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모에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모에 토너먼트는 1:1 인기 투표 방식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토너먼트이다. 더 많은 득표를 얻은 캐릭터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며, 투표는 특정 기호로 후보 캐릭터를 감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선거 운동을 통해 후보를 응원할 수 있으며, 다중 투표를 방지하기 위한 코드 사용이 일반적이다. 2001년 10월 14일 잎・열쇠 게시판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게시판과 대상을 대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애니메이션 관련 토너먼트는 매년 개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채널 - 니시무라 히로유키
니시무라 히로유키는 일본의 2ch(현 5ch) 게시판 개설자이자 4chan 소유주로, 일본 인터넷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법적 분쟁과 운영권 분쟁을 겪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방송과 저술 활동을 하는 인플루언서이다. - 2채널 - 8chan
8chan은 2013년 프레드릭 브레넌이 언론의 자유를 내세워 만든 익명 이미지 게시판으로, 극단주의 콘텐츠와 여러 사건에 연루되어 논란이 되었으며, 2019년 8kun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나 서비스 지원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모에 - 콤프 H's
콤프 H's는 《컴프티크》의 자매지로,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와 《러키☆스타》 관련 기사에 집중했던 부정기 간행 잡지이며, 각 호의 표지는 주로 해당 작품의 등장인물들이 장식했고 성우 관련 코너를 많이 다룬 것이 특징이다. - 모에 - 달이 내린 산기슭
달이 내린 산기슭은 태백산지 지역의 실제 지형과 조선 누층군 같은 지질학적 특징을 배경으로 지질학자와 지층의 정령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풀어내는 웹툰이다.
사이모에 토너먼트 | |
---|---|
개요 | |
이름 | 최모에 토너먼트 (最萌トーナメント) |
로마자 표기 | Saimoe Tōnamento |
약칭 | 최모에 (最萌) |
유형 | 인터넷 포럼 기반 온라인 토너먼트 |
목적 | 가장 "귀여운" 여성 캐릭터 결정 |
특징 | 2채널 (2ch)에서 시작 토너먼트의 "메카"로 간주됨 |
역사 | |
시작 | 2002년 |
초기 | 잎키 게시판 최모에 토너먼트 (葉鍵板最萌トーナメント) |
발전 | 애니메이션 최모에 토너먼트 (アニメ最萌トーナメント) |
영향 | 유사 토너먼트 다수 파생 |
특징 | |
진행 방식 | 온라인 투표 |
참가 자격 | 여성 캐릭터 (주로 애니메이션, 만화, 비디오 게임 등) |
경쟁 요소 | 캐릭터의 "모에" 속성 |
커뮤니티 | 참가자 간의 경쟁 팬덤 형성 |
영향 | |
파생 토너먼트 | 유사한 컨셉의 다양한 토너먼트 탄생 |
커뮤니티 문화 |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에 영향 |
2. 규칙
기본적으로 모든 경기는 1:1 인기투표로 진행되며, 더 많은 표를 얻은 쪽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승자 생존 토너먼트 방식이다. 승패 결정 방식은 소선거구제와 유사하다.
참가자가 많을 경우 예선을 거치기도 한다. 예선 방식은 대회마다 세부적으로 다르지만, 특정 선수에게 유리한 시드 제도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일부 예외가 존재한다.[3]) 예선은 보통 대선거구제 또는 중선거구제 방식으로 치러지며, 후보자가 많을 경우 연기 투표가 허용되기도 한다(주로 제한 연기제). 표가 남아도 다른 후보에게 넘겨줄 수는 없다. 비례 대표제가 도입된 사례도 있으나[4], 실제 선거의 비례대표제와는 차이가 있었다.[2][3] 예를 들어, 2010년 파이어 엠블렘 최애 토너먼트에서는 개인표를 소속 대륙별로 집계하여 돈트 방식으로 비례 의석을 배분하고, 예선 탈락자 중 석패율 순으로 부활시키는 중복 입후보 제도와 유사한 방식이 시도되었다.[4]
투표는 한 사람당 한 표만 행사할 수 있다(1인 1표). 지정된 스레드에 후보의 이름을 보통 반각 부등호 기호(`<< >>`) 2개로 감싼 내용을 포함하여 게시(레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게시글에는 호스트명과 날짜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ID가 부여되며, 이를 통해 당일 투표자를 구분한다.
