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승은 동한 말기, 삼국 시대에 활동한 학자이자 관료이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기억력이 뛰어나, 한 번 본 것은 잊지 않았으며, 특히 후한 역사에 해박했다. 오관낭중, 장사동부도위, 무릉태수를 역임했으며, 저서로 《후한서》 130권과 《회계선현전》 7권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소실되었다. 그의 저술은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그의 가문은 동한 시대에 걸쳐 명성을 떨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계 사씨 - 사정 (동오)
사정(동오)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수로, 형주 공방전과 이릉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장포에게 패배하여 사망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동오 사람 - 시삭
시삭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무위사로, 손침의 모반을 고발하고 제거 계획에 참여했으며, 손침 제거 후 그의 일족 처형에 협력했고 그의 아들 시참은 진나라의 도교 도사였다. - 동오 사람 - 사광 (삼국지)
사광은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으로, 사촌 사휘 등의 반란에 가담하지 않고 여대의 부탁으로 그들을 설득하여 항복시켰으나, 사휘 등은 처형되고 사광은 관직을 박탈당해 서민으로 강등되었다.
사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사승 (謝承) |
본관 | 회계군 산음현 (현재의 저장성 사오싱시) |
생년 | 182년 |
몰년 | 254년 |
자 | 위평 (偉平) |
아버지 | 사경 |
직업 | 관료 |
관직 경력 | |
오관랑중 (五官郎中) 임용 시기 | 210년경 |
장사 동부도위 (長沙東部都尉) 임명 시기 | 215년 이후 ~ 219년 |
무릉군태수 (武陵郡太守) 임명 시기 | 219년 이후 |
업적 | |
주요 저서 | 《회계기》(會稽記) 《오록》(吳錄) |
2. 생애
어려서부터 인자함과 효성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박학하고 견문이 넓어 한 번 듣고 안 것은 결코 잊지 않았다. 누이가 죽은 후 10여 년이 지나서 오관랑중(五官郎中)에 임명되었고, 장사 동부도위·무릉태수를 역임하였다.[38]
2. 1. 관직 생활
사승은 산음현(山陰縣) 출신으로, 현재 저장성 사오싱 시에 위치한 회계군 출신이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기억력이 뛰어나 배운 것을 절대 잊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4] 특히 후한의 역사에 대한 견문이 깊었다. 오군의 독우를 역임했다. 손권에게 시집간 누이인 사 부인이 사망한 지 십여 년 후, 오관랑중(五官郎中)에 임명되었고, 이윽고 장사 동부도위·무릉태수로 승진했다.[2]215년 손-유 영토 분쟁이 형주에서 해결된 후, 사승은 동장사(東長沙) 도위(都尉)로 승진했으며,[2] 여몽이 219년 형주를 정복한 후에는 무릉군의 태수가 되었다.[2]
2. 2. 역사 연구 및 저술 활동
사승은 100여 권에 달하는 《후한서》(後漢書)를 저술했다.[38] 이는 기록으로 남은 후한서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8가후한서 중 하나로 꼽힌다. 다른 8가후한서와 마찬가지로 범엽이 《후한서》를 지은 후 소실되었다. 그는 또한 《회계선현전》(會稽先賢傳) 7권을 저술했으나,[39] 이 역시 소실되었다.사승은 오나라가 한나라의 후계자임을 주장하며, 아버지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29] 동한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100권이 넘는 《후한서》를 저술했다.[4] 이 책은 당나라 시대까지 온전하게 보존되었지만, 현재는 단편만 남아있다. 라페 데 크레스피니는 이 책을 후한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평가했다.[6][7][8]
사승의 저서는 배송지가 삼국지의 주석에 사용했으며, 왕광에게 처형된 호목반의 운명,[9] 왕광에 대한 기록,[10] 조유의 생애,[11] 오부의 동탁 암살 실패,[12] 노강에 대한 짧은 전기,[13] 노기,[13] 주유,[14] 장홍과 같은 유명 관리들의 아버지나 남자 조상에 대한 기록을 제공한다.[15]
또한, 범엽의 《후한서(後漢書)》,[16] 사마광의 자치통감,[17] 한스 빌렌슈타인의 로양과 한 시대의 관료 제도,[18][19][20] 라페 데 크레스피니의 《통감》 해설에서 정기적으로 인용되었으며,[21] 리처드 B. 매더에 의해 자료로 사용되었다.[22]
그러나 그의 모든 작품이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데 크레스피니는 왕광의 죽음에 대한 내용[23]과 호목반에 대한 기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24] 채옹과 왕윤이 채옹의 죽음 전에 나눈 대화에 대한 그의 기록[25]은 사마광[19]과 마이클 로위에 의해 받아들여졌지만, 배송지는 터무니없고 거짓이라고 일축했으며,[27] 데 크레스피니는 이를 이상하다고 언급했다.[28]
사승은 박학하고 견문이 넓어, 한 번 보고 알게 된 것은 일생 동안 잊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후한의 역사에 대한 견문이 깊었다. 저서로 『후한서』 130권[37], 『회계선현전』 7권이 있었지만, 모두 흩어져 없어졌다. 중화민국의 루쉰은, 『태평어람』에서 사승의 부분을 발췌하여, 1권 상당 분량을 복원했다.
