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뿔논병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뿔논병아리는 논병아리과에 속하는 조류로, 학명은 Podiceps cristatus이다. 유라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지에 분포하며, 3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몸길이는 약 46-51cm로 구세계에서 가장 큰 논병아리 종이며, 여름철 번식기에 머리와 목에 발달하는 장식 깃털이 특징이다. 물고기, 양서류, 곤충 등을 먹고, 물풀로 둥지를 만들어 3-5개의 알을 낳는다. 과거 깃털 장식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현재는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LC)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병아리과 - 뿔논병아리속
    뿔논병아리속은 존 레이덤이 명명한 논병아리과의 한 속으로, 9종의 현존하는 종과 1종의 멸종된 종을 포함하며, 새끼 때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 머리("험버그" 무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 논병아리과 - 큰논병아리
    큰논병아리는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중소형 물새로, 붉은 갈색 목과 회색 뺨의 번식기 깃털이 특징이며, 수생 곤충, 갑각류, 어류 등을 먹고 잠수 사냥을 하며, IUCN 관심대상으로 지정되어 AEWA의 보호를 받는다.
  • 잠비아의 새 - 타조
    타조는 현존하는 가장 크고 무거운 새로, 아프리카 사바나와 사헬 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강력한 다리와 퇴화된 날개를 지녔고, 풀과 씨앗을 먹는 초식성이지만 잡식성도 보이며, 고기, 알, 깃털, 가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잠비아의 새 - 논병아리
    논병아리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분포하는 몸길이 25~29cm의 작은 물새로, 수생 식물이 무성한 담수호나 늪에 서식하며 잠수에 능숙하고,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레드 리스트에서 관심 필요(LC) 등급으로 분류되어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새 - 에뮤
    에뮤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으로 키가 큰 타조목 새로,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잡식성이고, 원주민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업적으로 사육되기도 하고, 오스트레일리아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새 - 슴새
    슴새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로, 동아시아 해안 섬에서 번식하며 어류, 낙지 등을 먹고 땅 속에 둥지를 틀지만, 과거 식용 및 깃털 채취와 현재 어업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뿔논병아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큰 댕기 물새 수영 2022-02-27
P. c. cristatus, 프랑스 빌팽트
상태관심 필요
학명Podiceps cristatus
명명자(Linnaeus, 1758)
P. cristatus의 분포
이명Colymbus cristat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논병아리목
논병아리과
뿔논병아리속
칸무리 카이츠부리 Podiceps cristatus
아종P. c. australis (Gould, 1844)
P. c. cristatus (Linnaeus, 1758)
P. c. infuscatus (Salvadori, 1884)
이름
한국어뿔논병아리
영어Great Crested Grebe
일본어칸무리 카이츠부리(カンムリカイツブリ)
형태
뿔논병아리의 겨울 깃털
뿔논병아리의 여름 깃털과 어린 새끼

2. 분류

큰논병아리는 1758년 스웨덴의 생물학자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Colymbus cristatus''라는 이름으로 정식으로 기재하였다.[2] 1787년 영국의 조류학자 존 레덤이 세운 논병아리속 (''Podiceps'')의 모식종이다.[3][4][5] 모식산지는 스웨덴이다.[5] 학명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속명 ''Podiceps''는 "배"를 뜻하는 podicisla와 "발"을 뜻하는 pesla의 합성어로, 논병아리의 다리가 몸 뒤쪽에 위치한 것을 가리킨다. 종명 ''cristatus''는 "볏이 있는"을 의미한다.[6]

2. 1. 아종

현재 세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여름겨울학명분포비고
||
|| P. c. cristatus (Linnaeus, 1758) || 아일랜드포르투갈에서 일본 동부 및 북아프리카까지의 유라시아 || 기준 아종.
||
|| P. c. infuscatus (Salvadori, 1884) || 에티오피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까지의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 텃새 [4] || 기준 아종에 비해 눈 앞부분에 흰색이 감소하거나 없음.
||
|| P. c. australis (Gould, 1844) ||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남섬; 물의 가용성에 따라 텃새 또는 유목 생활 || 깃털은 기준 아종과 유사하지만 약간 더 어둡다. 오스트레일리아흰목논병아리로 알려져 있으며, 마오리어로는 pūteketekemi로 불린다.



