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평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평국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제동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왕조를 거치며 그 이름과 형태가 변화했다. 전한 경제 시기에 양나라를 분할하여 제동국을 설치한 것이 시초이며, 이후 대하군으로 개편되었다가 선제의 아들 유우가 동평왕으로 봉해지면서 동평국이 되었다. 신나라 때는 유염군으로, 후한 시대에는 동평군으로 개칭되었고, 광무제의 아들 유창이 동평공에 봉해진 후 동평왕으로 진급하면서 동평국이 다시 설치되었다. 위, 서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동평국은 여러 차례 폐지 및 설치를 반복했고, 수나라 시기에는 운주 또는 동평군으로 불리다가 당나라 초기에 운주로 개칭되면서 동평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동평국의 위치와 관할 현은 시대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역대 장관으로는 왕존, 장충, 왕원, 응순, 송한, 이찬, 정욱, 소칙, 완적 등이 있었다.

2. 전한

동평국은 원래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다. 경제 중5년(기원전 14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가 다섯으로 분할되면서 제동나라가 신설되었고, 효왕의 아들 제동왕 유팽리가 봉해지면서 동평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유팽리는 죄를 지어 재위 29년(기원전 119년) 봉국이 폐지되었고, 한나라 조정의 관할로 들어가 대하군(大河郡)이 되었다. 선제는 아들 동평사왕을 감로 2년(기원전 52년)에 동평왕으로 봉하면서 대하군은 동평국이 되었다.[13][14][15]

천한 4년(기원전 97년) 대하군 시절, 노나라의 왕자후국인 영양(寧陽)과[16] 하구(瑕丘)를 얻었다. 그러나 왕국이 되면서 후국을 거느릴 수 없어 영양후국은 태산군에, 하구후국은 산양군에 반환했다.[17] 건시 2년(기원전 31년) 동평사왕이 죄를 지어 번·항보 2현을 삭감당했으나,[18] 3년 후인 하평 원년(기원전 28년)에 성제가 돌려주었다. 건평 3년(기원전 4년) 동평양왕이 죄를 지어 자살하면서 동평국은 폐지되고 동평군이 되었다. 원시 원년(1년) 왕망애제의 정치를 뒤집으면서 동평양왕의 태자 유개명에게 동평국을 다시 세워줬다. 거섭 2년(7년), 동평왕 유광이 아버지 유신과 적의의 반란에 연루되어 주멸되면서 동평국은 폐지됐다.[15]

평제 시기인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동평국에는 13만 1,753호·60만 7,976명이 있었다. 원연·수화지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은 총 7현이며 철관이 있었다.[13]

2. 1. 동평국의 설치와 변천

동평국은 원래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다. 경제 중5년(기원전 14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가 다섯으로 분할되면서 제동나라가 신설되었고, 효왕의 아들 제동왕 유팽리가 봉해지면서 동평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유팽리는 죄를 지어 재위 29년(기원전 119년) 봉국이 폐지되었고, 한나라 조정의 관할로 들어가 대하군(大河郡)이 되었다. 선제는 아들 동평사왕을 감로 2년(기원전 52년)에 동평왕으로 봉하면서 대하군은 동평국이 되었다.[13][14][15]

천한 4년(기원전 97년) 대하군 시절, 노나라의 왕자후국인 영양(寧陽)과[16] 하구(瑕丘)를 얻었다. 그러나 왕국이 되면서 후국을 거느릴 수 없어 영양후국은 태산군에, 하구후국은 산양군에 반환했다.[17] 건시 2년(기원전 31년) 동평사왕이 죄를 지어 번·항보 2현을 삭감당했으나,[18] 3년 후인 하평 원년(기원전 28년)에 성제가 돌려주었다. 건평 3년(기원전 4년) 동평양왕이 죄를 지어 자살하면서 동평국은 폐지되고 동평군이 되었다. 원시 원년(1년) 왕망애제의 정치를 뒤집으면서 동평양왕의 태자 유개명에게 동평국을 다시 세워줬다. 거섭 2년(7년), 동평왕 유광이 아버지 유신과 적의의 반란에 연루되어 주멸되면서 동평국은 폐지됐다.[15]

