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수아 케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 케네는 1694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의사이자 경제학자이다. 그는 의학 및 외과 교육을 받은 후 외과의로 활동하며, 루이 15세의 주치의를 역임했다. 1750년대 초부터 경제학, 특히 농업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중농주의 학파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케네는 《경제표》를 통해 경제의 순환을 분석하고, 농업을 부의 원천으로 강조하며, 자유방임주의 사상을 제시했다. 또한, 중국의 정치 사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럽의 공자"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그의 사상은 아담 스미스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외과 의사 - 앙브루아즈 파레
    앙브루아즈 파레는 16세기 프랑스의 외과의로, 군의관으로 활동하며 외과 치료법을 혁신하고 『대외과학전집』을 저술하여 근대 외과학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외과 의사 - 알렉상드르 엑스케멜린
    프랑스 출신 외과의사이자 작가인 알렉상드르 엑스케멜린은 카리브해에서 버커니어로 활동하며 헨리 모건의 해적 무리에 합류한 경험을 바탕으로 『아메리카 버커니어의 역사』를 저술하여 해적 시대의 기록을 남겼고,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혔으나 헨리 모건과의 명예훼손 소송을 겪기도 했다.
  • 프랑스의 동양학자 -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은 로제타석 해독을 통해 이집트 상형 문자 해독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 이집트학을 개척한 프랑스의 언어학자로서, 루브르 박물관의 이집트 유물 관리에도 참여하여 박물관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 프랑스의 동양학자 - 클로드샤를 달레
    클로드샤를 달레는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로, 다블뤼 주교의 자료를 바탕으로 《조선교회사》를 편찬하여 조선의 다양한 모습을 기록하고 비판적으로 조명했으며, 베트남을 거쳐 통킹에서 병사했다.
  • 프랑스의 백과사전 편집자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프랑스의 백과사전 편집자 - 드니 디드로
    드니 디드로는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며, 특히 《백과전서》 편집을 주도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집대성하는 데 기여했다.
프랑수아 케네
기본 정보
프랑수아 케네 초상
프랑수아 케네 초상
이름프랑수아 케네
출생일1694년 6월 4일
출생지메레 (베르사유 근처)
사망일1774년 12월 16일
사망지베르사유
국적프랑스
주요 관심사정치경제학
중국학
시대계몽주의 시대
학문적 배경
학파중농주의
영향을 준 인물붓다
공자
노자
손자
콜베르
캔틸런
영향을 받은 인물프랭클린
구르네
미라보
라 리비에르 드 생메다르
스미스
모렐레
튀르고
르 트론
보도
뒤퐁 드 뇌무르
벨그라노
메스트르
조지
주요 업적 및 사상
주요 사상'레세페르'

2. 생애

1694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케네는 어릴 적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해 10살까지 책을 읽을 수 없었으나, 의약에 대한 관심으로 1711년 파리로 가 의학과 외과를 공부했다. 1736년 첫 저작인 《동물 생체에 관한 형태학적 시론》을 출간하고, 1752년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하여 귀족 칭호를 받았다. 1751년 마지막 의학서를 출간하여 프랑스 과학원과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 되었다.

1750년대 초부터 경제학, 특히 농업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디드로, 달랑베르, 콩디야크 등과 교류하며 《백과전서》에 글을 싣기도 했다. 1757년 《백과전서》에 〈곡물〉 항을 써서 경제학 저작을 시작했다. 같은 해 미라보를 만나 농업의 중요성을 설득했고, 이후 미라보는 케네 이론의 충실한 지지자가 되어 중농주의 학파가 시작되었다.

1758년경제표》의 제1판을 쓰고, 1759년 상반기에 두 개의 다른 판을 출간했다. 1763년 중농학파가 경제 논쟁에 활발하게 개입하게 되었고, 그는 《농업신문》과 《시민일지》에 글을 써서 중농주의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다.

1774년 12월 루이 15세가 사망한 후 그랑코뮌에서 별세했다. 케네는 베르사유 궁전 근처 이벨린주 메레에서 변호사이자 소지주였던 아버지의 아들로 태어났다. 16세에 외과 수술 조수로 일을 시작하여 곧 파리로 가서 의학과 외과를 공부했고, 수석 외과의 자격을 취득한 후 망트에서 개업했다. 1737년 프랑수아 지고 드 라 페로니가 설립한 외과 아카데미의 종신 서기관으로 임명되었고, 루이 15세의 궁정 외과의가 되었다. 1744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왕의 주치의를 거쳐 수석 주치의가 되어 베르사유 궁전에 거처를 마련했다.

