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레이드 서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레이드 서버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버를 하나의 섀시에 통합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 냉각,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킨 서버 아키텍처이다. 1970년대 미니컴퓨터 기반에서 시작하여 CompactPCI, AdvancedTCA 등의 표준을 거쳐 발전해왔으며, 1990년대 후반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서버 관리 필요성에 따라 등장했다. 블레이드 서버는 전원 공급, 냉각, 네트워킹, 스토리지를 공유하며, 핫스왑을 통해 시스템 중단 없이 블레이드를 교체할 수 있다. 웹 호스팅, 가상화, 클러스터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주요 개발 기업으로는 HP, Dell, IBM, Cisco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버 하드웨어 - 서버 팜
    서버 팜은 클러스터 컴퓨팅 환경에서 다수의 서버를 묶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운영하는 구조로, 슈퍼컴퓨터, 웹 호스팅, 과학 시뮬레이션, 3차원 렌더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냉각 시스템, 전력 소비, 네트워크 성능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 서버 하드웨어 - 19인치 랙
    19인치 랙은 통신 및 IT 장비 수납을 위한 표준 규격의 랙으로, EIA-310-D 규격에 따라 너비 19인치를 표준으로 하며,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와 함께 널리 사용된다.
  • 2001년 도입 -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어드밴스는 닌텐도에서 출시한 휴대용 게임기로 슈퍼 패미컴을 능가하는 성능과 게임보이 시리즈와의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판매고를 올린 인기 기종이다.
  • 2001년 도입 - 닌텐도 게임큐브
    닌텐도 게임큐브는 닌텐도가 2001년에 출시한 가정용 게임기로, 닌텐도 자사 게임기로는 처음으로 광 디스크를 채용하여 DVD 기반의 8cm 디스크를 사용하며 IBM, ATI 등과 협력 개발, 200만대 이상 판매 후 Wii로 후속 기종이 출시되었다.
블레이드 서버
개요
블레이드 서버
IBM 블레이드센터
유형서버
형태고밀도, 모듈형
주요 특징공간 효율성
에너지 효율성
중앙 집중식 관리
기술적 특징
목적서버 자원 통합 및 관리 효율성 증대
구성 요소블레이드 (서버 모듈)
인클로저 (섀시)
백플레인 (내부 연결망)
중앙 집중식 관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연결이더넷, 파이버 채널, 인피니밴드 등
폼 팩터랙 마운트 인클로저, 블레이드 높이 (1U) 등
장점
공간 활용고밀도 서버 집적 가능
에너지 효율전력 및 냉각 비용 절감
관리 용이성중앙 집중식 관리 도구 제공
확장성필요에 따라 블레이드 추가/제거 용이
단점
초기 구축 비용인클로저 및 관리 소프트웨어 비용 발생
단일 실패 지점인클로저 장애 시 전체 시스템 영향 가능성
호환성블레이드 및 인클로저 제조사 간 호환성 문제 발생 가능성
활용 분야
기업 환경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
고성능 컴퓨팅 (HPC)
데이터 센터
기타웹 호스팅
게임 서버
관련 기술
가상화VMware, Hyper-V, KVM 등
관리 소프트웨어HP OneView, Dell OpenManage, Cisco UCS Manager 등
네트워킹이더넷 스위치, 파이버 채널 스위치, 인피니밴드 스위치

2. 역사

블레이드 서버는 1970년대에 개발자들이 카드 위에 미니컴퓨터를 배치하고 이를 표준 19인치 랙에 포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도입하여 산업용 프로세스 제어 산업에 사용되었으며, 초기 모델들은 EPROM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소규모 실시간 실행 기능을 가진 단일 기능으로 제한되었다.[16]

VME버스 아키텍처는 I/O, 메모리 또는 추가 컴퓨팅을 제공하기 위해 플러그 가능한 보드를 위한 여러 슬롯이 있는 섀시 백플레인에 설치된 보드 레벨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했다.

