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하이항은 장강 하구와 황푸강 연안에 위치한 중국의 주요 항구이다. 1113년 대외 무역항으로 시작하여 아편 전쟁 이후 조약항으로 개항하면서 중국 대외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경제적 혼란으로 지위가 하락했으나, 개혁 개방 정책 이후 다시 발전하여 세계적인 컨테이너 항만으로 성장했다. 현재는 황푸 강 연안, 양쯔 강 연안, 양산 심수항 등 세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이 국제항만집단에서 관리한다. 안후이성, 장쑤성, 저장성, 허난성 등 양쯔강 경제권의 핵심 물류 허브이자,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항구 - 양산심수항
양산 심수항은 상하이에 건설된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으로, 동중국해 섬 매립을 통해 건설되었으며, 2017년 4단계 시험 운영을 거쳐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 상하이시의 경제 -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하이 증권거래소는 19세기 후반 상하이 국제조계지에서 시작되어 1990년 재설립된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증권 거래소로, 상하이종합지수와 다양한 증권을 거래하며 2019년 STAR 시장을 출범시켜 기술 혁신을 지원한다. - 상하이시의 경제 -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상하이 세계금융센터는 루자쭈이에 위치한 492m 높이의 마천루로, 콘 페더슨 폭스 설계, 모리 빌딩 컴퍼니 투자로 2008년 완공되었으며, 독특한 외관과 높은 전망대를 갖춘 상하이 랜드마크이지만 디자인 변경 논란과 경영난을 겪었다. - 상하이시의 교통 - 양산심수항
양산 심수항은 상하이에 건설된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으로, 동중국해 섬 매립을 통해 건설되었으며, 2017년 4단계 시험 운영을 거쳐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 상하이시의 교통 - 징후 철로
징후선은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복선 전철화된 주요 철도 노선으로, 1968년 난징 창장 대교 개통으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으며, 현재는 화물 운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상하이항 | |
---|---|
개요 | |
이름 | 상하이항 |
원어명 | 上海港 (Shànghǎi Gǎng, Zånhae Kån)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저장성저우산시성쓰현 |
좌표 | 30°37′35″N 122°03′53″E |
개항 | 1842년 (조약항으로) |
운영 | 상하이 국제항만 공사 |
소유 | 공공 |
종류 | 심해 항구/강항 |
통계 | |
화물 처리량 (2016년) | 5억 1400만 톤 |
컨테이너 물동량 (2019년) | 4330만 TEU |
추가 정보 | |
웹사이트 | 상하이항 공식 웹사이트 |
관련 정보 | |
같이 보기 | 취급 화물량 기준 컨테이너 항만 목록 |
2. 역사
1842년 난징 조약으로 상하이는 조약항이 되면서 국제적인 상업 도시로 발전했다. 20세기 초까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가장 큰 항구였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상하이를 점령하면서 해외 무역이 급격히 감소했다. 1937년 제2차 상하이 사변으로 상하이항은 일본군에게 점령되었고, 해외 자본은 홍콩으로 달아났다.[1]
2. 1. 초기 역사 (송나라 ~ 청나라)
북송 휘종 정화 3년 (1113년)에 화정현(현재의 쑹장구)에 수주화정 시박사가 설치되어 대외적인 항구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명, 청대에는 상하이가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항구 도시가 되었다. 청대의 해금으로 인해 상하이는 대외 무역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지만, 장강, 대운하, 연해부를 잇는 국내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국 국내에서도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2. 2. 개항과 조계 시대 (1842년 ~ 1949년)
아편 전쟁 이후 난징 조약에 의해 1843년 조약항으로 개항하면서 상하이는 광저우를 대신하여 중국 대외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1] 구미 각국에 의한 상하이 조계가 황푸강 연안에 생겨나면서 상하이는 중국 수출입의 절반 정도를 담당하는 아시아 유수의 항만 도시로 성장했다.[1]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 현재)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상하이를 점령하면서 해외 무역은 급격히 감소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정책은 상하이의 인프라와 자본 개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1]1970년대 말 개혁개방 정책과 함께 상하이는 다시 발전을 시작했다. 황푸강 양안의 구식 항만은 해상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고, 황푸강을 벗어난 곳에 있는 장강 연안에도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이 완성되어 상하이항의 중심은 장강 연안으로 옮겨졌다.[4]
1991년 중앙 정부는 상하이가 경제 개혁을 시작하도록 허용했다. 그 이후 항구는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2] 1990년대에 상하이항은 세계의 컨테이너 항만 중에서도 취급량 상위권에 들었으며, 수위(首位)가 되는 것도 시간 문제였다. 그러나 황푸강은 수심이 얕아 10미터에 미치지 못했고, 장강도 상류에서 흘러드는 대량의 토사 때문에 수심은 10미터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5]
해마다 대형화되는 컨테이너선이 머지않아 상하이항에 입항할 수 없는 초파나막스급(부두에 15미터 이상의 수심을 요구할 정도의 크기)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상하이에서 30킬로미터 떨어진 동중국해에 면한 항저우만 상의 성쓰 열도의 다양산섬 · 샤오양산섬을 매립하여, 세계의 허브 항만이 될 거대한 양산 심수항을 건설했다. 2005년에 개항한 양산 심수항은 그 후에도 확장을 계속하여 상하이항의 새로운 중심이 되고 있다.[5] 동하이 대교는 양산항 심수 항만과 상하이를 연결한다.[2] 이 개발로 항구는 얕은 수심 문제를 극복하고 인근의 또 다른 심수 항구인 닝보-저우산항과 경쟁할 수 있게 되었다.[2]
