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양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존속했다. 산양군은 처음에는 양나라의 일부로 시작하여,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명칭이 바뀌는 등 변화를 겪었다. 후한 시대에는 10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위진 시대에는 고평국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동진 시대에는 화이안시 일대를 관할하며 남연주에 속했고, 이후 동위, 북제를 거쳐 수나라에 이르러 양주에 통폐합되었다. 산양군은 시대에 따라 지리적 범위와 행정 구역이 달라졌으며, 전한 시대에는 창읍현을 중심으로, 후한 시대에는 창읍현, 거야현 등을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산양군 | |
---|---|
산양군 정보 | |
위치 | 중국 |
시대 | 진나라 ~ 북위 |
폐지 시기 | 북위 |
개요 | |
관할 지역 | 현재의 산둥성 서부 지역 |
2. 역사
기원전 144년(전한 경제 중 6년), 전한의 양왕 유무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유정이 산양왕으로 봉해졌다. 이때 양국이 5개로 분할되면서 산양국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36년(건원 5년), 산양왕 유정이 사망하자 산양국은 폐지되고 산양군이 설치되었다.[5] 기원전 97년(천한 4년), 유박이 창읍왕으로 봉해지면서 산양군은 창읍국으로 개명되었다.[6] 기원전 63년(원강 3년), 창읍왕 유하가 해혼후가 되면서 창읍국은 폐지되고,[7] 산양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산양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창읍, 남평양, 성무, 호릉, 동민, 방여, 탁, 거야, 단보, 박, 도관, 성도, 황, 원척, 고성, 중향, 평락, 정, 하구, 재향, 율향, 곡향, 서양의 23개 현을 관할했다. 전한 말에는 17만 2847호, 80만 1282명이 있었다.[8] 왕망 시대에는 거야군으로 개칭되었다.
신 말에 양왕 유영이 지배하면서 산양군은 다시 원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39년(건무 15년), 후한 광무제의 아들 유경이 산양공이 되었고, 41년(건무 17년)에 산양왕으로 진봉되어[9] 산양국이 세워졌다. 58년(영평 원년), 유경이 광릉왕으로 옮겨 봉해지자,[10] 산양국은 폐지되고 산양군이 되었다. 산양군은 창읍, 동민, 거야, 고평, 호륙, 남평양, 방여, 하구, 금향, 방동의 10개 현을 관할했다.[11] 212년(건안 17년), 헌제의 아들 유의가 산양왕으로 봉해지면서 산양군은 다시 산양국으로 개명되었다.[12]
220년(황초 원년), 조위가 건국되자 산양국은 다시 산양군이 되었다. 265년(태시 원년), 서진이 건국되자 산양군에 고평국이 설치되었다.[13]
2. 1. 전한
기원전 145년, 한경제의 명으로 양효왕 사후 양나라를 다섯으로 분할하여 산양나라를 설치하고 유정에게 봉했다. 이로써 산양군의 연혁이 시작되었으며, 서울은 지닝시 진샹현에 위치한 창읍현에 두었다. 기원전 136년, 산양애왕 유정이 후사 없이 죽자 봉국이 폐지되고 한나라 조정의 관할로 들어가 산양군이 되었다. 한무제가 주를 설치하면서 연주에 속했다.[14][15]기원전 91년, 무제가 창읍애왕 유박을 왕으로 봉하면서 산양군은 창읍나라로 바뀌었다. 이때 산하 후국인 하구후국을 대하군에 넘겨주었다. 이후 창읍왕 유하가 황제로 즉위했다가 쫓겨나고 후작으로서 구 창읍왕령을 사실상 봉국으로 받으면서 다시 산양군이 되었다. 기원전 52년, 대하군이 동평나라가 되면서 하구후국을 돌려받았다.
기원전 34년, 다시 산양나라로 고치고 제양왕 유강을 옮겨 봉했으나, 기원전 27년 유강이 정도왕으로 옮겨 봉해지면서 다시 산양군이 되었다.
