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쓰마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쓰마국은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가고시마현에 해당한다. 702년 사쓰마·다네의 반란을 계기로 히우가국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시마즈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오스미국과 통합,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주요 특산물로는 고구마, 귤, 사쓰마 도자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쓰마국 - 가고시마성
    가고시마성은 1601년 시마즈 다다쓰네가 축성한 일본의 성으로, 사쓰마번의 도자마 다이묘의 거성으로 사용되었으며, 해안 인접과 재해로 소실과 재건을 반복하다 1874년 소실 후 재건되지 않고, 2006년 일본 100명성으로 선정되었다.
  • 사쓰마국 - 모리슨호 사건
    모리슨호 사건은 1837년 미국 상선 모리슨호가 일본인 표류민 송환과 통상, 포교를 위해 일본에 입항하려다 이국선 타격령에 의해 공격받은 사건으로, 쇄국 정책 비판과 미국의 대일 통상 압력, 반샤의 옥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 가고시마현의 역사 - 하야토
    하야토는 고대 일본 규슈 남부에 거주하며 야마토 정권에 저항했으나 복속 후 율령제 도입으로 소멸된 사람들을 지칭하며, 독특한 문화인 하야토마이가 유명했다.
  • 가고시마현의 역사 - 사쓰마번
    사쓰마번은 에도 시대 사쓰마국을 중심으로 시마즈 가문이 지배하며 류큐를 복속시켜 막대한 이익을 얻었고, 삿초 동맹을 주도하여 메이지 유신의 원동력이 된 번이다.
  • 사이카이도 - 히고국
    히고국은 7세기 중엽 히노쿠니에서 분할되어 성립된 일본의 옛 구니로, 현재의 구마모토현 대부분과 미야자키현 일부를 포함하며, 센고쿠 시대 일본 기독교의 중심지였고, 미야모토 무사시가 『오륜서』를 완성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사이카이도 - 부젠국
    부젠국은 규슈 북부에 위치했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후쿠오카현과 오이타현 일부 지역이며, 고분시대에는 豊国造와 宇佐国造가 다스렸고, 에도 시대에는 고쿠라번의 지배를 받았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후쿠오카현과 오이타현에 편입되었다.
사쓰마국
지도
1868년 일본의 지방 지도, 사쓰마 번이 강조됨
일본의 지방 지도 (1868년), 사쓰마 번 강조됨
기본 정보
공식 명칭사쓰마국
다른 이름사쓰슈
유형구니 (令制国)
소속사이카이도
위치가고시마현 서부
국력중국
거리원국
13군 35향
수도사쓰마군
국부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국분사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사쓰마 국분사 유적)
국분니사(추정)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이치노미야닛타 신사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히라키키 신사 (가고시마현 이부스키시)
로마자 표기Satsuma-no-Kuni
다른 로마자 표기Sasshū
한자 표기薩摩国
지역가고시마현
언어일본어
역사
설립 연도702년
폐지 연도1871년
이전 국가구니노미야쓰코 사쓰마 국의 미야쓰코
계승 국가가고시마현
통치
기타
관련 항목사쓰마 번
사쓰마 (전함)

2. 역사

사쓰마 도자기 차 보관 항아리(찻주전자) - 오동나무와 천둥 무늬, 에도 시대 후기, 1800년경~1850년경


『고사기』의 국가 생성 신화에서는 쓰쿠시 섬(큐슈)의 네 방면에 쓰쿠시국, 토요국, 히국, 쿠마소국이 보인다.[2]

고대 남큐슈는 『고사기』, 『일본서기』의 "히우가 신화"라고 불리는 신화의 무대가 되었다.[3] 이 신화에서, 아마테라스의 손자인 니니기가 다카치호에 강림하고( 천손강림), 그의 아들 호오리가 형 호데리를 벌했다는 내용과 형의 자손인 하야토가 지금도 천황을 섬긴다는 유래를 설명하며( 산코히코와 우미코히코), 호오리의 아들 우가야후키아에즈는 초대 천황인 카무야마토이와레비코(신무천황)의 아버지라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후에, 신무천황은 히우가에서 동정에 나서게 된다(신무동정).