이후, PICMG에서 개발하고 Ziatech Corp.에서 발명한 CompactPCI는 섀시/블레이드 구조를 통해 최초의 개방형 아키텍처를 제공하였다.[16] PICMG는 2001년 9월에 채택된 PICMG 2.16 CompactPCI 패킷 스위칭 백플레인 사양[16]을 통해 백플레인에서 보드 간의 표준 이더넷 연결을 사용하여 CompactPCI 사양을 확장했다.

2011년, IDC는 블레이드 시장의 주요 업체로 HP, IBM, Cisco, Dell을 선정했다.[20] 블레이드 서버를 판매하는 다른 회사로는 Supermicro, Hitachi가 있다.

전통적인 랙 마운트 서버는 높이와 너비의 규격이 정해져 있었으나, 대량의 서버를 도입해야 하는 분야에서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블레이드 서버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랙 마운트보다 더 고밀도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로 개발되었다. 랙 마운트형 제품이라면 개별적으로 갖춰야 할 전원 케이블, 냉각 장치, 외부 인터페이스 등을 블레이드 서버에서는 케이스 측에 탑재하여 각 블레이드가 공유한다. 이를 통해 좁은 공간에 대량의 CPU를 집적할 수 있으며, 전력 효율도 뛰어나다.

초기에는 다수의 서버로 부하와 고장 위험을 분산하고, 하나하나의 서버에 성능이나 신뢰성이 요구되지 않는 분야(웹 서버 등)를 대상으로 한 제품이 중심이었지만, 점차 일반적인 랙 마운트형 서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과 신뢰성이 구현된 제품도 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2. 1. 초기 개발

1970년대, 개발자들은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도입 직후 완성된 마이크로컴퓨터를 카드에 탑재하여 표준 19인치 랙에 넣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산업용 공정 제어 산업에서 미니컴퓨터 기반 제어 시스템의 대안으로 활용되었다. 초기 모델은 프로그램을 EPROM에 저장했으며, 소규모 실시간 실행기를 통해 단일 기능으로 제한되었다.[16]

1990년대, PICMG는 CompactPCI라는 섀시/블레이드 구조를 개발했는데, 이는 당시 새롭게 부상하던 PCI 버스를 위한 것이었다. CompactPCI는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의 Ziatech Corp.에서 발명되어 산업 표준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섀시 기반 컴퓨터들은 전체 섀시가 단일 시스템이라는 공통점을 가졌다. 섀시는 원하는 수준의 성능과 중복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컴퓨팅 요소를 포함할 수 있었지만, 항상 책임자 역할을 하는 하나의 마스터 보드 또는 전체 시스템 작동을 조정하는 두 개의 중복된 장애 조치 마스터가 존재했다. 또한 이 시스템 아키텍처는 전원 공급 장치, 냉각 팬 관리, 기타 내부 구성 요소 상태 모니터링 등 일반적인 랙 마운트 컴퓨터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관리 기능을 제공했다.[16]

1998년과 1999년, Ziatech는 Compact PCI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블레이드 서버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이 아키텍처는 표준 19인치 9U 높이 랙 마운트 섀시에 최대 14개의 "블레이드 서버"를 수용할 수 있었으며, 표준 84 랙 유닛 19인치 랙에는 최대 84개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아키텍처는 시스템 작동 중에도 주요 교체 가능 모듈의 상태와 성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는데, 시스템 작동 중에 모듈을 변경/교체하거나 추가하는 기능은 핫스왑이라고 불린다. Ketris 블레이드 서버는 백플레인을 통해 이더넷을 라우팅하여 단일 84 랙 유닛 높이 19인치 랙에서 160개 이상의 케이블을 제거했다. 또한 블레이드 서버를 작동하지 않고도 각 시스템 섀시에서 원격으로 시스템에 설치된 모듈을 재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 이 시스템은 1999년 Dave Bottom이 처음 구상하고 Ziatech Corp.의 엔지니어링 팀에서 개발했으며, 2000년 5월 Networld+Interop 쇼에서 시연되었다. 2000년 10월, Ziatech는 인텔에 인수되었고, Ketris 블레이드 서버 시스템은 Intel Network Products Group의 제품이 되었다.[16]

최초의 상용화된 블레이드 서버 아키텍처는[17] Christopher Hipp와 David Kirkeby가 발명했으며, 해당 특허는 RLX Technologies에 할당되었다. RLX는 2001년에 첫 상용 블레이드 서버를 출시했고,[18] 2005년에 휴렛 팩커드(HP)에 인수되었다.[19]

"블레이드 서버"라는 이름은 카드에 프로세서, 메모리, I/O 및 비휘발성 프로그램 저장소(플래시 메모리 또는 소형 하드 디스크)가 포함되면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완제품 서버를 단일 카드/보드/블레이드에 패키징할 수 있었다.

