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분당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분당선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철도 노선으로, 현재는 수인선과 직결되어 인천역까지 운행한다. 1990년 수서-오리 구간 착공을 시작으로, 1994년 수서-오리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0년 수인선과 직결 운행을 개시하며 현재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 분당선은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급행 열차가 운행되며, 소음 문제, 수요 예측 실패, 서울 도심 접근성 문제, 역 추가 건설에 따른 낭비, 부실 공사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당선 - 오리역
    오리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으로, 역명은 오리뜰 또는 부평에서 유래되었으며 대한민국 지하철 역사 최초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1994년 개통 후 분당 주민들의 주요 교통 거점이자 2013년부터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곳이다.
  • 분당선 - 분당차량사업소
    수인분당선 351000호대 전동차와 신분당선 및 경기철도 D000호대 전동차 일부 차량의 경정비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는 분당차량사업소는 죽전역과 연결되어 전동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점검 및 유지 보수 활동을 지원한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201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201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인 경전철
    용인 경전철은 용인시를 운행하는 경량 전철로, 기흥역과 전대·에버랜드역을 잇는 18.1km 구간을 운행하며, 개통 초기에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용인 에버라인 운영 주식회사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분당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분당선
원어 이름
'Bundangseon'
노선 종류광역철도
노선망수도권 전철
노선 상태운영 중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기점왕십리역
종점수원역
역 수36
노선 번호318
노선 색상노란색
개통일1994년 9월 1일(수서~오리)
2003년 9월 3일(선릉~수서)
2004년 11월 26일(오리~보정)
2011년 12월 28일(보정~기흥)
2012년 10월 6일(왕십리~선릉)
2012년 12월 1일(기흥~망포)
2013년 11월 30일(망포~수원)
노선 길이52.9 km
기술 정보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C(왕십리~고색) [수동운전]
ATS(청량리~왕십리) [수동운전]
최고 속도ATC 구간 80 km/h
ATS 구간 100 km/h
차량 기지분당차량사업소
기타 정보
소유자대한민국의 정부
수탁 관리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차량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이미지
Korail Bundang Line.png
351000계 4차차량
351000계 4차차량
분당선을 달리는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분당선을 달리는 351000호대 전동차

2. 연혁

분당선은 1994년 9월 1일 수서역~오리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 및 신설역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당선은 서울과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를 잇는 중요한 교통망으로 자리 잡았다.

2. 1. 분당선 건설

1980년대 말 ~ 1990년대노태우 정부의 핵심 공약으로, 수도권 5대 신도시 (군포 산본, 안양 평촌, 성남 분당, 고양 일산, 부천 중동)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분당선 건설이 추진되었다. 분당선은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서 가장 핵심적인 교통 수단이었으며, 본래 오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 ~ 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착공하여 1994년 9월 1일에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현재와 같이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구간으로 연장되었다.

분당선 1단계 구간 (수서~오리) 완공 당시 선릉~수서 연장 구간은 1998년에, 왕십리~선릉 연장 구간은 2002년에 완공 및 개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5년 선릉역~수서 구간 연장 공사가 시작될 당시 왕십리~선릉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수서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고, 무기한 연기되었던 왕십리~선릉 구간은 광역철도로 지정되어 2004년 하반기가 되어서야 뒤늦게 착공하여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성남시 분당구 남쪽의 용인시 지역의 택지개발에 따른 교통망 확충과 추후 수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고려하여, 오리역에서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당시 수지읍, 구성읍, 기흥읍) 일대를 거쳐 경부선 수원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 오리~수원 연장 구간 중 보정역2004년 11월 26일에, 죽전역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죽전~기흥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하여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기흥~망포 구간은 2012년 12월 1일에 개통, 망포~수원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은 지역구 민주통합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 경원선 일부 구간 직결로 왕십리~청량리 구간이 연장되었다.[19] 청량리역에서는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분당선 열차가 1일 18회 운행되었다.[20]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수원역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되어, 수인분당선 계통으로 직결 운행이 시행되었다.

개통일구간비고
1994년 9월 1일수서역~오리역
1996년 11월 23일복정역수서역~가천대역 구간에 신설
2003년 9월 3일선릉역~수서역
2004년 1월 14일이매역야탑역~서현역 구간에 신설
2004년 9월 24일구룡역도곡역~개포동역 구간에 신설
2004년 11월 26일오리역~보정역
2007년 12월 24일죽전역오리역~보정역 구간에 신설
2011년 12월 28일죽전역~기흥역보정역 지하화, 경원대역을 가천대역으로 역명 변경
2012년 10월 6일왕십리역~선릉역
2012년 12월 1일기흥역~망포역
2013년 11월 30일망포역~수원역평일 러시아워 시간대에 급행 운행 개시
2018년 12월 31일왕십리역~청량리역일부 열차의 청량리역 진입 운행 시작[5]
2020년 9월수인선과 직통 운행 시작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통합


3. 역 목록

1994년 9월 1일 수서역 ~ 오리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연장 공사를 통해 현재는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2020년 9월 12일부터는 수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여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 수인분당선이라는 이름으로 운행되고 있다.[19][20]

분당선은 서울특별시 내에서 성남시 분당 신도시까지를 잇는 노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드문 교류 전철화 지하철[4]이며, 다른 KORAIL 노선과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이다.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은 지역구 민주통합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분당선 열차가 1일 18회 운행되었다.[20]

'''급행열차 정차역'''


  • ●:정차, ▲:상행선만 설정, |:통과
  • 완행은 모든 역에 정차하므로 생략.