평제 시기인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7만 2847호, 80만 1288명이 산양군에 살고 있었다.[14] 현대의 허쩌 시 동부와 지닝 시 서부 일대를 관할했으며, 총 23현(11현 12후국)을 다스렸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창읍현 | 昌邑縣 | 지닝시 진샹현 북서 전/후창읍촌(前/后昌邑村) 일대 | 양구취(梁丘聚)가 있는데, 《춘추》에서 “송나라와 제나라가 양구에서 회합했다.”는 글이 있다. |
남평양현 | 南平陽縣 | 지닝시 쩌우청시 |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 제 환공이 성을 쌓아 위 문공의 나라를 옮겨준 곳인 초구정(楚丘亭)이 있다. 성공이 여기에서 복양으로 천도했다. |
호릉현 | 湖陵縣 | 지닝시 웨이산현 서북 정자묘촌(程子廟村) 일대 | 하수(荷水)가 남쪽에 있다. |
동민현 | 東緡縣 | 지닝시 진샹현 | |
방여현 | 方與縣 | 허쩌시 위타이현 북 송만촌(宋灣村) 일대 | |
탁현 | 橐縣 | 지닝시 웨이산현 양성향(兩城鄕) 양성일촌(兩城一村) 일대 | |
거야현 | 鉅野縣 | 허쩌시 쥐예현 거야진(巨野鎭) | 대야택(大野澤)이 북쪽에 있으니 연주수(兗州藪)다.[16] |
선보현 | 單父縣 | 허쩌시 산현 | 도위의 치소가 있다. |
박현 | 薄縣 | 허쩌시 차오현 남 25리 토산집촌(土山集村) 일대 | |
도관현 | 都關縣 | 허쩌시 쥐안청현 후팽묘촌(后彭廟村) 일대 | |
성도후국 | 城都侯國 | 허쩌시 쥐안청현 남동 | 왕상의 후국이다. |
황후국 | 黃侯國 | 상추시 민취안현 남동 | 양경왕의 아들 유순의 후국이다. |
원척후국 | 爰戚侯國 | 지닝시 자샹현 남 | 조장년의 후국이다. |
고성후국 | 郜城侯國 | 허쩌시 청우현 남동 | |
중향후국 | 中鄕侯國 | ? | 양경왕의 아들 유연년의 후국이다. |
평악후국 | 平樂侯國 | 허쩌시 산현 동 | 양경왕의 아들 유천의 후국이다. 포수(包水)가 북동으로 패에 이르러 사수로 들어간다. |
정후국 | 鄭侯國 | ? | 양경왕의 아들 유피군의 후국이다. |
하구후국 | 瑕丘侯國 | 지닝시 옌저우구 고성촌(古城村) 일대 | 노공왕의 아들 유정의 후국이다. |
치향후국 | 甾鄕侯國 | ? | 양경왕의 아들 유취의 후국이다. |
율향후국 | 栗鄕侯國 | ? | 동평사왕의 아들 유호의 후국이다. |
곡향후국 | 曲鄕侯國 | ? | 양강왕의 아들 유봉의 후국이다. |
서양후국 | 西陽侯國 | 지닝시 진샹현 서 | 동평사왕의 아들 유병의 후국이다. |
2. 2. 신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 산양군의 이름을 거야(鉅野)로 고치고, 속현의 이름 또한 변경하였다.[14]전한 | 신 |
---|---|
남평양 | 민평(黽平) |
성무 | 성안(成安) |
호릉 | 호륙(湖陸) |
탁 | 고평(高平) |
선보 | 이보(利父) |
성도 | 성곡(城穀) |
원척 | 척정(戚亭) |
고성 | 고성(告成) |
율향 | 족정(足亭) |
2. 3. 후한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산양군은 10개 현, 109,898호, 606,091명을 거느렸다.[19]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창읍현 | 昌邑縣 | 지닝시 진샹현 북서 전/후창읍촌(前/后昌邑村) 일대 | 연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현 경내에 양구성(梁丘城)과 갑부정(甲父亭)이 있었다. |
동민현 | 東緡縣 | 지닝시 진샹현 | 춘추시대에는 민(緡)이라 불렸다. |
거야현 | 鉅野縣 | 허쩌시 쥐예현 거야진(巨野鎭) | 현 경내에 대야택(大野澤)이 있었다. |
고평후국 | 高平候國 | 지닝시 웨이산현 양성향(兩城鄕) 양성일촌(兩城一村) 일대 | 본래 탁현(橐縣)이었는데 후한 장제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남쪽에 욱랑정(郁郞亭), 현 서남쪽에 모향성(茅鄕城)이 있었다. |