2. 2. 인터넷 데이터 센터와 Ketris

199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수백, 수천 대의 서버를 관리해야 했지만, 인력은 새로운 서버 아키텍처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1998년과 1999년에 Ziatech는 Compact PCI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블레이드 서버 아키텍처를 개발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표준 19인치 9U 높이 랙 마운트 섀시에 최대 14개의 "블레이드 서버"를 수용할 수 있었으며, 표준 84 랙 유닛 19인치 랙에는 최대 84개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 새로운 아키텍처는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 변경/교체할 수 있는 모든 주요 교체 가능 모듈의 상태와 성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대한 일련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했습니다. 시스템 작동 중에 모듈을 변경/교체하거나 추가하는 기능을 핫스왑이라고 합니다. 다른 서버 시스템과는 달리 Ketris 블레이드 서버는 백플레인(서버 블레이드가 꽂히는 곳)을 통해 이더넷을 라우팅하여 단일 84 랙 유닛 높이 19인치 랙에서 160개 이상의 케이블을 제거했습니다. 이는 대규모 데이터 센터에서 고장 가능성이 있는 수만 개의 이더넷 케이블을 제거한 획기적인 발전이었습니다.

또한 이 아키텍처는 블레이드 서버를 작동하지 않고도 각 시스템 섀시에서 원격으로 시스템에 설치된 모듈을 재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운영 센터(NOC)에서 원격으로 프로비저닝(전원 켜기,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설치)(예: 웹 서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매우 빠르게 꺼낼 수 있도록 유목민이 착용하는 Ketri 칼의 이름을 따서 Ketris라고 불렸습니다. 1999년 Dave Bottom이 처음 구상하고 Ziatech Corp.의 엔지니어링 팀에서 개발했으며, 2000년 5월 Networld+Interop 쇼에서 시연되었습니다. Ketris 블레이드 서버 아키텍처에 대한 특허가 부여되었습니다. 2000년 10월 Ziatech는 인텔에 인수되었고, Ketris 블레이드 서버 시스템은 인텔 네트워크 제품 그룹의 제품이 되었습니다.

Ketris의 두 번째 세대는 IP 기반 통신 서비스 구축,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산업을 위한 아키텍처로 인텔에서 개발되었습니다.

2. 3. 개방형 아키텍처와 AdvancedTCA

1990년대에 PCI 산업용 컴퓨터 제조업체 그룹(PICMG)은 CompactPCI라고 불리는 섀시/블레이드 구조를 개발했다. CompactPCI는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에 있는 Ziatech Corp.에서 발명되어 산업 표준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섀시 기반 컴퓨터의 공통점은 전체 섀시가 단일 시스템이었다는 것이다. 섀시는 원하는 수준의 성능과 중복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컴퓨팅 요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항상 책임자 역할을 하는 하나의 마스터 보드 또는 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조정하는 두 개의 중복된 장애 조치 마스터가 있었다. 또한 이 시스템 아키텍처는 전원 공급 장치, 냉각 팬을 관리하고 다른 내부 구성 요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등 일반적인 랙 마운트 컴퓨터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관리 기능을 제공했다.[16] 이는 멀티 서버 섀시에 대한 최초의 개방형 아키텍처였다.

PICMG는 백플레인에서 보드 간의 표준 이더넷 연결을 사용하여 CompactPCI 사양을 확장했다. PICMG 2.16 CompactPCI 패킷 스위칭 백플레인 사양은 2001년 9월에 채택되었다.