3. 가계
사승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29][30][31][32][33][3][34][35]
관계 | 이름 | 설명 |
---|---|---|
아버지 | 사경(謝煚) | 동한 시대에 상서랑(尙書郞)과 서현(徐縣)의 현령(令)을 지냈다. 어릴 때부터 훌륭한 도덕성과 총명함으로 알려졌다. |
숙부 | 사진(謝貞) | 법을 잘 지키고 학구적이며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동으로 유명했다. 효렴으로 추천되었고, 건창현(建昌縣)의 현장(長)을 지내다 임기 중에 사망했다. |
누나 | 사부인 | 동오의 창시자인 손권의 부인이었다. |
장남 | 사숭(謝崇) | 양위장군(揚威將軍)을 지냈다. |
차남 | 사욱(謝勗) | 오군의 태수(太守)를 지냈으며, 난정후(蘭亭侯)에 봉해졌다. |
참조
[1]
간행물
Remaking History: The Shu and Wu Perspective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ttps://www.jstor.or[...]
2016
[2]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3]
문서
Sanguozhi vol. 50
[4]
서적
T'sao T'sao and the Rise of Wei: The Early Years
Columbia University
[5]
서적
Generals Of The South: The Foundation And Early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tate Of Wu
[6]
문서
(後十餘年,弟承拜五官郎中,稍遷長沙東部都尉、武陵太守,撰後漢書百餘卷。) Sanguozhi vol. 50.
[7]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8]
문서
(會稽典錄曰:承字偉平,博學洽聞,嘗所知見,終身不忘。) Kuaiji Dian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0.
[9]
문서
(班,王匡之妹夫,董卓使班奉詔到河內,解釋義兵。匡受袁紹旨。收班繫獄,欲殺之以徇軍。班與匡書云:「自古以來,未有下土諸侯舉兵向京師者。劉向傳曰『擲鼠忌器』,器猶忌之,況卓今處宮闕之內,以天子為藩屏,幼主在宮,如何可討?僕與太傅馬公、太僕趙岐、少府陰脩俱受詔命。關東諸郡,雖實嫉卓,猶以銜奉王命,不敢玷辱。而足下獨囚僕于獄,欲以釁鼓,此悖暴無道之甚者也。僕與董卓有何親戚,義豈同惡?而足下張虎狼之口,吐長蛇之毒,恚卓遷怒,何甚酷哉!死,人之所難,然恥為狂夫所害。若亡者有靈,當訴足下於皇天。夫婚姻者禍福之機,今日著矣。曩為一體,今為血讎。亡人子二人,則君之甥,身沒之後,慎勿令臨僕尸骸也。」匡得書,抱班二子而泣。班遂死於獄。班嘗見太山府君及河伯,事在搜神記,語多不載。)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6.
[10]
문서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1.
[11]
문서
(昱年十三,母嘗病,經涉三月。昱慘戚消瘠,至目不交睫,握粟出卜,祈禱泣血,鄉黨稱其孝。就處士東莞綦毌君受公羊傳,兼該群業。至歷年潛志,不闚園圃,親疏希見其面。時入定省父母,須臾即還。高絜廉正,抱禮而立,清英儼恪,莫干其志;旌善以興化,殫邪以矯俗。州郡請召,常稱病不應。國相檀謨、陳遵共召,不起;或興盛怒,終不迴意。舉孝廉,除莒長,宣揚五教,政為國表。會黃巾作亂,陸梁五郡,郡縣發兵,以為先辦。徐州刺史巴祇表功第一,當受遷賞,昱深以為恥,委官還家。徐州牧陶謙初辟別駕從事,辭疾遜遁。謙重令揚州從事會稽吳範宣旨,昱守意不移;欲威以刑罰,然後乃起。舉茂才,遷廣陵太守。賊笮融從臨淮見討,迸入郡界,昱將兵拒戰,敗績見害。)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8.
[12]
문서
(伍孚字德瑜,少有大節,為郡門下書佐。其本邑長有罪,太守使孚出教,敕曹下督郵收之。孚不肯受教,伏地仰諫曰:「君雖不君,臣不可不臣,明府奈何令孚受教,敕外收本邑長乎?更乞授他吏。」太守奇而聽之。後大將軍何進辟為東曹屬,稍遷侍中、河南尹、越騎校尉。董卓作亂,百僚震慄。孚著小鎧,於朝服裏挾佩刀見卓,欲伺便刺殺之。語闋辭去,卓送至閤中,孚因出刀刺之。卓多力,退卻不中,即收孚。卓曰:「卿欲反邪?」孚大言曰:「汝非吾君,吾非汝臣,何反之有?汝亂國篡主,罪盈惡大,今是吾死日,故來誅姦賊耳,恨不車裂汝於市朝以謝天下。」遂殺孚)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6.
[13]
문서
(康字季寧,少惇孝悌,勤脩操行,太守李肅察孝廉。肅後坐事伏法,康斂尸送喪還潁川,行服,禮終,舉茂才,歷三郡太守,所在稱治,後拜廬江太守)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57.