역 번호역 이름영어 역명역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등급
역 종류분당
급행
접속 노선소재지선적상의
노선명
K209청량리역Cheongnyangni0.0-2.41급그룹 대표역한국철도공사:중앙선(일반 여객열차)・--경의·중앙선・--경춘선・--1호선(경원선) (124)
서울교통공사:-- 1호선(지하철 1호선) (124)
서울특별시중구경원본선
K210왕십리역Wangsimni2.40.03급보통역한국철도공사:--경의·중앙선 (K116)
서울교통공사:--2호선 (208)・--5호선 (540)
성동구
분당선
K211서울숲역Seoul Forest2.22.2배치간이역 
K212압구정로데오역Apgujeongrodeo1.94.1배치간이역 강남구
K213강남구청역Gangnam-gu Office1.25.3배치간이역서울교통공사:--7호선 (730)
K214선정릉역
(한국과학
창의재단)
Seonjeongneung
(KOFAC)
0.76.0배치간이역서울교통공사:--9호선 (927)
K215선릉역Seolleung0.76.73급보통역서울교통공사:-- 2호선 (220)
K216한티역Hanti1.07.7무배치간이역 
K217도곡역Dogok0.78.4무배치간이역서울교통공사:--3호선 (344)
K218구룡역Guryong0.69.0간이역무배치간이역 
K219개포동역Gaepo-dong0.79.7무배치간이역 
K220대모산입구역Daemosan0.610.3무배치간이역 
K221수서역Suseo3.013.33급관리역서울교통공사:-- 3호선(349)
SR:SRT수서평택고속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연결 예정)
K222복정역
(동서울대학)
Bokjeong
(Dong Seoul College)
3.216.5배치간이역서울교통공사:--8호선 (820)송파구
K223가천대역Gachon Univ.2.418.93급배치간이역 경기도성남시수정구
K224태평역Taepyeong1.019.93급배치간이역 
K225모란역Moran0.920.83급배치간이역서울교통공사:-- 8호선 (826)중원구
K226야탑역Yatap2.323.13급배치간이역 분당구
K227이매역
(성남아트
센터)
Imae
(Seongnam Arts
Center)
1.724.83급무배치간이역
K228서현역Seohyeon1.426.23급배치간이역 
K229수내역
(한국잡월드)
Sunae
(Korea Job World)
1.127.33급배치간이역 
K230정자역Jeongja1.628.93급배치간이역신분당선(기업)경강선:--신분당선 (D12)
K231미금역Migeum1.830.73급배치간이역경강선:-- 신분당선 (D13)
K232오리역Ori1.131.83급무배치간이역 
K233죽전역
(단국대)
Jukjeon
(Dankook Univ.)
1.833.6관리역 용인시수지구
K234보정역Bojeong1.334.9배치간이역 기흥구
K235구성역Guseong1.636.5배치간이역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
K236신갈역Singal1.638.1배치간이역 
K237기흥역
(백남준
아트센터)
Giheung
(Nam June Park
Art Center)
1.439.5보통역용인경전철:--용인경전철 (Y110)
K238상갈역
(루터대학교)
Sanggal
(Luther Univ.)
1.941.4을종대매소 
K239청명역Cheongmyeong2.844.2을종대매소 수원시영통구
K240영통역Yeongtong1.145.3을종대매소 
K241망포역Mangpo1.546.8보통역 
K242매탄권선역MaetanGwonseon1.848.6보통역 
K243수원시청역
(경기도문화의전당)
Suwon City Hall
(Gyeonggi Arts Center)
1.450.0보통역 권선구
K244매교역Maegyo1.451.4보통역 팔달구
K245수원역Suwon1.552.91급관리역한국철도공사경부선(일반 여객열차)
--1호선(경부선) (P155)
--수인선(직통 운행)
수원 도시철도 1호선(계획 중)
분당급행은 수인선 고색역까지
완행은 수인선 인천까지 직통 운행


3. 1. 분당선 구간

분당선은 1980년대 말 ~ 1990년대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의 핵심 교통 수단으로, 본래 오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 ~ 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1994년 9월 1일에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현재와 같은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구간으로 연장되었다.[19][20]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 수원역, 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

