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류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 류씨는 고려 시대 류공기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류성간이 서녕부원군에 봉해지면서 서산을 본관으로 삼았다는 설이 있으나, 족보 기록과 상이하여 분적에 대한 논쟁이 있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류숙, 류방택, 류백유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류윤겸, 류방선 등이 있다. 서산 류씨는 용헌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에 많은 급제자를 배출했다. 2015년 기준 서산 류씨는 6,172명, 서령 류씨는 1,398명, 서산 유씨는 11,833명, 서령 유씨는 9,002명으로 총 31,933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 류씨 - 류숙 (고려)
류숙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반원 자주 개혁정치를 주도하며 친원파 숙청, 정동행중서성 이문소 폐지, 요동 회복 등에 기여했고 도첨의찬성사,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했으나 신돈의 모함으로 피살된 후 공민왕 묘정에 배향되고 문희라는 시호를 받았다.
서산 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서산 류씨 瑞山柳氏 |
이칭 | 서녕 류씨(瑞寧柳氏) |
나라 | 한국 |
관향 | 충청남도 서산시 |
시조 | 류공기(柳公器) |
인물 | 류숙, 류승훈, 류방택, 류백유, 류백순, 류방선, 류윤겸, 유평, 유원규 |
년도 | 2015 |
인구 | 31,933명 |
2. 서산 류씨의 기원 및 역사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 시대에 합문지후(閤門祗候)라는 관직을 지냈다. 증손 류숙이 높은 벼슬에 오르자, 류공기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監修國士)·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추증되었다.[1]
문화 류씨 9세 류순(柳淳)의 셋째 아들 류성간(柳成澗)이 서녕부원군(瑞寧府院君)에 봉해지면서 서산을 본관으로 삼아 분적(分籍)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문화 류씨 가정보』(1565)나 『씨족원류』(17세기) 등 믿을 만한 족보에는 류성간의 이름이 없어 신빙성이 떨어진다.
문화 류씨와 서산 류씨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해동잡록』(1670년): 류방선을 문화 류씨 7세 합문지후 류공권의 후손이라 하였으나, 합문지후가 마지막 관직이었던 인물은 류공기이다.
- 『류방선 행장』(1721년): 정규양(鄭葵陽)이 지었으며, "영의정(領議政) 류성간(柳成澗)에 이르러 서녕(瑞寧)에 봉해지면서 자손이 비로소 서녕 사람이 되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 『문화 류씨 정사보』(1797년): 류순의 아들로 류성간이 새로 등재되었다.
2. 1. 시조 류공기(柳公器)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 시대에 합문지후(閤門祗候)라는 관직을 지냈다. 증손자 류숙이 높은 벼슬에 오르자, 류공기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監修國士)·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추증되었다.[1]2. 2. 서산 류씨의 분적(分籍) 논쟁
류숙이 귀해지자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監修國士)·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추증되었다.[1]일반적으로 문화 류씨 9세 류순(柳淳)의 3남인 류성간(柳成澗)이 서녕부원군(瑞寧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이때부터 서산을 본관으로 삼아 분적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믿기 어렵다. 『문화 류씨 가정보』(1565)나 『씨족원류』(17세기) 등의 공신력 있는 족보에서는 류성간의 이름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문화 류씨와 서산 류씨를 서로 연관지은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 『해동잡록』(1670년): 류방선을 문화 류씨 7세인 합문지후 류공권의 후손이라고 했는데, 합문지후가 마지막 관직이었던 인물은 류공권이 아니라 류공기이다.
- 『류방선 행장』(1721년): 정규양(鄭葵陽)이 지었으며, "영의정(領議政) 휘(諱) 성간(成澗)에 이르러 서녕(瑞寧)에 봉해지면서 자손이 비로소 서녕 사람이 되었다."는 기술이 등장한다.
- 『문화 류씨 정사보』(1797년): 류순의 아들로 류성간이 새로이 등재되었다.
3. 본관: 서산(瑞山)
서산(瑞山)은 충청남도 서산시의 지명이다. 백제 때에는 기곡군(基谷郡)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부성군(富城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144년(고려 인종 22)에는 현으로 개편되었다가, 1284년(충렬왕 10) 서주군(西州郡)으로 승격하였고, 1308년(충선왕 1)에는 서주목(西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310년에 서녕부(瑞寧府)가 되었다가 후에 서주(瑞州)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서산군(瑞山郡)으로 개칭되었다. 1896년에 충청남도 서산군이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 태안(泰安)‧해미(海美)를 서산에 통합하였다. 1917년에는 서녕면이 서산면으로 개칭되었고 1942년 서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에 서산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태안군이 복원되어 분리되었다. 1995년 서산군이 서산시에 통합되었다.