현재, 이러한 히우가 신화는 역사적 사실 그대로라고는 생각되지 않으며, 그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특히 『고사기』, 『일본서기』가 성립될 때까지, 즉 7세기 후반부터 8세기 전반의 남큐슈에서의 하야토에 대한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지적된다.[3] 하야토가 이름을 드러내는 것은 덴무천황 시대부터이며, 7세기 말부터 8세기 전기에 4차례의 반란을 일으켰다.[3] 그리고 천황가에 의한 남큐슈 지배를 정당화하고, 하야토가 복속해야 할 이유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설명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4]

5세기의 린토쿠 천황 시대에는 하야토의 우두머리를 다시 직으로 삼았다고 한다(『국조본기』).

7세기 중기 이후 율령제의 성립과 함께, 현재의 가고시마현 본토 부분과 미야자키현을 포함한 광역에 히우가국이 성립되었다.[5]

다이호 2년(702년) 8월 1일에 일어난 사쓰마·다네의 반란을 계기로,[6] 현재의 가고시마현 본토 서부가 10월 3일까지 '''쇼코우'''국(쇼코우 = 하야히토[7]/하야토[8]/쇼코우[9])으로 분립된 것이 사쓰마국의 시작이다.[5] (히우가국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기 이전에는 이 지역은 '''아타'''(아다)라고 불렸다.)

쇼코우의 코우는 중국 한나라 시대에 병역에 종사하는 자를 코우솔이라고 불렀던 것에 유래하며, 쇼코우는 변방의 수비에 종사하는 것을 의미한다.[10]

국명은 다이호 4년(704년)에 전국의 국인을 주조했을 때까지 '''사쓰마'''국으로 개칭되었다.[11] 8세기 중반 이후의 불명확한 시점에 사쓰마국으로 개칭되었다.

7세기 말 단계에서 남큐슈에 (모두는 아니고, 듬성듬성) 평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것은 문무천황 3년(699년) 남큐슈와 큐슈 서부의 도서 지역 사람들이 뱍국사(뱍국사)를 모욕하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의평독인 의군현도 참가하고 있었다.

센고쿠 시대 동안 사쓰마는 가고시마 시에 있는 성에서 규슈 남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시마즈 가문의 다이묘 영지였다. 그들은 후에 서구로 널리 수출된 사쓰마 도자기의 초기 후원자들이었다.

시마즈씨

전투교전 세력
양로 4~5년 (720~721)하야토의 반란하야토족  vs.  야마토 정권
장덕 3년 (997)장덕의 침입남만인(고려인? 아마미오섬 사람?)  vs.  큐슈 전역의 연안 주민
응영 20년 (1413)이지인 요리히사의 난시마즈 히사토요  vs.  이지인 요리히사
덴쇼 15년 (1587)헤이사성 전투시마즈씨  vs.  도요토미 정권
분큐 3년 (1863)사쓰마-영국 전쟁사쓰마번  vs.  영국
메이지 10년 (1877)세이난 전쟁불평 사족  vs.  메이지 정부



1871년 봉건 영지의 폐지메이지 유신 이후 의 설치와 함께 사쓰마와 오스미는 합쳐져 결국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사쓰마는 19세기 중반 도쿠가와 막부에 반대하여 일어선 주요 지방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집권한 올리그는 사쓰마 지방 출신이 많았으며, 오쿠보 도시미치사이고 다카모리와 같은 지도자들이 주요 정부 직책을 맡았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메이지 유신의 핵심 주역으로, 근대 일본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개혁을 추진하여 일본의 근대화를 이끌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보여준 지도력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반면,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 유신 초기에는 오쿠보 도시미치와 함께 개혁을 주도했지만, 이후 정부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다. 이는 메이지 정부에 대한 명백한 반역 행위이며, 그의 행동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비록 그가 초기에 메이지 유신에 기여한 바는 있으나,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 점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전투교전 세력
분큐 3년 (1863)사쓰마-영국 전쟁사쓰마번  vs.  영국
메이지 10년 (1877)세이난 전쟁불평 사족  vs.  메이지 정부


2. 1. 고대



『고사기』의 국가 생성 신화에서는 쓰쿠시 섬(큐슈)의 네 방면에 쓰쿠시국, 토요국, 히국, 쿠마소국이 보인다.[2]

고대 남큐슈는 『고사기』, 『일본서기』의 "히우가 신화"라고 불리는 신화의 무대가 되었다.[3] 이 신화에서, 아마테라스의 손자인 니니기가 다카치호에 강림하고( 천손강림), 그의 아들 호오리가 형 호데리를 벌했다는 내용과 형의 자손인 하야토가 지금도 천황을 섬긴다는 유래를 설명하며( 산코히코와 우미코히코), 호오리의 아들 우가야후키아에즈는 초대 천황인 카무야마토이와레비코(신무천황)의 아버지라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후에, 신무천황은 히우가에서 동정에 나서게 된다(신무동정).

