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포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포서는 조선 시대 왕실의 채소와 과일 등을 관리하던 관청이다. 1466년 설치되어 호조 산하에 있었으며, 1882년 폐지될 때까지 왕실에 식자재를 공급하고 공납을 징수하는 역할을 했다. 고양 일대에 밭을 두어 채소를 재배하고, 한성부 및 인근 주민을 동원하여 인력을 충당했으며, 겨울철에는 온실 재배를 하기도 했다. 사포서는 전답을 개인에게 임대하거나, 직접 재배하기 어려운 작물은 공납으로 징수했으며, 조선 후기에는 과도한 공납으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조선 초 왕실에서는 침장 채소를 담당하는 침장고를 두었다. 1405년(태종 5년) 공조 예하에 설치되었으며,[1][3] 실무책임자인 제거(提擧)와 별좌(別坐), 향상(向上), 별감(別監) 등의 임기는 1년이었으나, 업무 영속성을 위해 2인 중 1인만 교체되었다.[1] 침장고는 태종 시기 혁파와 재설치를 반복하였다.[4][5]
사포서의 주요 역할은 왕실에서 쓰일 채소와 과일 등을 관리하는 일이었다.[9] 고양 일대에 밭을 두어 채소를 길렀고[10] 이에 필요한 인력은 한성부와[11] 그 인근 10리의 주민들을 동원하였다.[12] 사포서는 제철에 난 채소와 과실을 왕실의 여러 전에 공급하였는데 간혹 실수로 누락하거나 상한 과실을 올려 처벌받기도 하였다.[13][14] 겨울에도 채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흙집을 지어 온실 재배를 하였다.[15] 사포서의 전답은 개인에게 임대하여 소작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다.[16] 직접 재배하기 어려운 작물은 공납으로 징수하였다. 공납지는 주로 경기도 일원이었으며 조선 성종 시기 사포서가 징수한 공물은 곡초 2천 4백 84동 정도였다.[17] 조선 후기로 가면서 과중한 공납은 사회문제가 되었다.[18] 인삼이나 산삼과 같은 일부 약재도 관장하였다.[19]
2. 역사
1466년(세조 12년)에는 각종 과실과 채소, 밭 관리를 위해 사포서가 설치되어 침장고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였으며, 호조 산하에 있었다.[6] 1712년(경종 1년)에는 화재로 사포서의 서사와 창고가 전소되기도 하였다.[7] 사포서는 1882년(고종 19년)까지 유지되다가 혁파되었고, 공물 수납은 사옹원과 봉상시로 이관되었다.[8]
2. 1. 조선 초기 침장고
조선은 초기 침장고를 두어 왕실에서 필요한 채소를 담당하게 하였다. 침장은 김장을 뜻한다.[2] 설치 당시 실무책임자인 제거(提擧)와 그 휘하의 별좌(別坐), 향상(向上), 별감(別監) 등의 임기는 1년이었으나 업무의 영속성을 위해 한 해에 2인 중 1인만이 자리를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1] 1405년(태종 5년) 공조 예하에 두었다.[3] 태종 시기 침장고는 혁파하여 왕실의 각 전(殿)에 나누어 배치하였다가 다시 세우기를 반복하였다.[4][5]
1466년(세조 12년) 각종 과실과 채소, 밭을 관리할 사포서를 세울때 기존의 침장고 역할도 함께 하도록 하여 호조 아래에 두었다.[6]
2. 2. 사포서 설치와 운영
조선 초 왕실에서는 침장 채소를 담당하는 침장고를 두었다. 1405년(태종 5년) 공조 예하에 설치되었으며,[1][3] 실무책임자인 제거(提擧)와 별좌(別坐), 향상(向上), 별감(別監) 등의 임기는 1년이었으나, 업무 영속성을 위해 2인 중 1인만 교체되었다.[1] 침장고는 태종 시기 혁파와 재설치를 반복하였다.[4][5]
1466년(세조 12년)에는 각종 과실과 채소, 밭 관리를 위해 사포서가 설치되어 침장고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였으며, 호조 산하에 있었다.[6] 1712년(경종 1년)에는 화재로 사포서의 서사와 창고가 전소되기도 하였다.[7] 사포서는 1882년(고종 19년)까지 유지되다가 혁파되었고, 공물 수납은 사옹원과 봉상시로 이관되었다.[8]
3. 역할
3. 1. 왕실 식자재 공급
사포서는 왕실에서 쓰일 채소와 과일 등을 관리하는 일을 하였다.[9] 고양 일대에 밭을 두어 채소를 길렀고[10] 이에 필요한 인력은 한성부와[11] 그 인근 10리의 주민들을 동원하였다.[12] 사포서는 제철에 난 채소와 과실을 왕실의 여러 전에 공급하였는데 간혹 실수로 누락하거나 상한 과실을 올려 처벌받기도 하였다.[13][14] 겨울에도 채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흙집을 지어 온실 재배를 하였다.[15]
