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헬름 시카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시카르트는 1592년 헤렌베르크에서 태어나 1635년 흑사병으로 사망한 독일의 다재다능한 과학자였다. 튀빙겐 대학교에서 히브리어 교수로 재직하며 천문학, 수학, 측량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천문학적 날짜 계산 기계, 히브리어 문법 기계, 지도 제작 등에도 기여했다. 또한, 계산 시계(Rechenuhr)를 발명하여 산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했지만, 완성되지 못하고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는 고대 히브리 정치 이론을 분석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달의 크레이터가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히브리어학자 - 서식스 공작 오거스터스 프레더릭
    서식스 공작 오거스터스 프레더릭은 조지 3세의 여섯 번째 아들로, 천식으로 군 복무를 하지 못했으나 서식스 공작으로 서임되었고, 프리메이슨 지도자, 왕립 예술 협회 및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왕실 결혼법에 위배되는 결혼을 했다.
  • 기독교 히브리어학자 - 테오도르 트론친
    테오도르 트론친은 제네바 출신의 칼뱅주의 신학자로, 제네바 아카데미에서 교수직을 맡았고 도르트 총회에 참여하여 성도의 견인을 옹호했으며, 성경 비판에 대한 응답과 여러 저작을 남겼다.
  • 독일의 히브리어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독일의 히브리어학자 - 빌헬름 게제니우스
    빌헬름 게제니우스는 히브리어 연구에 과학적이고 비교언어학적인 방법을 도입하고 셈어 연구에 기여했으며, 페니키아어 비문 연구와 힘야르어 해독에도 선구적인 역할을 한 독일의 신학자이자 동양 언어학자이다.
  • 1635년 사망 - 사뮈엘 드 샹플랭
    프랑스의 탐험가 사뮈엘 드 샹플랭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에 북아메리카를 탐험하며 퀘벡 시티를 건설하여 프랑스 식민지 확장에 기여했고, 원주민과의 관계를 맺으며 누벨프랑스 초기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635년 사망 - 로페 데 베가
    로페 데 베가는 스페인 황금기의 대표 작가로, 1500편이 넘는 희곡을 포함한 방대한 작품을 남기며 국민 연극 확립에 기여하고 연극 형식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품과 파란만장한 개인사가 그의 작품 세계에 반영되었다.
빌헬름 시카르트
기본 정보
빌헬름 시카르트 초상
빌헬름 시카르트 (1592-1635)
이름빌헬름 시카르트
로마자 표기Wileulhelm Sikareuteu
출생1592년 4월 22일
출생지헤렌베르크
사망1635년 8월 23일 (43세)
사망지튀빙겐
국적독일
직업목사
동양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
발명가
분야계산기 발명
종교개신교
업적
주요 업적최초의 기계식 계산기 발명 (1623)
아스트로스코프 발명
목판 인쇄술 발전 기여
영향현대 컴퓨터 과학 발전에 기여
학력 및 경력
출신 대학튀빙겐 대학교
기타
관련 인물요하네스 케플러

2. 생애

빌헬름 시카르트는 헤렌베르크에서 태어나 튀빙겐 대학교에서 문학사(1609)와 석사(1611) 학위를 받았다. 초기에는 신학과 동양 언어를 공부하며 루터교 목사로 활동하다가, 1619년 튀빙겐 대학교히브리어 교수로 임명되었고 이후 1631년에는 천문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1635년 튀빙겐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으며[13], 사후 그의 이름은 달의 크레이터에 붙여졌다.

2. 1. 학문적 경력

빌헬름 시카르트가 그린 트리퀘트럼


시카르트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609년에 문학사 학위를, 1611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613년까지 튀빙겐에서 신학과 동양 언어를 공부했다. 1613년에는 루터교 목사가 되었으며, 1619년 튀빙겐 대학교히브리어 교수로 임명될 때까지 교회에서 활동했다.