투표자의 자격에는 원칙적으로 제한이 없다(보통 선거). 다만, Leaf,key 게시판처럼 게시판 열람 자체에 연령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어 실질적인 연령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PINK채널과 같이 연령 확인 및 인증 수단이 없어 강제력을 가진 연령 제한은 없다고 보기도 한다.)
경기 시간(투표 시간)은 대회마다 다르나, 보통 특정 시간대(예: 00:00:00 ~ 23:00:59 또는 01:00:00 ~ 23:00:59)에 투표된 표만 유효하다. ID가 날짜별로 바뀌기 때문에 경기는 하루 안에 완료되어야 한다. 경기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1대1이 아닌 3명 이상이 겨루거나, 하루에 여러 경기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도 많다.
동일한 득표수로 비겼을 경우, 양쪽 모두 승리로 처리하여 다음 라운드에 함께 진출한다. 이 경우 다음 라운드는 다른 승자와 함께 3자 대결 형식으로 진행된다. 단, 0표 대 0표로 비긴 경우는 양쪽 모두 패배로 처리한다.
결승전에서 동점으로 비겼을 경우, 공동 우승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예: 2003년 '제1회 주간 소년 점프 여성 캐릭터 최애'[3], 2011년 '제4회 만화 최애 토너먼트'[3]) 만약 결승전에서 0표 대 0표로 비기면 양쪽 모두 패배이므로 우승자 없음으로 처리된다. (예: 2002년 최모에 토너먼트)
프록시 등을 이용한 다중 투표를 방지하기 위해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채널의 특성상 ID 변경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프록시 체크 기능 등이 강화된 외부 CGI 페이지에서 발급받은 문자열(코드)을 투표 게시글에 첨부해야 유효표로 인정하는 방식이다.
2002년 2월 11일에 발생한 게시판 서버 접속 장애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시간 이상 서버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 해당 경기를 무효 경기로 하고 추후 재경기를 치르는 규칙이 추가되었다.
상대방에 대한 중상모략 등은 금지된다. 같은 날 여러 경기가 동시에 진행될 때 발생하는 연기 투표에 관한 규칙은 별도로 존재한다.
2. 1. 선거 운동
경기 시간 내에 후보자를 응원하는 '선거 운동(지원)'이 가능하다. 투표 스레드의 게시글에 후보 이름 외에 다른 글을 덧붙이거나, 투표가 아닌 응원 게시글을 작성하는 것도 허용된다. 텍스트, 아스키 아트,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URL을 글에 포함시켜 후보자를 응원할 수 있다. 투표 게시글 자체도 짧은 이야기(SS)나 아스키 아트 등을 이용해 응원 메시지로 활용할 수 있다.선거 운동은 초기에는 투표 스레드에서 이루어졌으나, 점차 지원 활동만을 위한 전용 스레드를 개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후보자의 '선거사무소 스레드'가 개설되면 그곳이 선거 운동의 중심지가 되기도 한다.
상대 후보에 대한 악의적인 게시글이나 중상모략 등은 금지된다.
3. 평가
쿠라사와 타케시는 『캐릭터 문화 입문』에서 "인터넷상의 무법지대라고도 불리는 2ch에서 자발적으로 토너먼트의 관리를 하는 익명의 참가자의 존재와 참가자를 규율하는 법의 자발적인 발생, 그리고 법이 기능하는 토너먼트가 10년 이상 계속되고 있는 것이 이례적"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4. 역사
2001년 10월 14일, 잎・열쇠 게시판에서 [http://game.2ch.net/leaf/kako/1002/10029/1002989438.html 잎・열쇠 게시판 최모에 토너먼트 개최!!!]라는 스레드가 세워졌고, 규칙이 정리된 10월 17일에 첫 번째 최모에 토너먼트가 시작되었다.
