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로메 (제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로메는 히브리어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복음서에 따르면 살로메는 예수의 십자가형에 참여했고, 예수의 시신에 향유를 바르기 위해 무덤에 간 여인들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일부 문헌에서는 살로메를 예수의 어머니의 자매 또는 제베데의 아들들의 어머니로 언급하기도 한다. 외경과 전승에서는 살로메를 예수의 제자로 묘사하거나,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살로메는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등에서 성인으로 기념되며, 예술 작품에서는 성가족과 함께 묘사되거나 향로를 든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2. 명칭

'살로메'는 '평화'를 의미하는 שָׁלוֹם|샬롬he이라는 어근에서 파생된 히브리어 이름의 헬라어식 표기일 수 있다.[3]

이 이름은 흔하게 사용되었는데, 유명한 춤을 춘 헤로디아스의 딸 외에도, 헤롯 대왕의 여동생과 딸 모두 살로메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유대의 마지막 독립 통치자인 살로메 알렉산드라 (기원전 67년 사망) 여왕도 이 이름을 사용했다.

3. 정경 복음서

마가복음 15장 40~41절에서 살로메예수십자가형에 참석한 여인들 중 한 명으로, 예수를 섬기던 여인으로 언급된다. 요세와 또 예수께서 갈릴리에 계실 때에 그를 좇아 섬기던 살로메와 또 예수를 따라 예루살렘까지 좇아간 많은 여자가 있었다."[4] 가톨릭 백과사전(1913)은 마가복음 15장 40절의 살로메가 마태복음에 나오는 세베대의 아들들의 어머니와 동일인일 것이라고 보았다. 마태복음 20장 20절에서 세베대의 아들들의 어머니는 예수께 자신의 아들들이 낙원에서 예수와 함께 앉게 해달라고 간청한다.

요한복음에는 십자가형에 참석한 세 명 또는 네 명의 여성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들은 예수의 어머니와 그의 이모, 클로파스의 아내 마리아, 그리고 막달라 마리아이다. 일반적인 해석에 따르면, 살로메는 예수의 어머니의 자매, 즉 예수의 이모로 여겨진다.[5]

마가복음에서 살로메는 예수의 시신에 향유를 바르기 위해 예수의 무덤으로 간 여성들 중 한 명이다. "안식일이 지나매 막달라 마리아와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와 또 살로메가 와서 예수께 바르려고 향품을 사왔더니" (막 16:1) 그들은 돌이 굴려진 것을 발견했고, 흰 옷을 입은 청년으로부터 예수가 부활했다는 소식과 함께 예수의 제자들에게 갈릴리에서 그를 만날 것이라고 전하라는 말을 들었다.

정경 복음서에서는 살로메를 "제자"라고 명시적으로 부르지는 않는다. 주류 기독교 저술가들은 일반적으로 살로메를 예수의 "추종자"로 묘사하지만,[6]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주류 전통이 예수의 여성 지지자들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한다고 주장한다.

3. 1. 마가복음

마가복음 15장 40~41절에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여인들 중 한 명으로 살로메가 언급된다. 이 구절에 따르면, 살로메는 예수가 갈릴리에 있을 때부터 그를 따르며 섬겼고, 예루살렘까지 함께 간 많은 여자들 중 한 명이었다.[4] 가톨릭 백과사전(1913)은 마가복음 15장 40절의 살로메가 마태복음에 나오는 세베대의 아들들의 어머니와 동일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마태복음 20장 20절에서 세베대의 아들들의 어머니는 예수께 자신의 아들들이 낙원에서 예수와 함께 앉게 해달라고 간청한다.

요한복음에는 십자가형에 참석한 세 명 또는 네 명의 여성이 언급되어 있다. 이들은 예수의 어머니, 예수의 이모, 클로파스의 아내 마리아, 그리고 막달라 마리아이다. 일반적인 해석에 따르면, 살로메는 예수의 어머니의 자매, 즉 예수의 이모로 여겨진다.[5]

마가복음에서 살로메는 예수의 몸에 향유를 바르기 위해 예수의 무덤에 갔던 여인들 중 한 명이었다. 마가복음 16장 1절에 따르면, 안식일이 지난 후 막달라 마리아,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살로메는 예수께 바를 향품을 사 왔다. 그들은 돌이 굴려진 것을 발견했고, 흰 옷을 입은 청년으로부터 예수가 부활했다는 소식과 함께 예수의 제자들에게 갈릴리에서 그를 만날 것이라고 전하라는 말을 들었다.