시카르트는 다방면에 재능을 보인 학자였다. 그는 튀빙겐에서 아람어히브리어와 같은 성서 관련 언어를 가르쳤다. 1631년에는 튀빙겐 대학교 천문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의 연구 분야는 천문학, 수학, 측량 등 광범위했다. 그는 천문학적 날짜를 계산하는 기계와 히브리어 문법 기계 등 여러 기계를 발명하기도 했다. 또한 지도 제작 분야에서도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 이전보다 훨씬 정확한 지도를 제작했다.[13] 그는 이러한 기술 외에도 목판과 동판을 다루는 판화가로서도 이름이 알려져 있었다.[13]

2. 2. 연구 분야



시카르트는 다재다능한 과학자였다. 그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아람어히브리어와 같은 성서 언어를 가르쳤으며, 1631년에는 같은 대학의 천문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의 연구 분야는 매우 넓어서 천문학, 수학, 측량 등을 포함했다.

그는 여러 기계를 발명했는데, 대표적으로 천문학적 날짜를 계산하는 기계와 히브리어 문법 학습을 돕는 기계가 있다. 또한 지도 제작 분야에서도 중요한 진전을 이루어, 이전보다 훨씬 정확한 지도를 제작하는 데 기여했다.[13]

이 외에도 시카르트는 목판과 동판을 다루는 실력이 뛰어난 판화가이기도 했다.[13]

2. 3. 죽음

빌헬름 시카르트는 1635년 10월 23일 또는 24일, 튀빙겐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13] 1651년, 조반니 리치올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달의 시카르트 크레이터의 이름을 지었다.

3. 정치 이론

1625년, 크리스천 히브리 연구가였던 시카르트는 고대 히브리 정치 이론을 분석하기 위해 탈무드와 랍비 문학을 활용하여 영향력 있는 논문인 ''Mishpat ha-melek, Jus regium Hebraeorum''(히브리어 및 라틴어 제목: 왕의 법)을 출판했다.[14] 이 논문에서 시카르트는 성경이 군주제를 지지한다고 주장했다.[15]

4. 계산 시계

시카르트의 계산기 복제품


빌헬름 시카르트는 1623년과 1624년,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보낸 두 통의 편지를 통해 자신이 발명한 기계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이 기계를 "산술 기구"(arithmeticum organumla)라고 불렀으며, 나중에는 "계산 시계"(Rechenuhrde)라는 이름으로 묘사되었다. 이 기계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 가지 기본 산술 연산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시카르트는 이 기계가 천문 표 계산과 같은 고된 작업을 돕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계산 시계는 여섯 자리 숫자까지 더하고 뺄 수 있었으며, 계산 결과가 이 용량을 초과하면 벨이 울려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도 갖추고 있었다. 곱셈과 나눗셈 연산은 기계 상단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네이피어의 뼈대를 이용하여 수행했으며, 계산 중간 결과를 잠시 저장해 둘 수 있는 "메모리 레지스터"도 포함되어 있었다. 시카르트는 덧셈 기능이 작동한다고 언급하며, 전문 시계 제작자인 요한 피스터에게 완성된 기계 제작을 의뢰했다고 편지에 썼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기계는 완성되기 전이나 인도되기 전에 화재로 파괴되었고, 시카르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이 프로젝트를 포기했다. 그와 그의 가족 전체는 30년 전쟁 중이던 1635년 흑사병으로 사망했다.[17]

시카르트의 기계는 시계의 톱니바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계산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일반 시계의 부품보다 더 튼튼하고 무겁게 제작되었다. 각 자릿수에는 숫자를 표시하는 휠, 숫자를 입력하는 휠,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중간 휠이 사용되었다.