4. 1. 운영 방법의 변천
초기 토너먼트에서는 투표 대상을 명확히 하는 규칙이 없어, 여러 스레드에 흩어진 댓글에서 투표 대상을 일일이 찾아 수작업으로 집계해야 했다. 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었다.=== 집계 방법 ===
수작업 집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2001년 11월 3일, 투표 대상을 반각 기호 `<<>>`로 묶어 집계 대상을 명확히 하자는 규칙이 제안되어 채택되었다. 바로 다음 날인 11월 4일, leaf,key 게시판의 이용자 '린고'가 이 규칙에 맞춰 투표를 자동으로 집계하는 도구를 공개하면서 집계에 드는 수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같은 해 10월 19일에는 이용자 'gnuplot'이 집계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경기 경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투표 마감 직전 투표 수가 급증하는 현상 자체를 즐기는 문화도 생겨났다. 현재는 '대타 이름 없음%원 집계 ◆H0bbzpyf32'라는 이용자가 제작한 것을 기반으로 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0년에는 2채널과 PINK 채널의 게시물 규제가 강화되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용자가 늘어나자, 다른 게시판을 제2 투표소로 활용할 수 있는 집계 도구가 2010년 애니메이션 최모에에서 개발되기도 했다.
=== 코드 ===
토너먼트 참가자 규모가 커지면서 IP를 바꾸는 등의 방법으로 다중 투표를 하는 문제가 심각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1년 11월 19일, 이용자 '미츠게이헤이'가 외부 CGI 페이지에서 고유한 문자열(코드)을 발급받아 투표 시 첨부하도록 하는 '코드 발행소'를 시험 제작하여 공개했다. 코드가 첨부된 투표만 유효표로 인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코드 도입 초기에는 당시 인터넷 환경의 문제로 CATV나 ADSL 접속 이용자들이 코드를 발급받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논의가 있었다. 이 문제는 투표 시 자신의 접속 환경을 명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초기 코드는 다중 투표를 막는 기능이 부족했기 때문에, 다른 토너먼트 참가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기능이 개선되었다. 현재는 Perl을 기반으로 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형태로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동일한 규격의 코드 발행소를 개설할 수 있다.
코드 발행소 소프트웨어는 2011년 11월까지 전 애니메이션 뒷 최모에 주최자였던 '우라 최모에야 ◆URAmoeeQC2'가 유지보수를 담당했으나, 같은 해 열린 제4회 만화 최모에 토너먼트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4. 2. 토너먼트의 확대
잎 키보드 최강 귀여움 토너먼트의 성공은 인터넷 사용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이를 모방한 유사 토너먼트들이 생겨나는 계기가 되었다. 2001년 12월 25일 2채널(2ch)의 갸루게 게시판(ギャルゲ板)에서 '갸루게 게시판 최강 귀여움 토너먼트'가 열린 것이 시초였다. 토너먼트 표와 게시판만 있으면 비교적 쉽게 개최할 수 있다는 간편함 덕분에, 2ch의 다른 게시판이나 외부 게시판에서도 비슷한 이벤트가 확산되었다.2002년에는 '2ch 전 게시판 인기 토너먼트'가 개최되었으며, 이후 토너먼트의 주제는 더욱 다양해졌다. 초기에는 컴퓨터 게임이나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중심이었으나, 점차 아스키 아트, 철도, 버스, 국회의원, 사이타마현(현 내 자치체를 대상으로 함), 국가, 프로 야구 선수, 쇼기 기사, 성우 등 매우 폭넓은 대상을 주제로 토너먼트가 열리게 되었다.