호륙현 | 湖陸縣 | 지닝시 웨이산현 서북 정자묘촌(程子廟村) 일대 | 본래 호릉현(湖陵縣)이었는데 후한 장제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남평양후국 | 南平陽候國 | 지닝시 쩌우청시 | 현 경내에 칠정(漆亭), 여구정(閭丘亭)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북쪽에 칠향(漆鄕), 서북쪽에 현려정(顯閭亭)과 하구성(瑕丘城)이 있었다고 한다. |
방여현 | 方與縣 | 허쩌시 위타이현 북 송만촌(宋灣村) 일대 | 현 경내에 무당정(武唐亭), 니모정(泥母亭)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서북쪽에 중향성(重鄕城)이 있었다. |
하구현 | 瑕丘縣 | 지닝시 옌저우구 고성촌(古城村) 일대 | |
금향현 | 金鄕縣 | 지닝시 자샹현 아성포촌(阿城鋪村) | |
방동현 | 防東縣 | 허쩌시 청우현 방성촌(防城村) |
2. 4. 위진
265년(서진 무제 태시 원년), 진건(陳騫)이 고평공(高平公)에 봉해지면서 산양군이 '''고평국(高平國)'''으로 바뀌었다. 이후 연혁은 고평군 문서를 참조할 것.[20]2. 5. 송, 제
동진 진 안제 의희연간에 토단(土斷)을 실시했는데, 이에 따라 광릉군내 일부 민호가 산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이렇게 교치된 산양군은 지금의 화이안시일대를 통치했으며 남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유송때 산양군은 4현 2,814호 22,470명을 거느렸다.[21][2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산양현 | 山陽縣 | 화이안시 화이안구 산양가도(山陽街道) 일대 | 413년(동진 안제 의희 9년) 설치되었다. |
염성현 | 鹽城縣 | 옌청시 | 본래 염독현(鹽瀆縣)이었으나 안제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성현 | 東城縣 | 미상 | 안제시기 설치되었다. |
좌향현 | 左鄕縣 | 미상 | 안제시기 설치되었다. |
2. 6. 양, 진, 동위, 북제
549년 후경의 난을 틈타 동위가 회남 지방을 점령하면서 동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동위 때 산양군은 신설된 '''회주(淮州)'''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진나라가 일시적으로 회남을 수복하면서 진나라의 땅으로 편입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회주가 북연주로 개명됨에 따라 북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북제가 회남을 다시 점령한 뒤 북연주가 회주로 바뀌면서 회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23][24]
현대의 허쩌 시 동부와 지닝 시 서부 일대를 관할했다. 전한 평제 시기에 시행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7만 2847호, 80만 1288명이 있었다.[14]
기원전 144년(경제 중 6년), 전한 양왕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유정을 산양왕으로 삼고, 양국을 5개로 분할하여 산양국을 설치하였다. 기원전 136년(건원 5년), 유정이 사망하자 산양국은 폐지되고 산양군이 설치되었다.[5] 기원전 97년(천한 4년), 유박이 창읍왕으로 봉해지면서 산양군은 창읍국으로 개명되었다.[6] 기원전 63년(원강 3년), 창읍왕이 해혼후가 되면서 창읍국은 폐지되고,[7] 산양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3. 지리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기준, 총 23현(11현 12후국)을 관할했다.