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업은 인간이 필요한 물건을 생산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근대 산업은 유럽의 산업 혁명 이후 상품의 대량 생산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을 통해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여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외환 위기 이후에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중심으로 지식 기반 경제로 전환되었다. 산업 구조는 국민 경제를 구성하는 각 산업의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며, 산업 분류는 경제학적 분석의 틀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콜린 클라크는 산업을 1차, 2차, 3차 산업으로 분류하여 경제 발전과의 관계를 분석했으며, 호프만은 소비재와 생산재 생산 부문의 비율을 통해 산업화 단계를 구분했다. 또한, 산업은 자본적 제약 산업, 인적 제약 산업, 채취 산업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산업의 발전 정도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으로 구분된다. 산업은 라이프사이클을 가지며, 국민경제 성장률과의 관계에 따라 혁신산업, 발전산업, 정체산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산업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산업 | |
---|---|
산업 개요 | |
정의 | 생산적인 또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특정 그룹 |
경제적 의미 | 경제의 기초 산업 |
분류 기준 | 기업의 주요 수입원에 따라 분류 |
특징 | 생산 활동을 통해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소 산업은 경제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 |
산업 분류 체계 | |
국제표준산업분류 (ISIC) | 경제 활동에 따라 통계 단위를 분류하는 데 사용 |
북미산업분류체계 (NAICS) | 미국, 캐나다, 멕시코에서 사용되는 산업 분류 시스템 |
글로벌산업분류기준 (GICS) | 투자 분석에 사용되는 산업 분류 표준 |
주요 산업 예시 | |
자동차 산업 |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
제조업 |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산업 |
기타 | |
관련 용어 | 제조업 경제 기업 서비스 |
2. 역사
선사 시대 이래 인간은 필요한 물건을 생산하여 왔다. 근대적 의미의 산업은 유럽의 산업 혁명 이후 나타났다. 근대 산업의 특징은 상품의 대량 생산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국가의 경제를 구성하는 각 산업의 상대적 중요성을 산업 구조라고 한다. 좁은 의미로는 산업의 생산력 구조를, 넓은 의미로는 산업의 존재 양식이나 상태를 의미한다.[11] 산업 구조는 경제 발전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1차 산업에서 2차, 3차, 4차 산업으로 중심이 이동한다.
3. 산업 구조와 분류
산업은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산업 관련 정책을 위해 산업을 20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14] 일반적으로 업종별이라고 하는 것은 중분류를 가리키는 것으로, 수십 종에 달한다.
산업 분류는 경제학이 학문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초기부터 경제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다. 중농학파의 프랑수아 케네는 『경제표』(1758)에서 지주 계급, 생산 계급(농업), 불생산 계급(상업)의 3분류를 제시하고, 농업만이 생산적이라고 생각했다. 칼 마르크스는 『자본론』 제2권(1885)에서 제1부문(생산재 생산 부문)과 제2부문(소비재 생산 부문)이라는 산업 간 분석을 하고 있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경제 발전을 산업 구조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산업 분류가 연구되기 시작했다.
3. 1. 콜린 클라크의 분류 (1, 2, 3, 4차 산업)
콜린 클라크는 산업을 1차, 2차, 3차 산업으로 분류하고, 경제 발전에 따라 노동 인구가 1차 산업에서 2차, 3차 산업으로 이동한다는 '페티-클라크의 법칙'을 제시했다.[11] 경제학 등에서는 클라크의 분류를 산업 분류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12]
클라크는 1차 산업을 농업, 임업, 수산업 등 자연에서 자원을 직접 채취하는 산업, 2차 산업을 제조업, 건설업 등 1차 산업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3차 산업을 금융업, 정보통신업, 서비스업 등 비물질적인 생산과 분배를 담당하는 산업으로 정의했다. 그는 각국의 통계를 분석하여 경제 발전에 따른 노동 인구 이동 경향을 확인했다.[11]
클라크의 산업 분류는 다음과 같다.
클라크의 분류는 3차 산업에 단순 노동과 선진 산업이 함께 포함되고, 산업 내부 구조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3차 산업이 너무 다양한 산업을 포괄한다는 비판도 있다.
