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름스 종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름스 종양은 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악성 신장 종양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증후군성과 비증후군성으로 분류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무통성 복부 덩어리, 식욕 부진, 복통 등이 나타나며, 의료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종양의 확산 정도에 따라 1~5기로 병기를 나누며,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을 통해 치료한다. 전반적인 5년 생존율은 약 90%로 비교적 예후가 양호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장암 - 신세포암종
신세포암종은 신장의 근위 세뇨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인 선암종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진행되면 혈뇨, 옆구리 통증, 복부 종괴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흡연, 비만, 고혈압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다양한 조직학적 아형으로 분류되어 병기와 환자 상태에 따라 수술, 경피적 절제술, 표적 약물 치료 등을 시행한다. - 소아암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소아암 - 망막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은 소아에게 주로 나타나는 악성 종양으로, RB1 또는 MYCN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백색동공, 시력 저하, 사시 등의 증상을 보이고, 안구 적출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으로 치료하며, 종양 위험도 분류 체계를 통해 관리된다. - 희귀암 - 중피종
중피종은 석면 노출이 주요 원인이며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흉막, 복막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진단은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수술, 항암 치료 등을 병행하며 예후는 좋지 않다. - 희귀암 - 성인 T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은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 1형에 의해 유발되는 고위험성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종으로, 고칼슘혈증, 피부 질환, 용해성 골병변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급성형, 림프종형, 만성형, 연성형으로 분류된다.
2. 원인
빌름스 종양은 다양한 원인을 가지며, 크게 증후군성과 비증후군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증후군성 빌름스 종양은 빌름스 종양 1(WT1) 또는 빌름스 종양 2(WT2) 유전자와 같은 유전자의 변화로 발생하며, 종양은 다른 징후 및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9] 비증후군성 빌름스 종양은 다른 증상이나 병리와 관련이 없다.[9]
빌름스 종양의 많은 경우는 신생아 이전에 발생하여 출생 후 암이 되는, 신장 내부 또는 주변의 조직 조각인 신성 잔류물에서 발생한다. 특히, 양측성 빌름스 종양의 경우, 데니-드라쉬 증후군과 같은 특정 유전 증후군에서 파생된 빌름스 종양은 신성 잔류물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9] 대부분의 신아세포종은 신체의 한쪽에만 있으며 5% 미만의 경우에서 양쪽에 발견되지만, 데니-드라쉬 증후군 환자는 대부분 양측성 또는 다발성 종양을 가지고 있다.[10]
11번 염색체 단완(11p13)에 위치한 ''WT1''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빌름스 종양의 약 20%에서 관찰되며, 이 중 대부분은 생식세포로부터 유전되는 반면, 소수는 획득된 체세포 돌연변이이다.[12][13] 또한 WT1 돌연변이가 있는 빌름스 종양의 최소 절반은 원발암 유전자 베타-카테닌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CTNNB1에서 획득된 체세포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14] 이 유전자는 3번 염색체 단완(3p22.1)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러한 유전자 중 어느 곳에서도 돌연변이가 발견되지 않는다.[15]
증후군 이름 | 관련 유전자 변이 | 빌름스 종양 위험 | 증후군 설명 |
---|---|---|---|
WAGR 증후군 | WT1과 PAX6를 모두 포함하는 유전자 결손 | 45–60% | 빌름스 종양, 홍채무형성증(무홍채증), 반신비대증(신체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큼), 비뇨생식기 기형, 성기 기형, 지적 장애가 특징이다.[16] |
데니-드라쉬 증후군 | WT1(엑손 8 및 9) | 74% | 출생부터 신장 질환이 특징이며, 조기 발병 신부전, 성기 기형(간성 질환)으로 이어진다.[16] |
베크위트-비데만 증후군 | 11p15.5 염색체의 비정상적인 조절 | 7% | 거대증(출생 시 큰 크기), 거대설증(큰 혀), 반신비대증(신체의 한쪽이 더 큼), 신체의 다른 종양, 제대 탈출증(열린 복벽) 및 내장비대(복부 내부 장기 비대)가 특징이다.[16] |
빌름스 종양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H19와의 연관성이 보고되었다.[17] H19는 긴 비암호화 RNA로 11번 염색체 단완(11p15.5)에 위치한다.