정경 복음서에서는 살로메를 "제자"라고 명시적으로 부르지는 않는다. 주류 기독교 저술가들은 일반적으로 살로메를 예수의 "추종자"로 묘사하지만,[6]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주류 전통이 예수의 여성 지지자들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한다고 주장한다.

3. 2. 마태복음

마가복음에서 살로메예수의 십자가형에 참석하여 예수께 시중을 들었던 여성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멀리서 바라보는 여자들도 있었는데, 그들 중에는 막달라 마리아, 야고보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그를 따라다니며 갈릴리에서 시중을 들었던 살로메도 있었다. 그리고 예루살렘까지 그를 따라간 다른 많은 여자들도 있었다." (제임스 왕 역본) 마태복음의 유사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그들 중에는 막달라 마리아, 야고보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제베대오의 아들들의 어머니가 있었다." 가톨릭 백과사전 (1913)은 마가복음 15:40의 살로메가 마태복음에 나오는 제베대오의 아들들의 어머니와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짓는다. 마태복음 20:20에서 제베대오의 아들들의 어머니는 예수께 자신의 아들들이 낙원에서 그와 함께 앉게 해달라고 간청한다.[4]

3. 3. 요한복음

요한복음에는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셋 또는 넷의 여자들이 언급되어 있다. 이들은 예수의 "어머니와 그의 이모, 클로파의 아내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로 명명되었다. (요한복음 19:25)[5] 일반적인 해석은 살로메를 예수의 어머니의 누이로 식별하여 그녀를 예수의 이모로 만든다. 전통적인 해석은 클레오파의 아내 마리아(요한복음의 세 번째 여자)를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마태복음의 세 번째 여자)와 연관시킨다.[4]

4. 외경 및 기타 전승

디아테사론은 니케아 이전 교부 전집의 일부로, 살로메와 제베데의 아들들의 어머니를 전통적으로 동일시하는 것과 반대로, 두 사람을 별개의 인물로 구분한다. "그리고 멀리서 예수를 아는 모든 사람들과 그와 함께 갈릴리에서 온 여자들이 서 있었는데, 그들은 그를 따르며 섬겼다. 그들 중 한 명은 막달라 마리아였고, 야고보와 요셉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제베데의 아들들의 어머니, 살로메, 그리고 그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올라온 많은 다른 사람들이었다."(디아테사론 52:21–23)

논란이 많은 ''마르코의 비밀 복음서''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에게 귀속된 마르 사바 서신에서 언급 및 인용되었으며, 정경 ''마르코 복음서'' 10:46에는 없는 살로메에 대한 추가 언급을 담고 있다.[8] 클레멘트는 자신의 서신에서 "그 후 그는 예리코로 갔다. 그리고 예수께서 사랑하셨던 젊은이의 누이가 그의 어머니와 살로메와 함께 그곳에 있었지만 예수는 그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라는 구절을 인용한다. 이 구절은 ''마르코 복음서''의 잘 알려진 공백을 채운다.

2세기 그리스인 켈수스는 기독교 종파가 로마 국가에 위협이 된다고 비난하는 ''진실한 담론''을 저술했다. 그의 발언은 오리게네스가 쓴 ''켈수스 반박''에 인용되어 남아 있다. 켈수스는 당시(서기 178년경)의 다양한 기독교 종파를 묘사하며, 마르셀리나, 카르포크라테스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기독교 종파가 살로메를 따랐다고 언급한다.

사도 바돌로매의 것으로 알려진 외경 콥트어 그리스도 부활서는 무덤에 간 여인들의 이름을 언급하는데, 그들 중에는 "그를 유혹한 살로메"가 있었다.

4. 1. 토마 복음서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된 토마 복음서에는 예수의 "제자" 중 살로메와 마리아라는 두 명의 여성이 언급된다.[7]

''토마 복음서''에서 예수는 살로메의 침대에 기대어 식탁에서 식사를 한다. 살로메가 "선생님, 제 침대에 자리 잡고 제 식탁에서 식사하시는 분은 누구십니까?"라고 묻자, 예수께서는 "나는 아버지에게서 온 자이며 아버지의 것은 나에게 주어졌다"라고 답하신다. 살로메는 "하지만 저는 당신의 제자입니다"라고 답하고, 예수께서는 "제자가 하나 되면 빛으로 가득 차겠지만, 둘로 나뉘면 어둠으로 가득 찰 것이다"라고 답하신다.