아래는 아종에 대한 추가 설명이다.[28][29][30]


  • ''Podiceps cristatus cristatus'' (Linnaeus, 1758) : 기본 아종, 구북구동양구에 분포한다.
  • ''Podiceps cristatus infuscatus'' (Salvadori 1884) : 에티오피아구에 분포한다.
  • ''Podiceps cristatus australis'' (Gould 1844) :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남섬에 분포한다.

3. 형태

뿔논병아리의 몸길이는 48cm이고 몸빛깔은 회색이다. 여름에는 머리 옆이 뚜렷한 밤색이며 귀깃은 검다. 겨울에는 머리 위가 검은색이고 목은 흰색이다. 뿔논병아리는 구세계에서 가장 큰 논병아리 종이지만, 아메리카 대륙에는 더 큰 종이 있다. 몸길이는 46cm에서 51cm 사이, 날개 길이는 59cm에서 73cm 사이, 몸무게는 0.9kg에서 1.5kg 사이이다. 성조는 머리와 목의 장식으로 여름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겨울에는 다른 논병아리보다 더 흰색을 띠며, 눈 위쪽이 하얗고 부리가 분홍색이다.

울음소리는 "rah-rah-rah"하는 큰 짖는 소리이다. 또한 "kek"하는 딸깍거리는 소리와 깊은 으르렁거리는 소리도 낸다.[9]

새끼는 대부분의 논병아리 새끼와 마찬가지로 굵은 줄무늬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가 번갈아 나타난다. 험버그 사탕과 닮아서 "험버그"라는 속어로 불리기도 한다.[10][11] 이들은 첫 번째 겨울 동안 성숙해지면서 이러한 무늬를 잃는다.

전체 길이는 56cm (46-61cm), 날개 펼친 길이는 85cm (85-90cm), 체중은 596-1,490g[20]으로, 논병아리목에서는 북아메리카의 큰목논병아리류 다음으로 큰 종이며,[21] 일본에서는 최대종이다.[22]

목은 매우 길다. 윗면은 흑갈색, 아랫면은 흰색이다. 머리 꼭대기에는 검은 깃털이 길게 뻗은 볏이 있다. 종소명 ''cristatus''는 "볏이 있는"이라는 의미로, 일본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crested)과 같다. 눈앞은 검다. 작은 어깨 덮깃과 둘째날개깃에는 흰 반점이 들어간다.

홍채는 짙은 적색이다. 부리는 길고 곧으며 끝이 뾰족하며, 옅은 복숭아색이다.

여름에는 볏이 발달한 여름깃이 되고, 뺨에서 뒤통수까지 검은 테두리가 있는 적갈색 장식 깃털이 생긴다. 겨울에는 겨울깃으로 볏이 별로 발달하지 않고, 뺨의 깃털은 흰색이다. 어린 새는 볏이 별로 발달하지 않고, 뺨의 깃털이 희고 검은 반점이 들어간다. 암수 동일색이다.[22][23]

4. 분포

큰뿔논병아리는 담수호의 식생 지역에서 번식한다. 아종 ''P. c. cristatus''는 유럽 전역과 구북구 동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서부 지역의 온화한 지역에서는 텃새이지만, 더 추운 지역에서는 철새로서 이동한다. 겨울에는 담수호와 저수지 또는 해안에서 월동한다. 아프리카 아종 ''P. c. infuscatus''와 오스트랄라시아 아종 ''P. c. australis''는 주로 텃새이다.[41]

번식지(노란색), 월동지(주황색), 연중 서식지(녹색)


아프리카 일부, 유라시아 중부 이남,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뉴질랜드 (남섬)에서 서식한다. 북반구 개체는 겨울에 일부 남하한다.[41]

일본에서는 겨울에 기본 아종이 규슈 이북으로 겨울새로 날아오지만, 아오모리현의 시모키타 반도나 시가현비와호혼슈의 호수에서도 소수가 번식한다. 비와호에서는 2007년에 1,176개체가 월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9]

5. 생태

몸길이는 48cm로 몸빛깔은 회색이고 여름에는 머리 옆이 뚜렷한 밤색, 귀깃은 검다. 겨울에는 머리 위가 검은색이고 목은 흰색이 된다. 겨울에는 해안가, 내륙의 호수, 하천에 서식하고 여름에는 물풀이 무성한 연못이나 호수에 번식한다. 뿔논병아리의 수컷은 부성애가 지극하여 새끼를 등에 업으며 먹이를 먹일 때는 깃털을 같이 먹임으로써 소화를 돕는다.[41]