평제 시기인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동평국에는 13만 1,753호·60만 7,976명이 있었다. 다음은 한서 지리지에 따른 속현 목록으로, 원연·수화지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이며, 총 7현이다. 철관이 있었다.[13]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염현無鹽縣타이안시 둥핑현 남동 무염촌(無鹽村)후향(郈鄕)이 있다.
임성현任城縣지닝시 웨이산현 중천촌(仲淺村)옛 임나라로 태호의 후예며 풍성(風姓)이다.
동평륙현東平陸縣지닝시 원상현 북 12km 문하(汶河) 남쪽 이관집촌(李官集村) 일대응소에 따르면 옛 궐(厥)나라가 여기의 궐정(厥亭)에 있었다.
부성현富城縣타이안시 둥핑현 북동
장현章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진(東平鎭) 일대
항보현亢父縣지닝시 런청구 성남장촌(城南張村)시정(詩亭)이 있는데 옛 시(詩)나라다.
번현樊縣지닝시 옌저우구 남서 후가영(候家營) 일대

[13]

동평왕국에서 갈려나온 왕자후국은 총 29국인데, 한서 지리지의 현황인 기원전 8년 이후 봉해진 후국이 24국이다.

이름봉해진 때폐해진 때왕자후표의 말격지리지의 소속 군
율향(栗鄕)홍가 원년(기원전 20년) 4월 신사일시건국 원년(9년)산양
상구(桑丘)?태산
도향(桃鄕)홍가 2년(기원전 19년) 정월 무자일시건국 원년(9년)태산
부양(富陽)영시 3년(기원전 14년) 3월 경신일시건국 2년(10년)태산
서양(西陽)원연 2년(기원전 11년) 4월 갑인일시건국 원년(9년)동래산양
엄향(嚴鄕)[19]건평 2년(기원전 5년) 5월 정유일거섭 2년(7년)
무평(武平)
도향(陶鄕)원시 원년(1년) 2월 병진일시건국 원년(9년)
이향(釐鄕)
창향(昌鄕)
신향(新鄕)
금향(金鄕)[20]
평통(平通)
서안(西安)
호향(湖鄕)
중향(重鄕)
양흥(陽興)[21]
능양(陵陽)
고락(高樂)
평읍(平邑)
평찬(平纂)
합창(合昌)
이향(伊鄕)
취향(就鄕)
교향(膠鄕)
의향(宜鄕)
창성(昌成)
낙안(樂安)
춘성(春成)원시 2년(2년) 4월 정유일



기원전 144년 (전한 경제 중 6년), 양왕 유무의 아들 유팽리가 제동왕에 봉해지면서 '''제동국'''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16년 (원정 원년), 제동왕 유팽리가 폐위되면서 제동국은 폐지되고 대하군이 설치되었다.[1] 기원전 52년 (감로 2년), 선제의 아들 유우가 동평왕이 되면서 '''동평국'''이 세워졌다.[2] 동평국은 연주에 속했으며, 무염·임성·동평륙·부성·장·항보·번의 7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유염군으로 개칭되었다.[3]

후한 건국 후 동평군은 동평국으로 개칭되었다. 39년 (건무 15년) 광무제의 아들 유창이 동평공에 봉해졌고, 41년 (건무 17년) 동평왕으로 진급하면서 동평국이 다시 세워졌다.[4] 동평국은 무염·동평륙·부성·장·수장·수창·녕양의 7개 현을 관할했다.[5]

조위 건국 후 동평국은 폐지되고 동평군이 되었다. 232년 (태화 6년), 조휘가 동평왕이 되면서 동평국이 세워졌다.[6]

265년 (태시 원년), 서진 건국 후 사마무가 동평왕에 봉해지면서 동평국이 세워졌다.[7] 동평국은 수창·수장·범·무염·부성·동평륙·강평의 7개 현을 관할했다.[8]

남조 송 시대에 동평군은 무염·평륙·수창·수창·범의 5개 현을 관할했다.[9]

북위 시대에 동평군은 제주에 속했다.[10]

