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버실은 서버, 네트워크 장비, 전력 공급 장치 등을 갖추고 운영되는 공간으로, 설계 및 구축, 운영 및 유지보수, 미래 지향적인 기술 도입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위치 선정 시에는 외부 환경과 전자기 간섭을 피하고, 화재 및 침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하며, 공간 구성은 장비 배치와 접근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공조 시스템은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력 공급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와 비상 발전기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화재 예방을 위해 불활성 가스나 청정 화학 물질을 사용하고, 물리적 및 정보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정기 점검, 환경 모니터링, 장애 대응, 에너지 효율 관리가 중요하며, 미래에는 소규모/분산형 서버실, 친환경 서버실과 같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버 - 슈퍼 서버
슈퍼 서버는 TCP 래퍼를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서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높이지만, 높은 연결 요청 빈도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inetd, launchd, systemd, ucspi-tcp, xinetd 등이 대표적인 구현체이다. - 서버 - 씨마이크로
씨마이크로는 2007년 설립되어 투자 유치 후 AMD에 인수된 서버 개발 회사로, SM10000, SM15000 시리즈 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버라이즌과의 협력 및 여러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서버실 | |
---|---|
개요 | |
![]() | |
유형 | 특수 목적 시설 |
목적 | 컴퓨터 서버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영하기 위한 환경 제공 |
관련 용어 | 데이터 센터, 전산실 |
시설 및 환경 | |
주요 설비 | 항온항습기 (HVAC) 무정전 전원 장치 (UPS)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보안 시스템 (출입 통제, 감시 카메라) |
환경 조건 | 온도: 섭씨 20-25도 (화씨 68-77도) 습도: 40-60% |
전력 공급 | 고가용성 전력 시스템 (이중화 또는 다중화) |
네트워크 연결 | 고속 네트워크 연결 (다양한 통신 사업자 회선) |
보안 | |
물리적 보안 | 출입 통제 시스템 (생체 인식, 카드 키) 감시 카메라 (CCTV) 보안 요원 |
논리적 보안 |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 (IDS) 접근 제어 |
고려 사항 | |
위치 선정 | 전력 공급 안정성 네트워크 접근성 자연 재해 위험 (홍수, 지진) 보안 |
설계 | 확장성 에너지 효율성 유지 보수 용이성 |
운영 | 정기적인 유지 보수 재해 복구 계획 보안 감사 |
기타 | |
규모 | 소규모 서버실 (기업 내) 대규모 데이터 센터 (전문 사업자) |
표준 | TIA-942 (데이터 센터 표준) ISO 27001 (정보 보안 경영 시스템) |
에너지 효율 | 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지표 에너지 절약 기술 (냉각 시스템 최적화, 고효율 서버) |
2. 서버실 설계 및 구축
서버실 또는 컴퓨터실을 구축하려면 다음의 다섯 가지 주요 설계 고려 사항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10]
서버실을 구축하고 운영하려면 다음 고려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위치 선정'''
서버실의 위치는 실내 구성 요소 배치를 고려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대부분의 설계자는 가능하면 서버실의 벽 중 하나가 건물의 외벽이 되는 위치에 짓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외벽은 습기가 많을 수 있고 장비를 적시는 파열될 수 있는 수도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 창문을 피하는 것은 보안 위험과 파손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상층과 지하실을 모두 피하는 것은 지붕의 침수와 누수를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기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시설과도 거리를 두어야 한다. 설계자는 서버실 근처에 있는 잠재적인 간섭의 모든 소스를 평가해야 한다. 발전소, 엘리베이터실 등으로부터의 전파 송신기 및 전기적 간섭을 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서버가 침수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재해지도를 참조하여 수해로 인한 침수 위험을 피하고 2층 이상의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로 인한 소실을 막기 위해 소화 설비 및 불연성, 난연성 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및 통신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고려하여 사무 공간과 분리된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서버 및 공조 설비는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거주 공간과 떨어진 서버룸의 설치 장소 및 소음 대책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
서버룸을 계획할 때에는, 5년 후, 10년 후와 같은 장래 계획을 바탕으로 설비를 설계해야 한다.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실패 지점 (single point of failure)이 없도록 설비를 이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공간 구성'''
서버실은 서버 랙, 네트워크 장비, 냉각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장비 유지 보수를 위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서버실에서 사용되는 서버 등 IT 기기는 일반적으로 EIA에서 규정한 랙 규격인 19인치 랙에 탑재하여 설치한다.