시카르트의 기계는 파스칼파스칼린보다 시기적으로 앞섰으나, 실제 사용되지 못하고 설계상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8][19] 파스칼의 발명은 이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21] 기계식 계산기 발명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오늘날 튀빙겐 대학교의 컴퓨터 과학 연구소는 빌헬름 시카르트의 업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빌헬름-시카르트-인스티튜트 퓌어 인포르마틱'(Wilhelm-Schickard-Institut für Informatik)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4. 1. 작동 원리



1623년과 1624년, 빌헬름 시카르트는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발명한 기계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이 기계를 "산술 기구"(arithmeticum organumla) 또는 나중에 "계산 시계"(Rechenuhrde)라고 불렀다. 이 기계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 가지 기본 산술 연산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시카르트는 이 기계가 천문 표를 계산하는 것과 같이 지루하고 반복적인 계산 작업을 돕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기계는 여섯 자리 숫자까지 더하고 뺄 수 있었다. 계산 결과가 이 용량을 초과하면 벨이 울려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도 갖추고 있었다. 곱셈과 나눗셈 연산은 기계 상단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네이피어의 뼈대를 이용하여 수행했다. 또한, 계산 중간 결과를 잠시 저장해 둘 수 있는 "메모리 레지스터"도 포함되어 있었다.[17]

기계의 내부 구조는 시계의 톱니바퀴를 기반으로 했지만, 계산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더 튼튼하고 무겁게 만들어졌다. 각 자릿수에는 숫자를 표시하는 휠, 숫자를 입력하는 휠,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중간 휠이 사용되었다. 자리 올림이 발생하면, 해당 자릿수의 휠들이 다음 자릿수의 휠과 맞물려 돌아가면서 자리 올림을 처리했다.

자리 올림 메커니즘은 하나의 이빨을 가진 톱니(single-tooth gear)를 사용했는데, 이 톱니가 한 바퀴 회전할 때 다음 자리의 톱니바퀴를 1/10만큼 (즉, 36도) 회전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여러 자리에서 동시에 자리 올림이 필요할 때 기계가 걸리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 1960년에 브루노 폰 프라이타크-뢰링호프가 시카르트의 설계를 바탕으로 복제품을 만들었을 때, 이 자리 올림 메커니즘을 개선해야만 했다. 컴퓨터 역사학자 마이클 R. 윌리엄스(Michael R. Williams)는 이 메커니즘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단일 톱니가 중간 톱니바퀴의 톱니에 들어가 36도 회전한 다음, 스스로 36도만 회전하면서 톱니에서 빠져나와야 한다는 점이 문제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두 종류의 톱니(긴 톱니와 짧은 톱니)를 가진 기어와 스프링이 달린 멈춤 장치를 사용하는 방식을 제시했지만, 시카르트가 실제로 이 방식을 사용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6]

시카르트의 기계와 파스칼이 약 20년 뒤에 발명한 파스칼린은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여겨진다.[21] 파스칼은 시카르트의 단일 톱니 방식이 여러 자리의 연속적인 자리 올림을 처리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식(가중 멈춤쇠 메커니즘)을 사용했다.[7]

두 기계는 설계 목적과 기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파스칼린은 주로 덧셈과 (보수를 이용한) 뺄셈에 중점을 둔 반면, 시카르트의 기계는 네이피어의 뼈대를 활용하여 곱셈과 나눗셈을 보조하는 데 더 큰 목적을 두었다. 시카르트의 기계는 입력 다이얼을 반대로 돌려 직접 뺄셈을 수행할 수 있었지만, 여러 자리 올림 시 기계가 걸릴 위험이 있었다. 반면 파스칼린은 자리 올림 문제는 해결했지만 뺄셈을 위해서는 보수를 이용해야 했다. 또한 시카르트 기계에는 계산 용량 초과 시 경고음이 울리는 기능이 있었지만, 파스칼린에는 없었다.