Ketris의 두 번째 세대는 IP 기반 통신 서비스 구축,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산업을 위한 아키텍처로 Intel에서 개발되었다. PICMG는 이보다 더 크고 기능이 풍부한 AdvancedTCA 사양을 따랐으며, 연장된 제품 수명(10년 이상)을 가진 고가용성 및 고밀도 컴퓨팅 플랫폼에 대한 통신 업계의 요구를 목표로 했다.

2. 4. 상용화와 발전

1970년대에 개발자들은 카드에 미니컴퓨터를 탑재하고 이를 표준 19인치 랙에 넣어 산업용 공정 제어에 사용하였다. 초기 모델은 EPROM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소규모 실시간 실행기를 가진 단일 기능으로 제한되었다.

1981년VME버스 아키텍처는 I/O, 메모리, 추가 컴퓨팅을 위한 여러 슬롯이 있는 섀시 백플레인에 설치된 보드 레벨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했다.

1990년대 PICMG는 CompactPCI라는 섀시/블레이드 구조를 개발했다. 이는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의 Ziatech Corp.에서 발명되어 산업 표준으로 발전했다. 섀시는 단일 시스템으로, 하나의 마스터 보드 또는 두 개의 중복 마스터가 전체 시스템 작동을 조정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 냉각 팬 관리, 기타 구성 요소 모니터링 등 랙 마운트 컴퓨터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관리 기능을 제공했다.

1998년1999년에 Ziatech는 Compact PCI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블레이드 서버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이 아키텍처는 표준 19" 9U 높이 랙 마운트 섀시에 최대 14개의 "블레이드 서버"를 수용할 수 있었으며, 표준 84 랙 유닛 19" 랙에 최대 84개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었다. Ketris 블레이드 서버는 백플레인을 통해 이더넷을 라우팅하여 케이블을 줄였다. 또한, 원격으로 시스템 모듈을 관리하고 프로비저닝(전원 켜기,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설치)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2000년 5월 Networld+Interop 쇼에서 시연되었고, 2000년 10월 Ziatech는 인텔에 인수되었다.

2001년 9월, PICMG는 백플레인에서 보드 간 표준 이더넷 연결을 사용하는 CompactPCI 사양을 확장했다. (PICMG 2.16 CompactPCI 패킷 스위칭 백플레인 사양)[16] 이는 멀티 서버 섀시에 대한 최초의 개방형 아키텍처를 제공했다.

Ketris의 두 번째 세대는 통신 산업을 위한 아키텍처로 개발되었다. PICMG는 AdvancedTCA 사양을 통해 통신 업계의 요구를 목표로 했다. AdvancedTCA 시스템 및 보드는 블레이드 서버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지만, 운영 비용(관리 및 유지 보수 인력)은 획기적으로 낮았다.

최초의 상용화된 블레이드 서버 아키텍처는 Christopher Hipp와 David Kirkeby가 발명했으며, 해당 특허는 RLX Technologies에 할당되었다.[17] RLX는 2001년에 첫 상용 블레이드 서버를 출시했고,[18] 2005년 HP에 인수되었다.[19]

"블레이드 서버"라는 이름은 카드에 프로세서, 메모리, I/O 및 비휘발성 프로그램 저장소(플래시 메모리 또는 소형 하드 디스크)가 포함되면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완제품 서버를 단일 카드에 패키징할 수 있었다.

2011년 IDC는 블레이드 시장의 주요 업체로 HP, IBM, Cisco, Dell을 선정했다.[20]

3. 블레이드 인클로저

블레이드 인클로저(또는 섀시)는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발견되는 핵심적이지 않은 컴퓨팅 서비스의 많은 부분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시스템은 부피가 크고, 열이 많이 발생하며,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부품을 사용하며, 용량을 모두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 여러 컴퓨터에서 이러한 부품을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한 곳에 모아 블레이드 컴퓨터 간에 공유함으로써 전체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는지는 공급업체에 따라 다르다.

thumb BladeSystem c7000 인클로저 (16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됨), 하단에 2개의 3U UPS 장치]]