- '''공조 (서버 냉각)'''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은 서버실의 필수 요소이다. 안정적인 온도 및 습도 유지는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과 수명 연장에 매우 중요하다.[16] 대부분의 서버실에는 정밀 항온 항습(PAC)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온도, 습도, 입자 여과를 제어하고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17] 서버실 내부 조건이 정의된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동 경고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또는 서버실의 공기 조절 설계는 "상향 기류" 및 "하향 기류" 구성 중 하나이다. 상향 기류 방식은 공기를 공기 조화 장치(AHU) 전면으로 흡입하여 열교환기에서 냉각 후 상단 또는 덕트 작업을 통해 배출한다. 하향 기류 방식은 공기를 공조 장치 상단으로 흡입, 열 교환기를 거쳐 냉각 후 하단으로 배출하여 바닥 공간으로 보낸다. 이렇게 조절된 공기는 바닥 통풍구를 통해 서버실로 배출되어 장비 랙으로 공급된다.

핫 에일/콜드 에일 구성은 각 행의 전방향을 서로 바꿔 두 행이 서로 마주보고 다음 행과 등을 맞대도록 한다. 이는 랙의 한 행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배기가 인접한 행의 냉각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통로 격리 구성은 통로 중 하나를 벽, 천장 및 출입문으로 둘러싸여 밀폐된 공간을 만들어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냉각 기술의 채택은 매우 효율적인 서버실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액체 냉각 기술을 적용하면 서버실은 더 이상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에어컨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모든 열이 액체에 포착되어 간단하고 효율적인 건식 냉각기로 배출될 수 있다.
컴퓨터 장비의 소비 전력은, 결국에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로 변환된 것이다. 대형 컴퓨터나 서버는 상당한 양의 발열을 발생시켜 서버룸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온도는 22℃~23℃의 범위로, 가급적 35℃를 넘지 않도록 상대 습도는 40%~60% 사이로 유지해야 한다[16]。미국 냉난방 공조 학회(ASHRAE) TC9.9 열 가이드라인(Thermal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Environments)의 데이터 센터 A1 클래스(15~32℃, 20~80%RH)에 맞도록 온도 관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8]。
- '''전력 공급'''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서버실 운영에 필수적이다. 서버실의 컴퓨터 시스템이 미션 크리티컬한 경우, 단일 실패 지점과 공통 모드 고장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4]
서버실을 설치한 건물이 정전될 경우, 서버가 다운되어 데이터가 손상될 위험이 있으며, 전압 이상 등으로 인해 서버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서버실에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도입하여 정전 시에도 서버가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14] UPS는 비상용 전원으로의 전환 또는 시스템 종료에 걸리는 시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크기를 설계한다.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공급 외에, 비상 발전기를 설치하여 장시간 정전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 '''화재 예방'''
화재 방지 시스템의 주요 목표는 초기 단계에 화재를 감지하고 경고한 다음, 업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시설의 인력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
서버실 화재 진압 기술은 서버실이 존재해 온 만큼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컴퓨터실은 할론 가스를 사용했지만, 이는 환경적으로 유해하고(오존층 파괴) 인체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컴퓨터실은 질소, 아르곤 및 이산화 탄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조합을 사용한다.[13] 다른 솔루션으로는 FM200과 같은 청정 화학 물질, 그리고 산소 수치를 낮게 유지하는 저산소 공기 솔루션이 있다.[13] 데이터 케이블 및 코드의 열 발생으로 인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관에서는 플레넘 케이블을 FEP 튜브로 코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3] 이 플라스틱은 열 발생을 줄이고 재료 금속을 효율적으로 보호한다.[13]
- '''보안'''
서버실은 기업의 중요 정보 자산을 보관하는 곳이므로, 물리적 보안과 정보 보안을 모두 강화해야 한다.