4. 2. 제작 및 한계



1623년과 1624년,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보낸 두 통의 편지에서 시카르트는 자신이 발명한 "산술 기구"(arithmeticum organumla)라고 칭한 기계의 설계와 제작에 대해 보고했는데, 이는 나중에 계산 시계(Rechenuhrde)로 묘사되었다. 이 기계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 가지 기본 연산을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시카르트는 이 기계가 천문 표 계산과 같은 고된 작업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기계는 여섯 자리 숫자를 더하고 뺄 수 있었고, 이 용량을 초과하면 벨이 울려 알렸다. 곱셈을 돕기 위해 회전 가능한 네이피어의 뼈대가 기계에 장착되었으며, 중간 계산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레지스터도 있었다. 시카르트는 덧셈 기능이 작동한다고 언급하며, 전문 시계 제작자인 요한 피스터에게 완성된 기계 제작을 의뢰했다고 편지에 썼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기계는 완성되기 전이나 인도되기 전에 화재로 파괴되었다. 시카르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이 프로젝트를 포기했으며, 그와 그의 가족은 30년 전쟁 중이던 1635년 흑사병으로 사망했다.[17]

시카르트의 기계는 시계 톱니바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시계보다 더 튼튼하게 만들어져 조작 시 손상을 방지하고자 했다. 각 자릿수는 표시 휠, 입력 휠, 중간 휠을 사용했으며, 자리 올림이 발생할 때 이 휠들이 다음 자릿수의 휠과 맞물리는 방식이었다.[17]

그러나 시카르트의 기계는 연대기적으로 파스칼의 계산기보다 앞섰지만, 사용되지 못했고 자리 올림 메커니즘에 심각한 설계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파스칼의 설계는 약간 늦었지만 잘 작동했다.[18][19] 파스칼은 단일 톱니 기어 방식이 몇 자리만 자리 올림을 전달하는 데 적합하며, 더 많은 자릿수에서 연속적인 자리 올림이 발생할 경우 필요한 힘이 기어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했다.[7]

1960년에 브루노 폰 프라이타크-뢰링호프가 시카르트의 기계 복제품을 제작했을 때, 그는 자리 올림 메커니즘 설계를 개선해야 했다. 마이클 R. 윌리엄스는 이 메커니즘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 단순해 보이는 장치는 실제로 이 원리에 기반한 가산기를 제작하려는 사람에게 많은 문제를 제시한다. 주요 문제는 단일 톱니가 중간 톱니바퀴의 톱니에 들어가 36도(1회전의 10분의 1) 회전한 다음, 자체적으로 36도만 회전하면서 톱니에서 빠져나와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 발생한다."[6] 폰 프라이타크-뢰링호프가 제작한 복제품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 톱니와 짧은 톱니를 가진 두 개의 다른 기어와 스프링이 장착된 멈춤 장치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방식은 잘 작동했다. 시카르트가 원래 이 메커니즘을 사용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6]

복제품 실험 결과, 시카르트 기계는 세 개 이상의 다이얼에 걸쳐 자리 올림을 시도할 때 잼(jam)이 발생할 수 있었지만, 이때 작업자가 개입하여 기계가 추가 자리 올림을 수행하도록 도울 수 있었다. 이는 파스칼의 계산기(파스칼린)만큼 효율적이지는 않지만, 기계 작동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치명적인 결함은 아니었다. 또한 시카르트의 기계는 계산 결과가 자릿수를 초과할 경우 경고음을 내는 기능이 있었지만, 파스칼린에는 이 기능이 없었다.

파스칼의 발명은 시카르트의 작업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거의 확실히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21] 두 기계는 설계 목적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파스칼의 기계는 주로 덧셈과 (보수를 이용한) 뺄셈을 위해 설계되었고, 아버지의 작업을 돕거나 상업화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반면 시카르트의 기계는 곱셈(네이피어의 막대를 사용하여 부분 곱을 계산)을 돕기 위한 보조 장치로서의 성격이 강했으며, 나눗셈에도 활용될 수 있었다.