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창읍현 昌邑縣 지닝시 진샹현 북서 전/후창읍촌(前/后昌邑村) 일대 양구취(梁丘聚)가 있는데 《춘추》에서 “송나라와 제나라가 양구에서 회합했다.”는 글이 있다. 남평양현 南平陽縣 지닝시 쩌우청시 성무현 成武縣 허쩌시 청우현 제 환공이 성을 쌓아 위 문공의 나라를 옮겨준 곳인 초구정(楚丘亭)이 있다. 문공의 아들 성공이 여기에서 복양으로 천도했다. 호릉현 湖陵縣 지닝시 웨이산현 서북 정자묘촌(程子廟村) 일대 하수(荷水)가 남쪽에 있다. 동민현 東緡縣 지닝시 진샹현 방여현 方與縣 허쩌시 위타이현 북 송만촌(宋灣村) 일대 탁현 橐縣 지닝시 웨이산현 양성향(兩城鄕) 양성일촌(兩城一村) 일대 거야현 鉅野縣[16] 허쩌시 쥐예현 거야진(巨野鎭) 대야택(大野澤)이 북쪽에 있으니 연주수(兗州藪)다. 선보현 單父縣 허쩌시 산현 도위의 치소가 있다. 박현 薄縣 허쩌시 차오현 남 25리 토산집촌(土山集村) 일대 도관현 都關縣 허쩌시 쥐안청현 후팽묘촌(后彭廟村) 일대 성도후국 城都侯國 허쩌시 쥐안청현 남동 왕상의 후국이다. 황후국 黃侯國 상추시 민취안현 남동 양경왕의 아들 유순의 후국이다. 원척후국 爰戚侯國 지닝시 자샹현 남 조장년의 후국이다. 고성후국 郜城侯國 허쩌시 청우현 남동 중향후국 中鄕侯國 ? 양경왕의 아들 유연년의 후국이다. 평악후국 平樂侯國 허쩌시 산현 동 양경왕의 아들 유천의 후국이다. 포수(包水)가 북동으로 패에 이르러 사수로 들어간다. 정후국 鄭侯國 ? 양경왕의 아들 유피군의 후국이다. 하구후국 瑕丘侯國 지닝시 옌저우구 고성촌(古城村) 일대 노공왕의 아들 유정의 후국이다. 치향후국 甾鄕侯國 ? 양경왕의 아들 유취의 후국이다. 율향후국 栗鄕侯國 ? 동평사왕의 아들 유호의 후국이다. 곡향후국 曲鄕侯國 ? 양강왕의 아들 유봉의 후국이다. 서양후국 西陽侯國 지닝시 진샹현 서 동평사왕의 아들 유병의 후국이다. 4. 행정 구역
산양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23개 현을 관할했다. 전한 말에는 17만 2847호, 80만 1282명이 있었다.[8] 왕망 시대에는 거야군으로 개칭되었다.
신 말, 양왕 유영이 지배하면서 산양군으로 명칭이 돌아갔다. 39년(건무 15년) 후한 광무제의 아들 유경이 산양공이 되었고, 41년(건무 17년) 산양왕으로 진봉되어 산양국이 세워졌다.[9] 58년(영평 원년), 유경이 광릉왕으로 옮겨 봉해지자[10] 산양국은 폐지되고 산양군이 되었다. 산양군은 10개 현을 관할했다.[11] 212년(건안 17년), 헌제의 아들 유의가 산양왕으로 봉해지면서 산양군은 산양국으로 개명되었다.[12]
220년(황초 원년), 조위가 건국되자 산양국은 산양군이 되었다. 265년(태시 원년), 서진 건국 후 산양군에 고평국이 설치되었다.[13]
4. 1. 전한
한나라에서 원래 산양군은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다. 기원전 145년(경제 중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를 다섯으로 분할해 새로 산양나라를 두고 유무의 아들 산양애왕 유정에게 봉하면서 산양군의 연혁이 시작되었다. 서울은 지닝시 진샹현 북서 전/후창읍촌(前/后昌邑村) 일대에 있는 창읍현에 두었다.[1] 기원전 136년(건원 5년), 산양애왕이 후사 없이 죽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한나라 조정의 관할로 들어가 산양군이 되었다. 무제가 주를 설치하면서 연주에 속했다.[14][15] 기원전 97년(천한 4년)에 무제가 창읍나라로 고치고 아들 창읍애왕 유박을 왕으로 봉했다. 창읍나라가 되면서 산하 후국인 하구후국을 대하군에 넘겨줬다. 후에 창읍왕 유하가 황제로 즉위했다 쫓겨나고 후작으로서 구 창읍왕령을 사실상 봉국으로 받으면서 도로 산양군이 됐다. 기원전 52년(감로 2년) 대하군이 동평나라가 되면서 하구후국을 반환받았다. 기원전 34년(건소 5년), 다시 산양나라로 고치고 제양왕 유강을 옮겨 봉했으며, 기원전 27년(하평 2년) 유강이 정도왕으로 옮겨 봉해지면서 도로 산양군이 됐다.