4. 3. 정착과 미래
과거처럼 매일 토너먼트가 열리지는 않지만, 애니메이션 토너먼트는 매년 개최되는 행사로 자리를 잡았으며, 개최될 때마다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외에도 주간 소년 점프 토너먼트(이후 모든 만화를 대상으로 확대)나 RPG 토너먼트 등 여러 번 개최된 사례가 있다. 초기의 붐을 이끌었던 leaf, key 게시판에서는 다음 개최를 4년 후로 합의하여, 2005년에 제2회 잎열쇠판 최모에 토너먼트가 열렸다.2005년에는 제2회 전체 게시판 인기 토너먼트가, 2008년에는 제3회 전체 게시판 토너먼트가 개최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2011년에 제4회 전체 게시판 토너먼트가 예정되었으나,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개최가 미정 상태가 되었다. 대신 여러 게시판이 팀을 이루어 경쟁하는 '제1회 2ch 전체 게시판 팀 토너먼트'가 예선 없이 소규모로 개최되었다.
2013년 11월 시점까지, 여러 번 개최된 토너먼트에서 우승 경험자가 다시 우승한 사례는 없다. 반면, 여러 차례 준우승을 기록한 경우는 있다. 전체 게시판 토너먼트에서는 '모닝구무스메 (늑대) 게시판'이 제1회(2002년)와 제3회(2008년)에서 준우승했으며, '제1회 2ch 전체 게시판 팀 토너먼트'에서도 준우승 팀(Team01)에 속해 있었다. 애니메이션 최모에 토너먼트에서는 『하야테처럼!』의 캐릭터 산젠인 나기가 2007년과 2010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5. 역대 아니메 사이모에 토너먼트 우승자 및 준우승자
연도 | 우승 | 준우승 |
---|---|---|
2002 | 키노모토 사쿠라 (카드캡터 사쿠라) | 카스가 아유무 (오사카) (아즈망가 대왕) |
2003 | 하라다 리쿠 (D.N.ANGEL) | 하라 모토코 (건퍼레이드 마치) |
2004 | 로즈마리 애플필드 (내일의 나쟈) | 나쟈 애플필드 (내일의 나쟈) |
2005 | 타카마치 나노하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 소우세이세키 (로젠 메이든) |
2006 | 스이세이세키 (로젠 메이든 트로이멘트) | 페이트 테스타로사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A's) |
2006 우라 | 레인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Gyu) | 아사히나 미쿠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2007 | 후루데 리카 (쓰르라미 울 적에) | 산젠인 나기 (하야테처럼!) |
2008 | 히이라기 카가미 (러키☆스타) | 히이라기 츠카사 (러키☆스타) |
2009 | 아이사카 타이가 (토라도라!) | 히라사와 유이 (케이온!) |
2010 | 나카노 아즈사 (케이온!) | 산젠인 나기 (하야테처럼!) |
2011 | 토모에 마미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사쿠라 쿄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2012 | 온죠지 토키 (사키 아치카편) | 마츠미 쿠로 (사키 아치카편) |
2013 | 카나메 마도카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미키 사야카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6. 2ch 전판 인기 토너먼트
지금까지 세 차례 개최되었다.
7. 에로게 네타 & 업계 게시판 토너먼트
엽건반 최모에 토너먼트의 성공에 힘입어, 2채널의 에로게 네타 & 업계 게시판에서는 2000년에 전년도 최고의 에로게를 선정하는 기획이 시작되었다. 이후 2001년부터는 전년도 발매작을 대상으로 하는 '2ch 에로게 네타 & 업계 게시판 베스트 에로게 투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5], 이 투표에서 파생되어 게임 브랜드별, 캐릭터별 토너먼트도 개최되었다. 베스트 에로게 투표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매년 참가자들이 직접 투표 규칙을 정하고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6][7][8]
7. 1. 개요
2002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토너먼트이다. 애니메이션 최모에 토너먼트와 관련이 깊다.7. 2. 과거에 개최된 토너먼트