형제나 쌍둥이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전적인 원인이 시사되며, 현재 종양 억제 유전자인 WT1 유전자, WT2 유전자가 책임 유전자로 확인되었다.[37][38]
3. 증상
빌름스 종양은 신경모세포종, 간모세포종과 함께 소아 3대 고형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38] 주로 2~5세에 발생하며, 3~4세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37][39]
4. 진단
의료 초음파, CT 스캔, MRI 스캔을 먼저 수행한다. 종양 생검은 암 조직의 파편을 만들어낼 위험이 있고 복부에 암세포를 퍼뜨릴 수 있어 일반적으로 수행하지 않는다.
빌름스 종양 환자의 대다수는 가족 구성원이나 의료 전문가가 알아차린 무증상 복부 덩어리를 가지고 나타난다.[18] 신장 종양은 기저 질환 증후군이 있는 어린이의 정기적인 선별 검사 중에도 발견될 수 있다.[18] 진단 과정에는 병력, 신체 검사, 혈액, 소변, 영상 검사를 포함한 일련의 검사가 포함된다.[19]
빌름스 종양이 의심되면 일반적으로 신장 내 덩어리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먼저 실시한다.[19] 더 자세한 영상을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MRI 스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빌름스 종양의 진단은 조직 샘플로 확정된다.[20] 대부분의 경우, 시술 과정에서 암세포가 퍼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먼저 생검을 실시하지 않는다. 북미에서의 치료는 신장 절제술이거나, 유럽에서는 화학 요법 후 신장 절제술을 실시한다. 신장 절제술 표본의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최종 진단을 얻는다.[20]
진단에는 복부 초음파 검사, CT, MRI 등이 사용된다.[37][38]
5. 병기
병기는 빌름스 종양의 확산 정도를 기술하고 예후와 치료를 결정하는 표준 방식이다.[21] 병기는 해부학적 발견과 종양 세포의 병리적 측면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22][23] 초기 진단 시 종양 조직의 범위에 따라 1기에서 4기까지로 구분하며, 양측 침범의 경우 5기로 분류한다.
병기 | 비율 |
---|---|
1기 | 43% |
2기 | 23% |
3기 | 20% |
4기 | 10% |
5기 | 5% |
5. 1. 1기
1기 빌름스 종양(전체 사례의 43%)은 다음의 모든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1]- 종양이 신장에 국한되고 완전히 절제된다.
- 신장 피막의 표면이 온전하다.
- 종양이 제거 전에 파열되거나 생검(개방 또는 바늘)되지 않았다.
- 신장 외 또는 신장 동맥 림프관 공간에 침범이 없다.
- 절제 경계선 너머에 잔여 종양이 보이지 않는다.
- 림프절로의 종양 전이가 확인되지 않는다.
5. 2. 2기
2기(전체 사례의 23%)의 경우, 다음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종양이 신장을 넘어 확장되었지만 완전히 절제되었다.
- 절제 마진에서 또는 그 너머에 잔여 종양이 보이지 않는다.
-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존재할 수 있다.
- * 신장 동맥 및/또는 신장 실질 외부의 혈관에 종양 침윤.
- * 신장 동맥 연조직에 광범위한 종양 침윤.
5. 3. 3기
3기(전체 사례의 20%)는 다음 기준 중 1개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1]- 수술 불가능한 원발 종양.
- 림프절 전이.
- 수술 경계 부위에 종양이 존재함.
- 수술 전 또는 수술 중 복막 표면을 침범하거나 종양 혈전이 절단됨.
- 종양이 제거되기 전에 생검을 받았거나, 수술 중 측면 부위에 국한된 종양 유출이 발생한 경우.