루이 15세는 케네를 매우 존경하여 그를 자신의 사상가라고 불렀다. 케네를 귀족으로 임명하면서 국왕은 그에게 팬지(프랑스어로 생각(pensée프랑스어)을 의미함)[8] 세 송이를 문장으로 하사했고, 라틴어 모토는 “Propter cogitationem mentis”였다.[3]

이후 케네는 주로 경제 연구에 전념하며 궁정 음모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1750년경 경제학자 자크 클로드 마리 뱅상 드 구르네를 알게 되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경제학자(Économistes) 또는 피지오크라트(Physiocrates)로 불린 학파가 형성되었다.

1717년 케네는 잔느-카트린 도팡(Jeanne-Cathérine Dauphin)[5]과 결혼하여 아들과 딸을 두었고, 그의 손자는 제1대 입법 의회 의원이었다. 1774년 12월 16일 사망했으며, 제자였던 앙느 로베르 자크 투르고가 재무장관으로 취임하는 모습을 보았다.[8]

2. 1. 출생과 교육

1694년 프랑스 메레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에는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해 10살까지 책을 읽을 수 없었으나,[16] 일찍부터 의학에 관심을 보여 1711년 파리로 가 의학과 외과를 공부했고, 수석 외과의 자격을 취득했다.[8]

2. 2. 의사로서의 활동

1711년 파리로 가서 의약과 외과에 대한 정규 교육을 받았다.[16] 16세에 외과의에게 수업을 받고 곧 파리로 가서 내과와 외과를 배우고 외과의장 자격을 얻은 후[16] 망트에서 개업했다.[3] 1737년 프랑수아 지고 드 라 페로니가 설립한 외과 아카데미의 종신 사무국장에 임명되었고,[3] 루이 15세 국왕의 궁정 외과의가 되었다.[3] 1744년에는 약학 박사 면허를 취득했다.[17] 그는 국왕의 상주 내과의가 되었고,[17] 이후 1749년 루이 15세의 총애를 받던 퐁파두르 부인의 주치의가 되어 베르사유 궁전에서 살았다.[17] 1752년에는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해 귀족 칭호를 받았다.[8] 프랑스 과학원과 영국 왕립학회의 회원이 되었다.[8]

2. 3. 경제학자로서의 활동

1750년대 초부터 케네는 경제학, 특히 농업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디드로, 달랑베르, 콩디야크 등과 교류하며 《백과전서》에 글을 기고했다.[8] 1757년 《백과전서》에 〈곡물〉 항을 써서 경제학 분야 저작 집필을 시작했다.[8] 같은 해 미라보를 만나 농업의 중요성을 설득했고, 이후 미라보는 케네 이론의 충실한 지지자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중농주의 학파가 형성되었다.[8]

1758년경제표》를 출간하고, 1759년에는 다른 두 판본을 출간했다. 1763년부터 중농학파는 경제 논쟁에 활발하게 개입했으며, 케네는 《농업신문》과 《시민일지》에 글을 써서 중농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1764년부터 1767년까지 중농학파의 지도자였던 그의 사상은 프랑스 경제정책 전반에 사용되었다.

1750년경 케네는 경제 분야에 관심을 가진 자크 클로드 마리 뱅상 드 구르네를 알게 되었고, 이 두 사람을 중심으로 경제학자(Économistes) 또는 피지오크라트(Physiocrates)로 불린 학파가 형성되었다.[4] 이 그룹에는 미라보, 니콜라 보도, 기욤-프랑수아 르 트로스느, 앙드레 모렐레, 피에르 폴 르메르시에 드 라 리비에르, 피에르 사뮤엘 뒤퐁 드 네무르 등이 있었다.[4] 애덤 스미스1764년부터 1766년까지 유럽 대륙을 여행하며 파리에 머물면서 케네와 그의 추종자들을 만났고,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그들의 공헌을 높이 평가했다.[4][8]

2. 4. 중농주의 학파의 지도자

1764년부터 1767년까지 케네는 중농주의 학파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의 사상은 당시 프랑스 경제 정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8] 그는 자크 클로드 마리 뱅상 드 구르네를 비롯하여 장자 미라보, 니콜라 보도, 기욤-프랑수아 르 트로스느, 앙드레 모렐레, 피에르-폴 르메르시에 드 라 리비에르 드 생-메다르, 피에르 사뮤엘 뒤퐁 드 네무르 등과 교류하며 중농주의 학파를 이끌었다.[4]

특히, 아담 스미스는 1764년부터 1766년까지 파리에 머물면서 케네와 그의 추종자들을 만났고, 이후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케네 등의 과학적 공헌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4][8]

