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복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복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고려 시대에는 용구현 수진면, 조선 시대에는 용인현 수진면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성복리가 되어 수지면에 편입되었다. 성주 이씨들이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으며, 현재는 5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신분당선 성복역이 위치하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문화 시설,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성복동 - [지명]에 관한 문서
성복동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용인시 수지구
면적5.0
세대17,335
세대 조사2020.8
인구54,712
인구 조사2023년 8월
법정동성복동
46
427
동주민센터경기 용인시 수지구 성복1로 100
홈페이지성복동 행정복지센터

2. 역사

2. 1. 지명 유래

성복동은 본래 용인군 수진면(水眞面) 성복동(星福洞)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용구현(龍駒縣) 수진면(水眞面), 조선시대 태종 13년에는 용인현(龍仁縣) 수진면(水眞面)이었다.[1]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성복리(星福里)로 고쳐 수지면에 편입되었다.[1]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마을에 이조년(李兆年.1269-1343)의 후손이자 고려(高麗) 말 권문세족인 이인임(李仁任.1312년-1388)의 혈족들 중 고려 말 조선 초기 개국공신 흥안군 이제(李濟.1365-1398)로부터 성주 이씨(星州 李氏)들이 성복동 터를 형성했다.[1] 이제(李濟.1365-1398)의 사촌이자, 문하평리 겸 대제학(門下評理兼大提學) 이인민(李仁敏.1330-1393)의 여섯 아들 중 첫째인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문경공(文景公) 이직(李稷.1362-1431)은 조선 초기 대사헌과 영의정을 보내고 성복동 터에 거주하여 문경공파(文景公派) 파조가 되었으며, 태종(太宗)의 부마인 이정녕(李正寧.1411-1455)의 父 한성 부윤(漢城府尹) 이사후(李師厚.1382-1435)로부터 성복동에 거주한 그의 후손들은 성주 이씨 문경공파(文景公派)가 된다.[1] 이들이 복을 받으라는 의미로 성복(盛福)이라 하였으나 후에 '별 성(星)'자로 바뀌었다는 속설이 있다.[1]

성주 이씨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던 이곳은 본래 성불골 또는 성복동이라 구전되었는데, 성불골이란 성복리 맨 꼭대기 형제봉 밑에 있던 성불사(成佛寺)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1]

1985년 경제기획원 통계자료에 의하면 성복동에는 고려 후기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이조년(李兆年.1269-1343)의 후손들이 25호 정도의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었다.[1]

마을이 자리 잡은 위치에 따라 성남(星南) · 성동(星東, 양지말) · 성서(星西) · 성북(星北) 등의 마을이 있고 그 외 매가 깃들었다 하여 붙여졌다 하는 응곡(應谷 · 응골 · 매재골) · 도리실 · 능구리 · 도탐말 · 안골 등 여러 자연마을이 있다.[1]

2. 2. 연혁

고려 명종 2년(1172년)에 용구현으로 개칭되어 광주목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용인현 수진면(水眞面)이 되었다. 고종 32년(1895년) 23부제(二十三府制) 실시에 따라 용인현이 용인군이 되면서 용인군 수진면(水眞面) 성복동이 되었다.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시로 용인군 수지면(面)이 용인시 수지읍(邑)으로 승격됨에 따라 용인시 수지읍(邑) 성복동이 되었다. 2003년 3월 31일 행정기구설치조례에 의거 상현동에서 분리되었다.

3. 인구

2020년 8월 기준 성복동의 총 인구는 50,589명(남: 24,341명, 여: 26,248명 / 17,335세대)이다. 이는 수지구 전체 인구(375,336명)의 13.3%에 해당하며, 용인시 전체 인구(1,068,549명 / 2020년 8월 말)의 4.7%에 해당한다.

성복동 연령별 인구구조

4. 면적

성복동의 면적은 5.0km2수지구 전체 면적(42.1km2)의 11.88%를 차지하며, 용인시 전체 면적(591.36km2)의 0.85%를 차지한다.

5. 교육 기관

성복동에는 교육 기관이 잘 갖추어져 있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수지구 문서를, 경기도 용인시의 교육 지원에 대한 정보는 경기도용인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6. 교통

6. 1. 도로

국도 제43호선은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서 성복동을 거쳐 풍덕천동, 죽전동으로 이어진다. 용인서울고속도로서분당 나들목에서 서수지 나들목을 거쳐 광교상현 나들목으로 연결된다.

6. 2. 철도

신분당선 성복역이 있다.

7. 문화

성복동주민센터에서는 성복동 소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역의 애향심(愛鄕心)을 기리기 위해 지역자치위원과 문화해설사를 동승하여 포은 정몽주 선생 묘소, 한국등잔박물관, 남구만 선생묘소, 호암미술관, 용인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용인향교(龍仁鄕校),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민영환선생묘, 경기도박물관, 용인문화유적전시관(龍仁 文化遺蹟展示館) 등 용인 지역 문화재들로 컨텐츠를 구성하여 역사탐방 행사를 이룬다.[2]

8. 아파트

wikitable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비고
성동마을 수지자이GS건설디에스디부림㈜수지구 성복2로 1742006년 5월
성동마을 LG빌리지 6차LG건설㈜명진건설산업수지구 성복2로 1582003년 3월
성동마을 LG빌리지 2차㈜삼호건설수지구 수지로113번길 152001년 3월
성동마을 LG빌리지 1차㈜동훈수지구 성복2로 862001년 2월
성동마을 LG빌리지 3차수지구 성복2로 1262002년 8월


참조

[1]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2] 웹사이트 http://www.yonginil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