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갈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갈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1914년 기곡면에서 분리되어 금화·중갈천을 병합하여 기흥면 상갈리로 편입되었으며, 2005년 상갈리·보라리·지곡리를 병합하여 상갈동으로 신설되었다. 마을 앞 칡넝쿨 형상에서 유래된 '갈천'과 '갈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분당선 상갈역이 위치한다. 2020년 1월 기준 인구는 약 13,560명이며, 상갈초등학교, 상갈중학교, 상갈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상갈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상갈동 |
한자 표기 | 上葛洞 |
영문 표기 | Sanggal-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기흥구 |
면적 | 2 |
세대 | 6,165 |
인구 | 13,223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상갈동 |
통 | 17 |
반 | 124 |
동주민센터 | [17072]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2(상갈동 472) (경기도박물관 옆) |
홈페이지 | 상갈동행정복지센터 |
2. 연혁
1895년 조선 고종 3년 용인현을 용인군으로 개칭하였다.
마을 앞에 흐르는 내가 칡넝쿨 같은 형상이라 '갈천(葛川)'이라 하였고 '갈내'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갈천의 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상갈동이 되었다.[3] 상갈(上葛)은 갈천 위쪽에 위치하므로 윗갈내(상갈천, 上葛川)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화(金華, 쇠품이) · 중갈천 · 상갈천을 합쳐 상갈리라고 하였다.[3] '''금화'''(金華)는 상갈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풍수형국상 금반형(金盤形)이기 때문에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3] 『해동지도』에 상갈천이, 『1872년지방지도』에 상갈천 · 중갈천 · 지곡 등의 관련지명이 보인다.[3]
1914년 읍내와 동변, 서변, 수진의 3개변을 합하여 읍삼면이라 개칭하였다.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인군 기곡면에서 분리되어 금화·중갈천을 병합, 기흥면 상갈리로 편입되었다.
1931년 읍삼면의 명칭을 구성면으로 변경하였다.
1985년 10월 1일 기흥면이 기흥읍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었다.
2000년 9월 1일 구성면에서 구성읍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기흥구로 승격, 상갈리·보라리·지곡리 병합, 상갈동이 신설되었다.
2020년 1월 20일 보라동과 지곡동이 보라동으로 분동되었다.
3. 이름의 유래
4. 인구
4. 1. 인구 구성
상갈동의 인구는 13,560명(2020년 1월 기준)으로 용인시 전체 인구의 1.26%를 차지한다.
상갈동의 인구구조는 도시 지역의 특성이 나타나서 유소년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19.70%로 용인시 전체 18.3%보다 많으며 노년(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0.40%로 용인시 전체 10.3%보다 많다.[1]
4.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5년 현재 상갈동의 산업 총종사자 수는 1,794명이다. 제조업 종사자 수가 2,553명으로 가장 비중이 높다. 그 외에 도소매업 종사자는 1,379명, 숙박 및 음식업 종사자는 960명, 교육서비스업 종사자는 1,103명으로 비중이 높다.[2]
5. 문화재 및 유적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었던 신석기시대의 임시 주거 유적으로 뚜렷한 주거 형태는 남아 있지 않지만,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빗살무늬토기와 토제품 및 마제석부가 있다.[3] 빗살무늬토기의 기종은 발(鉢)이며 바닥이 첨저(尖底)로 전체적인 모습은 포탄형(砲彈形)이다.[3]
그릇의 구경은 20~32cm 로 신석기시대 그릇의 내부 용적 구분상 중형 이하에 속하며, 먹거리의 저장 용기로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3] 그릇 표면의 문양은 구연부터 동체부까지 같은 수법으로 이루어진 동일계 문양이다.[3] 문양이 시문 부위가 구연부터 동체 하단까지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적의 편년은 신석기 중기 이후로 잡는다.[3]
6. 교육 기관
wikitable
7. 교통
7. 1. 철도
분당선 상갈역이 있다.8. 아파트
wikitable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금화마을 1단지 대우현대 |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 기흥구 금화로82번길 14 | 2001년 6월 | ||
금화마을 2단지 주공그린빌 | 동일토건㈜ | 대한주택공사 | 2001년 9월 | ||
금화마을 6단지 주공그린빌 | 기흥구 금화로11번길 9 | ||||
금화마을 3단지 주공그린빌 | 대원실업㈜ 삼능건설㈜ | 기흥구 금화로11번길 10 | 2001년 10월 | ||
상갈 메트로파크 前 금화마을 4단지 주공그린빌 | 삼호㈜ | 기흥구 금화로58번길 10 | |||
금화마을 5단지 주공그린빌 | 금호산업㈜ | 기흥구 금화로82번길 17 |
참조
[1]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 바다
https://estat.yongin[...]
2021-01-18
[2]
웹사이트
2015년 용인시 통계연보
https://estat.yongin[...]
용인시청 통계바다
2021-01-18
[3]
뉴스
상갈동 선사유적
http://yongin.grandc[...]
용인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2012-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