2. 5. 사망

François Quesnay|프랑수아 케네프랑스어는 1774년 12월 루이 15세가 죽은 지 몇 달 뒤 그랑코뮌에서 별세하였다.[8] 그는 1774년 12월 16일에 사망했는데, 그의 뛰어난 제자였던 튀르고가 재무장관으로 취임하는 것을 보았다.[8]

3. 주요 저작 및 이론

프랑수아 케네는 백과전서에 〈정액소작농〉(1756년)과 〈곡물〉(1757년) 항목을 기고했으며,[8] 1758년에는 《농업 왕국의 경제적 통치에 관한 일반적 격언》을 출판했다. 이 외에도 《무역과 장인들의 노동에 관한 대화》, 《중국의 전제정치》 등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경제 저술은 윌리엄 출판사의 《주요 경제학자들》 제2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외젠 데르의 서문과 주석이 덧붙여져 있다. 또한, 그의 《경제 및 철학 저작》은 아우구스트 온켄의 서문과 주석과 함께 1888년에 출판되었다.[8]

케네의 저작 중 《경제표》는 중농주의 학파의 주요 선언문으로 간주되며, 경제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케네의 이론은 농업을 중시하고, 지주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연결 짓는 특징을 가진다. (《경제표》와 중농주의 이론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조)

3. 1. 《경제표》

1758년, 케네는 《경제표》를 출판했는데, 이는 경제 작동 방식을 분석적으로 설명하려는 최초의 시도 중 하나였으며, 경제 사상에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는다.[6]

《경제표》는 부의 유일한 원천인 농업 생산물이 사회 계층(토지 소유자와 경작자로 구성된 생산 계층, 직인과 상인으로 구성된 비생산 계층) 간에 어떻게 분배되는지 보여주고, 정부의 제약과 규제 (중상주의) 하에서 발생하는 분배 방식과 그로 인한 악영향을 설명한다.[8] 케네는 지주의 이익이 사회 전체의 이익과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순생산량 증가를 중시했다.[8]

이 책은 추상적인 형식 때문에 큰 호평을 받지는 못했지만, 케네의 추종자들은 이 책을 인류 지혜의 중요한 산물로 여겼다. 애덤 스미스가 인용한 미라보의 말에 따르면, 이 책은 문자와 화폐와 더불어 정치 사회의 안정에 크게 기여한 세 가지 위대한 발명 중 하나로 언급된다.[4]

《경제표》는 프랑스 절대왕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이었으며, 시장경제와 자본주의 경제의 연간 재생산 과정을 분석하는 보편적인 이론적 문제를 제기했다.[22] 이는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 제2권의 회전·순환 과정 분석과[16] 바실리 레온티예프의 산업 연관표 작성에 영향을 미쳤다.[16]

3. 2. 중농주의 이론

''Tableau économique'', 1965


1758년, 케네는 《경제표》를 출판했는데, 이는 경제의 작동 방식을 분석적으로 설명하려는 최초의 시도 중 하나였으며, 중상주의 사상의 기초를 제공했다.[6]

케네는 사회에 세 가지 경제 계층이 있다고 보았다. "소유 계층"은 토지 소유주, "생산 계층"은 농업 노동자, "불모 계층"은 상인으로 구성되었다. 케네는 생산 계층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베르사유 궁전에 거주하던 당시 프랑스의 농업이 영국에 비해 후진적이고 비생산적이라고 생각했다.[13] 그는 농업이 경제의 중심이라고 믿었다.

케네는 재배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은 농업 생산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사회에 해롭다고 주장했다. 반면 소유주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생산 수단을 파괴하지 않으므로 생산량 감소가 없다고 보았다.[14] 그는 재배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면 농업 생산과 농업 잉여가 감소하여 모든 사람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국가에서 소유주가 세금의 전 부담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다.[14] 또한 케네는 직접세와 대조적으로 간접세에 반대했다. "간접세"는 탐욕으로 인해 과세에서 면제받기를 요구하는 소유주들에 의해 프랑스 국민에게 부과되기 때문이다. 그는 소유주에 대한 직접세는 재생산과 경제 침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간접세를 줄이고 직접세를 늘리면 프랑스는 농업 잉여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14]