현재, 이러한 히우가 신화는 역사적 사실 그대로라고는 생각되지 않으며, 그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특히 『고사기』, 『일본서기』가 성립될 때까지, 즉 7세기 후반부터 8세기 전반의 남큐슈에서의 하야토에 대한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지적된다.[3] 하야토가 이름을 드러내는 것은 덴무천황 시대부터이며, 7세기 말부터 8세기 전기에 4차례의 반란을 일으켰다.[3] 그리고 천황가에 의한 남큐슈 지배를 정당화하고, 하야토가 복속해야 할 이유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설명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4]

5세기의 린토쿠 천황 시대에는 하야토의 우두머리를 다시 직으로 삼았다고 한다(『국조본기』).

7세기 중기 이후 율령제의 성립과 함께, 현재의 가고시마현 본토 부분과 미야자키현을 포함한 광역에 히우가국이 성립되었다.[5]

다이호 2년(702년) 8월 1일에 일어난 사쓰마·다네의 반란을 계기로,[6] 현재의 가고시마현 본토 서부가 10월 3일까지 '''쇼코우'''국(쇼코우 = 하야히토[7]/하야토[8]/쇼코우[9])으로 분립된 것이 사쓰마국의 시작이다.[5] (히우가국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기 이전에는 이 지역은 '''아타'''(아다)라고 불렸다.)

쇼코우의 코우는 중국 한나라 시대에 병역에 종사하는 자를 코우솔이라고 불렀던 것에 유래하며, 쇼코우는 변방의 수비에 종사하는 것을 의미한다.[10]

국명은 다이호 4년(704년)에 전국의 국인을 주조했을 때까지 '''사쓰마'''국으로 개칭되었다.[11] 8세기 중반 이후의 불명확한 시점에 사쓰마국으로 개칭되었다.

7세기 말 단계에서 남큐슈에 (모두는 아니고, 듬성듬성) 평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것은 문무천황 3년(699년) 남큐슈와 큐슈 서부의 도서 지역 사람들이 뱍국사(뱍국사)를 모욕하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의평독인 의군현도 참가하고 있었다.

2. 1. 1. 히우가 신화와 하야토

히우가 신화와 하야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사쓰마국 페이지의 해당 섹션은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summary`)만으로는 구체적인 내용 구성 및 위키텍스트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2. 2. 중세



사쓰마의 지방 수도는 사쓰마센다이였다. 센고쿠 시대 동안 사쓰마는 가고시마 시에 있는 성에서 규슈 남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시마즈 가문의 다이묘의 영지였다. 그들은 후에 서구로 널리 수출된 사쓰마 도자기의 초기 후원자들이었다.

### 가마쿠라 막부

### 무로마치 막부

  • 1333년 ~ 1363년: 시마즈 사다히사(島津貞久)
  • 1336년 ~ 1342년: 아소 코레토키(阿蘇惟時)
  • 1363년 ~ 1366년: 시마즈 모로히사(島津師久)
  • 1366년 ~ 1376년: 시마즈 이에히사(島津伊久)
  • 1376년 ~ ?: 이마가와 사다요시(今川貞世)
  • 1393년 ~ 1411년: 시마즈 모토히사(島津元久)
  • 1411년 ~ 1425년: 시마즈 히사토요(島津久豊)
  • 1425년 ~ 1470년: 시마즈 타다쿠니(島津忠国)
  • 1470년 ~ 1474년: 시마즈 타테히사(島津立久)
  • 1474년 ~ 1507년: 시마즈 타다마사(島津忠昌)
  • 1507년 ~ 1515년: 시마즈 타다하루(島津忠治)
  • 1515년 ~ 1519년: 시마즈 타다타카(島津忠隆)
  • 1519년 ~ 1527년: 시마즈 카츠히사(島津勝久)
  • 1527년 ~ 1566년: 시마즈 타카히사(島津貴久)
  • 1566년 ~ 1602년: 시마즈 요시히사(島津義久)