분당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급행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경원선 청량리역 방면
K210왕십리Wangsimni往十里전역 정차경원선-2.4서울특별시성동구
K211서울숲
(에스엠타운)
Seoul Forest
(SMTOWN)
2.22.2
K212압구정로데오Apgujeongrodeo1.94.1강남구
K213강남구청Gangnam-gu Office江南區廳1.25.3
K214선정릉Seonjeongneung宣靖陵0.76.0
K215선릉Seolleung宣陵0.76.7
K216한티Hanti1.07.7
K217도곡Dogok道谷0.78.4
K218구룡Guryong九龍0.69.0
K219개포동Gaepo-dong開浦洞0.79.7
K220대모산입구Daemosan大母山入口0.610.3
K221수서Suseo水西수서고속철도3.013.3
K222복정
(동서울대학)
Bokjeong
(Dongseoul Univ.)
福井(東서울大學校)3.216.5송파구
K223가천대Gachon Univ.嘉泉大2.418.9경기도성남시 수정구
K224태평Taepyeong太平1.019.9
K225모란Moran牡丹0.920.8성남시 중원구
K226야탑Yatap野塔2.323.1성남시 분당구
K227이매
(성남아트센터)
Imae
(Seongnam Art Center)
二梅1.724.8
K228서현
(페퍼저축은행)
Seohyeon
(Pepper Savings Bank)
書峴1.426.2
K229수내
(한국잡월드)
Sunae
(Korea JobWorld)
藪內1.127.3
K230정자Jeongja亭子1.628.9
K231미금
(분당서울대병원)
Migeum
(Seoul Nat'l Univ. Bundang Hospital)
美金1.830.7
K232오리Ori梧里1.131.8
K233죽전
(단국대)
Jukjeon
(Dankook Univ.)
竹田1.833.6용인시 수지구
K234보정Bojeong寶亭1.334.9용인시 기흥구
K235구성Guseong駒城1.636.5
K236신갈Singal新葛1.638.1
K237기흥
(백남준아트센터)
Giheung
(Nam June Paik Art Center)
器興1.439.5
K238상갈
(루터대학교)
Sanggal
(Luther Univ.)
上葛1.941.4
K239청명Cheongmyeong淸明2.844.2수원시 영통구
K240영통
(경희대)
Yeongtong
(Kyung Hee Univ.)
靈通1.145.3
K241망포Mangpo網浦1.546.8
K242매탄권선Maetan Gwonseon梅灘勸善1.848.6
K243수원시청
(경기아트센터)
Suwon City Hall
(Gyeonggi Art Center)
水原市廳1.450.0수원시 권선구
K244매교Maegyo梅橋1.451.4수원시 팔달구
K245수원Suwon水原경부선1.552.9
수인선 인천역 방면


3. 2. 분당기지선

분당기지선은 죽전역분당기지를 연결하는 총 연장 0.8km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801이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죽전0.00.0분당선경기도
분당기지0.80.8용인시 기흥구


4. 운행

분당선은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드문 교류 전철화 지하철[4]이며, 다른 KORAIL 노선과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이다.

분당선은 본래 분당(오리) - 왕십리 구간 동시 개통을 예정했으나, 강남구 내 공사 계획 지연으로 오리 - 수서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다. 2012년까지 KORAIL의 다른 노선과 연결되지 않는 고립 노선이었다.

개통 초기에는 소음 문제로 "소음선"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열차 운행 시 소음이 커지고 터널 내에서 소리가 반향하는 상태였으며, 선로 마모와 불량 용접으로 소음이 증폭되었다. 차내 대화가 어렵고, 앞 역에서 열차 출발 소리가 들릴 정도였으며, 초기 소음은 100dB을 기록하여 철도청에 많은 민원이 제기되었다.[7] 이후 스크린도어 설치, 차량 VVVF 인버터 교체(도시바 제 GTO → 우진산전 제 IGBT), 신형 차량 도입으로 소음이 감소되었다.[7]

일산선, 과천선과 함께 신도시 노선 적자 경영 및 수요 예측 문제 지적을 받았다. 1997년 당시 철도청의 과천선, 분당선, 일산선 적자 규모는 각각 223억 3700만 원, 188억 5000만 원, 124억 4400만 원이었다.[8]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 수원역, 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되어, 수인분당선 계통으로 직결 운행이 시행되었고,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의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하므로, 관할 사무소는 수서역, 수원역에 있다.

왕십리와 죽전 사이에는 러시아워 시간대에 4~5분, 그 외 시간대에는 7~8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죽전-수원 구간은 러시아워 시간대를 제외하고 운행 빈도가 절반으로 줄었다.

상행 열차는 대부분 왕십리에서 종착하며, 일부는 청량리까지 운행한다. 수원발 막차는 죽전에서 종착한다. 하행 열차 절반은 수원까지, 나머지 절반은 죽전까지 운행한다. 급행 열차는 평일 러시아워에만 운행되며, 왕십리-죽전 구간 모든 역과 기흥, 망포, 수원시청, 수원역에 정차한다.

4. 1. 운행 계통

분당선은 1980년대 말 ~ 1990년대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의 핵심 교통 수단으로, 오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역 ~ 오리역 구간만 1차적으로 1994년 9월 1일에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현재는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한다.

선릉역~수서역 연장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왕십리역~선릉역 구간은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이 구간들은 서울 강북과 강남 지역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중앙선, 2호선, 5호선, 7호선과의 연계도 확충했다. 2015년 3월 28일에는 선정릉역에서 9호선 2단계 구간 환승이 가능해졌다.

성남시 분당구 남쪽 용인시 지역 택지개발에 따른 교통망 확충과 수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오리역에서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를 거쳐 경부선 수원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 이 구간에는 급행열차 운행에 대비하여 일부 역에 대피선이 설치되었다. 보정역2004년 11월 26일에, 죽전역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죽전~기흥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해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기흥~망포 구간은 2012년 12월 1일에, 망포~수원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은 지역구 민주통합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부터 청량리역에서 평일에 한하여 분당선 열차가 1일 18회 운행되었다.[20]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 수원역, 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수인분당선 계통으로 통합 운행되고 있다.