3. 1. 1. 1차 산업
자연에서 자원을 직접 채취하거나 생산하는 산업을 1차 산업이라고 한다. 1차 산업에는 농업, 축산업, 어업, 임업, 수산업 등이 있다.[15]
채취산업은 자연에 직접 노동을 가하여 자연물을 채취하는 산업으로, 추출산업이라고도 한다. 수산업, 광업, 자갈·모래 채취업 등이 대표적이며, 산림업, 농업 등에도 채취산업적인 부분이 있다. 채취산업은 특정 장소에서 채취할 수 있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고갈을 고려해야 하며, 이동성이 많고, 생산물이 장소 여건에 의존하기 때문에 계획 생산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비용이 반드시 보상된다고 할 수 없고, 감가상각 방법도 특수하게 적용된다.[15]
콜린 클라크는 산업을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으로 분류하고, 경제 발전에 따라 산업 구조가 변화하는 것을 설명했다. 이를 "페티-클라크의 법칙"이라고 한다. 클라크의 분류에서 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수산업, 사냥, 채집 등을 포함한다.[15]
3. 1. 2. 2차 산업
2차 산업이란 1차 산업에서 얻은 생산물과 천연자원을 가공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나 에너지를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광업, 건설업, 전력업, 가스업, 수도업, 제조업 등이 이에 속한다.[1]
콜린 클라크는 『경제적 진보의 조건』(1941)에서 산업을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으로 3분류하고, 경제 발전에 따라 1차 산업에서 2차 산업, 3차 산업으로 산업이 이동하는 것을 보였다. 이것은 17세기에 윌리엄 페티가 『정치 산술』(1690)에서 언급한 생각을 공식화한 것으로,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페티-클라크의 법칙"이라고 불린다.[1]
3. 1. 3. 3차 산업
콜린 클라크는 『경제적 진보의 조건』(1941)에서 산업을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으로 분류하고, 경제 발전에 따라 1차 산업에서 2차 산업, 3차 산업으로 산업이 이동하는 것을 보였다. 이것은 17세기에 윌리엄 페티가 『정치 산술』(1690)에서 언급한 생각을 공식화한 것으로,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페티-클라크의 법칙"이라고 불린다.
3차 산업이란 1차 산업이나 2차 산업이 생산한 재화의 이동, 축적과 관련된 산업을 말한다. 금융업, 보험업, 관광, 외식 산업, 정보통신업, 운수업, 소매업, 서비스업 등 비물질적인 생산업, 배분업이 3차 산업에 해당된다.
클라크의 산업 분류에 대해서는 3차 산업에 단순 노동이 포함되고, 후진적인 산업이 선진적인 산업과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더욱이, 경제 발전에 따라 산업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구조 변화를 포착하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또한, 3차 산업은 공익 사업과 같은 자본 집약적인 산업, 음식업과 같은 노동 집약적인 산업, 교육과 같은 지식 집약적인 산업 등 다양한 산업의 집합체이며, 다양한 산업을 단일 범주로 단순화하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있다.
3. 1. 4. 4차 산업
4차 산업이란 소비, 상품 판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정보, 문화, 유통업, 도매업, 소매업, 스포츠 산업, 방송업 등이 이에 해당하며, 서비스업이라고도 한다.[1]
3. 2. 채취 산업
채취산업(採取産業)은 자연에 직접 노동을 가하여 자연물을 채취하는 사업으로, 추출산업(抽出産業, extractive industry)이라고도 한다. 수산업, 광업, 자갈·모래 채취업 등이 대표적이다. 부문적으로는 산림업, 농업 등에도 채취산업적인 것이 있다. 인간의 생활은 원초적으로 자연에 의존하며, 욕망 충족을 위해서는 자연에서 유용물(有用物)을 채취한다.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획득한 유용물을 그대로 소비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로 가공하여 소비하기도 한다. 이러한 가공 단계는 제2차 산업인 제조공업에 해당하며, 채취산업은 제1차 산업 또는 원시산업에 속한다.[15]
채취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5]
채취산업은 일반 산업과 달리 중요한 원료를 공급하지만, 경영이 불안정한 산업이며, 사기업(私企業) 형태 중에서도 운영이 가장 어려운 기업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창설 당시 완전한 계획을 세우고, 창업 후에는 건전 경영을 통해 빠른 시일 안에 투하 자본을 회수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채취산업은 작업 및 경영 장소가 경영자와 상급 관리자의 시야에서 벗어나 있고, 작업 진행이 빠르기 때문에 경영 질서 유지에 특별한 연구가 필요하며, 작업 용기구, 비품, 기계 등의 보존 관리에도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15]
3. 3. 경영 관리상의 특성에 따른 분류
경영 관리상의 특성에 따라 산업은 자본적 제약 산업과 인적 제약 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13]
이 두 산업은 설비 의존도에 따라 구분되지만, 명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17]
3. 3. 1. 자본적 제약 산업
산업을 창설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다른 산업에 비하여 많은 자본을 필요로 하는 산업을 말한다. 같은 다액자본(多額資本)이라 하더라도 소요자본의 전부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그 중에서 비유동자산에 투하하는 비중이 높은 산업을 가리키는 것으로 설비산업(設備産業)이라고도 한다.[16] 구체적으로는 보통 유동자산에 비하여 비유동자산의 비중이 높은 산업을 말한다.