완만한 흐름의 , 호수, , 습원 등에 서식하지만, 겨울에는 하구, 항만, 연안부에도 서식한다. 수면을 차서 활강한 다음 날아오르며, 긴 목을 뻗어 잘게 날갯짓하며 직선으로 난다. 비번식기에는 단독으로 혹은 몇 마리가 함께 생활한다.[24] 뿔논병아리의 생태는 생태 다큐멘터리 작가 신동만 PD가 제작한 《뿔논병아리의 선물》(2009년 1월)에서 소개되었다.

5. 1. 먹이

뿔논병아리는 물고기, 양서류, 연체동물, 곤충 등을 먹는다.[41] 큰논병아리는 주로 물고기를 먹지만, 작은 갑각류, 곤충, 작은 개구리와 도롱뇽도 먹는다.[7] 동물성 먹이를 먹으며, 어류, 양서류, 수생 곤충 등을 먹는다.[22] 잠수해서 먹이를 잡는데, 30초 이상 잠수하는 경우도 있다.[21]

5. 2. 번식

뿔논병아리는 물풀이 무성한 연못이나 호수에서 번식한다. 물풀로 접시 모양의 둥지를 짓고, 엷은 청색 또는 흰색 알을 3-5개 낳는다.[41] 알은 21-28일 만에 부화하며, 새끼는 알에서 나오자마자 헤엄을 칠 수 있다.[41] 번식기에는 암컷과 수컷이 "깍깍" 하고 울며 머리를 쳐들고 접근하여, 서로 마주 보고 좌우로 목을 흔드는 등 복잡한 구애 행동을 한다.[24]

큰 뿔논병아리는 정교한 구애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모든 논병아리류처럼 물가에 둥지를 짓는데, 암수 모두가 둥지를 짓는다. 알 덩이는 평균 4개의 분필처럼 흰색 알로, 크기는 평균 54x이고 무게는 42g이다. 암수 모두가 알을 품으며, 첫 번째 알을 낳자마자 시작된다. 알은 27~29일 후에 비동시적으로 부화한다. 조숙성 어린 새끼는 암수 모두의 보살핌을 받고 먹이를 공급받는다.[7]

어린 논병아리는 부화하자마자 거의 수영과 잠수를 할 수 있다. 어른 새는 새끼를 등에 태우고 잠수하여 새끼가 물 표면에 떠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새끼에게 이러한 기술을 가르친다. 그런 다음 몇 피트 떨어진 곳에서 다시 나타나 새끼가 다시 헤엄쳐서 등에 올라탈 수 있게 한다.

물가 근처의 수생 식물 등에 고정된 수생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조합한 역원추형의 지름 70-90cm 정도의 뜬 둥지[25]를 암컷과 수컷이 함께 만들며, 한국에서는 3-8월에 한 번에 3-5개의 알을 연간 1-2회 낳는다. 암컷을 주로 하여[26] 암수 교대로 포란하며, 포란 기간은 27-29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약 2주 동안 어미 새의 등에 올라타는 경우가 많고, 약 10주간 육추되며,[26] 70-90일 만에 비행할 수 있게 된다. 생후 2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6. 인간과의 관계

19세기 영국에서는 뿔논병아리가 여성용 모자와 의복 장식에 사용되는 머리 깃털 때문에 거의 멸종될 뻔했다.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해 왕립 조류 보호 협회가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다시 흔하게 볼 수 있다.[12] 당시 영국에서는 모자 깃털 장식이나 손을 따뜻하게 하는 머프(Muff)를 만들기 위해 뿔논병아리를 대량으로 포획하여 개체수가 격감했다.[21]

뿔논병아리와 그 행동은 줄리안 헉슬리가 1914년에 발표한 논문 "큰 뿔논병아리의 구애 습성 (''Podiceps cristatus'')"의 주제였다. 이 논문은 조류 행동학의 획기적인 출판물 중 하나이다.