2. 2. 1. 가마쿠라 막부

2. 2. 2. 무로마치 막부


  • 1333년 ~ 1363년: 시마즈 사다히사(島津貞久)
  • 1336년 ~ 1342년: 아소 코레토키(阿蘇惟時)
  • 1363년 ~ 1366년: 시마즈 모로히사(島津師久)
  • 1366년 ~ 1376년: 시마즈 이에히사(島津伊久)
  • 1376년 ~ ?: 이마가와 사다요시(今川貞世)
  • 1393년 ~ 1411년: 시마즈 모토히사(島津元久)
  • 1411년 ~ 1425년: 시마즈 히사토요(島津久豊)
  • 1425년 ~ 1470년: 시마즈 타다쿠니(島津忠国)
  • 1470년 ~ 1474년: 시마즈 타테히사(島津立久)
  • 1474년 ~ 1507년: 시마즈 타다마사(島津忠昌)
  • 1507년 ~ 1515년: 시마즈 타다하루(島津忠治)
  • 1515년 ~ 1519년: 시마즈 타다타카(島津忠隆)
  • 1519년 ~ 1527년: 시마즈 카츠히사(島津勝久)
  • 1527년 ~ 1566년: 시마즈 타카히사(島津貴久)
  • 1566년 ~ 1602년: 시마즈 요시히사(島津義久)

2. 3. 근세



센고쿠 시대 동안 사쓰마는 가고시마 시에 있는 성에서 규슈 남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시마즈 가문의 다이묘 영지였다. 그들은 후에 서구로 널리 수출된 사쓰마 도자기의 초기 후원자들이었다.

시마즈씨

전투교전 세력
양로 4~5년 (720~721)하야토의 반란하야토족  vs.  야마토 정권
장덕 3년 (997)장덕의 침입남만인(고려인? 아마미오섬 사람?)  vs.  큐슈 전역의 연안 주민
응영 20년 (1413)이지인 요리히사의 난시마즈 히사토요  vs.  이지인 요리히사
덴쇼 15년 (1587)헤이사성 전투시마즈씨  vs.  도요토미 정권
분큐 3년 (1863)사쓰마-영국 전쟁사쓰마번  vs.  영국
메이지 10년 (1877)세이난 전쟁불평 사족  vs.  메이지 정부


2. 3. 1.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 동안 사쓰마는 가고시마 시에 있는 성에서 규슈 남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시마즈 가문의 다이묘 영지였다. 그들은 후에 서구로 널리 수출된 사쓰마 도자기의 초기 후원자들이었다.

시마즈씨

전투교전 세력
양로 4~5년 (720~721)하야토의 반란하야토족  vs.  야마토 정권
장덕 3년 (997)장덕의 침입남만인(고려인? 아마미오섬 사람?)  vs.  큐슈 전역의 연안 주민
응영 20년 (1413)이지인 요리히사의 난시마즈 히사토요  vs.  이지인 요리히사
덴쇼 15년 (1587)헤이사성 전투시마즈씨  vs.  도요토미 정권
분큐 3년 (1863)사쓰마-영국 전쟁사쓰마번  vs.  영국
메이지 10년 (1877)세이난 전쟁불평 사족  vs.  메이지 정부


2. 4. 근대

1871년 봉건 영지의 폐지메이지 유신 이후 의 설치와 함께 사쓰마와 오스미는 합쳐져 결국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사쓰마는 19세기 중반 도쿠가와 막부에 반대하여 일어선 주요 지방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집권한 올리그는 사쓰마 지방 출신이 많았으며, 오쿠보 도시미치사이고 다카모리와 같은 지도자들이 주요 정부 직책을 맡았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메이지 유신의 핵심 주역으로, 근대 일본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개혁을 추진하여 일본의 근대화를 이끌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보여준 지도력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반면,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 유신 초기에는 오쿠보 도시미치와 함께 개혁을 주도했지만, 이후 정부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다. 이는 메이지 정부에 대한 명백한 반역 행위이며, 그의 행동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비록 그가 초기에 메이지 유신에 기여한 바는 있으나,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 점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전투교전 세력
분큐 3년 (1863)사쓰마-영국 전쟁사쓰마번 vs. 영국
메이지 10년 (1877)세이난 전쟁불평 사족 vs. 메이지 정부


2. 4. 1. 메이지 유신과 사쓰마

1871년 봉건 영지의 폐지메이지 유신 이후 의 설치와 함께 사쓰마와 오스미는 합쳐져 결국 가고시마 현이 되었다.

