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정책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법정책연구원은 법원조직법 제20조의2에 근거하여 2014년 1월 1일 대법원 산하에 정식으로 발족한 연구기관이다. 사법개혁 논의를 거쳐 1993년 설립이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고, 이후 법조일원화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법률 개정을 통해 설립되었다. 사법정책연구원운영위원회를 두고, 연구기획실, 미래사법·통일사법센터, 해외사법센터, 통합사법·법교육센터, 사법제도센터, 사무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학 연구소 - 헌법재판연구원
헌법재판연구원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 관련 연구 및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헌법 및 헌법재판 제도 연구, 국내외 이론 및 판례 연구, 헌법 교육 등을 수행하며 연구교수부와 기획행정과로 구성된다. - 법학 연구소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형사정책 및 법무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와 정책 개발 지원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 대한민국 대법원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대한민국 대법원 - 법원행정처 차장
법원행정처 차장은 대법원장이 임명하며 법원행정처장을 보좌하고 처장 유고 시 권한을 대행하며, 1962년 이후 현재까지 차장 직제가 유지되고 있다. - 고양시 소재의 관공서 - 법원공무원교육원
대한민국 법원공무원의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는 대법원 산하 기관인 법원공무원교육원은 1979년 설립되었으며, 법원조직법에 설치 근거를 두고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다. - 고양시 소재의 관공서 - 법원도서관
법원도서관은 법원조직법에 의해 설치된 대법원 직속 도서관으로, 1972년 법원행정처 도서과에서 시작하여 1981년 법원도서관으로 승격되었으며, 2023년 기준 29만 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관련 문헌을 제공한다.
사법정책연구원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법정책연구원 |
외국어 표기 |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
설립일 | 2014년 1월 1일 |
설립 근거 | 법원조직법 제20조의2 |
소재지 |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50 |
직원 | 62명 |
기관장 직책 | 원장 |
기관장 성명 | 박형남 |
기관장2 직책 | 수석연구위원 |
기관장2 성명 | 이규홍 |
상급 기관 | 대법원 |
기타 |
2. 설치 근거
법원조직법 제20조의2[3]
1993년 9월 윤관이 대법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법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7월 소장 판사들의 사법부 개혁요구와 8월 재산공개 파문에 따른 논란이 있었는데, 윤관 대법원 체제가 급격한 개혁보다는 안정한 기반 위에서의 지속적 제도개혁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4] 10월 28일에는 「사법제도발전위원회규칙」을 제정하여 사법제도 개혁에 착수했다. 대법원은 사법제도발전위원회가 과거에 연구했던 안건들을 바탕으로 '국민에 대한 사법적 봉사'라는 기본틀에 맞춰 제도화하는 기능을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여기에는 대법원의 법률안 제출권과 예산요구권, 법관임용제도와 직급제도 등 사법제도의 근간을 바꾸는 개혁방안과 더불어 사법정책연구원 발족, 양형기준제도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5] 하지만 위원회가 제출한 최종 보고서에 사법정책연구원의 설립에 대한 내용은 빠졌다.
3. 역사
이후 20년이 지난 2013년 다시 사법정책연구원 설립이 추진되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설립과 사법시험 폐지 등 법조일원화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줄 전문적인 싱크탱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6] 2013년 7월 2일, 사법부의 문제점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연구하고 사법부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을 정책적으로 설계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으로 대법원 산하에 사법정책연구원을 설치하는 법률 제12041호 「법원조직법」 일부개정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7] 이 법률에 따라 2014년 1월 1일 사법정책연구원이 정식으로 발족했으며, 정식 개원은 3월 10일에 이루어졌다.[7]
3. 1. 설립 배경 (1993년)
1993년 9월 윤관이 대법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법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7월 소장 판사들의 사법부 개혁요구와 8월 재산공개 파문에 따른 논란이 있었는데 윤관 대법원 체제가 급격한 개혁보다는 안정한 기반 위에서의 지속적 제도개혁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4] 10월 28일에는 「사법제도발전위원회규칙」을 제정하여 사법제도 개혁에 착수했다. 사법제도발전위원회는 과거에 연구했던 안건들을 바탕으로 '국민에 대한 사법적 봉사'라는 기본틀에 맞춰 제도화하는 기능을 담당할 것을 대법원은 밝혔는데 여기에는 대법원의 법률안 제출권과 예산요구권, 법관임용제도와 직급제도 등 사법제도의 근간을 바꾸는 개혁방안과 더불어 사법정책연구원 발족, 양형기준제도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5] 하지만 위원회가 제출한 최종 보고서에 사법정책연구원의 설립에 대한 내용은 빠졌다.