4. 주요 인물
서산 류씨는 고려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시대 | 이름 | 생몰년 | 주요 경력 및 업적 |
---|---|---|---|
고려 | 류숙 | 1316년 ~ 1368년 | 과거 급제, 안사공신, 충근절의찬화공신, 정당문학 겸 감찰대부, 첨의찬성사 등 역임, 신돈에게 희생됨. |
고려 | 류방택 | 1320년 ~ 1402년 | 서운관 판사,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 좌명공신. |
고려 | 류백유 | ? ~ ? | 문과 장원 급제, 판내부시사, 조준의 전제개혁안 반대, 좌사간대부. |
고려, 조선 | 류백순 | ? ~ 1420년 | 대사성, 좌사간대부, 인녕부윤, 국학장관. |
조선 | 류방선 | ? ~ ? | 학자 |
조선 | 류윤겸 | 1420년 ~ ? | 류방선의 아들, 문과 급제, 홍문관부제학, 공조참의, 대사간, 동부승지, 호조참의, 돈녕부도정. |
현대 | 유병석 | 1936년 ~ ? |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
현대 | 유병주 | 1945년 ~ ? |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
현대 | 유대우 | 1948년 ~ ? | STX중공업 부사장 |
현대 | 유원규 | 1952년 ~ ? | 제31대 서울가정법원장 |
현대 | 류완 | 1967년 ~ ? | |
현대 | 류승훈 | 1990년 ~ ? | 학자 |
4. 1. 고려시대
- 류숙(1316년 ~ 1368년)은 고려 말의 문신이다. 1340년(충혜왕 복위 1)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359년 기철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이 되었고, 1363년 홍건적의 난과 김용의 변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다. 첨의찬성사 등을 역임하였으나, 1365년 신돈의 모함으로 희생되었다. 1376년 공민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2]
- 류방택(1320년 ~ 1402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천문학자이다. 고려 말에 서운관(書雲觀)의 판사(判事)를 지냈으며, 1395년(태조 4) 권근과 함께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하였다. 이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錄勳)되었다.
- 류백유는 1369년(공민왕 18)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고려 말의 문신이다. 우왕 때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냈고, 창왕 때 조준의 전제개혁안에 반대하다 1391년 (공양왕 3) 유배되었다. 조선 개국 후 1407년(태종 7)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가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 류백순(? ~ 1420년)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1406년(태종 6) 대사성을 지내고, 1408년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를 거쳐 인녕부윤(仁寧府尹)이 되었고, 국학장관(國學長官)을 지냈다.
4. 2. 조선시대
- 류방택(1320년 ~ 1402년): 고려 말 서운관(書雲觀)의 판사(判事)를 지냈으며, 조선 건국 후인 1395년(태조 4년) 권근과 함께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하였다. 제작 당시 직함은 가정대부(嘉靖大夫) 검교중추원부사 겸 판서운관사(檢校中樞院副使兼判書雲觀事)였으며,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완성한 공적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錄勳)되었다.[2]
- 류백유: 1369년(공민왕 18)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우왕 때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가 되었다. 창왕 때 조준의 전제개혁안(田制改革案)이 주장되자 이색이 옛 법을 가벼이 고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대하는 데 찬성하여 신구(新舊)의 대립을 일으켰다. 1391년(공양왕 3)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서 전제개혁을 비난하여 광주(光州)로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1407년(태종 7)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가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 류방선: 조선 시대 학자이다.
- 류윤겸(1420년 ~ ?): 류방선의 아들이다. 1462년 문과에 급제하여 1482년 홍문관부제학, 1483년 공조참의, 1484년 대사간을 거쳐 동부승지·호조참의·돈녕부도정에 이르렀다.
4. 3. 현대
5. 분파
분파 |
---|
용헌공파 |
정숙공파 |
대사간공파 |
문숙공파 |
판관공파 |
문희공파 |
한성좌윤공파 |
광풍정공파 |
군수공파 |
태재공파 |
참판공파 |
자안공파 |
송암공파 |
처사공파 |
6. 과거 급제자
시험 종류 | 급제자 |
---|---|
고려 문과 | 류백순, 류백유, 류숙, 류한 |
조선 문과 | 류광천, 류사, 류수, 류윤겸, 류한, 류혜동, 류효복 |
무과 | 류계학, 류광년, 류광수, 류득기, 류세웅, 류원좌, 류익화, 류일, 류정봉, 류필원, 류필주, 류필찬, 류흡, 류희일 |
생원시 | 류경서, 류광조, 류대춘, 류동환, 류명익, 류보, 류성화, 류승, 류승렬, 류영로, 류영일, 류유, 류인옥, 류정, 류지룡, 류지립, 류지빈, 류지상, 류지채, 류지춘, 류하홍, 류휘소 |
진사시 | 류규운, 류대춘, 류동식, 류방익, 류사, 류순원, 류영, 류요벽, 류의건, 류인복, 류정렬, 류천이, 류충, 류태익, 류평, 류형렬 |
7. 인구
연도 | 1985년[1] | 2000년[2] | 2015년 |
---|---|---|---|
서산 류씨 | 2,400가구, 9,856명 | 4,576가구, 14,827명 | 6,172명 |
서령 류씨 | 1,850가구, 7,866명 | 2,886가구, 9,290명 | 1,398명 |
서녕 류씨 | - | - | 206명 |
서영 류씨 | - | - | 293명 |
합계 | 17,722명 | 24,117명 | - |
2015년 조사에서는 류씨와 유씨가 분리되어 집계되었다.
참조
[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류숙
[2]
고려사
『고려사』 권112, 열전25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