사쓰마는 19세기 중반 도쿠가와 막부에 반대하여 일어선 주요 지방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집권한 올리그는 사쓰마 지방 출신이 많았으며, 오쿠보 도시미치사이고 다카모리와 같은 지도자들이 주요 정부 직책을 맡았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메이지 유신의 핵심 주역으로, 근대 일본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개혁을 추진하여 일본의 근대화를 이끌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보여준 지도력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반면,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 유신 초기에는 오쿠보 도시미치와 함께 개혁을 주도했지만, 이후 정부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다. 이는 메이지 정부에 대한 명백한 반역 행위이며, 그의 행동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비록 그가 초기에 메이지 유신에 기여한 바는 있으나,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 점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전투교전 세력
분큐 3년 (1863)사쓰마-영국 전쟁사쓰마번  vs.  영국
메이지 10년 (1877)세이난 전쟁불평 사족  vs.  메이지 정부


3. 영역

메이지 유신 직전 사쓰마국의 영역은 현재의 가고시마현 아래 지역에 해당한다. 현재 주민의 과반수는 가고시마시에 집중되어 있다.



참고로, 현재의 데스이군 나가시마정(나가시마·이카라섬·모로우라섬·시시섬)은 무로마치 시대 후기까지 히고국아마쿠사군에 속해 있었으나, 1565년(에이로쿠 8년)부터 1581년(텐쇼 9년)에 걸쳐 시마즈씨의 여러 차례 침공을 받아 세력 하에 들어가 사쓰마국 데스이군에 속하게 되었다.

사쓰마국에는 이즈미군, 다키군, 사쓰마군, 이사군, 고시키지마군, 히오키군, 이자쿠군, 아타군, 다니야마군, 가와나베군, 기이레군, 이부스키군, 에이군, 가고시마군이 있었다.

고조군(高城郡)에는 사쓰마 국(薩摩国)의 국부(国府)가 설치되었고, 그 북쪽의 이즈미군과 함께 히고국(肥後国)으로부터 계획적으로 이주가 진행되어, 하야토(隼人)에 대한 중앙 정부의 최전선이 되었다. 720년 (요로 4년) 오스미국(大隅国)에서 일어난 하야토의 반란(隼人の反乱)에 있어서는, 이들 두 군이 보급 기지가 되었다. 735년 (텐표 8년)의 『사쓰마국 정세장(薩摩国正税帳)』에서는 "이즈미·고성 이외에 하야토 11군"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아래 14군 중 이사군을 제외한 13군이 존재했고, 앞의 두 군을 제외한 나머지는 하야토가 다스리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약 200년 후인 10세기의 『와묘초(和名抄)』에 따르면, 사쓰마국은 13군 35향으로 구성되었다. 근세(近世) 초기에 이사군이 성립하여 사쓰마국은 14군이 되었다.

1896년 3월 29일, 아타군은 히오키군에 통합되었고, 에이군은 기이레군 일부와 함께 이부스키군에 통합되었다. 히오키군은 아타군을 흡수했고, 이부스키군은 에이군과 기이레군 일부를 흡수했다. 기타이사군은 오스미국의 히시카리군과 합쳐져 이사군이 되었고, 미나미이사군은 고시키지마군과 다키군과 함께 사쓰마군에 통합되었다. 이자쿠군은 메이지 시대 이전에 아타군에 통합되었다. 가고시마군은 오스미국 기타오스미군과 타니야마군을 흡수했고, 가와나베군은 기이레군의 나머지 지역(치란 마을)을 흡수했다. 고시키지마군은 미나미이사군과 타키군과 함께 사쓰마군에 통합되었고, 기이레군은 가와나베군과 이부스키군에 분할 통합되었다. 사쓰마군은 고시키지마군, 미나미이사군, 타키군을 흡수했고, 타키군은 고시키지마군과 미나미이사군과 함께 사쓰마군에 통합되었다. 타니야마군은 오스미국 기타오스미군과 함께 가고시마군에 통합되었다.

3. 1. 군(郡)

사쓰마국에는 이즈미군(出水郡), (高城郡), 사쓰마군(薩摩郡), (伊佐郡), (甑島郡), (日置郡), 이자쿠 군(伊作郡), (阿多郡), (谿山郡), (河辺郡), (給黎郡), (揖宿郡), (頴娃郡), 가고시마군(鹿児島郡)이 있었다.