평제 시기에 시행된 2년(원시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7만 2847호, 인구 80만 1288명이 있었다.[14] 현대의 허쩌 시 동부와 지닝 시 서부 일대를 관할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내용이다. 성제 시기의 연간인 기원전 8년(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23현(11현 12후국)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창읍현 | 昌邑縣 | 지닝시 진샹현 북서 전/후창읍촌(前/后昌邑村) 일대 | 양구취(梁丘聚)가 있는데 《춘추》에서 “송나라와 제나라가 양구에서 회합했다.”는 글이 있다. |
남평양현 | 南平陽縣 | 지닝시 쩌우청시 |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 제 환공이 성을 쌓아 위 문공의 나라를 옮겨준 곳인 초구정(楚丘亭)이 있다. 문공의 아들 성공이 여기에서 복양으로 천도했다. |
호릉현 | 湖陵縣 | 지닝시 웨이산현 서북 정자묘촌(程子廟村) 일대 | 하수(荷水)가 남쪽에 있다. |
동민현 | 東緡縣 | 지닝시 진샹현 | |
방여현 | 方與縣 | 허쩌시 위타이현 북 송만촌(宋灣村) 일대 | |
탁현 | 橐縣 | 지닝시 웨이산현 양성향(兩城鄕) 양성일촌(兩城一村) 일대 | |
거야현[16] | 鉅野縣 | 허쩌시 쥐예현 거야진(巨野鎭) | 대야택(大野澤)이 북쪽에 있으니 연주수(兗州藪)다. |
선보현 | 單父縣 | 허쩌시 산현 | 도위의 치소가 있다. |
박현 | 薄縣 | 허쩌시 차오현 남 25리 토산집촌(土山集村) 일대 | |
도관현 | 都關縣 | 허쩌시 쥐안청현 후팽묘촌(后彭廟村) 일대 | |
성도후국 | 城都侯國 | 허쩌시 쥐안청현 남동 | 왕상의 후국이다. |
황후국 | 黃侯國 | 상추시 민취안현 남동 | 양경왕의 아들 유순의 후국이다. |
원척후국 | 爰戚侯國 | 지닝시 자샹현 남 | 조장년의 후국이다. |
고성후국 | 郜城侯國 | 허쩌시 청우현 남동 | |
중향후국 | 中鄕侯國 | ? | 양경왕의 아들 유연년의 후국이다. |
평악후국 | 平樂侯國 | 허쩌시 산현 동 | 양경왕의 아들 유천의 후국이다. 포수(包水)가 북동으로 패에 이르러 사수로 들어간다. |
정후국 | 鄭侯國 | ? | 양경왕의 아들 유피군의 후국이다. |
하구후국 | 瑕丘侯國 | 지닝시 옌저우구 고성촌(古城村) 일대 | 노공왕의 아들 유정의 후국이다. |
치향후국 | 甾鄕侯國 | ? | 양경왕의 아들 유취의 후국이다. |
율향후국 | 栗鄕侯國 | ? | 동평사왕의 아들 유호의 후국이다. |
곡향후국 | 曲鄕侯國 | ? | 양강왕의 아들 유봉의 후국이다. |
서양후국 | 西陽侯國 | 지닝시 진샹현 서 | 동평사왕의 아들 유병의 후국이다. |
[14][17]
이외에 거연한간을 통해 무제·소제 시대의 창읍국에는 서방(西邡)·동방(東邡)·방(邡) 세 현도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지리지에는 없다. 서방현은 후에 서양후국이 된 것으로 추측되며, 속한서 지리지에도 서방현은 없으나 후한서에 서방(西防)이라는 지명은 나타난다.[18]
4. 2. 신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면서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14]전한 | 신 |
---|---|
남평양(南平陽) | 민평(黽平) |
성무(成武) | 성안(成安) |
호릉(湖陵) | 호륙(湖陸) |
탁(橐) | 고평(高平) |
선보(單父) | 이보(利父) |
성도(城都) | 성곡(城穀) |
원척(爰戚) | 척정(戚亭) |
고성(郜成) | 고성(告成) |
율향(栗鄕) | 족정(足亭) |
4. 3. 후한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산양군은 10개 성, 109,898호, 606,091명을 거느렸다.[19]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창읍현 | 昌邑縣 | 지닝시 진샹현 북서 전/후창읍촌(前/后昌邑村) 일대 | 연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현 경내에 양구성(梁丘城)과 갑부정(甲父亭)이 있었다. |
동민현 | 東緡縣 | 지닝시 진샹현 | 춘추시대에는 민(緡)이라 불렸다. |
거야현 | 鉅野縣 | 허쩌시 쥐예현 거야진(巨野鎭) | 현 경내에 대야택(大野澤)이 있었다. |
고평후국 | 高平候國 | 지닝시 웨이산현 양성향(兩城鄕) 양성일촌(兩城一村) 일대 | 본래 탁현(橐縣)이었는데 후한 장제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남쪽에 욱랑정(郁郞亭), 현 서남쪽에 모향성(茅鄕城)이 있었다. |
호륙현 | 湖陸縣 | 지닝시 웨이산현 서북 정자묘촌(程子廟村) 일대 | 본래 호릉현(湖陵縣)이었는데 후한 장제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남평양후국 | 南平陽候國 | 지닝시 쩌우청시 | 현 경내에 칠정(漆亭), 여구정(閭丘亭)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북쪽에 칠향(漆鄕), 서북쪽에 현려정(顯閭亭)과 하구성(瑕丘城)이 있었다고 한다. |
