 LED 디스플레이로 교체했다. 또한, 열차는 플라스틱 좌석, 비디오 감시, 문 닫힘 작동을 알리는 경고등으로 점차적으로 개조될 예정이다. 각 객차는 49개의 좌석과 91개의 입석 공간을 갖추고 있다. 3량의 이중 객차로 구성된 열차에는 294개의 좌석과 546개의 입석 공간이 있다. 최고 속도는 80km/h이다. "실버 애로우" 트림 디자인은 철도 디자이너 요한 벤다의 작품이다.[22]
1990년대 후반, 지멘스(Siemens), ELIN, 아드트란츠(Adtranz) 사의 컨소시엄은 Type V 또는 "V-Car"라고 불리는 새로운 열차를 개발했다. 이 열차는 비동력 제어차 2량과 동력 중간차 4량으로 구성된 영구 연결된 6량 1편성 열차이다. 이는 Ux형 차량 3대의 길이와 같다. 2000년 12월부터 U3 노선에서 시제품이 주로 사용된 후, 2002년 6월에 25편성이 구매되었고, 2007년 12월에 다시 15편성이 구매되었다. 2009년 9월 말에는 20량의 차량이 추가로 주문되었다.[22]
시제품과 달리, 양산차의 내부는 새로운 표준에 맞춰져 흰색 대신 회색 측벽과 원래 설치된 직물 시트 대신 빨간색 플라스틱 시트가 적용되었다. 새로운 Type V 열차는 또한 회색-빨간색 대신 노란색 손잡이, 개선된 내부 디스플레이 및 문 닫힘 작동을 알리는 경고등을 특징으로 한다. 객차는 중간 부분에 8쌍의 마주 보는 좌석과 차량 연결부에 각각 6개의 좌석으로 구성된다. 열차의 앞뒤에는 각각 4개의 접이식 좌석이 있는 다목적칸과 각 역에서 플랫폼 간격을 좁히는 자동 확장 램프가 있다. 이 열차는 에어컨을 갖춘 최초의 빈 지하철 차량이며 공장 출고 시 비디오 감시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역 정차 시간을 단축하고 승객에 의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문에는 광선 대신 감지 센서 엣지가 적용되어 끼임 방지 기능을 한다.
열차는 지붕 구역의 화재 감지기, 온도 센서, 차체 하부의 건식 소화 파이프 등 광범위한 안전 기술을 갖추고 있다. Type V 차량은 260개의 좌석과 618개의 입석 공간을 갖추고 있다. 최고 속도는 80km/h이다. 외부 디자인은 포르쉐 디자인(Porsche Design)의 책임이다.[22]
5. 2. U6 노선
1989년, 빈 지하철 시스템은 헬리겐슈타트-필라델피아브뤼케(10.6km) 노선으로 U6 노선을 확장했다. 벨트 라인의 경우, 마지막으로 남은 경전철 노선이 현대화되어 법적 교통 수단으로 전환되었다. 귀중한 건물 구조를 보존하기 위해 노선은 다른 노선의 지하철 차량으로 운행하기 위해 재건되지 않았으며, 가공 전선을 갖춘 트램 또는 지하철과 같은 열차가 사용되었다.[22] 북부 노선 종점은 이제 헬리겐슈타트뿐이었고, 마지막 경전철 노선의 대체 북부 종점인 프리덴스브뤼케(U4)는 접근하지 않았다. 1995년에는 이 노선의 남쪽으로 첫 번째 연장이 이어졌다. 필라델피아브뤼케(현재 메이들링역)에서 지벤히르텐까지, 이전 급행 트램 64번 노선의 고가 철도를 포함하여 5.2km 길이였다. 1996년에는 U6이 북쪽으로 플로리드스도르프까지 연장되었고, 이전 종점인 헬리겐슈타트(U4)는 더 이상 접근하지 않는다. 이전 경전철의 두 개의 남은 버려진 연결부는 U6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자전거 도로로 부분적으로 사용된다.[22]U6 노선은 T/T1형(1993년 도입) 한 종류의 열차를 사용하며, 구형 E6/C6형은 2008년에 퇴역하여 현재 대부분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와 폴란드의 크라쿠프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한 편성만이 빈의 트램 박물관("Remise")에 보존되어 있다.[22]
1993년부터 봄바디어 빈(Bombardier Wien)은 폭 2.65m의 복합 연결 저상 차량인 T형을 개발해 왔으며, 이는 로칼반 빈-바덴(Lokalbahn Wien-Baden)의 400형과 유사하게 배치되어 성공적인 차량 제품군인 플렉시티 스위프트(Flexity Swift)의 기반이 된다. 한 세트는 3개의 영구적으로 연결된 객차로 구성되며, 4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열차를 운행한다. 2008년까지는 비첨두 시간대에 3세트로 구성된 단축 열차도 운행했다. T형 차량은 초기에는 구형 E6/c6 차량과 함께 운행되었으며, 오늘날에는 T형 및 T1형 차량으로만 구성된 열차만 운행한다. 좌석은 232석, 입석은 544석이다.[22]
2008년 5월부터 비디오 감시, 에어컨, 전자식 실내 및 실외 디스플레이, 새로운 디자인을 갖춘 T형의 추가 개발 차량이 T1형으로 사용되어 구형 E6/c6 고상 차량을 대체했다. 2008년 12월 24일부터 U6 노선에는 T형 및 T1형 차량만 운행한다.[22]