고조군(高城郡)에는 사쓰마 국(薩摩国)의 국부(国府)가 설치되었고, 그 북쪽의 이즈미군(出水郡)과 함께 히고국(肥後国)으로부터 계획적으로 이주가 진행되어, 하야토(隼人)에 대한 중앙 정부의 최전선이 되었다. 양로(養老) 4년(720년)의 오스미국(大隅国)에서 일어난 하야토의 반란(隼人の反乱)에 있어서는, 이들 두 군이 보급 기지가 되었다. 천평(天平) 8년(735년)의 『사쓰마국 정세장(薩摩国正税帳)』에서는 "이즈미·고성 이외에 하야토 11군"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아래 14군 중 이사군(伊佐郡)을 제외한 13군이 존재했고, 앞의 두 군을 제외한 나머지는 하야토가 다스리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약 200년 후인 10세기의 『와명초(和名抄)』에 따르면, 사쓰마국은 13군 35향으로 구성되었다. 근세(近世) 초기에 이사군(伊佐郡)이 성립하여 사쓰마국은 14군이 되었다.

1896년 3월 29일, 아타군(阿多郡)은 히오키군(日置郡)에 통합되었고, 에이군(頴娃郡)은 기이레군(給黎郡) 일부와 함께 이부스키군(揖宿郡)에 통합되었다. 히오키군(日置郡)은 아타군(阿多郡)을 흡수했고, 이부스키군(揖宿郡)은 에이군(頴娃郡)과 기이레군(給黎郡) 일부를 흡수했다. 기타이사군(北伊佐郡)은 오스미국의 히시카리군(菱刈郡)과 합쳐져 이사군(伊佐郡)이 되었고, 미나미이사군(南伊佐郡)은 고시키지마군(甑島郡)과 다키군(高城郡)과 함께 사쓰마군(薩摩郡)에 통합되었다. 이자쿠군(伊作郡)은 메이지 시대 이전에 아타군(阿多郡)에 통합되었다. 가고시마군(鹿児島郡)은 오스미국 기타오스미군(北大隅郡)과 타니야마군(谿山郡)을 흡수했고, 가와나베군(川辺郡)은 기이레군(給黎郡)의 나머지 지역(치란 마을)을 흡수했다. 고시키지마군(甑島郡)은 미나미이사군(南伊佐郡)과 타키군(高城郡)과 함께 사쓰마군(薩摩郡)에 통합되었고, 기이레군(給黎郡)은 가와나베군(川辺郡)과 이부스키군(揖宿郡)에 분할 통합되었다. 사쓰마군(薩摩郡)은 고시키지마군(甑島郡), 미나미이사군(南伊佐郡), 타키군(高城郡)을 흡수했고, 타키군(高城郡)은 고시키지마군(甑島郡)과 미나미이사군(南伊佐郡)과 함께 사쓰마군(薩摩郡)에 통합되었다. 타니야마군(谿山郡)은 오스미국 기타오스미군(北大隅郡)과 함께 가고시마군(鹿児島郡)에 통합되었다.

4. 시설

4. 1. 국부(国府)

국부는 『와명초』, 『색엽자류초』, 『습개초』, 역림본의 『절용집』 어느 것에도 기록이 없다.

현재 가고시마시의 다이엔, 이시바시마 부근으로 추정된다. 초기 조사는 가와내 고등학교의 히라타 노부요시 교사와 향토사 연구부 학생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964년 (쇼와 39년)에 이 고등학교가 관련 유적을 발견했다. 국가의 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4. 2. 국분사(国分寺)·국분니사(国分尼寺)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고분지정에 사쓰마 국분사(薩摩国分寺)터가 있다.

4. 3. 신사(神社)

延喜式神名帳』에는 다음과 같이 소사(小社) 2좌(座) 2사(社)가 기재되어 있다(「사쓰마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대사(大社)는 없다.

  • 에이와군 마이문신사(이부스키시)
  • 데즈미군 가시쿠리신사(데즈미시)


총사(総社)는 불명이지만, 신다신사 경외말사(境外末社)인 구루모리공신사(久留守公神社)로 보는 설이 있다. 일궁(一宮)은 '''신다신사'''(사쓰마가와나시)이며, 식외사(式外社)이다. 국부(国府) 근처에 있었다.