4. 2. 이집트인 복음서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된 이집트인 복음서(2세기)에서 살로메는 예수의 제자로 다시 등장한다. 살로메가 예수에게 죽음이 얼마나 오래 지배할 것인지 묻자, 예수는 "여자들이 낳는 동안, 나는 여자의 일을 끝내러 왔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이에 살로메는 "그렇다면 저는 낳지 않아서 잘했네요"라고 답한다. 이 텍스트에서 살로메는 자녀가 없고, 아마도 미혼이었다는 초기 전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7]

4. 3. 야고보 원복음서

야고보 원복음서 14장에는 "살로메"라는 이름이 등장한다.[9]

14영어 그리고 산파가 동굴에서 나와 살로메를 만났다.

15영어 그리고 산파가 그녀에게 말했다. "살로메, 살로메, 제가 본 가장 놀라운 일을 당신에게 말씀드리겠습니다.

16영어 처녀가 낳았습니다. 이것은 자연에 반하는 일입니다."

17영어 살로메가 대답했다. "내 주 하나님께서 살아 계시는 한, 이 문제에 대한 특별한 증거를 받지 않는 한, 저는 처녀가 낳았다는 것을 믿지 않겠습니다."

18영어 그러자 살로메가 들어갔고, 산파가 말했다. "마리아, 나타나십시오. 당신에 대해 큰 논쟁이 일어났습니다."

19영어 그리고 살로메는 손가락으로 그녀를 시험했다.

20영어 그러나 그녀의 손은 시들었고, 그녀는 몹시 신음하며

21영어 말했다. "내 죄 때문에 슬프다! 내가 살아있는 하나님을 시험했으니, 내 손이 떨어지려고 한다."

살로메는 산파 다음으로 기적적인 출생을 증언하고 예수를 그리스도로 인정한 첫 번째 사람이었다는 사실은 그녀를 제자 살로메와 연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세 성기에 이르러 이 살로메는 서방에서 종종(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님) 마리아 살로메와 동일시되었고, 따라서 믿는 산파로 여겨졌다.[9]

4. 4. 기타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된 토마 복음서는 예수의 "제자" 중 살로메와 마리아라는 두 명의 여성을 언급하고 있다.[7] 디아테사론은 니케아 이전 교부 전집의 일부로, 살로메와 제베데의 아들들의 어머니를 전통적으로 동일시하는 것과 반대로, 두 사람을 별개의 인물로 구분한다.

논란이 많은 ''마르코의 비밀 복음서''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에게 귀속된 마르 사바 서신에서 언급 및 인용되었으며, 정경 ''마르코 복음서'' 10:46에는 없는 살로메에 대한 추가 언급을 담고 있다.

외경인 ''이집트인 복음서''(2세기)에서 살로메는 다시 예수의 제자로 등장한다. 이 텍스트에서 살로메 제자는 자녀가 없고, 아마도 미혼이었다는 초기 전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토마 복음서''에는 예수께서 살로메의 침대에 기대어 식탁에서 식사를 하시는 내용이 있다.

2세기 그리스인 켈수스는 기독교 종파가 로마 국가에 위협이 된다고 비난하는 ''진실한 담론''을 저술했다. 그의 발언은 오리게네스가 쓴 ''켈수스 반박''에 인용되어 남아 있다. 내용중에 마르셀리나, 카르포크라테스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기독교 종파가 있으며, 그들은 살로메를 따랐다고 한다.

초기 기독교 문서에는 "살로메"에 대한 다른 여러 언급이 있다. 야고보 복음서의 살로메는 야고보 원복음서 14장에 등장한다. 살로메가 산파 다음으로 기적적인 출생을 증언하고 예수를 그리스도로 인정한 첫 번째 사람이었다는 사실은 그녀를 제자 살로메와 연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세 성기에 이르러 이 살로메는 서방에서 종종 마리아 살로메와 동일시되었고, 따라서 믿는 산파로 여겨졌다.[9]

사도 바돌로매의 것으로 알려진 외경 콥트어 그리스도 부활서는 무덤에 간 여인들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는데, 그들 중에는 "그를 유혹한 살로메"가 있었다.