애니메이션 최모에 토너먼트엽건반 최모에 토너먼트의 성공에 힘입어, PINK 채널의 에로게 네타 & 업계 게시판에서 2000년에 전년도 베스트 에로게를 결정하는 기획이 진행되었다. 그 후, 2001년부터 그 전년에 발매된 작품을 대상으로 [5] 한 "2ch 에로게 네타 & 업계 게시판 베스트 에로게 투표"가 시작되었으며, 파생으로 브랜드별, 캐릭터별 토너먼트가 개최되었다. 베스트 에로게 투표는 현재도 개최되고 있으며, 레귤레이션을 그 해의 참가자에 의해 결정하고, 투표하는 스타일을 채택하고 있다 [6][7][8]。
대상 연도 | 우승 작품 (평가점제) | 우승 작품 (득표제) |
---|---|---|
1999년 | 미실시 | Kanon |
2000년 | 미실시 | 한없이 푸르른, 이 하늘 아래에서… |
2001년 | 미실시 | 네가 바라는 영원 |
2002년 | 미실시 | 울려라! 유포니엄 |
2003년 | CROSS†CHANNEL | 동일 |
2004년 | Fate/stay night | 동일 |
2005년 | Parfait ~쇼콜라 second brew~ | 츠요키스 |
2006년 | 전국 란스 | 동일 |
2007년 | 세계에서 제일 NG한 사랑 | 동일 |
2008년 | 스마가 | G선상의 마왕 |
2009년 | BALDR SKY Dive2 "RECORDARE" | 동일 |
2010년 | 멋진 나날들 ~불연속 존재~ | 동일 |
2011년 | WHITE ALBUM2 -closing chapter- | 동일 |
2012년 | 하츠유키 사쿠라 White Graduation | 동일 |
2013년 | 소녀 이론과 그 주변 -Ecole de Paris- | 동일 |
2014년 | 달에 다가서는 소녀의 작법2 | 동일 |
2015년 | 사쿠라노 시 -벚꽃 숲 위를 춤추다- | 동일 |
2016년 | Re:LieF〜사랑하는 당신에게〜 | Re:LieF〜사랑하는 당신에게〜 노라와 황녀와 방랑 고양이 하트 (동표) |
2017년 | 금색 라브리체 | 동일 |
2018년 | Rance X -결전- | 에로게 같은 섬에 사는 빈유는 어쩌면 좋을까요? |
8. 문제점
- 게임, 만화 등에서 사용된 소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 행위도 많아 문제시되고 있다. 저작권자 측에서 최모에에 직접 언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직접적인 언급이나 참가자 측의 접촉 사례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에로게 브랜드 최모에 토너먼트에서는 후보로 지명된 브랜드가 직접 지원 활동을 한 경우가 있었고(과거 토너먼트), 제2회 전판에서는 에반게리온판이 지원 소재 사용을 위해 저작권자인 가이낙스로부터 정식 허가를 받기도 했다. 또한, 애니메이션 최모에 2008에서 러키☆스타의 히이라기 카가미가 우승한 후, 원작 만화에서 "만화나 애니메이션에만 관심이 있는 여고생들의 만화"[10]의 등장인물이 "캐릭터 콘"에서 우승한 것을 주인공 이즈미 코나타가 기뻐하는 묘사가 그려지기도 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ISML(International Saimoe League)
http://www.internati[...]
[2]
웹사이트
議員最萌トーナメント
http://giinmoe.tripo[...]
[3]
웹사이트
真・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最萌トーナメント
http://fetssaimoe.fc[...]
[4]
웹사이트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最萌トーナメント2010
https://w.atwiki.jp/[...]
[5]
문서
2001年実施の回のみ、[[葉鍵]]作品([[AIR (ゲーム)|AIR]]と[[まじかる☆アンティーク]])が除外となっている。
[6]
웹사이트
2ch葱板選出 ベストエロゲ 1999~2009
http://xxxxxxx.at-ni[...]
[7]
웹사이트
ベストエロゲー集計所
http://mas.bne.jp/an[...]
[8]
웹사이트
エロゲネタ・業界板ベストエロゲー投票まとめwiki
https://w.atwiki.jp/[...]
[9]
문서
投票者が持ち点3点を最大2点まで加点する。また、シナリオ、キャラクター、グラフィック等の評価項目に2ポイントを加点。
[10]
뉴스
角川、「YouTube」に寛容な決断 自社アニメ作品の著作権侵害を 2008年8月20日(水)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8-08-20
[11]
서적
らき☆すた 7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