'''운행 계통'''

'''운행 횟수''' (2020년 기준)

  • 총 운행 횟수: 평일 352회 (급행 12회 포함), 주말/공휴일 280회
  • 왕십리 - 수원: 평일 194회, 주말/공휴일 142회
  • 왕십리 - 수원 (급행): 평일 12회
  • 왕십리 - 죽전: 평일 136회, 주말/공휴일 132회
  • 죽전 - 수원: 평일 18회, 주말/공휴일 6회
  • 청량리 - 수원: 평일 18회, 주말/공휴일 1회
  • 청량리 - 죽전: 평일 4회, 주말/공휴일 4회


심야 막차 시간대에는 중간역 주박 열차는 없으며, 대부분 상행 열차는 왕십리역에서 종착한다. 왕십리역 상행 막차 4편성은 왕십리역에서 주박하며, 죽전 종착 후 차량기지에 입고하는 편성만 있다.

수원역 출발 급행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 4회, 퇴근 시간 2회 운행되며, 수원역, 수원시청, 망포, 기흥, 죽전에만 정차하고 죽전부터 왕십리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왕십리 출발 급행 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 2회, 퇴근 시간 4회 운행되며, 왕십리부터 죽전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고 죽전부터는 기흥, 망포, 수원시청, 수원역에 정차한다.

승강장은 청량리역~왕십리역, 선릉역~오리역 구간은 10량[25], 나머지 구간은 8량을 기준으로 건설되었으나, 현재 분당선의 모든 전동차는 6량 1편성으로 운행한다.

미래에 대모산입구역, 수서역, 야탑역 등에 대피선 설치 및 시설개량 계획이 있으며, 급행열차 운행을 30분 간격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급행접속 노선역간 거리누적 거리소재지
경원선 청량리역 방면
K210왕십리Wangsimni往十里전역 정차경원선


-2.4서울특별시성동구
K211서울숲
(에스엠타운)
Seoul Forest
(SMTOWN)
2.22.2
K212압구정로데오Apgujeongrodeo1.94.1강남구
K213강남구청Gangnam-gu Office江南區廳1.25.3
K214선정릉Seonjeongneung宣靖陵0.76.0
K215선릉Seolleung宣陵0.76.7
K216한티Hanti1.07.7
K217도곡Dogok道谷0.78.4
K218구룡Guryong九龍0.69.0
K219개포동Gaepo-dong開浦洞0.79.7
K220대모산입구Daemosan大母山入口0.610.3
K221수서Suseo水西
수서고속철도
3.013.3
K222복정
(동서울대학)
Bokjeong
(Dongseoul Univ.)
福井(東서울大學校)3.216.5송파구
K223가천대Gachon Univ.嘉泉大2.418.9경기도성남시 수정구
K224태평Taepyeong太平1.019.9
K225모란Moran牡丹0.920.8성남시 중원구
K226야탑Yatap野塔2.323.1성남시 분당구
K227이매
(성남아트센터)
Imae
(Seongnam Art Center)
二梅1.724.8
K228서현
(페퍼저축은행)
Seohyeon
(Pepper Savings Bank)
書峴1.426.2
K229수내
(한국잡월드)
Sunae
(Korea JobWorld)
藪內1.127.3
K230정자Jeongja亭子1.628.9
K231미금
(분당서울대병원)
Migeum
(Seoul Nat'l Univ. Bundang Hospital)
美金1.830.7
K232오리Ori梧里1.131.8
K233죽전
(단국대)
Jukjeon
(Dankook Univ.)
竹田1.833.6용인시 수지구
K234보정Bojeong寶亭1.334.9용인시 기흥구
K235구성Guseong駒城1.636.5
K236신갈Singal新葛1.638.1
K237기흥
(백남준아트센터)
Giheung
(Nam June Paik Art Center)
器興1.439.5
K238상갈
(루터대학교)
Sanggal
(Luther Univ.)
上葛1.941.4
K239청명Cheongmyeong淸明2.844.2수원시 영통구
K240영통
(경희대)
Yeongtong
(Kyung Hee Univ.)
靈通1.145.3
K241망포Mangpo網浦1.546.8
K242매탄권선Maetan Gwonseon梅灘勸善1.848.6
K243수원시청
(경기아트센터)
Suwon City Hall
(Gyeonggi Art Center)
水原市廳1.450.0수원시 권선구
K244매교Maegyo梅橋1.451.4수원시 팔달구
K245수원Suwon水原
경부선
1.552.9
수인선 인천역 방면


4. 2. 급행 열차

(에스엠타운)Seoul Forest
(SMTOWN)K212압구정로데오ApgujeongrodeoK213강남구청Gangnam-gu Office江南區廳K214선정릉Seonjeongneung宣靖陵K215선릉Seolleung宣陵K216한티HantiK217도곡Dogok道谷K218구룡Guryong九龍K219개포동Gaepo-dong開浦洞K220대모산입구Daemosan大母山入口K221수서Suseo水西수서고속철도K222복정
(동서울대학)Bokjeong
(Dongseoul Univ.)福井(東서울大學校)K223가천대Gachon Univ.嘉泉大K224태평Taepyeong太平K225모란Moran牡丹K226야탑Yatap野塔K227이매
(성남아트센터)Imae
(Seongnam Art Center)二梅K228서현
(페퍼저축은행)Seohyeon
(Pepper Savings Bank)書峴K229수내
(한국잡월드)Sunae
(Korea JobWorld)藪內K230정자Jeongja亭子K231미금
(분당서울대병원)Migeum
(Seoul Nat'l Univ. Bundang Hospital)美金K232오리Ori梧里K233죽전
(단국대)Jukjeon
(Dankook Univ.)竹田●K234보정Bojeong寶亭|K235구성Guseong駒城|K236신갈Singal新葛|K237기흥
(백남준아트센터)Giheung
(Nam June Paik Art Center)器興●K238상갈
(루터대학교)Sanggal
(Luther Univ.)上葛|K239청명Cheongmyeong淸明|K240영통
(경희대)Yeongtong
(Kyung Hee Univ.)靈通|K241망포Mangpo網浦●K242매탄권선Maetan Gwonseon梅灘勸善|K243수원시청
(경기아트센터)Suwon City Hall
(Gyeonggi Art Center)水原市廳●K244매교Maegyo梅橋|K245수원Suwon水原●경부선



