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현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현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의 행정 구역으로, 과거 용인군 지내면 지역에 속했다. 지명은 상리(上里)의 '상'과 만현 고개(晩峴)의 '현'을 따서 만들어졌다. 심곡서원과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와 같은 문화재가 있으며, 국도 제43호선이 지나간다. 1914년 용인군 지내면 상현리로 시작하여, 용인시 승격, 수지읍 승격, 수지출장소 승격, 수지구 개편 등의 행정구역 변화를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 수지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수지구 - 석주선기념박물관
단국대학교에 위치한 석주선기념박물관은 고고 미술, 민속 복식 등 4만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특히 석주선 박사 기증품은 대한민국 민속 복식 분야의 토대가 되었다.
상현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상현1동 |
한자 표기 | 上峴1洞 |
영문 표기 | Sanghyeon 1(il)-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수지구 |
면적 | 3.0 |
세대 | 17,556 |
세대 조사 | 2020.08 |
인구 | 20,357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상현동 |
통 | 21 |
반 | 177 |
동주민센터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상현로 71 |
홈페이지 | 상현1동 행정복지센터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상현2동 |
한자 표기 | 上峴2洞 |
영문 표기 | Sanghyeon 2(i)-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수지구 |
면적 | 2.0 |
세대 | 11,601 |
세대 조사 | 2020.08 |
인구 | 33,152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상현동 |
통 | 35 |
반 | 290 |
동주민센터 | 경기 용인시 수지구 만현로 48 |
홈페이지 | 상현2동 행정복지센터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상현3동 |
한자 표기 | 上峴3洞 |
영문 표기 | Sanghyeon 3(sam)-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수지구 |
인구 | 27,782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상현동 |
통 | 29 |
반 | 220 |
동주민센터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법조로 223 |
홈페이지 | 상현3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상현동 지역은 고려시대 용구현(龍駒縣), 조선시대 용인현(龍仁縣)의 지내면에 속했다.[1]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지내면 상리(上里)와 만현 고개(晩峴)에서 글자를 따와 '상현리(上峴里)'라는 이름이 처음 만들어졌고, 용인군 수지면에 편입되었다.[1] 이후 1996년 용인시 승격, 2001년 상현동 설치, 2005년 수지구 승격 및 상현1, 2동 분동, 2007년 광교신도시 개발에 따른 행정구역 조정, 2021년 상현1, 3동 분동 등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2][3]
2. 1. 지명 유래
상현동은 과거 용인군 지내면 지역에 속했다. 고려시대 용구현(龍駒縣)과 조선 시대 용인현(龍仁縣) 시절, 지내면, 서변면, 기곡면 사이에는 느진재(느리재)라는 고개가 있었다. 이 고개는 기울기가 완만하여 오르내리기 쉬웠기 때문에 '만현 고개(晩峴)'라고도 불렸다. 당시 지내면 주민들은 이 고개를 넘어 서변면의 보수원(보정리) 삼막곡(三幕谷)을 거쳐 현청과 읍내장이 있는 구성까지 오갔다. 소금 장수가 구흥면에서 소금을 팔고 조선 시대 역원(驛院)이 있던 서변면 보수원(寶樹院)에서 쉬었다가 이 고개를 넘어갔는데, 고개가 완만하면서도 길게 늘어져 있어 '느진재(느리재)'라고 불렸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1872년 지방지도』 용인현 지내면 부분에는 만현 고개(晩峴)와 그곳에 있는 심곡(深谷)이 기록되어 있다.[1]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에서 용인군 지내면(枝內面)의 상리(上里)와 만현 고개(晩峴)의 이름을 따고, 수진면 정평리(亭坪里) 일부를 병합하여 '상현리(上峴里)'라는 이름이 만들어졌다. 즉, 상리(上里)의 ‘상(上)’자와 만현 고개(晩峴)의 ‘현(峴)’자를 합쳐 지명이 된 것이다.[1]
상현동의 주요 지명 중 하나인 심곡(深谷, 깊은말)은 조광조를 모신 심곡정암서원(深谷靜庵書院, 현재의 심곡서원)이 자리 잡고 있어 유래된 이름이다. 이 때문에 서원말(院村)이라고도 불렸다. 심곡정암서원은 1605년(효종 때) 세워져 조광조의 제사를 지냈으며, 건립과 동시에 '심곡'이라는 이름을 사액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에도 존속한 47개 서원 중 하나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서원 서쪽에는 조광조의 묘소가 있다. 『1872년 지방지도』에는 조광조의 호를 딴 정암서원(靜庵書院)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심곡서원(深谷書院)을 가리킨다.[1]
