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게니스타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게니스타류는 세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세포질 밖으로 실 모양의 그물을 배출하는 부등편모조류의 한 분류군이다. 비코소에카강과 망형충강을 포함하며, 미로충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미로충은 보스로솜을 가지고 있으며, 해양 환경에서 잘피에 소모성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게니스타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Sagenista |
명명자 | Cavalier-Smith, 1995 |
계급 | 강 |
하위 분류 계급 | 그룹 |
하위 분류 | 에오기레아 Cavalier-Smith 2013 망형충류 (Lister 1891) Olive 1975 ex Cavalier-Smith 1986 |
2. 특징
2. 1. 보스로좀 (Bothrosome)
사게니스타류는 세포가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세포질 외부의 실 모양 그물을 배출한다. 이 작은 실들은 세포가 주변 환경에서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공한다.3. 하위 분류
망형충강은 비코소에카강과 함께 사게니스타류를 구성하는 분류군 중 하나이다.
비코소에카강(Bicosoecea)은 사게니스타류에 속하는 강이다.
3. 1. 망형충류 (Labyrinthulomycetes)
망형충강은 비코소에카강과 함께 사게니스타류를 구성하는 분류군 중 하나이다.3. 2. 비코소에카류 (Bicosoecea)
비코소에카강(Bicosoecea)은 사게니스타류에 속하는 강이다.4. 대표적인 예
'''미로충'''은 보스로솜을 가지고 있다. 해양 환경에서의 병원성에 대해 연구되고 있으며, 잘피인 ''Zostera marina''에서 소모성 질환을 일으킨다.[6]
4. 1. 미로충 (''Labyrinthula'')
'''미로충'''(Labyrinthula)은 보스로솜을 가지고 있다. 해양 환경에서의 병원성에 대해 연구되고 있으며, 잘피인 ''Zostera marina''에서 소모성 질환을 일으킨다.[6]5. 계통 분류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9][10][11]
{| class="wikitable"
|-
! 부등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술쿠스강
|-
|
{| class="wikitable"
|-
! 사게니스타류
|-
|
Eogyrea |
망형충류 |
|-
|
{| class="wikitable"
|-
| 비코소에카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시디아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시디아강
|-
|
{| class="wikitable"
|-
| 나노모나스강
|-
|
{| class="wikitable"
|-
| 오팔로모나스강
|-
! 오팔리나상강
|-
|
|}
|}
|}
|}
|-
! 기리스타류
|-
|
{| class="wikitable"
|-
| 비기로모나드강
|-
|
{| class="wikitable"
|-
| 난균류
|-
|
{| class="wikitable"
|-
| 역모균류
|-
|
|}
|}
|}
|}
|}
|}
|}
5. 1. 부등편모조류 계통 분류 (일부)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9][10][11]{| class="wikitable"
|-
! 부등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술쿠스강
|-
|
{| class="wikitable"
|-
! 사게니스타류
|-
|
Eogyrea |
망형충류 |
|-
|
{| class="wikitable"
|-
| 비코소에카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시디아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시디아강
|-
|
{| class="wikitable"
|-
| 나노모나스강
|-
|
{| class="wikitable"
|-
| 오팔로모나스강
|-
! 오팔리나상강
|-
|
|}
|}
|}
|}
|-
! 기리스타류
|-
|
{| class="wikitable"
|-
| 비기로모나드강
|-
|
{| class="wikitable"
|-
| 난균류
|-
|
{| class="wikitable"
|-
| 역모균류
|-
|
|}
|}
|}
|}
|}
|}
|}
6. 참고 문헌
- Gelenter, Wendy; Stowell, Larry J (2003). “Progress in understanding rapid blight of cool-season turf”. 《PACE Turfgrass Research Institute Public Edition》 9: 1–4.
- 워싱턴 주립 대학교 식물생물학과의 ''일반 균류학(General Mycology)''.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고생물학 박물관의 ''사게니스타류 소개(Introduction to the Sagenista)''.
- 조지아 대학교 식물생물학과의 ''미로균문(Labyrinthulomycota)''.
- Ralph, Peter J.; Short, Frederick T. (2002). “Impact of the wasting disease pathogen, Labyrinthula zosterae, on the photobiology of Zostera marin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26: 265–271. doi:10.3354/meps226265.
- Regan, Casie. ''플로리다 만에서 해초 점액 곰팡이를 연구하는 뱀파이어 과학자들(Vampire Scientists Study Sea Grass Slime Mold in Florida Bay).'' 국립공원관리청.
분류:부등편모조류
분류:원생생물
참조
[1]
서적
Membrane heredity, symbiogenesis, and the multiple origins of algae
The National Science Museum Foundation
[2]
웹사이트
Browse taxonomic tree
http://www.catalogue[...]
[3]
논문
Phylogeny and megasystematics of phagotrophic heterokonts (kingdom Chromista)
[4]
논문
An overview of the phylogeny and diversity of eukaryotes
http://www.plantsyst[...]
[5]
논문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6]
논문
Labyrinthula zosterae sp. nov., the Causative Agent of Wasting Disease of Eelgrass, Zostera marina
1991-01-01
[7]
서적
Membrane heredity, symbiogenesis, and the multiple origins of algae
The National Science Museum Foundation
[8]
웹인용
Browse taxonomic tree
http://www.catalogue[...]
[9]
저널 인용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10]
저널 인용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11]
저널 인용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