583년 (개황 3년), 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동평군은 폐지되고 연주 및 제주에 편입되었다. 590년 (개황 10년), 제주·연주·조주의 일부를 병합하여 운주가 세워졌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운주는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동평군은 운성·권성·수창·숙성·뇌택·거야의 6개 현을 관할했다.[11]

621년 (무덕 4년), 이 서원랑을 평정하자, 동평군을 운주로 개칭했다. 742년 (천보 원년), 운주는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동평군은 운주로 개칭되면서, 동평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2]

2. 2.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염현無鹽縣타이안시 둥핑현 남동 무염촌(無鹽村)후향(郈鄕)이 있다.
임성현任城縣지닝시 웨이산현 중천촌(仲淺村)옛 임나라로 태호의 후예며 풍성(風姓)이다.
동평륙현東平陸縣지닝시 원상현 북 12km 문하(汶河) 남쪽 이관집촌(李官集村) 일대응소에 따르면 옛 궐(厥)나라가 여기의 궐정(厥亭)에 있었다.
부성현富城縣타이안시 둥핑현 북동
장현章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진(東平鎭) 일대
항보현亢父縣지닝시 런청구 성남장촌(城南張村)시정(詩亭)이 있는데 옛 시(詩)나라다.
번현樊縣지닝시 옌저우구 남서 후가영(候家營) 일대

[13]

다음은 동평왕국에서 갈려나온 왕자후국이다. 총 29국인데, 한서 지리지의 현황인 기원전 8년 이후 봉해진 후국이 24국이다.

이름봉해진 때폐해진 때왕자후표의 말격지리지의 소속 군
율향(栗鄕)홍가 원년(기원전 20년) 4월 신사일시건국 원년(9년)산양
상구(桑丘)?태산
도향(桃鄕)홍가 2년(기원전 19년) 정월 무자일시건국 원년(9년)태산
부양(富陽)영시 3년(기원전 14년) 3월 경신일시건국 2년(10년)태산
서양(西陽)원연 2년(기원전 11년) 4월 갑인일시건국 원년(9년)동래산양
엄향(嚴鄕)[19]건평 2년(기원전 5년) 5월 정유일거섭 2년(7년)
무평(武平)
도향(陶鄕)원시 원년(1년) 2월 병진일시건국 원년(9년)
이향(釐鄕)
창향(昌鄕)
신향(新鄕)
금향(金鄕)[20]
평통(平通)
서안(西安)
호향(湖鄕)
중향(重鄕)
양흥(陽興)[21]
능양(陵陽)
고락(高樂)
평읍(平邑)
평찬(平纂)
합창(合昌)
이향(伊鄕)
취향(就鄕)
교향(膠鄕)
의향(宜鄕)
창성(昌成)
낙안(樂安)
춘성(春成)원시 2년(2년) 4월 정유일


3. 신

왕망신나라를 세우고서는 유염군(有鹽郡)으로 이름을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1]

전한
무염유염정(有鹽亭)
임성연취정(延就亭)
부성성부(成富)
항보순보(順父)


4. 후한

39년(후한 광무제 건무 15년) 광무제의 아들 중 한 명인 유창이 동평공으로 책봉되고 2년 후인 41년(후한 광무제 건무 17년) 동평왕으로 승격되면서 '''동평국(東平國)'''이 설치되었다.[4] 84년(후한 장제 원화 원년) 동평왕 유창의 아들 유상이 임성왕으로 책봉되며 임성, 항보, 번현 3현이 임성군으로 분리되었다. 후한 순제 영화 5년(140년) 당시 동평국은 7성 79,012호 448,270명을 거느렸다.[22][23]

4. 1. 속현

동평국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염현無鹽縣타이안시 둥핑현 남동 무염촌(無鹽村)
동평륙현東平陸縣지닝시 원상현 북 12km 문하(汶河) 남쪽 이관집촌(李官集村) 일대현 경내에 함정(闞亭), 당양정(堂陽亭)이 있었다.
부성현富城縣타이안시 둥핑현 북동
장현章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진(東平鎭) 일대
수장현壽張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東平湖) 동남 동평호운하 동안본래 수양현(壽良縣)이었으나 후한 광무제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 경내에 당취(堂聚)가 있었다. 현 경내에 치밀성(致密城)이 있었는데 과거 중도(中都)였다. 또한 현 경내에 양곡성(陽穀城)이 있었다.
수창현須昌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 동 유와촌(劉洼村) 일대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영양현寧陽縣타이안시 닝양현 남 고성(古城) 일대본래 태산군의 속현이었다.



