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 (수호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보(石宝)는 《수호전》에 등장하는 인물로, 방랍 휘하의 장수이다. 그는 숭덕현을 침공한 양산박군에 맞서 싸우며, 서녕, 하사문, 장순 등을 죽이는 활약을 펼친다. 관승과의 대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유성추를 사용하여 색초, 연순 등을 죽였다. 이후 항주성이 함락되고 오룡령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결국 퇴로가 막히자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석보 (수호전) | |
---|---|
석보(石宝) | |
![]() | |
이명 | 남리대장군(南離大將軍) |
출신지 | 복주 |
사망지 | 오룡령 |
칭호 | 항마군(降魔軍) 마군선봉(馬軍先鋒) 겸 선봉대장(先鋒大將) |
인물 정보 | |
별호 | 옹금추(轟天雷) |
직위 | 남리대장군(南離大將軍) |
무기 | 요도(要刀), 유성추(流星鎚) |
상관 | 방랍 |
수호전 내 역할 | |
수호전에서의 역할 | 중요 인물 |
양산박 순위 | 미가입 |
지살성 | 미부합 |
기타 정보 | |
등장 작품 | 수호전 |
2. 생애
석보(石宝)는 수호전에 등장하는 인물로, 방랍의 난 때 활약한 장수이다. 방랍군 최고의 맹장 중 한 명으로, 뛰어난 무예와 지략을 갖춘 인물로 묘사된다.
석보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순서 | 사건 | 요약 |
---|---|---|
1 | 방랍의 난 초기 활약 | 양산박군이 숭덕현을 침공할 때 방천정의 협의에 따라 참전한다. 이후, 서녕과 학사문을 죽이고, 장순의 침입을 막는 등 활약한다. |
2 | 양산박과의 전투 | 관승과 무승부를 기록하고, 삭초(索超), 등비(鄧飛), 포욱(鮑旭) 등을 죽이는 등 뛰어난 무예를 선보인다. |
3 | 항주 함락과 오룡령 전투 | 장횡에게 방천정이 죽는 등 항주성이 함락되자, 부양현, 동려현으로 퇴각한다. 오룡령 관소에 주둔하면서 완소이, 맹강, 해진, 해보를 죽이지만, 양산박군의 반격으로 수세에 몰린다. |
4 | 최후 | 방랍에게 원군을 요청하지만 거절당하고, 등원각마저 전사한다. 결국 오룡령이 포위되자 자결한다. |
2. 1. 방랍의 난 초기 활약
석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양산박군이 숭덕현(崇徳縣)을 침공하고, 방천정(方天定)이 궁에서 협의를 열었을 때이다. 회의 결과 세 방향에서 밀고오는 송군을 이쪽에서도 세 곳으로 나누어 맞아 싸우게 되고, 석보는 온극양(温克譲), 조의(趙毅), 오치(吳値), 냉공(冷恭), 염명(廉明), 장도원(張道原), 왕인(王仁), 봉의(鳳儀) 등 여덟 장수를 이끌고 성곽에서 적을 맞아 싸우게 된다.관군 도착 후, 순식간에 왕인과 봉의를 잃고 방랍군은 항주성까지 몰리지만 며칠 뒤 퇴각한 방랍군을 정찰하러 온 서녕과 학사문을 북관문(北關門) 앞까지 유인해 서녕을 독화살로 사살하고, 학사문은 붙잡아 참수했다. 다음으로 양산박군의 장순은 수문인 용금문(湧金門)을 통해 성내로 침입하려 했다. 이를 방랍군은 성벽 위에 숨어 있던 병사들이 화살비로 장순을 사살해 침입을 막는다. 송강이 장순의 제사를 지내기위해 용금문으로 향했음을 감지하자 열 명의 수장을 보냈으나 미리 대기하고 있던 복병에게 습격당하여 조의, 탕봉사(湯逢士), 모적(茅迪), 원흥(元興), 소경(蘇涇) 등 다섯 명을 잃는다.[1]
2. 2. 양산박과의 전투
관승과 일대일 대결을 벌여 무승부를 기록한 후, 동관문(東關門)에서는 등원각이 노지심(魯智深)과 대결하지만, 무송(武松)이 도와 등원각이 도망가고, 패응기(貝応夔)는 무송에게 죽는다. 독송관(獨松關)에 이어 덕청현(德清縣)이 함락되면서 양산박군(梁山泊軍)이 성 아래에 집결하여 맹공을 가한다. 석보(石宝)는 삭초(索超)를 유인하여 유성추(流星鎚)로 죽이고, 등비(鄧飛)도 칼로 벤다. 유당(劉唐)이 성 안으로 들어오려 하자, 수비 병력이 성문을 떨어뜨려 죽인다. 이규(李逵) 등 네 두령이 이끄는 보병군과 격돌, 오치(吳値)와 렴명(廉明)을 거느리고 출진했으나, 난전 속에서 말을 잃고 패주하고 렴명은 포욱(鮑旭)에게 습격당한다. 석보는 성 안으로 들어온 포욱을 성문 뒤에서 칼로 베어 죽인다.[1]2. 3. 항주 함락과 오룡령 전투
민간 배에 숨어든 양산박 두령들에 의해 항주성이 함락되고, 방천정은 도망가다 장횡에게 죽는다. 석보는 등원각, 온극양, 왕적, 조중 등과 함께 부양현으로 퇴각, 백흠, 경덕과 합류하여 재기를 꾀하지만 실패하고 온극양을 잃는다. 이후 동려현으로 도주하여 오룡령 관소에 주둔하면서 수로로 쳐들어오는 완소이를 죽이고, 맹강을 화포로 날려보낸다. 또, 오룡령을 넘어 침입하려던 해진, 해보를 포위하여 죽인다. 그러나 양산박군의 반격으로 왕적과 조중을 잃고 방랍군은 퇴각한다.2. 4. 최후
양산박군이 샛길을 따라 목주(睦州)로 진격하자, 석보는 방랍에게 원군을 요청하지만 거절당한다. 석보는 구원을 요청했던 목주군의 요청을 거부했고, 등원각은 단독으로 출전했다가 화영에게 죽는다.이후 석보는 양산박군과의 전투에서 마린을 한칼에 베어 쓰러뜨리고, 덤벼든 연순(燕順)을 유성추로 죽였다. 그러나 관승과의 대결을 피해 퇴각한다. 목주가 함락되고 오룡령(烏龍嶺)이 포위되자, 석보는 퇴로가 없음을 깨닫고 척풍도(劈風刀)로 자결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