또 다른 주요 지명인 독바위(옹암, 甕岩)는 마을에 독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 바위와 관련하여 두 바위가 싸우다가 한쪽이 '독해서 이겼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여기서 유래한 독바위 줄다리기 민속놀이가 이어져 오고 있다. 독바위 줄다리기는 동쪽(숫줄, 남자 어른)과 서쪽(암줄, 여자 어른 및 아이들)으로 편을 나누어 진행하며, 암줄이 이기면 마을에 전염병이 사라지고 그 해 풍년이 든다는 믿음이 있다.[1]
이 외에도 상현동에는 조광조의 묘소와 장수 바위가 있는 깊은말, 군부대가 주둔했던 가산골, 현재의 만현 마을이 된 느진재(만현 고개), 삼막곡(三幕谷), 절골(寺洞) 등의 마을이 있었다.[1]
2. 2. 연혁
일제강점기인 1914년 3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에 따라 지내면(枝內面)의 상리(上里), 만현 고개(晩峴), 수진면 정평리(亭坪里) 일부 지역이 병합되어 '상현(上峴)'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다. 이때 상현리는 용인군 지내면에 속했다가 이후 수지면으로 편입되었다.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하면서 수지면 역시 수지읍으로 승격되었다. 2001년 12월 24일에는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되었고, 이때 상현동이 공식적으로 설치되었다. 2003년 3월 31일에는 성복동이 분동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수지출장소가 수지구로 승격되면서 상현동은 상현1동과 상현2동으로 분동되었다. 2007년 5월 9일, 광교신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이루어졌다. 영동고속도로 남쪽의 상현동 일부와 기흥구 영덕동 일부 지역이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편입되었고, 반대로 영동고속도로 북쪽 하동 일부 지역이 상현동으로 편입되었다.[2][3]
2021년 9월 6일에는 상현1동이 상현1동과 상현3동으로 분동되어 현재에 이른다.
3. 교육 기관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에 추가할 구체적인 정보가 없고, 참조 템플릿만 포함되어 있으며, 지침에 따라 해당 템플릿은 제거 대상입니다.)
4. 도로
상현동의 주요 도로로는 국도 제43호선이 있다. 이 도로는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을 지나 성복동, 풍덕천동, 죽전동으로 이어지며, 주변 지역과의 중요한 연결망 역할을 한다.
5. 문화재
- 심곡서원(龍仁 深谷書院) - 대한민국 사적 제530호
-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文貞公 趙光祖 墓 및 神道碑) - 경기도 기념물 제169호
5. 1. 심곡서원
상현동에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개혁 사상가인 조광조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심곡서원이 위치하고 있다. 이 서원은 대한민국 사적 제530호로 지정되어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5. 2.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文貞公 趙光祖 墓 및 神道碑)는 경기도 기념물 제169호로 지정되어 있다.6. 아파트
wikitext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만현마을 8단지 두산위브 | 두산건설 | 무영건설㈜ | 수지구 만현로 127 | 2002년 8월 | |
만현마을 9단지 LG자이 | 엘지건설㈜ | ㈜미래건설 | 수지구 만현로133번길 33 | 2003년 6월 | |
만현마을 6단지 쌍용 | 쌍용건설 | ㈜흥부기업 | 수지구 만현로 99 | 2001년 9월 | |
만현마을 7단지 쌍용 | ㈜신창건설 | 수지구 만현로 107 | 2001년 6월 | ||
만현마을 10단지 성복역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 | 용인수지연합주택조합 | 수지구 상현로 142 | 2002년 7월 | |
만현마을 2단지 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 | 수지구 만현로67번길 9 | 2002년 4월 | ||
만현마을 5단지 아이파크 | 수지구 만현로 79 | ||||
수지 센트럴 아이파크 | 수지구 상현로 101 | 2006년 8월 | |||
광교상현마을 현대 | 수지구 상현로 2 | 2001년 12월 | |||
서원마을 3단지 아이파크 | 국방삼군주택조합 | 수지구 포은대로 219 | 2002년 9월 | ||
서원마을 2단지 현대홈타운 | 현대건설 | 수지구 상현로 59 | 2001년 2월 | ||
만현마을 1단지 롯데캐슬 | 롯데건설 | ㈜대진종합건설 | 수지구 만현로 25 | 2002년 9월 | |
광교 상떼빌파크뷰 | 성원건설 | ㈜KB부동산신탁 | 수지구 상현로 30-10 | 2002년 12월 | |
서원마을 5단지 성복역금호베스트빌 | 금호산업㈜ | 일레븐건설㈜ | 수지구 심곡로 16 | ||
상현마을 1단지 금호베스트빌 디 에듀 | 수지구 상현로 59 | 2001년 3월 | |||
상현마을 2단지 금호베스트빌 | 수지구 상현로 58 | ||||
상현마을 3단지 금호베스트빌 | 수지구 상현로42번길 40 | 2002년 2월 | |||
상현마을 4단지 금호베스트빌 | 수지구 상현로 67-12 |
참조
[1]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2]
법률
전라남도 나주시 등 4개 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07-02-08
[3]
뉴스
수원.용인 경계일부-어정동 분동 등 관할구역 변화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7-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