4. 3. 발명 우선순위 논쟁



기계식 계산기의 발명을 두고 빌헬름 시카르트와 블레즈 파스칼 사이에는 오랜 우선순위 논쟁이 있어왔다. 시카르트는 1623년과 1624년에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설계하고 제작 중인 "arithmeticum organum"("산술 기구")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파스칼의 계산기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17] 시카르트의 기계에 대한 언급은 이후 1718년 케플러의 전기 작가 미하엘 고틀리프 한쉬가 그의 편지를 출판하면서 알려졌고, 1899년 ''Stuttgarter Zeitschrift für Vermessungswesen''과 1957년 프란츠 하머에 의해서도 그의 우선순위가 다시 조명되었다.[20]

그러나 시카르트의 기계는 실제로 널리 사용되지 못했고 설계상 결함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시카르트 자신도 편지에서 전문 시계 제작자인 요한 피스터에게 제작을 의뢰했지만, 기계가 완성되기도 전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고 밝혔다. 이후 시카르트는 30년 전쟁흑사병으로 사망하면서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17] 반면, 파스칼의 설계는 시카르트보다 약간 늦었지만 실제로 제작되어 훌륭하게 작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8][19]

1960년, 브루노 폰 프라이타크-뢰링호프가 시카르트의 설계를 바탕으로 복제품을 제작했으나, 여러 자리 수에 걸쳐 자리 올림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에는 개선이 필요했다. 컴퓨터 역사학자 마이클 R. 윌리엄스는 시카르트 설계의 자리 올림 방식(단일 톱니가 다음 자리 톱니를 돌리는 방식)의 기술적 어려움을 지적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 단순해 보이는 장치는 실제로 이 원리에 기반한 가산기를 제작하려는 사람에게 많은 문제를 제시한다. 주요 문제는 단일 톱니가 중간 톱니바퀴의 톱니에 들어가 36도(1회전의 10분의 1) 회전한 다음, 자체적으로 36도만 회전하면서 톱니에서 빠져나와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 발생한다. 이 문제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해결책은 중간 톱니바퀴가 실제로 두 개의 다른 기어, 즉 긴 톱니와 짧은 톱니가 있는 기어와 스프링이 장착된 멈춤 장치...로 구성되어 기어가 특정 위치에서만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카르트가 이 메커니즘을 사용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폰 프라이타크 뢰링호프가 제작한 복제품에서는 확실히 잘 작동한다'''." (마이클 R. 윌리엄스, 계산 기술의 역사, IEEE, 1997)[6]

파스칼의 발명은 시카르트의 작업과는 별개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파스칼은 시카르트의 기계에 대해 알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1] 또한 파스칼은 시카르트의 설계와 유사한 단일 톱니 방식의 자리 올림 메커니즘이 몇 자리 이상에서는 작동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여러 자리에 걸쳐 자리 올림이 안정적으로 전파될 수 있는 다른 메커니즘을 고안했다.[7]

두 기계는 설계 목적과 기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파스칼의 파스칼린은 주로 덧셈과 (보수법을 이용한) 뺄셈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 시카르트의 기계는 네이피어의 뼈대를 통합하여 곱셈과 나눗셈 과정을 돕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시카르트의 기계는 덧셈 과정에서 여러 자리 올림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기계가 멈출 수 있는 잠재적 문제가 있었지만(복제품 실험 결과, 이때 작업자가 개입하면 해결 가능), 입력 다이얼을 반대로 돌려 뺄셈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계산 결과가 용량을 초과하면 벨을 울려 알리는 기능 등 파스칼린에는 없는 특징도 가지고 있었다. 시카르트는 이 기계가 천문표 계산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보조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5. 평가



시카르트가 1623년과 1624년에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밝힌 계산 시계(Rechenuhr)는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7] 이 기계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 가지 기본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천문표 계산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돕기 위해 고안되었다. 여섯 자리 숫자까지 계산 가능했고, 용량 초과 시 벨이 울리는 기능도 갖추었다. 곱셈과 나눗셈을 위해 회전 가능한 네이피어의 뼈대를 장착했으며, 중간 계산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레지스터도 포함되었다.[17]

시카르트의 계산 시계는 파스칼의 계산기보다 약 20년 앞서 고안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시카르트의 편지는 1718년 미하엘 고틀리프 한쉬에 의해 출판되었고,[20] 1957년 프란츠 하머가 관련 도면을 발견하면서 그의 업적이 재조명되었다. 그러나 시카르트가 전문 시계 제작자 요한 피스터에게 제작을 의뢰한 기계는 완성되기 전 화재로 소실되었고, 그 자신과 가족 전체가 30년 전쟁흑사병으로 사망하면서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17]