방여현 | 方與縣 | 허쩌시 위타이현 북 송만촌(宋灣村) 일대 | 현 경내에 무당정(武唐亭), 니모정(泥母亭)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서북쪽에 중향성(重鄕城)이 있었다. |
하구현 | 瑕丘縣 | 지닝시 옌저우구 고성촌(古城村) 일대 | |
금향현 | 金鄕縣 | 지닝시 자샹현 아성포촌(阿城鋪村) | |
방동현 | 防東縣 | 허쩌시 청우현 방성촌(防城村) |
신 말에 양왕 유영이 지배하면서, 산양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39년(건무 15년)에 후한 광무제의 아들 유경이 산양공이 되었고, 41년(건무 17년)에 산양왕으로 진봉되어[9] 산양국이 세워졌다. 58년(영평 원년), 유경이 광릉왕으로 옮겨 봉해지자[10] 산양국은 폐지되어 산양군이 되었다. 산양군은 창읍, 동민, 거야, 고평, 호륙, 남평양, 방여, 하구, 금향, 방동의 10개 현을 관할했다.[11] 212년(건안 17년), 헌제의 아들 유의가 산양왕으로 봉해지면서 산양군은 산양국으로 개명되었다.[12]
4. 4. 송, 제
진 안제 의희연간 동진은 토단(土斷)을 실시했는데, 이에 근거하여 광릉군내 일부 민호가 산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이렇게 교치된 산양군은 지금의 화이안시 일대를 통치했으며 남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이 산양군은 유송때 4현 2,814호 22,470명을 거느렸다.[21][2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산양현 | 山陽縣 | 화이안시 화이안구 산양가도(山陽街道) 일대 | 413년(동진 안제 의희 9년) 설치되었다. |
염성현 | 鹽城縣 | 옌청시 | 본래 염독현(鹽瀆縣)이었으나 안제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성현 | 東城縣 | 미상 | 안제 시기 설치되었다. |
좌향현 | 左鄕縣 | 미상 | 안제 시기 설치되었다. |
4. 5. 양, 진, 동위, 북제
549년 후경의 난을 틈타 동위가 회남 지방을 점령하면서 동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동위 때 산양군은 신설된 '''회주(淮州)'''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진나라가 일시적으로 회남을 수복하면서 진나라의 땅으로 편입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회주가 북연주로 개명됨에 따라 북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북제가 회남을 다시 점령한 뒤 북연주가 회주로 바뀌면서 회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수나라 때 양주에 통폐합되었다.[23][24]
5. 역대 태수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산양태수 | 공손도 | ? ~ 기원전 107년 |
창읍상 | (알 수 없음) | ~ 기원전 74년[25][26] |
산양태수 | 양 | ? ~ 기원전 70년 |
산양태수 | 장창 | 선제 초기 |
산양태수 | 주박 | 성제 말기 |
산양태수 | 진팽 | 76년 ~ 83년 |
산양태수 | 적초 | ? ~ 169년 |
5. 1. 전한
전한 시대에 산양군은 중요한 행정 구역이었다. 산양군의 역대 태수와 창읍상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5. 1. 1. 산양태수
공손도 (? ~ 기원전 107년)5. 1. 2. 창읍상
기원전 74년에 죽었다.[25][26]5. 1. 3. 산양태수
5. 2. 후한
- 진팽 (76년 ~ 83년)
- 적초 (? ~ 169년)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史記
[6]
서적
漢書
[7]
서적
漢書
[8]
서적
漢書
筑摩書房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後漢書
[11]
서적
後漢書
[12]
서적
後漢書
[13]
서적
晋書
[14]
서적
한서 권28상 지리지제8상
https://zh.wikisourc[...]
[15]
서적
한서 권47 문삼왕전제17
https://zh.wikisourc[...]
[16]
문서
[17]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9]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0]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1]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2]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4]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한서
[2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