현재 운행 계통은 다음과 같다.

수원역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에 4회, 퇴근 시간에 2회 운행되며, 수원역수원시청망포기흥죽전에만 정차하고 죽전부터 왕십리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왕십리에서 출발하는 급행 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에 2회, 퇴근 시간에 4회 운행되며 왕십리부터 죽전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고 죽전부터는 기흥망포수원시청수원역에 정차한다.

미래에 대모산입구역수서역야탑역 등에 대피선 설치 및 시설개량 계획이 있으며, 급행열차 운행을 30분 간격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4. 3. 차량

351000호대 전동차는 분당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이다. 초기 차량은 4호선에서 사용되던 2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모델이었다. 1세대 차량(351-01~351-22)은 분당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고, 2세대 차량(351-23~351-28)은 2003년 수서-선릉 연장 개통에 따라, 3세대 차량(351-29~351-43)은 이후 연장 개통에 따라 도입되었다.

351000호대 4차차


현재 분당선의 모든 전동차는 6량 1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5. 문제점 및 논란

분당선은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 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 공약에 따라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서 핵심적인 교통 수단으로, 본래 오리역에서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역~오리역 구간만 1994년 9월 1일에 먼저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현재는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분당선 1단계 구간(수서역~오리역) 완공 당시, 선릉역~수서역 연장 구간은 1998년, 왕십리역~선릉역 연장 구간은 2002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5년 선릉역~수서역 구간 연장 공사가 시작될 때, 왕십리역~선릉역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역~수서역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고, 무기한 연기되었던 왕십리역~선릉역 구간은 2004년 하반기에 착공하여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성남시 분당구 남쪽 용인시 지역의 택지개발로 인해 교통망 확충이 필요해졌고, 수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고려하여 오리역에서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를 거쳐 경부선 수원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 이 구간에는 급행열차 운행을 위해 일부 역에 대피선이 설치되었다. 오리역~수원역 연장 구간 중 보정역은 2004년 11월 26일, 죽전역은 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다. 죽전~기흥역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해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기흥역~망포역 구간은 2012년 12월 1일, 망포역~수원역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왕십리역 - 청량리역 구간은 지역구 민주통합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분당선 열차가 1일 18회 운행되었다.[20]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 수원역, 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하나의 노선(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

분당선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문제점 및 논란은 다음과 같다.



승차 인원
구간2000년2001년2002년2003년
구분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
노선 전체85,5167,774111,07310,098134,54512,231214,46613,404
분당 지역(오리-야탑)56,4239,40474,81112,46993,04415,507106,33717,723
성남 구시가지(모란-가천대)25,9318,64431,88910,63036,60612,20240,81013,604
서울 시내(복정-수서)3,1611,5814,3712,1864,8942,44767,3189,617



승차 인원
구간2004년2005년2006년
구분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
노선 전체166,2308,749170,8248,991177,4529,340
분당 이남 지역(보정-야탑)101,30212,663103,71812,965107,39013,424
성남 구시가지(모란-가천대)33,24211,08133,24811,08334,34011,447
서울 시내(선릉-수서)31,6863,96133,8574,23235,7214,465


5. 1. 소음 문제

분당선은 1994년 최초 개통 이후 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소음 문제와 관련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5. 2. 수요 예측 및 안전성 문제

분당선은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 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 공약에 따라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서 핵심적인 교통 수단으로, 본래 오리역에서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역~오리역 구간만 1994년 9월 1일에 먼저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현재는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분당선 1단계 구간(수서~오리) 완공 당시, 선릉역~수서역 연장 구간은 1998년, 왕십리역~선릉역 연장 구간은 2002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5년 선릉역~수서역 구간 연장 공사가 시작될 때, 왕십리역~선릉역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역~수서역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고, 무기한 연기되었던 왕십리역~선릉역 구간은 2004년 하반기에 착공하여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성남시 분당구 남쪽 용인시 지역의 택지개발로 인해 교통망 확충이 필요해졌고, 수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고려하여 오리역에서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를 거쳐 경부선 수원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 이 구간에는 급행열차 운행을 위해 일부 역에 대피선이 설치되었다. 오리역~수원역 연장 구간 중 보정역은 2004년 11월 26일, 죽전역은 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다. 죽전~기흥역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해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기흥역~망포역 구간은 2012년 12월 1일, 망포역~수원역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왕십리역 - 청량리역 구간은 지역구 민주통합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분당선 열차가 1일 18회 운행되었다.[20]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 수원역, 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하나의 노선(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