시카르트의 기계와 파스칼의 기계는 설계와 목적에서 차이가 있었다. 파스칼의 기계는 주로 덧셈과 뺄셈에 중점을 두었지만, 시카르트의 기계는 네이피어의 뼈대를 활용하여 곱셈과 나눗셈 연산을 보조하는 데 더 특화되었다. 시카르트 기계의 자리 올림 메커니즘은 여러 자리에 걸쳐 동시에 자리 올림이 발생할 경우 기계가 걸리는(jam) 잠재적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6][7] 1960년 브루노 폰 프라이타크-뢰링호프가 시카르트 기계의 복제품을 만들었을 때, 자리 올림 메커니즘의 개선이 필요했는데, 이는 단일 톱니가 다음 자릿수 톱니바퀴를 정확히 한 칸(36도)만 돌리고 빠져나와야 하는 구조적 어려움 때문이었다. 마이클 R. 윌리엄스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긴 톱니와 짧은 톱니를 가진 두 개의 기어와 특정 위치에서만 멈추게 하는 스프링 멈춤 장치를 사용하는 방식을 언급하며, 시카르트가 이 방식을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폰 프라이타크-뢰링호프의 복제품에서는 잘 작동했다고 평가했다.[6] 반면, 파스칼은 더 많은 자릿수에서 자리 올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고안했고, 그의 기계는 더 원활하게 작동했다.[18][19][7] 또한, 시카르트의 기계는 입력 다이얼을 반대로 돌려 뺄셈을 수행할 수 있었고 계산 용량 초과 시 경고음 기능이 있었으나, 파스칼의 기계에는 해당 기능이 없었다. 파스칼이 시카르트의 발명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며, 두 사람의 발명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21]

이처럼 시카르트의 설계가 시기적으로 앞섰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 가능한 완성품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설계상의 한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기계식 계산기 발명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오랜 논쟁이 있어왔다.[18][19]

오늘날 튀빙겐 대학교의 컴퓨터 과학 연구소는 그의 업적을 기려 '빌헬름-시카르트-인스티튜트 퓌어 인포르마틱'(Wilhelm-Schickard-Institut für Informatikdeu)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시카르트의 계산 시계는 비록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지만, 초기 계산 자동화의 중요한 시도로서 컴퓨터 과학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참조

[1] 문서 Jean Marguin p. 48 (1994)
[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http://blogs.royalso[...]
[3] 인용
[4] 인용
[5] 웹사이트 History of computers http://history-compu[...] 2012-01-31
[6] 문서 Michael Williams
[7] 문서 Michael Williams
[8] 문서
[9] 문서
[10] 문서 René Taton, p. 81 (1969)
[11] 웹사이트 http://metastudies.n[...]
[12] 웹사이트 Wilhelm Schickard, father of the computer age https://people.idsia[...]
[13] 웹사이트 Wilhelm Schickard entry at The History of Computing Project http://www.thocp.net[...] 2007-07-19
[14] 문서 Eric M. Nelson
[15] 문서 Eric M. Nelson
[16] 웹사이트 Things that Count: the rise and fall of calculators http://things-that-c[...] 2014
[17] 웹사이트 http://www-groups.dc[...]
[18] 웹사이트 http://metastudies.n[...]
[19] 웹사이트 Schickard versus Pascal: An Empty Debate? http://metastudies.n[...]
[20] 웹사이트 The calculating Clock of Wilhelm Schickard http://history-compu[...] 2012-01-31
[21] 서적 History of Computing Technology IEEE 1997
[22] 문서 Jean Marguin p. 48 (1994)
[23]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http://blogs.royalso[...] 2024-04-10
[24] 웹인용 see for example discussion of true multiplying machines in http://things-that-count.net http://metastudies.n[...] 2024-04-10
[25] 웹인용 Wilhelm Schickard, father of the computer age https://people.id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