5. 성인으로서의 살로메

살로메는 동방 정교회에서 향유를 바른 여인들의 주일인 파스카(부활절) 셋째 주일과 8월 3일에 기념된다.[10] 로마 가톨릭교회 라틴 전례에서는 4월 24일[11][12] 또는 10월 22일,[13] 성공회에서는 8월 3일에 기념되며, ''소축일 및 단식 2022''에 "요안나, 마리아, 살로메, 향유를 바른 여인들"로 등재되어 있다.[14] 루터교 미주리 시노드의 성인 달력에서는 요안나, 마리아와 함께 8월 3일이다.

예술 작품에서 살로메는 종종 성가족과 함께 성족도의 그림으로 묘사되며, 예수에 대한 희생과 믿음의 상징으로 향로를 들고 있기도 한다.

6. 성 안나의 세 남편 전설

9세기 중반 오세르의 하이모가 제안한 전설에 따르면,[15]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거부되었으며,[16] 성 안나는 여러 남편을 통해 모두 마리아라는 이름을 가진 세 딸을 두었는데, 이들을 삼 마리아라고 부른다.


  •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 클로파스의 마리아
  • 살로메 (이 전통에서는 마리아 살로메라고 불리며, 무덤에 있는 세 마리아의 전통과 같다)


마리아 막달레나는 이 그룹에 속하지 않는다.[17] 따라서 마리아 살로메는 성모 마리아의 이복 자매가 된다.

이 이야기는 약 1260년에 쓰여진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의 ''황금 전설''에 포함되었다.[18] 약 1357년에 장 드 베네트가 쓴 운율이 있는 프랑스어 장시의 주제이기도 했다. 이 시는 15세기 중반의 양피지에 보존되어 있으며, 232페이지로 구성되어 있고 세로로 쓰여 있다. 제목은 붉은색으로 되어 있으며 금색으로 장식되어 있다. 단색 회색으로 된 일곱 개의 세밀화로 장식되어 있다.[19][20]

마리아 살로메는 루카스 크라나흐 (장로)의 성 친족 제단화에서 오른쪽에 있는 인물이다.


수 세기 동안, 독일과 저지대 국가의 종교 미술은 종종 성 안나와 그녀의 남편, 딸, 사위, 손주들을 성 친족으로 알려진 그룹으로 묘사했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세 명의 남편에 대한 생각은 개신교와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신학자들에 의해 거부되었지만, 살로메는 여전히 성모 마리아의 자매이자 제베데의 아내, 두 사도의 어머니로 여겨졌다.[2] 1913년의 가톨릭 백과사전은 (19세기 최고의 개신교 성경 참고 서적보다 다소 조심스럽게) "어떤 작가들은 요한복음 19장 25절에 언급된 복되신 동정녀의 자매가 그녀라는 것을 다소 그럴듯하게 추측한다"고 말했다.[4]

참조

[1] 서적 Emblems of Saints: By which They are Distinguished in Works of Art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and Roberts 1860
[2] 웹사이트 NETBible:Salome http://net.bible.org[...]
[3] 웹사이트 Behind the Name: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Salome http://www.behindthe[...]
[4] 간행물 Salome
[5] 웹사이트 Topical Bible: Salome http://biblehub.com/[...] Smith's Bible Dictionary, ATS Bible Dictionary, Easton's Bible Dictionary and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6] 서적 The Gospel of Mary of Magdala : Jesus and the first woman apostle https://www.worldcat[...] Polebridge Press 2003
[7] 서적 Thomas at the Crossroads: Essays on the Gospel of Thomas Bloomsbury Publishing
[8] 문서 Clemens Alexandrinus Akademie-Verlag 1980
[9] 서적 Iconography of Christian Art, Vol. I Lund Humphries 1971
[10] 웹사이트 Western American Diocese - August 3 http://westserbdio.o[...] 2022-01-12
[11]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2] 웹사이트 St. Salome, Who Went to Anoint Our Lord http://www.ncregiste[...] 2018-04-24
[13] 웹사이트 St. Mary Salome – Saints & Angels https://www.catholic[...]
[14]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https://www.episcopa[...] Church Publishing 2022
[15] 서적 Women at the Beginn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16] 서적 Saints and Their Symbols Liturgical Press 2004
[17] 서적 Gospel Figures in Art Getty Publication 2003
[18] 웹사이트 The Children and Grandchildren of Saint Anne http://www.aug.edu/a[...]
[19] 간행물 "Le manuscrit médiéval" ~ The Medieval Manuscript 2011-11
[20] 서적 The Chronicle of Jean de Venett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3
[21] 서적 レクラム版 聖書人名小事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