5. 4. 4기
4기(전체 사례의 10%) 빌름스 종양은 혈행성 전이(폐, 간, 뼈 또는 뇌)가 있거나 복부 골반 부위 밖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로 정의된다.5. 5. 5기
최초 진단 시 빌름스 종양 사례의 5%는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이는 치료에 독특한 어려움을 야기한다.[1] 양측성 빌름스 종양은 전체적으로 5기로 분류된다.[1]6. 치료
전반적인 5년 생존률은 약 90%로 짐작되지만,[43][44] 개인에 따라 병변은 병기와 치료 방식에 상당히 의존한다. 초기에 제거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경향이 있다.[24][25]
염색체 1p 및 16q에 대한 종양 특이적 이형접합성 소실(LOH)은 재발 및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 윌름스 종양 환자 하위 집단을 식별한다. 이러한 염색체 영역에 대한 LOH는 이제 질병 병기와 함께 치료 실패 위험에 대한 치료 강도를 목표로 하는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26][27]
통계는 때때로 덜 공격적인 병기보다 더 공격적인 병기에 대해 더 유리한 결과를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더 공격적인 치료 및/또는 연구 그룹의 무작위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5기는 4기보다 반드시 나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후가 비슷하다.
병기[28] | 조직병리학[28] | 4년 재발 없는 생존 (RFS) 또는 무사건 생존 (EFS)[28] | 4년 전체 생존 (OS)[28] | 치료[28] |
---|---|---|---|---|
I[28] | 24개월 미만 또는 종양 무게가 550g 미만인 어린이의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85% | 98% | 수술만 (임상 시험의 맥락에서만 수행해야 함) |
24개월 이상 또는 종양 무게가 550g 이상인 어린이의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94% RFS | 98%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EE-4A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 | 68% EFS | 80%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EE-4A 요법 및 방사선 요법 | |
II[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86% RFS | 98%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EE-4A 요법 |
국소적 역형성 | 80% EFS | 80%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및 DD-4A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 | 83% EFS | 82%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및 I 요법 | |
III[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87% RFS | 94%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및 DD-4A 요법 |
국소적 역형성 | 88% RFS | 100% (연구 대상자 8명)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및 DD-4A 요법 | |
국소적 역형성(수술 전 치료) | 71% RFS | 71% | DD-4A 요법으로 수술 전 치료 후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및 복부 방사선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 | 46% EFS | 53% | I 요법으로 수술 전 치료 후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및 복부 방사선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 | 65% EFS | 67% | 즉시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및 I 요법 | |
IV[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76% RFS | 86%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양측 폐 방사선 요법 및 DD-4A 요법 |
국소적 역형성 | 61% EFS | 72% |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양측 폐 방사선 요법 및 DD-4A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 | 33% EFS | 33% | 즉시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전폐 방사선 요법 및 I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수술 전 치료) | 31% EFS | 44% | I 요법으로 수술 전 치료 후 신장 절제술 + 림프절 샘플링 후 복부 방사선 요법, 전폐 방사선 요법 | |
양측성(V)[28] | 전체 | 61% EFS | 80% |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65% | 87% | DD-4A 요법으로 수술 전 치료 후 신장 보존 수술 또는 신장 절제술, 종양 병기 설정, 병리학 및 병기 설정을 기반으로 한 화학 요법 및/또는 방사선 요법 | |
국소적 역형성 | 76% | 88% | DD-4A 요법으로 수술 전 치료 후 신장 보존 수술 또는 신장 절제술, 종양 병기 설정, 병리학 및 병기 설정을 기반으로 한 화학 요법 및/또는 방사선 요법 | |
광범위한 역형성 | 25% | 42% | DD-4A 요법으로 수술 전 치료 후 신장 보존 수술 또는 신장 절제술, 종양 병기 설정, 병리학 및 병기 설정을 기반으로 한 화학 요법 및/또는 방사선 요법 |
윌름스 종양이 재발한 경우, 표준 위험을 가진 어린이의 4년 생존율은 80%로 추정된다.[29]
치료는 병기,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외과 치료,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을 시행한다. 항암제로는 액티노마이신 D, 아드리아마이신, 빈크리스틴 등이 사용된다.[39]
7. 예후
전반적인 5년 생존률은 약 90%로 짐작되지만,[43][44][24][25] 개인에 따라 병변은 병기와 치료 방식에 상당히 의존한다. 초기에 제거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경향이 있다.