2013년부터 뉴질랜드 와나카 호수에서 뿔논병아리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13][14] 2023년 11월, 코미디언 존 올리버는 ''Last Week Tonight'' 에피소드에서 뉴질랜드의 올해의 새 캠페인을 조명하며 뿔논병아리를 위해 스스로를 "캠페인 매니저"로 선언했다. 뿔논병아리는 뉴질랜드에서 마오리 이름 pūteketeke|푸테케테케mi로도 알려져 있다.[15][16] 이 새는 "Pūteketeke pandemonium prevails"라는 두운으로 이 대회의 우승자로 발표되었다.[17]

효고현니시노미야시에서 회수된 뿔논병아리에서 2011년 3월 2일에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강독성 타입이 확인되었다.[27]

참조

[1] 간행물 'Podiceps cristatus' 2019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Supplement to the General Synopsis of Birds https://biodiversity[...] Leigh & Sotheby
[4] 웹사이트 Grebes, flamingo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1
[5]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7]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Birds of Kenya and Northern Tanzania Christopher Helm 2001
[9] 웹사이트 Great-crested Grebe https://www.oiseaux-[...] 2023-05-21
[10] 웹사이트 Great Crested Grebe with Chicks AKA Humbugs! https://johnmallaney[...] 2021-05-03
[11] 웹사이트 Blackburn Museum https://blackburnmus[...] 2020-09-12
[12]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 Windus
[13] 웹사이트 Bird of the Century: What you need to know about pūteketeke https://www.rnz.co.n[...] 2023-11-15
[14] 웹사이트 Lake Wanaka grebes thrive with a bit of help https://www.doc.govt[...] New Zealand Government 2015-02-05
[15] 뉴스 John Oliver backs 'weird, puking' pūteketeke as he takes New Zealand's bird of century poll global https://www.theguard[...] 2023-11-07
[16] 뉴스 Pūteketeke wins Bird of the Century following John Oliver intervention https://www.nzherald[...] 2023-11-15
[17] 웹사이트 Bird of the Century winner announced: Pūteketeke pandemonium prevails https://www.forestan[...] 2023-11-15
[18] 웹사이트 IUCN 2012.2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Podiceps cristatus') http://www.iucnredli[...] IUCN
[19] 웹사이트 琵琶湖と生物・水鳥 http://www.pref.shig[...] 滋賀県
[20] 서적 Birds of 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서적 三省堂 世界鳥名事典 三省堂
[22]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23] 서적 山溪ハンディ図鑑7 日本の野鳥
[24] 서적 水辺の鳥
[25] 서적 散歩で楽しむ野鳥の本
[26] 서적 カラー写真による 日本産鳥類図鑑 東海大学出版会
[27] 웹사이트 兵庫県西宮市における高病原性鳥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強毒タイプの確認に伴う環境省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自然環境局野生生物課鳥獣保護業務室 2011-03-02
[28] 서적 The Clements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Podiceps cristatus' http://avibase.bsc-e[...] バードライフ・インターナショナル
[30] 웹사이트 'Podiceps cristatus' (Linnaeus, 1758) http://www.itis.gov/[...] ITIS
[31]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2012
[32] 웹사이트 カイツブリ目 カイツブリ科 絶滅のおそれのある地域個体群(LP) http://www.biodic.go[...] 環境省
[33]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カンムリカイツブリ」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34] 웹사이트 埼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08動物編 http://www.pref.sait[...] 埼玉県 2008
[35] 웹사이트 北海道レッドデータブック・カンムリカイツブリ http://rdb.hokkaido-[...] 北海道 2001
[36] 웹사이트 徳島県版レッドデータブック http://www.pref.toku[...] 徳島県 2011-08-00
[37] 웹사이트 福岡県の希少野生生物 RED DATA BOOK 2011 FUKUOKA・カンムリカイツブリ http://www.fihes.pre[...] 福岡県 2011-00-00
[38] 웹사이트 青森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0年改訂版) http://www.pref.aomo[...] 青森県 2010-00-00
[39] 웹사이트 千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動物編(2011年改訂版) http://www.bdcchiba.[...] 千葉県 2011-00-00
[40] 웹사이트 大阪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カンムリカイツブリ http://www.epcc.pref[...] 大阪府 2000-03-00
[41] 서적 뿔논병아리의 선물 http://www.kyobobook[...] 동아시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