랙 마운트 서버는 높이와 너비의 규격이 미국 전자 산업 협회(EIA)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너비는 19인치, 높이는 약 4.45cm를 1U(유닛)로 하여, U 단위로 제품화되어 왔다. 그러나 대량의 서버를 도입해야 하는 분야에서는 1U나 1U 하프 서버(깊이가 일반의 절반인 서버)와 같은 얇은 랙 마운트라도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블레이드 서버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U 단위의 높이를 가진 케이스에 블레이드(=날)처럼 얇은 서버를 삽입(플러그 인)함으로써, 랙 마운트보다 더 고밀도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로 개발되었다. 랙 마운트형 제품이라면 개별적으로 갖춰야 할 전원 케이블, 냉각 장치, 외부 인터페이스 등을, 블레이드 서버에서는 케이스 측에 탑재하여 각 블레이드가 공유한다. 이를 통해 좁은 공간에 대량의 CPU를 집적할 수 있으며, 전력 효율도 뛰어나다. 또한 배선의 취급 용이성과, 부착부를 레버화하여 툴리스 보수가 가능하게 되므로, 하드웨어 보수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24]

초기에는 다수의 서버로 부하와 고장 위험을 분산하고, 하나하나의 서버에 성능이나 신뢰성이 요구되지 않는 분야(웹 서버 등)를 대상으로 한 제품이 중심이었지만, 그 장점이 기업의 업무 시스템 데이터 센터의 시설, 운용 비용 절감의 요구와 일치하면서, 점차 일반적인 랙 마운트형 서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과 신뢰성이 구현된 제품도 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에 필요한 기능을 모듈화하여, 계산 모듈(CPU, 메모리, 마더보드)과 I/O 모듈(IP 계열의 LAN, 스토리지 계열의 FC 및 SAS의 하위에 있는 RAID디스크)를 이중화하여, 내고장성의 향상 및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의 지원을 제공하는 기종도 있다.

고밀도화를 위해, 저전력형 CPU를 채용하거나, 메모리 용량 및 하드 디스크 용량의 확장 범위를 좁히는 등, 랙 마운트형에 비해 성능을 희생한 측면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CPU의 저전력화와 멀티 코어화, 메모리, 하드 디스크의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필요 충분한 성능을 갖춘 제품이 많다. 거의 통일된 기능으로 업계 표준인 EIA 19인치 랙 내에 탑재할 수 있는 케이스 내에 여러 개의 블레이드를 탑재할 수 있으며, 각 블레이드 위에 CPU나 메모리, I/O 버스, 스토리지컴퓨터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의 대부분이 탑재되어 있다.[24] 각 블레이드 서버는 한 대씩 서버 컴퓨터로 작동이 가능하다. 케이스 내에 LAN, 탈착식 미디어가 통합된 제품이나, 이중화 전원 증설, 비 이중화 전원 탑재가 가능한 것도 있다. 일반 관리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사가 제공하는 일괄 관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3. 1. 전원 공급

컴퓨터는 다양한 직류(DC) 전압에서 작동하지만, 일반적인 전력 공급은 교류(AC)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컴퓨터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보다 높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를 변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원 공급 장치(PSU)가 필요하다. 전원 공급 장치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컴퓨터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급형 서버에서도 이중 전원 공급 장치를 갖추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설계 부피와 발열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3]

블레이드 인클로저의 전원 공급 장치는 인클로저 내의 모든 블레이드에 단일 전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일 전원은 인클로저 내의 전원 공급 장치를 통해 제공되거나, 여러 인클로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용 PSU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3][4] 이러한 구성을 통해 탄력적인 전원 공급에 필요한 PSU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 서버의 인기와 그에 따른 전력 소비량 증가는 블레이드 서버 전용 장치(BladeUPS)를 포함한 랙 장착형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의 증가를 가져왔다.

3. 2. 냉각

작동 중 전기 및 기계 부품은 열을 발생시키며, 시스템은 부품의 적절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이 열을 발산해야 한다. 대부분의 블레이드 인클로저는 대부분의 컴퓨팅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을 사용하여 열을 제거한다.