[14]
문서
(景字仲嚮,少以廉能見稱,以明學察孝廉,辟公府。後為豫州刺史,辟汝南陳蕃為別駕,潁川李膺、荀緄、杜密、沛國朱寓為從事,皆天下英俊之士也。稍遷至尚書令,遂登太尉。)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54.
[15]
문서
(旻有幹事才,達於從政,為漢良吏。初從徐州從事辟司徒府,除盧奴令,冀州舉尤異,遷揚州刺史、丹楊太守。是時邊方有警,羌、胡出寇,三府舉能,遷旻匈奴中郎將。討賊有功,徵拜議郎,還京師。見太尉袁逢,逢問其西域諸國土地、風俗、人物、種數。旻具答言西域本三十六國,後分為五十五,稍散至百餘國;其國大小,道里近遠,人數多少,風俗燥濕,山川、草木、鳥獸、異物名種,不與中國同者,悉口陳其狀,手畫地形。逢奇其才,歎息言:「雖班固作西域傳,何以加此?」旻轉拜長水校尉,終太原太守。)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7.
[16]
서적
Emperor Huan and Ling Being the Chronicle of Later Han for the years 157 to 189 AD as recorded in Chapters 54 to 59 of the Zizhi tongjian of Sima Guang
[17]
서적
Emperor Huan and Ling Being the Chronicle of Later Han for the years 157 to 189 AD as recorded in Chapters 54 to 59 of the Zizhi tongjian of Sima Guang
[18]
서적
Emperor Huan and Ling Being the Chronicle of Later Han for the years 157 to 189 AD as recorded in Chapters 54 to 59 of the Zizhi tongjian of Sima Guang
[19]
서적
To Establish Peace Being the Chronicle of Later Han for the years 189 to 220 AD as recorded in Chapters 59 to 69 of the Zizhi tongjian of Sima Gua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
서적
The Bureaucracy of Han t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Emperor Huan and Ling Being the Chronicle of Later Han for the years 157 to 189 AD as recorded in Chapters 54 to 59 of the Zizhi tongjian of Sima Guang
[22]
서적
A New Account of Tales of the World (Shih-shuo Hsin-yü)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3]
서적
Imperial Warlord: A biography of Cao Cao 155-220 AD
Brill
2010-08-18
[24]
서적
To Establish Peace Being the Chronicle of Later Han for the years 189 to 220 AD as recorded in Chapters 59 to 69 of the Zizhi tongjian of Sima Gua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5]
문서
蔡邕在王允坐,聞卓死,有歎惜之音。允責邕曰:「卓,國之大賊,殺主殘臣,天地所不祐,人神所同疾。君為王臣,世受漢恩,國主危難,曾不倒戈,卓受天誅,而更嗟痛乎?」便使收付廷尉。邕謝允曰:「雖以不忠,猶識大義,古今安危,耳所厭聞,口所常玩,豈當背國而向卓也?狂瞽之詞,謬出患入,願黥首為刑以繼漢史。」公卿惜邕才,咸共諫允。允曰:「昔武帝不殺司馬遷,使作謗書,流於後世。方今國祚中衰,戎馬在郊,不可令佞臣執筆在幼主左右,後令吾徒並受謗議。」遂殺邕 Xie Cheng's Hou Han Shu in Sanguozhi vol.6.
[26]
간행물
Cai Yong 蔡邕: A Neglected Figure of Late Eastern Han
2002
[27]
문서
臣松之以為蔡邕雖為卓所親任,情必不黨。寧不知卓之姦凶,為天下所毒,聞其死亡,理無歎惜。縱復令然,不應反言于王允之坐。斯殆謝承之妄記也。史遷紀傳,博有奇功于世,而云王允謂孝武應早殺遷,此非識者之言。但遷為不隱孝武之失,直書其事耳,何謗之有乎?王允之忠正,可謂內省不疚者矣,既無懼于謗,且欲殺邕,當論邕應死與不,豈可慮其謗己而枉戮善人哉!此皆誣罔不通之甚者。Pei Songzhi commentary in Sanguozhi vol.6.
[28]
서적
Fire Over Luoyang A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23–220 AD
Brill
[29]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30]
문서
(父煚,漢尚書郎、徐令。) Sanguozhi vol. 50.
[31]
문서
(煚子承撰後漢書,稱煚幼以仁孝為行,明達有令才。) Pei Songzhi's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0.
[32]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33]
문서
(煚弟貞,履蹈法度,篤學尚義,舉孝廉,建昌長,卒官。) Pei Songzhi's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0.
[34]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Academic Publishers
[35]
문서
(子崇揚威將軍,崇弟勗吳郡太守,並知名。) Kuaiji Dian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0.
[36]
서적
『会稽後賢記』
[37]
문서
現代に残る[[范曄]]の『[[後漢書]]』とは別物。記録に残る後漢書の中で最も古い。
[38]
삼국지
삼국지 권50 비빈전
http://zh.wikisource[...]
[39]
신당서
신당서 권58 예문2
http://zh.wikisour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