분당선, 일산선, 과천선 등 신도시 전철의 적자가 누적되어 수요 예측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1997년 당시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이 운행하는 과천선, 분당선, 일산선 등의 적자 규모는 각각 223.37억, 188.5억, 124.44억이었다.[26]

2001년 9월부터는 대규모 인력 감축에 의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기관사 단독으로 승무하는 1인 승무 제도가 분당선에서 최초로 도입되었다. 열차 자동 운전 시스템(ATO)을 갖춘 도시철도의 경우 크고 작은 사고가 한 해 평균 10건씩 발생하는데, 시민 단체 일각에서는 안전성 문제 때문에 논란의 소지가 많다는 지적이 있다.[27]

강남구 도곡~수서 구간에는 원래 중간에 일원동과 개포동에 각각 1개씩 중간역을 설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교통 영향 평가에서 역을 추가해도 문제가 없다는 결과가 나오자, 강남구 측은 역 증설을 요구했고, 철도청이 이를 수용했다. 결국 이 구간에는 대모산입구역, 개포동역 외에 구룡역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3개 역의 역간 거리가 가까워져, 전후 역에 정차한 열차가 보이거나, 각 역의 주변 안내도에도 3개 역이 모두 확인될 정도가 되었다. 또한 구룡역 부근에서 노선이 급커브를 그리는 탓에, 이 구간 열차의 표정 속도가 느려졌다. 이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 세금 낭비라는 비판이 있지만, 이는 지역 주민들의 요구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이용객이 매우 적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 종착역이었던 오리역분당차량사업소의 거리는 약 2.5km로 멀었다. 용인시 보정리(현: 기흥구 보정동)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용인시가 건설 비용 54억 중 4.95억을 부담하여 분당차량사업소 인근에 보정역 임시 승강장을 설치하고 영업을 시작했다.[13]

본래 보정역은 죽전역이 개통되면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영업을 계속했다. 그러나 2011년 10월 28일에 개통한 신분당선 차량을 수용하는 등의 이유로 분당차량사업소를 확장하게 되었고, 죽전-기흥 간 연장 개통과 함께 임시 역사를 폐쇄하고, 약 300m 남쪽 지하에 보정역을 이전했다.[14]

다음은 분당선 초기(2000년~2006년) 승차 인원 통계이다.

승차 인원
구간2000년2001년2002년2003년
구분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
노선 전체85,5167,774111,07310,098134,54512,231214,46613,404
분당 지역(오리-야탑)56,4239,40474,81112,46993,04415,507106,33717,723
성남 구시가지(모란-가천대)25,9318,64431,88910,63036,60612,20240,81013,604
서울 시내(복정-수서)3,1611,5814,3712,1864,8942,44767,3189,617



승차 인원
구간2004년2005년2006년
구분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구간 총량1역당 평균
노선 전체166,2308,749170,8248,991177,4529,340
분당 이남 지역(보정-야탑)101,30212,663103,71812,965107,39013,424
성남 구시가지(모란-가천대)33,24211,08133,24811,08334,34011,447
서울 시내(선릉-수서)31,6863,96133,8574,23235,7214,465


5. 3. 서울 도심 접근성 문제

분당선은 1980년대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된 광역철도로, 경기도 성남시에서 서울특별시로 빠르게 접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여러 사정으로 인해 초기에는 수서역까지만 부분 개통되어 서울 도심 접근성에 문제가 있었다.

개통 초기에는 분당선의 출발역이자 3호선종착역이었던 수서역에서만 3호선으로 환승하여 서울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수서역에서 환승 없이 곧바로 서울로 갈 수 있는 것으로 오해했다. 당시 서울 강남, 경기도 분당, 죽전신도시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도 이와 같이 입주 예정자들을 속이기도 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노선도 중 일부에서 3호선과 분당선을 안내할 때 동일한 고유색인 주황색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28] 그러나 실제로는 분당선과 3호선은 환승만 가능했기 때문에, 시민들은 여전히 불편과 혼란을 겪어야 했다.

1996년 8호선 개통으로 복정역에서 8호선 환승이 가능해졌지만, 분당에서 서울로 빠르게 접근한다는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부족했다. 또한, 분당선 노선 자체가 우회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분당 지역과 서울 강북의 도심 지역을 단시간에 연결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분당에서 서울 도심으로 접근할 때 분당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시간 면에서 훨씬 유리했다.[29] 이러한 문제는 2011년 신분당선 개통으로 해결되었다.

5. 4. 역사 추가 건설 문제

분당선은 1980년대 말 ~ 1990년대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군포 산본, 안양 평촌, 성남 분당, 고양 일산, 부천 중동)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 본래 오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 ~ 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1994년 9월 1일에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현재는 왕십리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1995년 선릉~수서 연장 구간 공사가 시작될 당시 왕십리~선릉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수서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고, 무기한 연기되었던 왕십리~선릉 구간은 광역철도로 지정되어 2004년 하반기가 되어서야 뒤늦게 착공하여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성남시 분당구 남쪽의 용인시 지역 택지개발에 따른 교통망 확충을 위해 오리역에서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 일대를 거쳐 경부선 수원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 오리~수원 연장 구간 중 보정역2004년 11월 26일에, 죽전역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죽전~기흥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하여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기흥~망포 구간은 2012년 12월 1일에 개통, 망포~수원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은 지역구 민주통합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되어,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분당선 열차가 1일 18회 운행되었다.[19][20]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선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왕십리역수원역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되어, 수인분당선 계통으로 직결 운행이 시행되었다.