블레이드의 공유 전원 및 냉각 방식은 기존 서버만큼 많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블레이드 인클로저는 시스템의 냉각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조정되는 가변 속도 팬 및 제어 로직 또는 심지어 액체 냉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5][6]

동시에 블레이드 서버 구성의 증가된 밀도는 50% 이상으로 채워진 랙에서 여전히 전체 냉각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초기 세대 블레이드에서 그렇다. 절대적인 측면에서, 블레이드 서버가 완전히 채워진 랙은 표준 1U 서버가 완전히 채워진 랙보다 더 많은 냉각 용량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동일한 랙에 최대 128개의 블레이드 서버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42개의 1U 랙 마운트 서버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7]

3. 3. 네트워킹

블레이드 서버는 일반적으로 이더넷용 통합 또는 옵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파이버 채널 스토리지 시스템용 호스트 어댑터, 또는 하나의 파이버 채널 오버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토리지와 데이터를 결합하는 컨버전스 네트워크 어댑터를 포함한다. 많은 블레이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마더보드에 내장되어 있으며, 메자닌 카드를 사용하여 추가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24]

블레이드 인클로저는 블레이드의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개별 외부 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 인클로저는 블레이드 인클로저 또는 네트워킹 블레이드에 내장된 상호 연결 장치(예: 스위치)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집계할 수 있다.

3. 4. 스토리지

블레이드 서버의 보조 저장 장치로는 각 블레이드 서버의 하드 드라이브 또는 외부의 대용량 저장 드라이브가 사용될 수 있다.[25]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지만, 반드시 로컬에 저장할 필요는 없다. FireWire, SATA, eSATA, SCSI, SAS, DAS, Fibre Channel, iSCSI와 같은 많은 스토리지 연결 방식은 서버 외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지만, 모든 방식이 엔터프라이즈급 설치에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내부에 구현하는 것은 네트워킹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과제를 제시하며(실제로 iSCSI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됨), 블레이드에서 제거하여 섀시 또는 기타 블레이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드를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에서 부팅할 수 있는 기능은 디스크가 전혀 없는 블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며, 인텔 모듈형 서버 시스템이 그 구현의 한 예이다.

또한, 2.5인치 하드 디스크 1대 또는 2대를 탑재하여 싱글 또는 RAID1으로 작동하던 것이 RAID5 및 핫 스왑을 지원하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SAN 부팅이나 가상화를 지원하는 제품도 많다.

4. 기타 블레이드

블레이드 인클로저는 컴퓨터 장치에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적인 방법을 제공하므로, 다른 유형의 장치도 블레이드 인클로저를 활용할 수 있다. 스위칭, 라우팅, 스토리지, SAN, 파이버 채널 액세스를 제공하는 블레이드는 인클로저에 장착되어 인클로저의 모든 구성원에게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는 추가 로컬 스토리지가 필요한 경우 스토리지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10][11][12]

5. 활용 분야

블레이드 서버는 웹 호스팅, 가상화, 클러스터 컴퓨팅과 같은 특정 목적에 적합하다. 개별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핫 스왑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더 크고 다양한 워크로드를 처리함에 따라 블레이드 서버에 더 많은 처리 능력, 메모리 및 I/O 대역폭을 추가한다.[25]

초기에는 다수의 서버로 부하와 고장 위험을 분산하고, 각 서버에 높은 성능이나 신뢰성이 요구되지 않는 분야(웹 서버 등)를 대상으로 한 제품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블레이드 서버의 장점이 기업 업무 시스템 데이터 센터의 시설, 운용 비용 절감 요구와 맞아떨어지면서, 점차 일반적인 랙 마운트형 서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과 신뢰성을 갖춘 제품도 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에 필요한 기능을 모듈화하여 계산 모듈(CPU, 메모리, 마더보드)과 I/O 모듈(IP 계열의 LAN, 스토리지 계열의 FC 및 SAS 하위의 RAID디스크)을 이중화함으로써, 내고장성을 높이고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을 지원하는 기종도 있다.