후한 순제 영화 5년(140년) 당시 동평국은 7성 79,012호 448,270명을 거느렸다.[22][23]

5. 서진

265년(서진 무제 태시 원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의양왕 사마망의 아들인 사마무가 동평왕에 봉해졌다.[7] 서진대 동평국은 7현 6,400호를 거느렸다.[8]

5. 1. 속현

서진대 동평국은 7현 6,400호를 거느렸다.[8]

동평국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창현須昌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 동쪽 유와촌(劉洼村) 일대
수장현壽張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東平湖) 동남쪽 동평호운하 동안
범현范縣지닝시 량산현 수장집진(壽張集鎭) 일대
무염현無鹽縣타이안시 둥핑현 남동쪽 무염촌(無鹽村)
부성현富城縣타이안시 둥핑현 북동쪽
동평륙현東平陸縣지닝시 원상현 북쪽 12km 문하(汶河) 남쪽 이관집촌(李官集村) 일대
강평현剛平縣타이안시 닝양현 강성진(堽城鎭)265년(서진 무제 태시 원년) 강현(剛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6. 남북조 시대

남북조 시대에 유송과 북위는 번갈아 동평군을 차지하며, 동평군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유송 시기에는 연주의 속군이었다가 북위로 넘어가면서 회음군 지역으로 옮겨졌다. 북위 시기에는 다시 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24][25][26]

6. 1. 유송

유유후연을 공격해 연주를 수복한 이래 동평군은 송나라 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명제 태시 연간 회수 이북 전역이 북위로 편입된 이후 회음군 지역으로 옮겨졌다. 그 이전까지 동평군은 5현 4,159호 17,295명을 거느렸다. 동평군에서 하구까지 수로와 육로로 500리, 수도인 건강까지 수로로 2,000리, 육로로 1,400리 거리였다.[24]

동평군(유송)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염현無鹽縣타이안시 둥핑현 남동 무염촌(無鹽村)령(令)
평륙현平陸縣지닝시 원상현 북 12km 문하(汶河) 남쪽 이관집촌(李官集村) 일대본래 동평륙현이었다. 375년(동진 효무제 영강 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수창현須昌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 동 유와촌(劉洼村) 일대령(令)
수장현壽張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東平湖) 동남 동평호운하 동안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수창현(壽昌縣)으로 개명되었다.
범현范縣지닝시 량산현 수장집진(壽張集鎭) 일대령(令)


6. 2. 북위, 북제

북위 시대 동평군은 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고, 7현 20,752호 61,810명을 거느렸다.[25][26]

북위, 북제 시대 동평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염현無鹽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진(東平鎭) 일대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치소가 무염성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현 경내에 용산(龍山), 무염성(無鹽城), 남장성(南章城), 북장성(北章城)이 있었다.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수창현(須昌縣)으로 개명되었다.
범현范縣지닝시 량산현 수장집진(壽張集鎭) 일대현 경내에 내구(淶溝)가 있었다. 556년 폐지되었다.[27]
수장현壽張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東平湖) 동남 동평호운하 동안현 경내에 후성(郈城)이 있었다. 후성은 곧 《한지》에서 무염현의 속향으로 언급되는 후향(郈鄉)이다. 556년 수창현에 통폐합되었다.
평륙현平陸縣지닝시 원상현 북 12km 문하(汶河) 남쪽 이관집촌(李官集村) 일대현 경내에 광무성(廣武城)이 있었다. 556년 낙평현(樂平縣)으로 개명되었다.[28]
부성현富城縣타이안시 둥핑현 북동현 경내에 부성(富城), 복성(卜城), 무강성(武强城), 좌구명총(左丘明冢)이 있었다.
강현剛縣타이안시 닝양현 강성진(堽城鎭)469년 강평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 경내에 강성(剛城)이 있었다. 556년 폐지되었다.