분당선 건설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도곡역 ~ 수서역 구간에서는 역 신설 요구와 수용 과정에서 역간 거리가 짧아져 효율성 문제가 제기되었고, 초기 구간에서는 부실 공사 및 관리 부실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분당차량사업소보정역 임시 역사 설치와 이전 과정에서도 여러 논란이 있었다.

5. 4. 1. [[도곡역]] ~ [[수서역]] 구간

1990년대 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분당선이 추진되었고, 1994년 9월 1일 수서역~오리역 구간이 1차 개통되었다. 이후 2003년 9월 3일 선릉역~수서역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이 구간에는 대모산입구역, 개포동역, 구룡역이 신설되었다.

당초 수서역에서 선릉역까지의 구간에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개포동 일원에 1개 역만 건설될 예정이었다.[30] 그러나 교통영향평가 결과 역 추가 건설이 가능하다는 발표가 나오자, 강남구는 역 추가를 요구했고,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이 이를 수용하면서 대모산입구역, 개포동역, 구룡역이 신설되었다.[30]

하지만 신설된 3개 역은 역간 거리가 매우 짧아 열차 운행 효율성을 저해하고, 핌피으로 인해 건설되었음에도 이용객이 적어 예산 낭비라는 비판을 받았다.[30]

한편, 분당선 최초 개통 구간인 수서~오리 구간은 부실 공사 문제가 제기되었다. 터널 콘크리트 벽면이 취약하여 누수 문제가 발생했고,[15][16] 철도청의 관리 부실로 다이너마이트 발파 작업이 부적절하게 이루어지거나, 철근 사용 및 터널 측량에 오류가 있었다.

2009년에는 분당선 2단계 구간(선릉~수서)에서 콘크리트 균열이 발견되었다. 이는 한국철도기술공단의 부적절한 침목 설계와 팽창제 사용 문제로 발생한 것으로,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긴급 조치를 취했지만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17][18]

5. 4. 2. [[야탑역]] ~ [[서현역]] 구간

1980년대 말 ~ 1990년대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분당선은,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의 핵심 교통 수단이었다. 본래 오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 ~ 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1994년 9월 1일에 개통되었다.

1995년 선릉~수서 연장 구간 공사가 시작될 당시 왕십리~선릉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수서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다.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주민들은 서현역야탑역의 역간 거리가 멀어 분당선 이용에 불편하다는 이유로 역 신설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이 요구를 받아들여 이매역2000년 3월 착공하여 2004년 1월 16일 개통시켰다.[31] 이매역은 분당선 2단계 구간 건설시와 같은 공법으로 건설되어, 선릉~수서 구간 역사와 비슷한 형태를 갖는다.

5. 4. 3. [[분당차량사업소]] 내 [[보정역]] 건설

분당선의 분당차량사업소보정역 건설은 용인시의 재정 지원과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이루어졌다. 1990년대분당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분당선 건설이 추진되었고, 오리역이 종착역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오리역분당차량기지 사이의 거리가 약 2.3km로 멀어, 인근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주민들은 분당선 이용에 큰 불편을 겪었다.

이에 용인시는 총 54억 원의 건설 비용 중 49억 5천여만 원을 부담하여 차량기지 내에 보정역 임시 승강장을 설치했다.[32] 이는 당초 계획에는 없었으나,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죽전역 대신 설치된 것이다. 보정역2004년 11월 26일에 개통되었으며, 죽전역 개통 후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요구로 연장 운영되었다.

그러나 분당차량기지의 용량 확대 문제와 신분당선 전동차 임시 수용 등의 이유로, 2011년 12월 28일 기흥역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임시 역사는 폐쇄되었다.[33] 동시에 보정역은 지하 정식역으로 이전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5. 5. 부실 공사 문제

분당선은 1980년대1990년대노태우 정부의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의 핵심 교통 수단으로, 오리역에서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 예정이었으나, 수서역~오리역 구간만 1994년 9월 1일에 1차 개통되었다.

선릉역~수서역 연장 구간은 1998년에, 왕십리역~선릉역 연장 구간은 2002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5년 선릉역~수서역 구간 연장 공사가 시작될 당시 왕십리역~선릉역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역~수서역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고, 왕십리역~선릉역 구간은 광역철도로 지정되어 2004년 하반기에 착공,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5. 5. 1. 콘크리트 침목 문제

분당선 오리역-수서역 구간은 1990년에 착공되어 4년 뒤인 1994년에 완공되었다.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었고 그만큼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철도청에서 엄격한 관리를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 부실 공사가 진행되어 문제가 되었다. 당시 일산선, 과천선 등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견된 적이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시공사의 터널 숏크리트 부실 시공이다. 마대를 붙이고 시멘트를 덧칠한 바람에 터널 사이의 공간이 많이 벌어져 벽면이 상당히 약해졌고[35], 곳곳에서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36]

두 번째 문제는 철도청의 부실 관리이다. 분당선 건설 당시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한 발파를 하였다. 발파 시에는 경찰이나 기타 화약 전문가들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였는데, 공사 당시에는 화약이 아무 곳에나 방치되었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건설업자들이 직접 발파 작업까지 하는 등 주먹구구식 관리로 인하여 자칫 대형 사고를 불러올 수도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건설에 사용될 철근의 길이도 뒤죽박죽이어서 3m짜리 철근을 사용해야 하는 곳에 2m 철근과 1m 철근을 붙여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측량도 엉터리로 진행하여 일부 구간에서는 터널의 모양이 흐트러져 재시공하기까지 하였다.