《경제표》는 건조하고 추상적인 형식 때문에 일반적인 호평을 얻지는 못했지만, 중농주의 학파의 주요 선언문으로 간주된다. 케네의 추종자들은 이 책을 인류 지혜의 가장 중요한 산물 중 하나로 여겼고, 애덤 스미스가 인용한 미라보의 말에 따르면[4], 서기와 화폐 발명과 함께 정치 사회의 안정에 가장 크게 기여한 세 가지 위대한 발명 중 하나로 언급된다. 《경제표》의 목적은 부의 유일한 원천인 농업 생산물이 완전한 자유 상태에서 사회의 여러 계층(토지 소유자와 경작자로 구성된 생산 계층, 제조업자와 상인으로 구성된 비생산 계층) 사이에 어떻게 분배되는지, 그리고 정부의 제약과 규제 체제 하에서 발생하는 분배 방식과 자연 질서에 대한 위반으로 인해 사회 전체에 어떤 악영향이 발생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케네는 지주들의 이익이 사회의 일반적 이익과 엄격하고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이는 애덤 스미스가 나중에 다소 다른 근거로 주장한 내용과 유사하다.

케네가 자신의 체계를 설명한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디드로와 달랑베르의 《백과전서》(1756년, 1757년)에 실린 "농민(Fermiers)"과 "곡물(Grains)"에 관한 두 편의 논문,[7][8] 뒤퐁 드 네무르의 《피지오크라시(Physiocratie)》(1768년)에 실린 자연법에 관한 논문, 《농업 왕국의 경제적 통치에 관한 일반적 격언(Maximes générales de gouvernement economique d'un royaume agricole)》(1758년)과 동시에 출판된 《술리 공작의 왕실 경제에서 발췌한 설명과 함께 하는 경제표(Tableau économique avec son explication, ou extrait des économies royales de Sully)》(유명한 모토 "가난한 농민, 가난한 왕국; 가난한 왕국, 가난한 왕"과 함께), 《무역과 장인들의 노동에 관한 대화(Dialogue sur le commerce et les travaux des artisans)》등이 있다.[8]

이노우에 야스오(井上泰夫)에 따르면, “경제표는 프랑스 절대왕정의 막다른 골목을 돌파하기 위한 이론적 기둥이라는 점에서 이 시대 특유의 프랑스 사회경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시장경제·자본주의 경제의 연간 재생산이 어떻게 진행되는가 하는 보편적인 이론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22] 이 때문에 『경제표』는 19세기 중반에 마르크스가 『자본론』 제2권의 회전·순환 과정 분석에서 “재생산 표식”을 결실시켰고,[16] 20세기 중반에 레온체프가 미국 경제의 경제표를 쓰기 위해 “산업 연관표”를 작성했다.[16]

3. 3. 기타 저작

케네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디드로와 달랑베르가 편집한 《백과전서》의 〈정액소작농〉(1756년)과 〈곡물〉(1757년) 항목.[8]
  • 《농업 왕국의 경제적 통치에 관한 일반적 격언》(1758년)
  • 《무역과 장인들의 노동에 관한 대화》
  • 《중국의 전제정치》: 중국의 정치와 사회에 대한 저술.

4. 중국 및 동양 사상의 영향

케네는 중국의 사상과 개념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생전에 "유럽의 공자"로 알려졌다.[30] 그의 자유방임주의 사상은 중국의 무위자연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31][32]

그레고리 블루는 케네가 중국 제도를 옹호한 것이 영국 제국의 벵골 영구토지세(Permanent Settlement) 설립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10] 반면, 캐롤 블룸은 케네의 오리엔탈리즘적 관심을 비판하며 그를 "동양적 전제정치의 변호자"라고 불렀다.[11]

4. 1. 중국 정치 및 사회에 대한 관심

케네는 중국 정치와 사회에 관한 저술로 유명하다. 1767년에 쓰인 그의 저서 《중국의 전제정치(Le Despotisme de la Chine)》는 중국 제국 시스템에 대한 그의 견해를 설명하고 있다.[9] 그는 프랑스 정치를 특징짓는 번거로운 귀족 계급 없이 학자들에게 정치적 권력을 부여하는 실력주의 개념과 국가 복지에 대한 농업의 중요성을 지지했다. 그레고리 블루는 케네가 "중국을 입헌적 전제정치로 칭찬했고, 표준화된 조세 제도와 보편적 교육을 포함한 중국 제도의 채택을 공개적으로 옹호했다"고 쓰고 있다.[10]

유교에 대한 그의 찬사 때문에, 케네의 추종자들은 그에게 "유럽의 공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2] 케네는 중국 문화에 대한 열정으로 루이 15세의 아들에게 중국 황제의 "신성한 땅 갈이"를 본뜨게 하여 정부와 농업 사이의 연관성을 상징하게 만들었다.[13] 생전에 그는 유럽의 공자로 알려져 있었으며,[30] 자유방임주의의 교리와 그 이름조차도 중국의 무위자연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을지도 모른다.[31][32]