T형 및 T1형 차량은 서로 연결될 수 있어 T형 및 T1형 차량으로 구성된 혼합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2009년 말, T형 차량은 전자식 실내 및 실외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승객, 직원, 그리고 기물 파손 행위에 대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실내에 비디오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T1형과 시각적으로 통일되기 시작했다. 또한, T형 차량의 구형 천 좌석은 T1형 차량과 V형 지하철 차량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빨간색 플라스틱 좌석으로 점차 교체되고 있으며, 노란색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Tx형 차량 제품군은 또한 출입문 닫힘을 알리는 경고등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22]
T형 및 T1형 차량은 비엔나 시립 교통(Wiener Linien)의 주요 정비소로 트램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트램 운행을 위한 설비를 갖추고 있다.[22]
경전철 운행에서 너비 2.3m미터의 6축 관절형 객차 E6형(전동차)과 c6형(무동력차) "만하임형"이 인수되었으며, 이는 1979년 듀에바그(Duewag) 라이선스로 로너(Lohner)와 로탁스(Rotax)에서 제작되었다. 전체 열차는 192개의 좌석과 432개의 입석을 제공했다. 2008년 말까지 이 열차는 T차와 함께 운행되었으며, 즉 E6 + c6 + T + c6 + E6 형태로 운행되었다. 2008년 5월, E6/c6형을 완전히 대체할 T1형의 인도가 시작되었다. 2008년 12월 23일, E6/c6 차량은 U6 노선에서 마지막으로 운행되었다. 대부분의 차량은 위트레흐트(Utrecht) 또는 크라쿠프(Krakow)로 판매되었다. 전동차와 무동력차로 구성된 열차는 레미스(Remise)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 위트레흐트에 있던 E6형과 c6형은 2014년 크라쿠프로 판매되었다.[22]
U6호선은 슈타트반을 지하철로 취급 변경한 것으로, 노선의 대부분이 고가이다. [22]
5. 3. X형 (향후 도입 예정)
Type Xde 열차는 지멘스가 2017년 9월에 34편성의 6량 열차 납품 및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하면서 도입될 예정이다.[20] 이 계약에는 11편성의 열차를 추가로 발주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열차는 완전 자동 운전과 수동 운전이 모두 가능하며, 향후 무인 운전 방식으로 U5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또한, 운전자가 탑승하는 방식으로 U1 노선에서 U4 노선까지 운행될 예정이다. 2020년 봄에 시범 차량을 시작으로 2030년 말까지 순차적으로 납품될 예정이며,[20] 첫 번째 열차는 2023년 6월 16일에 운행을 시작했다.[21] 이 열차는 지멘스 인스피로를 기반으로 한다.6. 역
많은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비엔나 U-반은 역에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 알테스 란트굿: 이브 네츠함머의 ''Face Surveillance Snails''
- 아스펀 노르트: 플랫폼 끝에 있는 빈의 두 개의 큰 예술 지도로, 하나는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09년 상황을, 다른 하나는 아스펀(당시 유럽에서 가장 큰 공항) 공항을 볼 수 있는 1912년 상황을 보여주는 ''Aspern Affairs''가 있다. 또한 트랙 위에는 유명한 사람들의 이름과 출생 및 사망 날짜를 보여주는 색상별 "생명선"이 있다. 이 예술 작품은 스테판 후버가 제작했다.
- 에르트베르크: 페터 아타나소프의 모자이크 ''Stadteinwärts'' 및 ''Stadtauswärts''
- 횓토르퍼 슈트라세: 게오르크 잘너의 ''U-BauAlphabet''
- 욘슈트라세: 미하엘 슈나이더의 ''übertragung''
- 카를스플라츠: 켄 럼의 ''Pi'', 페터 코글러의 공간 설치, 에른스트 프리드리히와 엘레오노르 프리드리히의 프리즈 ''Unisono di colori''
- 란트슈트라세: 오스발트 오버후버의 에나멜 벽, 쿠르트 호프슈테터의 설치물 ''Planet der Pendler mit den drei Zeitmonden''
- 라우렌츠가세: 하이모 조베르니히의 벽화
- 무제움쿼티어: 루디 바흐의 ''Lauf der Geschöpfe'', ''Der Jubilierende'', ''Wächter'', ''Lebenskeim'' 및 ''Tor des Verborgenen''
- 오타크링: 마고 필츠의 ''U-Turn'', 비너 그래피티 유니온의 그래피티 벽
- 프라터슈테른: 수잔느 젬로써의 ''Einen Traum träumen und ihn mit anderen teilen ...''