사포서의 전답은 개인에게 임대하여 소작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다.[16] 직접 재배하기 어려운 작물은 공납으로 징수하였다. 공납지는 주로 경기도 일원이었으며 조선 성종 시기 사포서가 징수한 공물은 곡초 2천 4백 84동 정도였다.[17] 조선 후기로 가면서 과중한 공납은 사회문제가 되었다.[18] 인삼이나 산삼과 같은 일부 약재도 관장하였다.[19]
3. 2. 공납 징수와 사회 문제
사포서는 왕실에서 쓰일 채소와 과일 등을 관리하는 일을 하였다.[9] 고양 일대에 밭을 두어 채소를 길렀고[10] 이에 필요한 인력은 한성부와[11] 그 인근 10리의 주민들을 동원하였다.[12] 제철에 난 채소와 과실을 왕실의 여러 전에 공급하였는데 간혹 실수로 누락하거나 상한 과실을 올려 처벌받기도 하였다.[13][14] 겨울에도 채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흙집을 지어 온실 재배를 하였다.[15]
사포서의 전답은 개인에게 임대하여 소작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다.[16] 직접 재배하기 어려운 작물은 공납으로 징수하였으며, 공납지는 주로 경기도 일원이었다. 조선 성종 시기 사포서가 징수한 공물은 곡초 2천 4백 84동 정도였다.[17] 조선 후기로 가면서 과중한 공납은 사회문제가 되었다.[18] 인삼이나 산삼과 같은 일부 약재도 관장하였다.[19]
4. 조직
경국대전 당시 사포서의 실무 책임자인 사포는 정6품이었으나, 대전회통에서 종6품으로 삭감되었다. 제조(提調)를 제외하고 7인 정도의 관리가 실무를 맡았다.[20][21] 사포서에 속한 이속으로는 서원(書員) 5인, 고직(庫直) 1인, 사령 5인이 있었다.[9]
참조
[1]
조선왕조실록
인재등용과 행정원의 하부 이양 등을 건의한 사헌부의 상소문
http://sillok.histor[...]
[2]
표준국어대사전
침장(沈藏)
국립국어원
[3]
조선왕조실록
예조에서 육조의 직무 분담과 소속 아문을 상정하여 아뢰다
http://sillok.histor[...]
[4]
조선왕조실록
다시 침장고를 두다
http://sillok.histor[...]
[5]
조선왕조실록
침장고를 혁파하다
http://sillok.histor[...]
[6]
조선왕조실록
신숙주·정인지·정현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관제를 다시 정하다
http://sillok.histor[...]
[7]
조선왕조실록
사포서에 불이 나다
http://sillok.histor[...]
[8]
조선왕조실록
감생청에서 감생 별단을 올리다
http://sillok.histor[...]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포서
http://encykorea.aks[...]
[10]
조선왕조실록
삼공이 가뭄에 외방과 서울의 의옥 죄수들의 방면을 청하다
http://sillok.histor[...]
[11]
조선왕조실록
휴흠·유실된 물건 등을 그 사로 하여금 검거·징납토록 호조·한성부에 전지하다
http://sillok.histor[...]
[12]
조선왕조실록
한성부에서 성밖 10리 내의 백성은 4부로 환속하고 잡역에 부리지 말도록 청하다
http://sillok.histor[...]
[13]
조선왕조실록
새로 난 참외를 문소전에 바치는 것을 빠뜨린 침장고 관리들을 순금사에 가두다
http://sillok.histor[...]
[14]
조선왕조실록
먹을 수 없는 수박을 진상한 관원을 국문케 하다
http://sillok.histor[...]
[15]
조선왕조실록
장원서·사포서 등으로 하여금 겨울에도 흙집을 쌓고 채소를 기르게 하다
http://sillok.histor[...]
[16]
조선왕조실록
장령 최창국이 성삼문의 고택을 빨리 돌려 줄 것 등 여덟 가지의 일을 논하다
http://sillok.histor[...]
[17]
조선왕조실록
호조에서 사복시의 곡초 수납하는 일에 대해 아뢰다
http://sillok.histor[...]
[18]
조선왕조실록
지방 징수 폐단과 인재 등용, 과거제, 국방 전반에 대한 윤면동의 상소문
http://sillok.histor[...]
[19]
조선왕조실록
호조가 산삼과 길경이 많으니 외공을 견감할 것을 아뢰다
http://sillok.histor[...]
[20]
위키실록사전
제조(提調)
http://dh.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21]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사포서
http://people.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