4. 2. 유교 사상의 영향

케네의 추종자들은 그를 "유럽의 공자"라고 칭했다.[12] 그는 유교를 찬양하였고, 루이 15세의 아들에게 중국 황제의 "신성한 땅 갈이"를 본뜨게 하여 정부와 농업 사이의 연관성을 상징하게 했다.[13] 케네는 생전에 유럽의 공자로 알려졌으며, 자유방임주의의 교리와 그 이름조차도 중국의 무위자연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을지도 모른다.[30][31][32]

4. 3. 자유방임주의와의 연관성

케네는 자유방임주의 교리와 그 이름조차도 중국의 무위자연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31][32] 그는 생전에 유럽의 공자로 알려졌다.[30]

5. 평가 및 영향

프랑수아 케네는 경제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분석하여 경제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유주의 경제 사상의 선구자로 애덤 스미스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농업 이외 산업의 역할을 과소평가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캐롤 블룸은 케네를 "동양적 전제정치의 변호자"라고 비판했으며,[11] 그레고리 블루는 케네가 중국 제도의 채택을 옹호했다고 평가했다.[10]

5. 1. 긍정적 평가

케네는 경제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분석하려 했으며, 이는 경제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자유주의 경제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애덤 스미스를 비롯한 여러 고전파 경제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5. 2. 부정적 평가

케네는 중농주의 이론에서 농업 이외의 산업의 역할을 과소평가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캐롤 블룸은 케네를 "동양적 전제정치의 변호자"라고 비판했다.[11] 케네는 저서 『중국의 전제정치(Le Despotisme de la Chine)』에서 중국 제국 체제에 대한 견해를 밝히며, 프랑스 정치와 대비되는 중국의 실력주의 개념과 농업의 중요성을 지지했다.[9] 그레고리 블루는 케네가 중국을 입헌적 전제정치로 칭찬하며 중국 제도의 채택을 옹호했다고 평가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Biophysical economics http://www.eoearth.o[...] 2006-09-14
[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1 International Publishers
[3] 웹사이트 Nouvelles Ephemerides, Économiques, Seconde Partie, Analyses, Et Critiques Raisonnées. N° Premier. Éloge Historique De M. Quesnay, Contenant L'Analyse De Ses Ouvrages, Par M. Le Cte D'A*** http://www.taieb.net[...] Taieb.net 2012-08-16
[4]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Random House
[5] 서적 The Genesis of Macroeconomics: New Ideas from Sir William Petty to Henry Thornton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Econom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7-21
[7] 학술지 Kafker, Frank A.: Notices sur les auteurs des 17 volumes de « discours » de l'Encyclopédie (suite et fin). http://www.persee.fr[...]
[8] 백과사전 Quesnay, François
[9] 서적 Orientalism in Early Modern France: Eurasian Trade, Exoticism and the Ancien Regime https://archive.org/[...] Berg Publishers 2008-07-15
[10] 서적 Comparative Criticism: Volume 22, East and West: Comparative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11-30
[11] 서적 Strength in Numbers: Population, Reproduction, and Power in Eighteenth-Century France https://archive.org/[...] JHU Press 2002-02-05
[12] 서적 Economic Thought Before Adam Smith Ludwig von Mises Institute
[13] 서적 First Globalization: The Eurasian Exchange, 1500 to 1800 Rowman & Littlefield
[14] 웹사이트 François Quesnay French economist https://www.britanni[...]
[15] 웹사이트 Biophysical economics http://www.eoearth.o[...] 2006-09-14
[16] 서적 経済表
[17] 서적 F・ケーネー 生涯と思想
[18] 서적 Quesnay et la Phisiocratie
[19] 서적 Vincent de Gournay
[20] 서적 F・ケーネー 生涯と思想
[21]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Random House
[22] 서적 経済表
[23] 서적 Traité de la suppuration http://gallica2.bnf.[...]
[24] 서적 Exercitatio Anatomica de Motu Cordis et Sanguinis in Animalibus Frankfurt
[25] 서적
[26] 서적 El modelo Japonés Ciencia Nueva
[27] 서적 Œuvres Économiques et Philosophiques de F. Quesnay http://visualiseur.b[...]
[28] 서적 Essays on Philosophical Subjects
[29]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s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웹사이트 FORERUNNERS OF HENRY GEORGE http://www.grundskyl[...]
[31] 웹사이트 Wu-Wei in Europe http://www.lse.ac.uk[...]
[32]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z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