- 쇼텐토어: 유리 케이스의 다양한 설치물
- 슈베글러슈트라세: 백남준의 ''Kunst der Technik''
- 슈타들라우: 베르너 파이어징어의 ''Nepomuk''
- 슈투벤토어: 미하엘 헤드비히의 ''Bewegungen der Seele''
- 쥐트티롤러 플라츠 – 하우프트반호프: 프란츠 그라프의 ''SUED''
- 타보르슈트라세: 잉에보르크 스트로블의 ''ein Garten (zum Beispiel)''
- 폴크스테아터: 안톤 레흐멘의 ''Das Werden der Natur''
- 베스트반호프: 아돌프 프로흐너의 ''Cirka 55 Schritte durch Europa''
- 지퍼러슈트라세: ''Kid's Kunst – Mobilität im kommenden Jahrtausend'' (어린이 예술)
- 로후스가세: 로마 시대의 고고학 유적
7. 향후 계획
U2 노선을 마츨라인스도르퍼 플라츠에서 비너베르크까지, U5 노선을 프랑크플라츠에서 헤르날스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U1의 두 번째 남부 지선을 건설하여 로트노이질에서 종착하는 방안도 있다.[19]
다른 확장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 U5를 헤르날스(Hernals) 너머 도른바흐(Dornbach)까지 연장
- 4단계 확장 계획에 따라 U5를 U2의 카를스플라츠(Karlsplatz) 너머로 연장
참조
[1]
웹사이트
Wiener Linien – U-Bahn 2001 bis 2014
https://www.wien.gv.[...]
Wiener Linien
2016-02-17
[2]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2019
https://www.wienerli[...]
Wiener Linien
2020-07-09
[3]
웹사이트
Unternehmensprofil – Zahlen, Daten, Fakten
http://www.wienerlin[...]
Wiener Linien
2015-07-03
[4]
서적
Das Wiener U-Bahn-Netz
Wiener Linien
2009
[5]
웹사이트
2014 Zahlen, Daten, Fakten – Unternehmen
http://www.wienerlin[...]
Wiener Linien
2015-07-03
[6]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 2014 to 2019 - Official Statistics of City of Vienna
https://www.wien.gv.[...]
2023-09-23
[7]
웹사이트
Happy Birthday! 45 Jahre Wiener U-Bahn
http://www.wienerlin[...]
Wiener Linien
2016-01-06
[8]
웹사이트
Stadt fixiert Trassen von U2 und U5
http://wien.orf.at/n[...]
ORF Wien
2014-08-02
[9]
웹사이트
U1-Verlängerung nach Oberlaa feierlich eröffnet {{!}} Aktuelle Meldungen {{!}} Informationen {{!}} Fahrgastinfo {{!}} Wiener Linien
http://www.wienerlin[...]
2020-04-18
[10]
웹사이트
Intersection U2 and U5 | Network expansion | Passenger Information | Wiener Linien
https://www.wienerli[...]
[11]
웹사이트
U-Bahn-Bau feiert 40. Geburtstag
http://wien.orf.at/s[...]
ORF Wien
2010-05-31
[12]
웹사이트
Wiener Linien opens U2 extension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3-10-09
[13]
웹사이트
U2 auf verlängerter Strecke unterwegs
http://www.wienerlin[...]
Wiener Linien
2014-04-05
[14]
웹사이트
U2-Verlängerung eröffnet
http://wien.orf.at/n[...]
ORF Wien
2014-03-09
[15]
뉴스
Wien metro line U1 to be extended to Oberlaa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2-04-03
[16]
웹사이트
U2-Südverlängerung droht Aus
https://www.wienerze[...]
Wiener Zeitung
2020-02-18
[17]
웹사이트
Linien U2 und U5
http://www.wienerlin[...]
Wiener Linien
2015-11-09
[18]
뉴스
Vienna to Introduce Driverless U-Bahn Trains
http://www.railjourn[...]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5-11-09
[19]
웹사이트
Geschichte des Wiener U-Bahn-Netzes – Generelle U-Bahn-Planung
https://www.wien.gv.[...]
2020-02-18
[20]
웹사이트
Metro "Wiener Linien" 34 six-car Type X metro vehicles
https://assets.new.s[...]
Siemens Mobility
[21]
웹사이트
A 'leap into the future' as Wien's first Series X metro train enters service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23-06-16
[22]
웹사이트
Metros Vienna opens Line U1 extension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 Journal
2019-10-15
[23]
웹사이트
U2xU5 public transport expansion - Wiener Linien
https://www.wienerli[...]
2024-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