6. 주요 블레이드 서버 개발 기업 및 브랜드

기업브랜드
슈퍼마이크로
시스코 시스템즈Cisco UCS
HPEHP 블레이드시스템
파워엣지 M 시리즈
레노버IBM 블레이드센터
히타치블레이드 심포니



섀시에 있는 시스코 UCS 블레이드 서버


2009년 시스코는 통합 컴퓨팅 시스템 제품 라인에 블레이드를 발표했으며, 각 섀시에 최대 8개의 블레이드 서버를 수용하는 6U 높이의 섀시로 구성되었다.[22] HP의 초기 라인은 두 가지 섀시 모델로 구성되었는데, 최대 8개의 하프 높이 ProLiant 라인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c3000 (타워 형태로도 사용 가능)과 최대 16개의 하프 높이 ProLiant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c7000 (10U)이다. 델의 제품인 M1000e는 10U 모듈형 인클로저로, 최대 16개의 하프 높이 PowerEdge 블레이드 서버 또는 32개의 쿼터 높이 블레이드를 수용한다.

7. 비판 및 한계

랙 마운트 서버는 높이와 너비의 규격이 EIA(미국 전자 산업 협회)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너비는 19인치, 높이는 1.75인치(44.45mm)를 1U(유닛)로 하여, U 단위로 제품화되어 왔다. 그러나 대량의 서버를 도입해야 하는 분야에서는 1U나 1U 하프 서버(깊이가 일반의 절반인 서버)와 같은 얇은 랙 마운트라도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블레이드 서버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U 단위의 높이를 가진 케이스에 블레이드(=날)처럼 얇은 서버를 삽입(플러그 인)함으로써, 랙 마운트보다 더 고밀도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로 개발되었다.

고밀도화를 위해, 저전력형 CPU를 채용하거나, 메모리 용량 및 하드 디스크 용량의 확장 범위를 좁히는 등, 랙 마운트형에 비해 성능을 희생한 측면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CPU의 저전력화와 멀티 코어화, 메모리, 하드 디스크의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필요 충분한 성능을 갖춘 제품이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Data Center Networking – Connectivity and Topology Design Guide https://web.archive.[...] Enterasys Networks, Inc. 2013-09-05
[2] 웹사이트 HP updates Moonshot server platform with ARM and AMD Opteron hardware https://web.archive.[...] Incisive Business Media Limited 2014-04-25
[3] 웹사이트 HP BladeSystem p-Class Infrastructure https://web.archive.[...] 2006-06-09
[4] 문서 Sun Blade Modular System http://www.sun.com/b[...]
[5] 문서 Sun Power and Cooling http://www.sun.com/s[...]
[6] 웹사이트 HP Thermal Logic technology https://web.archive.[...] 2007-04-18
[7] 웹사이트 HP BL2x220c https://web.archive.[...] 2008-08-21
[8] 문서 Sun Independent I/O http://www.sun.com/s[...]
[9] 문서 HP Virtual Connect https://www.hpe.com/[...]
[10] 문서 IBM BladeCenter HS21 http://www-304.ibm.c[...] 2007-10-13
[11] 웹사이트 HP storage blade https://web.archive.[...] 2007-04-18
[12] 문서 Verari Storage Blade https://web.archive.[...]
[13] 문서 TechSpot http://www.techspot.[...]
[14] 웹사이트 Dell calls for blade server standards http://news.cnet.com[...]
[15] 문서 The Register https://www.theregis[...]
[16] 문서 PICMG specifications http://www.picmg.org[...] 2007-01-09
[17] 특허 High density web server chassis system and method
[18] 웹사이트 RLX helps data centres with switch to blades http://www.arnnet.co[...] ARN 2011-07-30
[19] 웹사이트 HP Will Acquire RLX To Bolster Blades https://archive.toda[...] www.informationweek.com 2009-07-24
[20] 간행물 Worldwide Server Market Revenues Increase 12.1% in First Quarter as Market Demand Continues to Improve, According to IDC http://www.idc.com/g[...] IDC 2011-05-24
[21] 웹사이트 Transitioning x86 to Lenovo https://web.archive.[...] 2014-09-27
[22] 뉴스 Cisco Unleashes the Power of Virtualization with Industry's First Unified Computing System https://web.archive.[...] 2017-03-27
[23] 문서 筐体を、各メーカーはベースシャーシ、エンクロージャ、ブレードセンターなどと呼ぶ。
[24] 문서 ストレージやテープデバイスを独立したブレードとして搭載できる機種もある。
[2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