총무성은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보안 대책을 검토하도록 권고한다.[19]
- 방범 카메라 설치나 생체 인증 도입 등, 다른 사무 공간보다 강화된 보안 대책을 적용한다.
- 열쇠 관리나 출입 시간을 기록하는 등, 서버실 출입 방법과 규칙을 명확히 결정한다.
- 업체 등이 출입하는 경우의 규칙을 결정하고, 담당자가 반드시 동행하도록 한다.
- 서버는 사용 후 항상 로그아웃하도록 규칙을 철저히 한다.
2. 1. 위치 선정
서버실의 위치는 실내 구성 요소 배치를 고려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대부분의 설계자는 가능하면 서버실의 벽 중 하나가 건물의 외벽이 되는 위치에 짓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외벽은 습기가 많을 수 있고 장비를 적시는 파열될 수 있는 수도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 창문을 피하는 것은 보안 위험과 파손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상층과 지하실을 모두 피하는 것은 지붕의 침수와 누수를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전자기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시설과도 거리를 두어야 한다. 설계자는 서버실 근처에 있는 잠재적인 간섭의 모든 소스를 평가해야 한다. 발전소, 엘리베이터실 등으로부터의 전파 송신기 및 전기적 간섭을 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서버가 침수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재해지도를 참조하여 수해로 인한 침수 위험을 피하고 2층 이상의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로 인한 소실을 막기 위해 소화 설비 및 불연성, 난연성 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및 통신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고려하여 사무 공간과 분리된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서버 및 공조 설비는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거주 공간과 떨어진 서버룸의 설치 장소 및 소음 대책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
서버룸을 계획할 때에는, 5년 후, 10년 후와 같은 장래 계획을 바탕으로 설비를 설계해야 한다.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실패 지점 (single point of failure)이 없도록 설비를 이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2. 2. 공간 구성
서버실은 서버 랙, 네트워크 장비, 냉각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장비 유지 보수를 위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서버실에서 사용되는 서버 등 IT 기기는 일반적으로 EIA에서 규정한 랙 규격인 19인치 랙에 탑재하여 설치한다. 지진에 의한 랙의 전도, IT 기기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랙을 앵커 고정하거나 면진대에 랙을 설치한다.2. 3. 공조 (서버 냉각)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은 서버실의 필수 요소이다. 안정적인 온도 및 습도 유지는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과 수명 연장에 매우 중요하다.[16] 대부분의 서버실에는 정밀 항온 항습(PAC)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온도, 습도, 입자 여과를 제어하고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17] 서버실 내부 조건이 정의된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동 경고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대부분의 컴퓨터 또는 서버실의 공기 조절 설계는 "상향 기류" 및 "하향 기류" 구성 중 하나이다. 상향 기류 방식은 공기를 공기 조화 장치(AHU) 전면으로 흡입하여 열교환기에서 냉각 후 상단 또는 덕트 작업을 통해 배출한다. 하향 기류 방식은 공기를 공조 장치 상단으로 흡입, 열 교환기를 거쳐 냉각 후 하단으로 배출하여 바닥 공간으로 보낸다. 이렇게 조절된 공기는 바닥 통풍구를 통해 서버실로 배출되어 장비 랙으로 공급된다.
핫 에일/콜드 에일 구성은 각 행의 전방향을 서로 바꿔 두 행이 서로 마주보고 다음 행과 등을 맞대도록 한다. 이는 랙의 한 행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배기가 인접한 행의 냉각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통로 격리 구성은 통로 중 하나를 벽, 천장 및 출입문으로 둘러싸여 밀폐된 공간을 만들어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냉각 기술의 채택은 매우 효율적인 서버실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액체 냉각 기술을 적용하면 서버실은 더 이상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에어컨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모든 열이 액체에 포착되어 간단하고 효율적인 건식 냉각기로 배출될 수 있다.
