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 박탈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대적 박탈감은 사회 운동의 주요 원인 중 하나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자신이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 비해 무언가를 덜 가지고 있다고 느껴 발생하는 감정을 의미한다. 월터 런시먼은 상대적 박탈감의 전제 조건으로, 자신이 X를 가지고 있지 않고, X를 가진 다른 사람들을 알고 있으며, X를 갖고 싶어 하고, X를 얻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믿는 네 가지를 제시했다. 상대적 박탈감은 이기적 상대적 박탈감과 동포적 상대적 박탈감으로 구분되며, 사회 규범과의 비교를 통해 발생하는 상대적인 감정으로 절대적 박탈감과 구별된다. 상대적 박탈감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사회 불평등이 지속되는 한 계속 존재할 수 있다. 이 이론은 불만을 가진 모든 사람이 사회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학 이론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사회학 이론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사회학 용어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학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대적 박탈감 |
---|
2. 이론
상대적 박탈감 이론은 사회 운동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박탈 이론은 사회, 돈, 정의, 지위, 특권 등에서 가치있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빼앗긴 사람들이 잘못된 것을 바로잡겠다는 희망을 가지고 사회운동에 참여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사람들이 왜 사회운동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시작점이다. 하지만, 상대적 박탈 이론, 즉 다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것과 비교했을 때 그들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신념을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반대로 절대적 박탈감은 사람들의 실제적인 부정적 상황을 의미한다. 상대적 박탈감은 다른 사람이 가진 것과 비교하거나, 과거 또는 미래와 비교하여 자신이 무언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이 개선되면 더 나은 조건에 대한 욕구가 커져서 혁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2. 1. 정의
월터 런시먼은 상대적 박탈감의 전제 조건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했다.[28][14] (물체 X에 대한 사람 A):* 사람 A는 X가 없다. |
* 사람 A는 다른 사람들이 X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
* 사람 A는 X를 가지고 싶어한다. |
* 사람 A는 X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
런시먼은 이기적인 상대적 박탈감과 공제적(사상·이해관계가 같은 개인·집단이 서로 돕기 위한 것)인 상대적 박탈감을 구분했다. 전자는 특정 집단(A가 구성원으로 있음) 내에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떨어진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후자는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신들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 지위가 떨어진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이기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자신이 더 빨리 승진했어야 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직장 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행동을 하는 동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보단 한 사람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인종 차별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960년대 미국 시민권 운동과 같은 대규모 사회운동의 발생과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10대들이 비싼 옷을 입고 비싼 차를 타며 아파트에 살면서도, 영화나 TV에서 '중산층'이거나 '평범'으로 묘사되는 부유한 캐릭터에게 느끼는 부러움도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의 또 다른 예이다.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극우 성향에 대한 투표 경향과도 관련있다.[29][15]
2. 2. 유형
월터 런시먼은 상대적 박탈감을 이기적 상대적 박탈감과 공제적(또는 동포적) 상대적 박탈감으로 구분했다.[28] 이기적 상대적 박탈감은 특정 집단 내에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떨어진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더 빨리 승진했어야 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은 이기적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직장 내 자신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행동을 하는 동기가 되기도 한다.반면, 공제적 상대적 박탈감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 지위가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떨어진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인종 차별은 공제적 상대적 박탈감의 예시이며, 이는 1960년대 미국 시민권 운동과 같은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29] 10대들이 비싼 옷, 차,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음에도 영화나 TV에서 '중산층' 또는 '평범'으로 묘사되는 부유한 캐릭터에게 느끼는 부러움 역시 공제적 상대적 박탈감의 한 예이다. 공제적 상대적 박탈감은 극우 성향 투표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2. 3. 사회 운동과의 관계
월터 런시먼은 이기적 상대적 박탈감과 공제적(사상·이해관계가 같은 개인·집단이 서로 돕기 위한 것) 상대적 박탈감을 구분했다. 이기적 상대적 박탈감은 특정 집단 내에서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느낄 때 발생하며, 공제적 상대적 박탈감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 지위가 다른 집단에 비해 낮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공제적인 상대적 박탈감은 인종 차별과 같은 문제를 겪는 집단에서 나타나며, 1960년대 미국 시민권 운동과 같은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29] 10대들이 비싼 물건을 소유하고 부유하게 묘사되는 영화나 TV 속 인물들을 부러워하는 것도 공제적 상대적 박탈감의 예시이다. 공제적 집단 박탈감은 극우 정치 투표와 같은 투표 행동과도 관련이 있다.[15]박탈 이론은 사회에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빼앗긴 사람들이 이를 바로잡기 위해 사회 운동에 참여한다는 이론이다. 이는 사람들이 사회 운동에 참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그러나 상대적 박탈 이론은 다른 사람들이 가진 것과 비교하여 자신들이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기준으로 사회 운동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는 이론이다. 반면 절대적 박탈감은 사람들이 실제로 겪는 부정적인 상황을 의미한다. 상대적 박탈감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거나, 과거 또는 미래와 비교하여 자신이 무언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이 개선되면 더 나은 조건에 대한 욕구가 커져서 혁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3. 상대성