3. 2. 설립 추진 (2013년)
1993년 9월 윤관이 대법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법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4] 7월 소장 판사들의 사법부 개혁요구와 8월 재산공개 파문에 따른 논란이 있었는데 윤관 대법원 체제가 급격한 개혁보다는 안정한 기반 위에서의 지속적 제도개혁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4] 10월 28일에는 「사법제도발전위원회규칙」을 제정하여 사법제도 개혁에 착수했다. 사법제도발전위원회는 과거에 연구했던 안건들을 바탕으로 '국민에 대한 사법적 봉사'라는 기본틀에 맞춰 제도화하는 기능을 담당할 것을 대법원은 밝혔는데 여기에는 대법원의 법률안 제출권과 예산요구권, 법관임용제도와 직급제도 등 사법제도의 근간을 바꾸는 개혁방안과 더불어 사법정책연구원 발족, 양형기준제도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5] 하지만 위원회가 제출한 최종 보고서에 사법정책연구원의 설립에 대한 내용은 빠졌다.
이후 20년이 지난 2013년 다시 사법정책연구원 설립이 추진되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설립과 사법시험 폐지 등 법조일원화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줄 전문적인 싱크탱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6] 7월 2일 사법부의 문제점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연구하고 사법부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을 정책적으로 설계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으로 대법원 산하에 사법정책연구원을 설치하는 법률 제12041호 「법원조직법」 일부개정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7]
3. 3. 공식 출범 (2014년)
1993년 9월 윤관이 대법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법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7월 소장 판사들의 사법부 개혁요구와 8월 재산공개 파문에 따른 논란이 있었는데 윤관 대법원 체제가 급격한 개혁보다는 안정한 기반 위에서의 지속적 제도개혁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4] 10월 28일에는 「사법제도발전위원회규칙」을 제정하여 사법제도 개혁에 착수했다. 사법제도발전위원회는 과거에 연구했던 안건들을 바탕으로 '국민에 대한 사법적 봉사'라는 기본틀에 맞춰 제도화하는 기능을 담당할 것을 대법원은 밝혔는데 여기에는 대법원의 법률안 제출권과 예산요구권, 법관임용제도와 직급제도 등 사법제도의 근간을 바꾸는 개혁방안과 더불어 사법정책연구원 발족, 양형기준제도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5] 하지만 위원회가 제출한 최종 보고서에 사법정책연구원의 설립에 대한 내용은 빠졌다.
이후 20년이 지난 2013년 다시 사법정책연구원 설립이 추진되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설립과 사법시험 폐지 등 법조일원화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줄 전문적인 싱크탱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6] 7월 2일 사법부의 문제점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연구하고 사법부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을 정책적으로 설계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으로 대법원 산하에 사법정책연구원을 설치하는 법률 제12041호 「법원조직법」 일부개정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률에 따라 2014년 1월 1일 사법정책연구원이 정식으로 발족했으며, 정식 개원은 3월 10일에 이루어졌다.[7]
4. 조직
4. 1. 원장
4. 2. 수석연구위원
사법정책연구원에는 연구기획실, 미래사법·통일사법센터, 해외사법센터, 통합사법·법교육센터, 사법제도센터, 사무국이 있다.[9] 사무국에는 총무과와 연구지원과가 있다.[10]5. 산하 위원회
참조
[1]
서적
2021 사법정책연구원 연간보고서
https://policy.nl.go[...]
사법정책연구원
2023-01-23
[2]
법률
법원조직법 제76조의3제1항
[3]
법률
[4]
뉴스
주목되는 사법부 개혁 전망 권위회복·제도개혁 중점둘듯
http://newslibrary.n[...]
2018-04-13
[5]
뉴스
밑그림 드러난「司法府개혁」
http://newslibrary.n[...]
2018-04-13
[6]
뉴스
사법연구원 설립 재추진
http://www.fnnews.co[...]
2018-04-13
[7]
뉴스
'사법부 정책설계 싱크탱크' 사법정책연구원 출범
https://news.naver.c[...]
2018-04-13
[8]
법률
[9]
법률
[10]
법률
[11]
법률
법원조직법 제76조의6제1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5월26일 알림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형사7부…향후 기일 지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