원래의 일궁은 마이문신사였다.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무렵부터 신다신사가 부상하여 마이문신사와 일궁의 자리를 다투게 되었고,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무렵에 수호 시마즈씨(島津氏)의 힘을 배경으로 신다신사가 일궁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 정해진 사격(社格)도 신다신사 쪽이 더 높다. 일본 전국의 일궁이 가맹하는 「전국 일궁회」에는 두 신사 모두 가맹하고 있다.

이궁(二宮)은 불명이지만, 가시쿠리신사(加紫久利神社)가 이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삼궁(三宮) 이하는 존재하지 않는다.

4. 3. 1. 엔기시키(延喜式) 내 신사

延喜式神名帳』에는 다음과 같이 소사(小社) 2좌(座) 2사(社)가 기재되어 있다(「사쓰마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대사(大社)는 없다.

  • 에이와군 마이문신사(이부스키시)
  • 데즈미군 가시쿠리신사(데즈미시)


총사(総社)는 불명이지만, 신다신사 경외말사(境外末社)인 구루모리공신사(久留守公神社)로 보는 설이 있다. 일궁(一宮)은 '''신다신사'''(사쓰마가와나시)이며, 식외사(式外社)이다. 국부(国府) 근처에 있었다.

원래의 일궁은 마이문신사였다.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무렵부터 신다신사가 부상하여 마이문신사와 일궁의 자리를 다투게 되었고,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무렵에 수호 시마즈씨(島津氏)의 힘을 배경으로 신다신사가 일궁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 정해진 사격(社格)도 신다신사 쪽이 더 높다. 일본 전국의 일궁이 가맹하는 「전국 일궁회」에는 두 신사 모두 가맹하고 있다.

이궁(二宮)은 불명이지만, 가시쿠리신사(加紫久利神社)가 이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삼궁(三宮) 이하는 존재하지 않는다.

4. 3. 2. 총사(総社)·일궁(一宮)

『연희식신명장』에는 소사 2좌 2사가 기재되어 있다. 대사는 없다.("사쓰마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 에이와군 마이문신사 (이부스키시)
  • 데즈미군 카시쿠리신사 (데즈미시)


총사는 불명이나, 신다신사 경외말사인 구루모리공신사로 보는 설이 있다.

일궁은 '''신다신사'''(사쓰마가와나시)이며, 식외사이다. 국부 근처에 있었다.

원래의 일궁은 마이문신사였다. 가마쿠라 시대 무렵부터 신다신사가 부상하여 마이문신사와 일궁의 자리를 다투게 되었고,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 무렵에 수호 시마즈씨의 힘을 배경으로 신다신사가 일궁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정해진 사격도 신다신사 쪽이 더 높다. 일본 전국의 일궁이 가맹하는 「전국 일궁회」에는 두 신사 모두 가맹하고 있다.

이궁은 불명이지만, 카시쿠리신사가 이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삼궁 이하는 존재하지 않는다.

4. 4. 안국사(安国寺)·이생탑(利生塔)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중향정에 안국사와 안국사 터가 있다.

5. 인물

5. 1. 국사(国司)

사쓰마 국의 역대 국사(国司) 목록은 사쓰마(薩摩) 국司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특산물

사쓰마는 고구마(薩摩芋, 사쓰마이모) 생산으로 유명하다. 사쓰마 귤('미칸')은 사쓰마가 원산지는 아니지만 메이지 시대에 이 지방을 통해 서구로 수입되었다. 센고쿠 시대에 규슈 남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시마즈 가문은 사쓰마 도자기의 초기 후원자였으며, 이는 후에 서구로 널리 수출되었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005
[2] 문서 古事記神代記
[3] 서적 日本歴史地名大系 宮崎県の地名 平凡社
[4] 서적 日本歴史地名大系 宮崎県の地名 平凡社
[5] 서적 続日本紀
[6] 서적 続日本紀
[7] 백과사전 薩摩国 平凡社, 講談社, 吉川弘文館
[8] 백과사전 九州地方 講談社
[9] 서적 日本歴史地名大系 47 鹿児島県の地名 平凡社
[10] 서적 続日本紀
[11] 논문 律令制国名表記の成立 塙書房 2001
[12] 문서 薩摩国編入 1897
[13] 문서 桜島薩摩国編入 1897
[14] 문서 郡移管と変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