상대적 박탈감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사회 규범과의 비교를 통해 나타나는 상대적인 감정이다. 이는 객관적 박탈감(절대적 박탈감 또는 절대적 빈곤)과는 구별된다. 객관적 박탈감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 있지만, 사회적 불평등이 지속되는 한 상대적 박탈감은 사라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1905년에는 자동차가 사치품이었기 때문에 자동차를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하지만 2010년에는 자동차가 보편화되면서 자동차가 없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 휴대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오늘날 휴대폰은 필수품처럼 여겨지지만, 50년 전에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휴대폰이 없어도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3. 1. 일시성
상대적 박탈감은 일시적일 수 있다. 권리나 부의 확장을 경험한 후에 이러한 소득의 침체나 좌절을 경험한 사람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달성하지 못한 상승 기대감'으로도 알려져 있다.[30]정치와 관련된 예로, 투표권을 한 번이라도 손에 넣은 적 있는 사람들이 한 번도 손에 넣은 적 없었던 사람들보다 투표권이 없을 때 더 박탈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4. 상대적 박탈감과 절대적 박탈감
칼 폴라니 등 일부 사회학자들은 경제적 부의 상대적 차이가 절대적 박탈감보다 중요하며,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 더 의미 있다고 주장한다.[31] 이러한 주장은 사회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빈곤을 사회 전체의 부를 늘려 해결할 수 있는지, 아니면 평등을 위한 조치가 필요한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상대적 박탈감의 한 형태는 상대적 빈곤이다. 상대적 빈곤은 빈곤을 중간 소득의 20% 미만을 버는 가정과 같이, 상대적인 빈곤 선 이하로 정의하는 척도이다.
5. 비판
상대적 박탈감 이론은 불만을 느끼는 모든 사람이 사회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30][16]
이에 대한 반론으로는 사람들이 갈등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고, 단기적인 목표를 지향하며, 사회 운동 참여가 오히려 즉각적인 생활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제기된다.[30][16]
참조
[1]
서적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 A 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979
[2]
서적
Relative Deprivation: Specification, Development, and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
문서
Racial and Ethnic Groups, 11th Ed.
Pearson Education
2008
[4]
서적
Solidar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9
[5]
웹사이트
Relative Poverty, Absolute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http://www.poverty.o[...]
2014-01-04
[6]
웹사이트
relative deprivation
https://www.oxfordre[...]
2021-04-10
[7]
서적
Why Me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8]
논문
Social Structure and Anomie
1938
[9]
서적
Why Me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10]
서적
Outbreaks, the sociology of collective behavior
New York Free Press
1982
[11]
논문
The relative deprivation-gratification continuum and the attitudes of South Africans toward immigrants: a test of the V-curve hypothesis
2006
[12]
논문
The Counterintuitive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Racism
2013
[13]
간행물
Causes and Consequences of Income Inequality : A Global Perspective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5-06-15
[14]
서적
Relative Deprivation and Social Justice: A Study of Attitudes to Social Inequality in Twentieth-century Englan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15]
논문
Swaying to the Extreme: Group Relative Deprivation Predicts Voting for an Extreme Right Party in the French Presidential Election
http://eprints.white[...]
2018-10-26
[16]
서적
Sociology In Our Times
https://books.google[...]
Thomson Wadsworth
2005
[17]
서적
Spirituality and Society: Postmodern Vision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8
[18]
서적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 A 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979
[19]
서적
Relative Deprivation: Specification, Development, and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0]
서적
Solidarity, Springer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9
[21]
문서
Racial and Ethnic Groups, 11th Ed.
Pearson Education
2008
[22]
웹인용
Relative Poverty, Absolute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http://www.poverty.o[...]
2014-01-04
[23]
논문
Social Structure and Anomie
1938
[24]
서적
Why Me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25]
서적
Outbreaks, the sociology of collective behavior
New York Free Press
1982
[26]
논문
The relative deprivation-gratification continuum and the attitudes of South Africans toward immigrants: a test of the V-curve hypothesis
2006
[27]
논문
The Counterintuitive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Racism
2013
[28]
서적
Relative deprivation and social justice : a study of attitudes to social inequality in twentieth-century Eng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29]
저널
Swaying to the Extreme: Group Relative Deprivation Predicts Voting for an Extreme Right Party in the French Presidential Election
http://eprints.white[...]
2018-10-26
[30]
서적
Sociology In Our Times
https://books.google[...]
Thomson Wadsworth
2005
[31]
서적
Spirituality and Society: Postmodern Vision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