염색체 1p 및 16q에 대한 종양 특이적 이형접합성 소실(LOH)은 재발 및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 윌름스 종양 환자 하위 집단을 식별한다. 이러한 염색체 영역에 대한 LOH는 이제 질병 병기와 함께 치료 실패 위험에 대한 치료 강도를 목표로 하는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26][27]
통계는 때때로 덜 공격적인 병기보다 더 공격적인 병기에 대해 더 유리한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이는 더 공격적인 치료 및/또는 연구 그룹의 무작위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5기는 4기보다 반드시 나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후가 비슷하다.
병기[28] | 조직병리학[28] | 4년 재발 없는 생존(RFS) 또는 무사건 생존(EFS)[28] | 4년 전체 생존(OS)[28] |
---|---|---|---|
I[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24개월 미만 또는 종양 무게 550g 미만) | 85% | 9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24개월 이상 또는 종양 무게 550g 이상) | 94% RFS | 98% | |
광범위한 역형성 | 68% EFS | 80% | |
II[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86% RFS | 98% |
국소적 역형성 | 80% EFS | 80% | |
광범위한 역형성 | 83% EFS | 82% | |
III[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87% RFS | 94% |
국소적 역형성 | 88% RFS | 100% (연구 대상자 8명) | |
국소적 역형성(수술 전 치료) | 71% RFS | 71% | |
광범위한 역형성 | 46% EFS | 53% | |
광범위한 역형성 | 65% EFS | 67% | |
IV[28]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76% RFS | 86% |
국소적 역형성 | 61% EFS | 72% | |
광범위한 역형성 | 33% EFS | 33% | |
광범위한 역형성(수술 전 치료) | 31% EFS | 44% | |
양측성(V)[28] | 전체 | 61% EFS | 80% |
유리한 조직학적 소견 | 65% | 87% | |
국소적 역형성 | 76% | 88% | |
광범위한 역형성 | 25% | 42% |
윌름스 종양 재발의 경우, 표준 위험을 가진 어린이의 4년 생존율은 80%로 추정된다.[29]
빌름스 종양은 신경모세포종, 간모세포종과 함께 소아 3대 고형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38] 호발 연령은 2세~5세이며, 3세~4세에 최고조에 달한다.[37][39] 발생률의 남녀 차이는 동일하거나 약간 여아에게 많은 경향이 있다.[38] 예후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37] 전이가 없는 신모세포종의 5년 생존율은 90% 이상이다.[39]
8. 역사
다나-파버 암 연구소의 설립자인 시드니 파버와 그의 동료들은 1950년대에 빌름스 종양의 첫 번째 관해를 달성했다. 이들은 수술 및 방사선 치료와 함께 항생제 악티노마이신 D를 사용하여 완치율을 40%에서 89%로 끌어올렸다.[35]
1970년대 초, 이탈리아 의사 마리오 코스티치는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빌름스 종양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직접 방사선 사진과 요로 조영 이미지에서 빌름스 종양과의 감별 진단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빌름스 종양 치료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36]
참조
[1]
웹사이트
Wilms' tumor
https://www.mayoclin[...]
2022-03-10
[2]
웹사이트
Wilms tumor: MedlinePlus Genetics
https://medlineplus.[...]
2022-06-11
[3]
웹사이트
EBSCO database
http://www.mountsina[...]
[4]
논문
Patient-specific hydrogel phantoms for the preoperative simulation of nephron-sparing surgery in Wilms' tumor patients: A feasibility study
2022-10-01
[5]
논문
Rationale for the treatment of Wilms tumour in the UMBRELLA SIOP–RTSG 2016 protocol
2017-12-01
[6]
웹사이트
WhoNamedIt.com: Max Wilms
http://www.whonamedi[...]
[7]
웹사이트
Wilms Tumor and Other Childhood Kidney Tumors Treatment
https://www.cancer.g[...]