컴퓨터 장비의 소비 전력은, 결국에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로 변환된 것이다. 대형 컴퓨터나 서버는 상당한 양의 발열을 발생시켜 서버룸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온도는 22℃~23℃의 범위로, 가급적 35℃를 넘지 않도록 상대 습도는 40%~60% 사이로 유지해야 한다[16]。미국 냉난방 공조 학회(ASHRAE) TC9.9 열 가이드라인(Thermal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Environments)의 데이터 센터 A1 클래스(15~32℃, 20~80%RH)에 맞도록 온도 관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8]。
2. 4. 전력 공급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서버실 운영에 필수적이다. 서버실의 컴퓨터 시스템이 미션 크리티컬한 경우, 단일 실패 지점과 공통 모드 고장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4]서버실을 설치한 건물이 정전될 경우, 서버가 다운되어 데이터가 손상될 위험이 있으며, 전압 이상 등으로 인해 서버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서버실에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도입하여 정전 시에도 서버가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14] UPS는 비상용 전원으로의 전환 또는 시스템 종료에 걸리는 시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크기를 설계한다.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공급 외에, 비상 발전기를 설치하여 장시간 정전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2. 5. 화재 예방
화재 방지 시스템의 주요 목표는 초기 단계에 화재를 감지하고 경고한 다음, 업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시설의 인력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서버실 화재 진압 기술은 서버실이 존재해 온 만큼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컴퓨터실은 할론 가스를 사용했지만, 이는 환경적으로 유해하고(오존층 파괴) 인체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컴퓨터실은 질소, 아르곤 및 이산화 탄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조합을 사용한다.[13] 다른 솔루션으로는 FM200과 같은 청정 화학 물질, 그리고 산소 수치를 낮게 유지하는 저산소 공기 솔루션이 있다.[13] 데이터 케이블 및 코드의 열 발생으로 인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관에서는 플레넘 케이블을 FEP 튜브로 코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3] 이 플라스틱은 열 발생을 줄이고 재료 금속을 효율적으로 보호한다.[13]
2. 6. 보안
서버실은 기업의 중요 정보 자산을 보관하는 곳이므로, 물리적 보안과 정보 보안을 모두 강화해야 한다.총무성은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보안 대책을 검토하도록 권고한다.[19]
- 방범 카메라 설치나 생체 인증 도입 등, 다른 사무 공간보다 강화된 보안 대책을 적용한다.
- 열쇠 관리나 출입 시간을 기록하는 등, 서버실 출입 방법과 규칙을 명확히 결정한다.
- 업체 등이 출입하는 경우의 규칙을 결정하고, 담당자가 반드시 동행하도록 한다.
- 서버는 사용 후 항상 로그아웃하도록 규칙을 철저히 한다.
3. 서버실 운영 및 유지보수
서버실은 설계 및 구축만큼 운영 및 유지보수도 중요하다. 서버실의 보수·운용을 제대로 수행할 자원을 확보한다. 일상적으로 설비 및 시스템의 정상성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한다. IT 기기뿐만 아니라, 서버실 설비의 보수 계약,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게을리하지 않도록 한다.