이 항구는 중국 해안에서 싱가포르로, 인도 남단을 거쳐 몸바사로, 거기에서 수에즈 운하를 거쳐 홍해를 지나 지중해로, 다시 트리에스테와 그 연결망을 통해 중앙 유럽 및 북해로 이어지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3]
2022년 4월 상하이시가 코로나19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록다운했을 때 상하이항에서 물류가 정체되어, 대체 수단으로 인근의 닝보시 등의 항구를 이용하여 일본으로의 수출이 이루어졌다.[6]
3. 지리
상하이항은 동중국해와 항저우만이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양쯔강, 황푸강, 첸탕강이 합류하는 곳이다.[1]
3. 1. 위치
상하이항은 동중국해와 항저우만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양쯔강, 황푸강, 첸탕강이 합류하는 곳이다.[1]3. 2. 주요 항만 구역
상하이항은 세 개의 주요 작업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4. 운영 및 관리
상하이국제항만집단(Shanghai International Port (Group))에서 상하이항을 관리한다.[6] 상하이국제항만집단은 2003년 상하이항만국을 대체하였다.[6] 상하이국제항만유한공사는 상하이시 정부가 발행 주식의 44%를 소유하고 있는 상장 회사이다.[6]
5. 경제적 역할
상하이항은 양쯔강 경제권의 핵심 물류 허브이자 중국 대외 무역의 중요 관문이다.[11]
5. 1. 양쯔강 경제권의 핵심 물류 허브
상하이항은 양쯔강 지역의 매우 중요한 운송 허브이자 대외 무역의 가장 중요한 관문이다. 인구 밀도가 높고, 강력한 산업 기반과 발달된 농업 부문을 갖춘 안후이성, 장쑤성, 저장성, 허난성 등 양쯔강 경제 개발 배후지를 지원한다.[11]5. 2. 해상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
상하이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 중 하나이다. 이 해상 실크로드는 중국 해안에서 시작하여 싱가포르를 거쳐 인도 남단으로 이어진다. 그 후 몸바사를 지나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를 거쳐 지중해로 연결된다. 다시 트리에스테와 그 연결망을 통해 중앙 유럽 및 북해로 이어진다.6. 데이터
상하이항은 1984년 1억ton의 물동량을 처리한 이후, 2000년대 중반부터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0년에는 6.5억ton, 2024년에는 11.2억ton을 처리하였다.[12][13]
6. 1. 연도별 컨테이너 처리량
연도 | 백만 톤 처리량 |
---|---|
1984 | 100mt |
1999 | 186mt |
2005 | 443mt |
2006 | 537mt |
2007 | 561mt |
2008 | 582mt |
2009 | 590mt |
2010 | 650mt |
2011 | 728mt |
2012 | 736mt |
2013 | 776mt |
2014 | 755mt |
2024 | 1120mt |
출처: ShipTechnology.com,[12] GeoHive[13]
6. 2. 연도별 화물 처리량
연도 | 백만 톤 처리량 |
---|---|
1984 | 100mt |
1999 | 186mt |
2005 | 443mt |
2006 | 537mt |
2007 | 561mt |
2008 | 582mt |
2009 | 590mt |
2010 | 650mt |
2011 | 728mt |
2012 | 736mt |
2013 | 776mt |
2014 | 755mt |
2024 | 1120mt |
참조
[1]
논문
Port competition between Shanghai and Ningbo
https://doi.org/10.1[...]
2020-11-29
[2]
뉴스
Shanghai overtakes S'pore as world's busiest port
http://www.straitsti[...]
2011-09-14
[3]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iaphworld[...]
2015-10-03
[4]
웹사이트
Safety4Sea
https://safety4sea.c[...]
Safety4sea
2020-05-29
[5]
논문
The Southampton system: A new universal standard approach for port-city classification
[6]
웹사이트
About SIPG
http://www.portshang[...]
Shanghai International Port (Group) Co., Ltd.
2010-03-20
[7]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8]
웹사이트
Can the New Silk Road Compete with the Maritime Silk Road?
https://www.maritime[...]
2021-01-24
[9]
웹사이트
China’s Maritime Silk Road and the Middle East: Tacking Against the Wind
https://www.mei.edu/[...]
2021-01-24
[10]
논문
Maritime Shipping and Export Trade on “Maritime Silk Road”
2018-06
[11]
웹사이트
About Port of Shanghai
http://www.portshang[...]
Shanghai International Port (Group) Co., Ltd.
2010-03-20
[12]
웹사이트
Port of Shanghai, China
http://www.ship-tech[...]
[13]
웹사이트
Top 15 Largest Seaports of the World
http://www.geohive.c[...]
GeoHive
2012-12-18
[14]
뉴스
Shanghai overtakes S'pore as world's busiest port
http://www.straitsti[...]
2011-09-14
[15]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iaphworld[...]
2015-10-03
[16]
뉴스
2012年上海港货物吞吐量和集装箱吞吐量均能继续保持世界第一位置
http://www.shanghai.[...]
2013-04-07
[17]
웹사이트
Port of Shanghai, China
http://www.ship-tech[...]
[18]
웹사이트
Top 15 Largest Seaports of the World
http://www.geohive.c[...]
GeoHive
2012-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