2018-11-12
[8]
간행물
Wilms' tumor: a 24-year retrospective study from a single center
2014
[9]
간행물
Wilms Tumor and Other Childhood Kidney Tumors Treatment (PDQ®): Health Professional Version
https://www.ncbi.nlm[...]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2018-11-26
[10]
논문
The novel WT1 gene mutation p.H377N associated to Denys-Drash syndrome
2010-08
[11]
서적
Wilms' Tumour – Histology and Differential Diagnosis
https://discovery.uc[...]
[12]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zinc finger polypeptide gene at the human chromosome 11 Wilms' tumor locus
1990-02
[13]
논문
Wilms tumor genetics
1998-10
[14]
논문
Frequent association of beta-catenin and WT1 mutations in Wilms tumors
http://cancerres.aac[...]
2000-11
[15]
논문
Wilms tumor genetics: mutations in WT1, WTX, and CTNNB1 account for only about one-third of tumors
2008-06
[16]
논문
Advances in Wilms Tumor Treatment and Biology: Progress Throug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2015-09
[17]
간행물
Embryonal precursors of Wilms tumor
2019
[18]
서적
Wilms Tumor and Other Childhood Kidney Tumors Treatment (PDQ®): Health Professional Version
https://www.ncbi.nlm[...]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2018-11-12
[19]
웹사이트
Presentation, diagnosis, and staging of Wilms tumor
https://www.uptodate[...]
[20]
논문
Wilms' tumor: b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2014-01
[21]
웹사이트
How is Wilms tumor staged?
http://www.cancer.or[...]
2015-11-15
[22]
웹사이트
Wilms Tumor - Childhood - Stages
http://www.cancer.ne[...]
2015-11-15
[23]
웹사이트
Treatment by type and stage of Wilms tumor
http://www.cancer.or[...]
2015-11-13
[24]
논문
Defective chromosome segregation and telomere dysfunction in aggressive Wilms' tumors
2007-11
[25]
논문
Optimal duration of preoperative therapy in unilateral and nonmetastatic Wilms' tumor in children older than 6 months: results of the Ninth International Society of Pediatric Oncology Wilms' Tumor Trial and Study
2001-01
[26]
논문
Allele loss at 16q defines poorer prognosis Wilms tumour irrespective of treatment approach in the UKW1-3 clinical trials: a Children's Cancer and Leukaemia Group (CCLG) Study
2009-03
[27]
논문
Loss of heterozygosity for chromosomes 1p and 16q is an adverse prognostic factor in favorable-histology Wilms tumor: a report from the National Wilms Tumor Study Group
2005-10
[28]
웹사이트
Treatment of Wilms Tumor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2-03-29
[29]
논문
Treatment of relapsed Wilms tumors: lessons learned
2009-12
[30]
논문
Management of Wilms tumor: current standard of care
2008-10
[31]
논문
Surveillance Recommendations for Children with Overgrowth Syndromes and Predisposition to Wilms Tumors and Hepatoblastoma
2017-07
[32]
논문
Epidemiology of Wilms tumor
1993
[33]
논문
Age distributions, birth weights, nephrogenic rests, and heterogeneity in the pathogenesis of Wilms tumor
2006-09
[34]
논문
The candidate Wilms' tumour gene is involved in genitourinary development
1990-07
[35]
서적
The Emperor of All Maladies
[36]
논문
Nephroblastoma in childhood: current possibilities for an early radiographic diagnosis
1969
[37]
서적
『病気がみえる 〈vol.8〉 腎・泌尿器』
メディックメディア社
[38]
웹사이트
特定非営利活動法人 日本小児外科学会
http://www.jsps.gr.j[...]
[39]
서적
南山堂医学大辞典 第12版
[40]
웹사이트
EBSCO database
http://www.mountsina[...]
Mount Sinai Hospital, New York
[41]
웹사이트
WhoNamedIt.com: Max Wilms
http://www.whonamedi[...]
[42]
서적
아카데미 생명과학사전 2003
아카데미서적
2003-03-10
[43]
저널
Defective Chromosome Segregation and Telomere Dysfunction in Aggressive Wilms' Tumors
[44]
저널
Optimal duration of preoperative therapy in unilateral and nonmetastatic Wilms' tumor in children older than 6 months: Results of the Ninth International Society of Pediatric Oncology Wilms' Tumor Trial and Stud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