2009년 2월 20일 분당선의 2단계 구간에서 궤도 옆부분의 콘크리트에서 심각한 균열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릉-한티에서만 40개가 넘는 균열이 발생했고, 그중 큰 것은 7m가 넘는 것도 있었다.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분당선에 콘크리트 시공법이 처음 시도되어 시행착오가 있었고, 한국철도기술공사에서 잘못된 침목 설계를 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분당선 구간의 배수구에서 흐르는 물이 침목에 유입되지 않도록 팽창제를 설치했는데, 이 팽창제가 물을 흡수하면서 점점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다. 철도시설공단에서는 운행은 문제가 없다며 문제가 생긴 구간에만 긴급 조치를 취해놓은 상태였지만, 아직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다. 분당선은 1단계 구간 공사 당시에도 부실 공사가 행해졌으며,[37] 2단계 구간에서도 역시 문제가 발견되면서, 이후에 연장된 구간에도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계속 거론되고 있다.[38]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Gazette Num.18113 https://gwanbo.go.kr[...] South Korean Government 2013-10-07
[2] 뉴스 Date Announced For Southern Bundang Extension http://kojects.com/2[...] 2011-11-13
[3] 웹사이트 百年の鉄道旅行ー水驪線 水原-新葛区間 https://travel-100ye[...]
[4] 웹사이트 서울 지하철
[5] 웹사이트 분당선 전동열차 청량리역 연장 운행 http://www.letskorai[...] KORAIL 2018-12-20
[6] 웹사이트
[7] 뉴스 `소음 전동차'…안내 방송도 안들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7-02-11
[8] 뉴스 신도시 전철 `눈덩이' 적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8-10-25
[9] 웹사이트 2000
[10] 뉴스 민자 참여 신분당선에 기대 크다 http://news.naver.co[...] 대한민국정책포럼 2005-06-29
[11] 웹사이트 신분당선 주식회사 - 사업 특징 http://www.shinbunda[...]
[12] 뉴스 분당선 전철역 하루 이용객 10~18명 http://news.naver.co[...] 국정브리핑 2007-01-26
[13] 뉴스 지하철 분당선 용인까지 연장 http://news.naver.co[...] 경향신문 2004-11-23
[14] 뉴스 분당선 연장구간 보정~상갈 신역세권 뜬다 http://news.naver.co[...] 매일경제 2006-06-19
[15] 웹사이트 MBC 카메라 취재 - 분당선 지하철공사, 시공부실 http://imnews.imbc.c[...] MBC
[16] 웹사이트 MBC 뉴스 1994.9.7. - 감사원, 분당선 부실공사 110군데 누수 적발 http://imnews.imbc.c[...] MBC 1994-09-07
[17] 웹사이트 1994
[18] 뉴스 [취재현장] 분당선도 곳곳서 균열 http://news.kbs.co.k[...] KBS 2009-02-09
[19] 웹사이트 안규백 의원, 분당선 청량리역 운행 이끌어내 http://www.ddmnews.c[...]
[20] 뉴스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https://news.naver.c[...]
[21] 웹사이트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23호 http://theme.archive[...] 1998-07-11
[22] 웹사이트 철도청고시 제2004-41호 http://gwanbo.mois.g[...] 2004-11-26
[23] 뉴스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4] 웹사이트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25] 웹사이트
[26] 뉴스 신도시 전철 `눈덩이' 적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8-10-25
[27] 웹사이트 지하철 분당선 서현역 철도청 노조원 선로 시위, MBC 뉴스데스크, 2001년 8월 30일 http://imnews.imbc.c[...] MBC 2001-08-30
[28] 웹사이트 2000
[29] 뉴스 민자 참여 신분당선에 기대 크다 https://news.naver.c[...] 대한민국정책포럼 2005-06-29
[30] 뉴스 분당선 전철역 하루 이용객 10~18명 https://news.naver.c[...] 국정브리핑 2007-01-26
[31] 뉴스 분당선 이매역 오늘 개통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4-01-16
[32] 뉴스 지하철 분당선 용인까지 연장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4-11-23
[33] 뉴스 분당선 연장구간 보정~상갈 신역세권 뜬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6-06-19
[34] 뉴스 강남은 중전철! 강북은 경전철? 서울 동북부 5개 구민, 동북선 중전철화 요구 http://www.yonhap21.[...] 지역연합신문 2014-03-20
[35] 웹사이트 MBC 카메라 취재 - 분당선 지하철공사, 시공부실 http://imnews.imbc.c[...] MBC
[36] 뉴스 MBC 뉴스 1994.9.7. - 감사원, 분당선 부실공사 110군데 누수 적발 http://imnews.imbc.c[...] MBC 뉴스 1994-09-07
[37] 본문
[38] 웹인용 KBS 뉴스 2009.2.9. - 취재현장 http://news.kbs.co.k[...] 2011-10-16
[39] 본문
[40] 본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