자본적 제약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16]3. 3. 2. 인적 제약 산업
인적 제약산업은 설비보다 사람의 노동이 중심이 되는 산업을 말한다. 따라서 원가에서 노무비 비중이 높고, 변동비 비중이 고정비보다 높다.[17] 그러나 자본적 제약산업과의 구분은 설비 의존도에 따른 엄밀한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의존하는지에 대한 양상에 의한 구분일 뿐이다.[17]
인적 제약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7]3. 4. 공장 경영
공장경영이란 공장이라는 고정적인 작업장에서 집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종류의 경영체를 말하는 것으로, 고정경영이라고도 한다.[18] 공장경영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공장경영은 주로 제조업이 주를 이루며, 광산경영의 제련소, 상업·운수업에서 서비스 경영의 보조 부문인 제조가공 또는 수리 부문도 공장경영에 해당한다.[18]3. 5. 호프만의 산업 분류
발터 호프만(:de:Walter G. Hoffmann)은 경제 발전을 소비재를 직접 생산하는 단계에서 생산설비 등의 자본재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단계로의 변화로 파악했다. 따라서 산업을 소비재 산업과 자본재 산업으로 분류하고, '소비재 산업의 순생산액 / 자본재 산업의 순생산액' (호프만 비율)을 보는 것으로 경제 발전의 정도를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호프만에 따르면, 이 비율은 경제 발전 단계에 따라 제1단계에서는 5.0, 제2단계에서는 2.5, 제3단계에서는 1.0, 제4단계에서는 그 이하가 된다. 다만 호프만의 방법은 산업연관 분석이 발달한 오늘날에는 많은 결점이 있다고 여겨진다.
3. 6. 루이스의 2부문 모델
아서 루이스는 개발도상국의 경제를 전통 부문(주로 전통적인 농업)과 현대 부문(자본집약적 산업)으로 나누는 2부문 모형을 제안했다. 루이스에 따르면, 경제가 일정한 발전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전통 부문으로부터 고정 임금으로 무제한적인 노동 공급이 계속되기 때문에, 경제 원조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루이스의 모형은 존 라니스와 구스타프 란니스에 의해 정교화되었고, 라니스-페이 모형에서는 농업 부문으로부터의 노동력 유출에 의해 경제 발전의 “제1 국면”, “제2 국면”, “제3 국면”이 찾아오고, 1인당 농업 소득이 상승해 간다고 설명된다.
3. 7. 경공업과 중화학공업, 소재 산업과 조립 산업
제조업은 전통적으로 경공업과 중화학공업으로 분류된다. 경공업에는 식품, 섬유 등이 포함되며, 중화학공업에는 철강, 기계, 화학 등이 포함된다. 산업화가 진전될수록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9]
篠原三代平(시노하라 산다이헤이)는 제조업을 소재 산업과 조립 산업으로 분류하여 분석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시노하라에 따르면, 소재 산업은 철강, 화학 등과 같이 원재료를 가공하여 새로운 소재를 생산하는 산업을 말하며, 조립 산업은 자동차, 전자 등과 같이 소재를 가공하고 조립하여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그는 소재 산업에 비해 조립 산업이 미숙하면 산업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19]
3. 8. 포라토의 산업 분류
마크 포라토는 《정보경제 입문》(1977)에서 정보 교환의 장소를 시장과 조직 내부(기업이나 정부의 내부)로 나누고, 시장에서의 정보 공급 주체(일반적인 의미의 정보 산업)를 제1차 정보 부문, 조직 내 정보 생산 활동을 제2차 정보 부문이라고 정의하였다. 포라토는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산업 연관표를 작성하여, 1967년 미국 경제에서 제1차 정보 부문의 부가가치가 GNP의 25.1%, 제2차 정보 부문이 21.1%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3. 9. 수출 산업과 국내 산업
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국제적으로 거래되고 국제 경쟁에 노출되는지에 따라 수출 산업과 국내 산업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수출 산업과 국내 산업이라는 분석 관점은 일본 경제의 이중 구조를 논할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수출 산업인 자동차 산업이나 전자산업(하이테크 산업, IT 산업)은 국제 경쟁력이 높지만, 건설, 농업, 의료, 금융 등의 국내 산업은 생산성이 낮다고 여겨진다.[11]
수출 산업과 국내 산업의 구분은 정책이나 사회 환경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농산물은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상품이지만, 일본에서는 농업 보호 정책에 따라 각종 농산물이 국제 경쟁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전력은 일본에서는 국내 산업이지만 유럽에서는 국제 거래된다. 정보통신업은 종래에는 국내 산업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배경으로 인도와 중국을 거점으로 원격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오프쇼어링).