서버, 네트워크 장비, 냉각 시스템, 전력 공급 장치 등 서버실 내 모든 장비에 대한 정기 점검을 실시하여 장애를 예방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관련 법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기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 프레온 배출 억제법에 따른 업무용 에어컨의 법정 점검
- 전기 안전 점검
3. 1. 정기 점검
서버, 네트워크 장비, 냉각 시스템, 전력 공급 장치 등 서버실 내 모든 장비에 대한 정기 점검을 실시하여 장애를 예방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관련 법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기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프레온 배출 억제법에 따른 업무용 에어컨의 법정 점검
- 전기 안전 점검
3. 2. 환경 모니터링
3. 3. 장애 대응
서버실의 컴퓨터 시스템이 미션 크리티컬한 경우, 단일 실패 지점과 공통 모드 고장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14] 원하는 중복성의 수준은 조직이 장애 조치 시스템 활성화 중단을 허용할 수 있는지, 또는 비즈니스에 아무런 영향 없이 원활해야 하는지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컴퓨터 하드웨어 중복성 외에, 장애 조치 전원 공급 장치 및 냉각 장치의 제공이 주요 고려 사항이다.[14]3. 4. 에너지 효율 관리
액체 냉각 기술 채택은 효율적인 서버실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액체 냉각 기술을 통해 서버실은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에어컨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열을 액체에 포착하여 효율적인 건식 냉각기로 배출한다.[20] 열 재사용 가능성도 액체 냉각의 장점 중 하나다. 서버실은 난방 시스템의 일부가 되어 실내에 통합되거나 물 회로를 통해 건물의 유틸리티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체인 원리는 재사용 시나리오에 충분한 온도 수준을 생성하기 위해 채택되고 있다.[20]서버실의 전력 소비 삭감은 에너지 절약 법령, CSR뿐만 아니라 운영 비용 절감 측면에서도 중요하다.[20] 2016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서버실 규모가 작을수록 전력 사용 효율(PUE) 값이 높아 전력 효율이 낮았다. 소규모 서버실의 PUE 값은 2를 넘는 반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의 PUE 값은 1.2로 나타났다.[20]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초반에 설치된 패키지 에어컨으로 방 전체를 냉각하는 서버실은 전력 효율이 매우 낮아 전기료 부담이 크다.[20]
최근 서버실을 설치하거나 갱신할 때 엣지 데이터 센터, 마이크로 데이터 센터와 같은 컨테이너형, 모듈형 데이터 센터가 증가하고 있다.[21]
4. 미래의 서버실
서버실에 대한 요구 사항은 조직의 발전과 성장, 그리고 기술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컴퓨터실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미래 보장(future proofing)으로, 최소한의 노력으로 새로운 요구 사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컴퓨팅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실의 전력 및 냉각 요구 사항도 증가한다. 장비 100kW가 추가로 설치될 때마다 이를 냉각하는 데 추가로 30kW의 전력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에어컨 설계는 처음부터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서버실에서 랙 선택은 일반적으로 공간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많은 조직에서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통신 랙 또는 밀폐형 캐비닛을 사용한다. 오늘날, 높이가 1 랙 유닛 (1U)인 서버와 새로운 블레이드 서버를 사용하면 단일 19인치 또는 23인치 랙에 42대에서 수백 대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다.
4. 1. 소규모/분산형 서버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과 엣지 컴퓨팅의 등장으로, 중앙 집중형 데이터 센터 외에 소규모 분산형 서버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22][23]컴퓨팅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실의 전력 및 냉각 요구 사항도 증가한다. 장비 100kW가 추가로 설치될 때마다 이를 냉각하는 데 추가로 30kW의 전력이 필요하므로, 에어컨 설계는 처음부터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서버실에서 랙 선택은 일반적으로 공간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며, 많은 조직에서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통신 랙 또는 밀폐형 캐비닛을 사용한다. 오늘날, 높이가 1 랙 유닛 (1U)인 서버와 새로운 블레이드 서버를 사용하면 단일 19인치 또는 23인치 랙에 42대에서 수백 대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다.[22]