7. 수

590년(수 문제 개황 10년) 운주(鄆州)가 설치되었다. 이 운주는 고평군, 복양군과 과거 제음군에 속했던 일부 현을 통폐합하여 만들어졌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동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전의 동평군과 달리 수나라의 동평군은 타이안시허쩌시 사이의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으며, 6개 현 86,090호를 거느렸다.[26]

7. 1. 속현

수나라 동평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운성현鄆城縣허쩌시 윈청현 장영촌(張營村)본래 북주 때 설치되어 고평군의 수현(首縣) 역할을 했던 청택현(淸澤縣)이다. 개황 초 고평군이 폐지되자 청택현은 만안현(萬安縣)으로 바뀌었다. 598년(수문제 개황 18년) 만안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운주가 동평군으로 바뀔 때 늠구현(廩丘縣)이 통폐합되었다.
견성현鄄城縣허쩌시 쥐안청현 구성진(舊城鎭)복양군이 폐지되며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596년 복주(濮州)로 분리되기도 했지만 대업 초 본주가 동평군에 통폐합되었다. 관관(關官)이 있었다.
수창현須昌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 동 유와촌(劉洼村) 일대596년 설치되었다. 현 경내에 양산(梁山)이 있었다.
숙성현宿城縣타이안시 둥핑현 동평진(東平鎭) 일대본래 북제 때 무염현이 수창현으로 개명되었다. 숙성현은 이 수창현이 695년 개명되면서 만들어졌다.
뇌택현雷澤縣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일대본래 북제 때 폐지된 성양현(城陽縣)이다. 596년 옛 성양현 자리에 뇌택현이 설치되었고 또한 임복현(臨濮縣, 現 허쩌시 쥐안청현 臨濮鎭)이 설치되었다. 대업 초 임복현이 통폐합되었다. 현 경내에 역산(曆山)과 뇌택(雷澤)이 있었다.
거야현鉅野縣허쩌시 쥐예현 거야진(巨野鎭)596년 폐지된 거야현이 재설치되었다. 또한 승구현(乘丘縣)이 설치되었으나 대업 초기 폐지되었다.

[26]

8. 당

621년(무덕 4년), 이 서원랑을 평정하자 동평군을 운주로 개칭했다.[12] 742년(천보 원년), 운주를 동평군으로 개칭했다.[12] 758년(건원 원년), 동평군이 다시 운주로 개칭되면서 동평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2]

9. 역대 장관

이름재임 기간
왕존기원전 33년 이전
장충(張忠)기원전 29년 당시[29]
보(輔)7년 당시[30]
왕원35년 이후
응순89년 당시
송한(宋漢)126년 ~ 140년 이후[31]
이찬(李瓚)[32]
정욱
소칙223년 (부임 전 병사)
완적


참조

[1] 서적 史記
[2] 서적 漢書
[3] 서적 漢書
[4] 서적 後漢書
[5] 서적 後漢書
[6] 서적 三国志
[7] 서적 晋書
[8] 서적 晋書
[9] 서적 宋書
[10] 서적 魏書
[11] 서적 隋書
[12] 서적 旧唐書
[13] 서적 한서 권28하 지리지제8하 https://zh.wikisourc[...]
[14] 서적 한서 권47 문삼왕전제17 https://zh.wikisourc[...]
[15] 서적 한서 권80 선원육왕전제50 https://zh.wikisourc[...]
[16] 서적 한서 권75 중 하후승 https://zh.wikisourc[...]
[17]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8] 서적 한서 권10 성제기제10 https://zh.wikisourc[...]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4]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원화군현도지 https://zh.wikisourc[...]
[28] 서적 원화군현도지 https://zh.wikisourc[...]
[29] 서적 한서 권19 하 백관공경표 제7 하
[30] 서적 한서 권84 적방진전 제54
[31] 서적 후한서 권26 복후송채풍모위열전 제16 중 송홍
[32] 서적 후한서 권67 당고열전 제57 중 이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