4. 표준 산업 분류
표준 산업 분류는 여러 통계 조사에서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해진 기준이다. 국제적으로는 1948년 국제연합의 통계위원회가 만든 국제표준산업분류(ISIC)가 있다. 각 나라는 통계를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ISIC를 참고하여 자국의 표준 산업 분류를 만든다.[11]
일본의 일본표준산업분류도 ISIC를 따르고 있다. 최초의 일본표준산업분류는 1949년에 만들어졌고, 이후 여러 번 수정되었다. 2002년에는 크게 수정되어 정보통신업이 새로운 산업 분류로 추가되었다.
5. 상장 기업의 산업 분류
증권 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의 편의를 위해 상장 기업을 산업별로 분류한다.
5. 1. 증권 코드에 의한 업종 분류
일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은 증권코드협의회가 정한 통일적인 기준에 따라 33개의 업종으로 분류된다. 증권코드협의회는 전국의 증권거래소에 의해 조직되며, 도쿄증권거래소가 사무국을 맡고 있다.[1]증권코드에 의한 업종 분류는 기본적으로 일본표준산업분류에 준거한다.[1] 매년 결산서를 기반으로 상장기업 각 사업 중 매출이 가장 큰 사업의 업종이 그 기업의 업종이 된다.[1] 사업 내용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연 2회, 소속 업종의 재검토 심사가 이루어진다.[1]
5. 2. GICS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영어 (세계산업분류기준)는 1999년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MSCI가 정한 글로벌 산업 분류 중 하나이다. 통일된 기준에 따라 크게 11개의 섹터(초기에는 10개), 24개의 산업으로 분류된다. 현재는 주로 S&P 다우존스 지수 및 MSCI에서 사용하고 있다.5. 3. ICB (Industrial Classification Benchmark)
FTSE(런던 증권거래소)와 다우존스가 2005년에 정한 글로벌 산업 분류 기준 중 하나로, 통일된 기준에 따라 크게 11개의 산업, 20개의 부문으로 분류된다. 현재는 주로 FTSE Russell, NASDAQ Inc., STOXX에서 사용하고 있다.[1]6. 산업의 발전 정도
산업의 발전 정도는 국가의 경제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산업 발달 정도에 따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으로 나눌 수 있다.
6. 1. 선진국
산업의 발달이 고도화되어 연간 일인당 국내총생산이 큰 나라를 선진국이라 한다.6. 2. 개발도상국
산업의 발달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나라를 개발도상국이라 한다.7. 산업의 라이프사이클
산업은 상품처럼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의 라이프사이클을 가진다. 각 단계에 따라 기업은 다른 전략을 취해야 한다.[1]
국민경제 성장률과의 관계에 따라 산업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
산업 분류 | 설명 |
---|---|
혁신산업 | 제품 개발과 시장 개발에 주력해야 하는 단계. 발전이 끝나는 시점에는 다른 혁신산업으로 이전할 필요가 있다. |
발전산업 | |
정체산업 |
상품의 라이프사이클을 시스템적으로 고찰하면, 시장은 여러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상품을 제공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Industry and Firm Stud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0-10
[2]
웹사이트
Industry
https://www.merriam-[...]
2020-08-11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Industry' Investopedia
http://www.investope[...]
2015-05-22
[4]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of All Economic Activities (ISIC), Rev.4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Publication
2022-06-21
[5]
웹사이트
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NAICS)
https://www.investop[...]
2023-05-01
[6]
웹사이트
What Is the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GICS)?
https://www.investop[...]
2023-05-01
[7]
웹사이트
Industry Definition in Business and Investing
https://www.investop[...]
2022-05-30
[8]
서적
話のネタ
毎日新聞社
1998
[9]
간행물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0]
서적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1]
백과사전
산업구조와 경영형태〔서설〕
[12]
서적
직장인을 위한 공부 기술
청년정신
[13]
백과사전
산업과 경영
[14]
웹사이트
한국표준산업분류
http://contents.arch[...]
국가기록원
[15]
백과사전
채취산업
[16]
백과사전
자본적 제약산업
[17]
백과사전
인적 제약산업
[18]
백과사전
공장경영
[19]
백과사전
산업구조와 경영형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