서버실이나 데이터 센터에 필요한 기능(서버 랙, 공조, UPS, 보안)을 패키지화하여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 랙 크기의 케이스에 데이터 센터에 필요한 기능을 패키지화한 초소형 데이터 센터는 전산기 설치 장소의 자유도를 높여준다. 공장, 창고 내, 사무실 내의 빈 공간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운영 보수를 포함한 월정액 서비스 이용으로 제공하는 기업도 있어, 온프레미스임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나 데이터 센터 서비스처럼 이용할 수도 있다.[22]
클라우드 시대에 온프레미스에 최소한의 랙 수만 필요한 경우, 마이크로 데이터 센터는 TCO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 마이크로 데이터 센터 제품의 에너지 절약 성능은 최첨단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와 동등한 PUE 값을 가진 것도 있어 차세대 서버룸으로 불리고 있다.[23]
4. 2. 친환경 서버실
액체 냉각 기술 채택으로 서버실은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에어컨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열을 액체에 포착하여 효율적인 건식 냉각기로 배출할 수 있게 되었다.[20] 열 재사용 가능성도 중요한 요소인데, 서버실은 난방 시스템의 일부가 되어 난방 설비가 서버의 열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20]서버실의 소비 전력 삭감은 에너지 절약 법령, CSR뿐만 아니라 운용 비용 절감 관점에서도 중요하다.[20] 2016년 미국의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서버실이 작을수록 전력 사용 효율(PUE 값)이 낮아, 소형 서버실의 경우 에너지 사용량의 절반 이상이 IT 기기 외의 것에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초반에 설치된 패키지 에어컨으로 방 전체를 냉각하는 서버실은 전력 효율이 매우 낮아 전기료 부담이 크다.[20]
최근에는 엣지 데이터 센터나 마이크로 데이터 센터와 같은 컨테이너형, 모듈형 데이터 센터가 증가하고 있다.[21]
5. 한국의 서버실 현황 및 정책
참조
[1]
웹사이트
server room Definition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server room
http://encyclopedia2[...]
[3]
웹사이트
lights out server room
http://isp.webopedia[...]
[4]
웹사이트
What not to do in a server room
http://content.techr[...]
2009-03-07
[5]
웹사이트
Photos: Server room cabling overhaul
https://web.archive.[...]
[6]
뉴스
Canada Called Prime Real Estate for Massive Data Computers - Globe & Mail
https://www.theglobe[...]
2011-06-29
[7]
웹사이트
Finland - First Choice for Siting Your Cloud Computing Data Center.
http://www.fincloud.[...]
2013-07-06
[8]
웹사이트
Stockholm sets sights on data center customers.
http://www.stockholm[...]
2010-08-19
[9]
웹사이트
Swiss Carbon-Neutral Servers Hit the Cloud.
http://www.greenbiz.[...]
2010-08-04
[10]
웹사이트
Computer Room Installation & Design
http://www.airintell[...]
2016-07-27
[11]
웹사이트
DEFINITION hot/cold aisle
http://searchdatacen[...]
TechTarget SearchDataCenter
2017-12-26
[12]
웹사이트
Approaches to Data Center Containment
http://www.datacente[...]
DataCenter Knowledge
2017-12-26
[13]
웹사이트
Preventing (Literal) Server Room Melt Down
http://www.fluorothe[...]
Fluorotherm Polymers, Inc
2014-05-12
[14]
웹사이트
Black Swan in the Server Room
http://www.system-lo[...]
2016-07-28
[15]
웹사이트
【データセンター用語集】不活性ガス消火設備とは
https://cloud.watch.[...]
インプレス
2025-02-25
[16]
웹사이트
サーバーの安定性要件 – 温度と湿度
https://www.allion.c[...]
アリオン株式会社
2024-02-25
[17]
웹사이트
データ・センターの一般ガイドライン
https://www.ibm.com/[...]
IBM
2024-02-25
[18]
서적
THERMAL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ENVIRONMENTS, 5TH ED.
ASHRAE
[19]
웹사이트
国民のためのサイバーセキュリティサイト サーバの設置と管理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4-02-25
[20]
웹사이트
Energy efficiency is a hot problem for big tech’s data center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4-02-25
[21]
웹사이트
コネクテッドカーには必須の設備――IDC Japan、国内IoT向けエッジマイクロデータセンター数の予測を発表
https://atmarkit.itm[...]
ITmedia
2025-02-25
[22]
간행물
明後日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を知ろう ~Internet Forecast Report 第12回 マイクロデータセンター
[23]
웹사이트
DX時代のサーバルーム新常識、冷蔵庫大のマイクロデータセンター「DX edge」とは? ―IIJ竹内氏・室崎氏インタビュー
https://iotnews.jp/d[...]
IoT NEWS
2024-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