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물 (금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물(금융)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거래하는 계약을 의미한다. 네덜란드에서 튤립 선물 거래가 시작된 이후, 1730년 일본의 도지마 쌀 회소가 최초의 선물 거래소로 인정받았으며, 1864년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에서 표준화된 선물 계약이 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선물 거래는 헤지, 투기, 가격 결정, 위험 관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거래소에서 표준화된 계약으로 이루어진다. 선물 계약은 기초 자산, 만기일, 결제 방법 등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선물 가격은 보유 비용, 기대 가치 등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선물 거래는 헤저와 투기자로 구분되며, 헤저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투기자는 가격 변동으로 이익을 얻기 위해 참여한다. 선물 거래는 선물 거래소의 청산소를 통해 거래 상대방의 위험을 줄이고, 마진 제도를 통해 계약 이행을 보장한다. 선물 계약은 선물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반면, 선도 계약은 장외에서 거래된다는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생 상품 -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 상품 또는 계약으로, 헤지, 투기, 자산 배분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며,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강화된 규제를 받고 있다.
  • 파생 상품 - 금융상품
    금융상품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시장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현금 상품(증권, 대출, 예금 등)과 기초 자산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파생 상품(선물, 옵션, 스왑 등)으로 나뉜다.
  • 금융 - 불로소득
    불로소득은 경제학에서 노동이나 투자가 없이 얻는 소득을 의미하며, 고전 경제학에서는 토지 소유권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잉여가치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뜻한다.
  • 금융 - 동전주
    동전주는 낮은 주가로 개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관심을 끌지만, 높은 변동성, 주가 조작 위험, 낮은 시가총액, 유동성 부족 등으로 투자 손실 위험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선물 (금융)

2. 역사

도지마 쌀 거래소는 1697년 오사카에 설립되어 1730년 에도 막부의 공인을 받아 선물 거래를 시작했다. 이는 쌀로 봉급을 받는 사무라이들이 쌀을 안정적으로 동전으로 바꿀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6]

17세기 네덜란드 공화국에서는 튤립 파동 시기에 튤립 구근을 대상으로 한 선물 계약이 나타났다.[33][34]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는 1864년에 최초의 표준화된 선물 계약을 상장했다.[7] 이는 곡물 거래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후 인도 뭄바이에서 면화 선물 거래가 시작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상품 선물 거래가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다.[8]

1972년 시카고 상업 거래소는 국제 통화 시장(IMM)을 설립하여 세계 최초로 통화 선물을 출시했다. 이후 금리 선물(1976년), 주식 시장 지수 선물(1982년)을 추가했다.[10]

2. 1. 세계 선물 거래의 역사

도지마 쌀 거래소는 1697년 오사카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일부에서는 나쁜 흉작이 잇따르면서 쌀로 봉급을 받는 사무라이들이 동전으로의 안정적인 전환이 필요했기에,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초의 선물 거래소 시장으로 여겨진다.[6] 1730년에는 에도 막부의 공인을 받아 조직 및 정비된 오사카의 '''도지마 쌀 회소'''가 최초의 선물 거래소로 여겨진다.[36][37] 도지마 쌀 회소는 차금 결제를 포함한 세계 최초의 공인 선물 거래 시장으로, 1848년 시카고 상품 거래소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37]

유럽에서는 17세기에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공식적인 선물 시장이 등장했다. 이 초기 선물 계약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636년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튤립 광풍'''의 절정기에 개발된 '튤립 선물'이다.[33][34]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는 1864년에 최초의 표준화된 '거래소 거래' 선물 계약을 상장했는데, 이를 선물 계약이라고 불렀다.[7] 이 계약은 곡물 거래를 기반으로 했으며, 상품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설립된 다수의 선물 거래소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표준화된 선물 계약에 대한 계약이 생성되는 추세를 시작했다.[7] 1875년까지 인도 뭄바이에서 면화 선물이 거래되었고, 몇 년 안에 이것은 식용 종자 복합체, 생 황마 및 황마 제품, 금괴 선물로 확장되었다.[8]

1972년 시카고 상업 거래소에 의해 국제 통화 시장(IMM)이 설립되면서 세계 최초의 금융 선물 거래소가 되었고, 통화 선물이 출시되었다. 1976년, IMM은 미국 재무부 채권에 대한 금리 선물을 추가했고, 1982년에는 주식 시장 지수 선물을 추가했다.[10]

2. 2. 한국 선물 거래의 역사

1730년(교호 15년), 에도 막부의 공인을 받아 조직 및 정비된 오사카의 '''도지마 쌀 회소'''는 최초의 선물 거래소로 여겨진다.[36][37] 도지마 쌀 회소 이전에도 보험 연결로서, 주식의 신용 거래 공매도와 유사한 쌀 쿠폰의 공매도로서 '츠메카에시'(환전상으로부터 쌀 쿠폰 또는 쌀 어음을 빌려 매도하는 행위)가 존재했지만, 도지마 쌀 회소에서 '''장합미 거래'''(사실상의 선물 거래)로 발전했고, 도중에 에도 막부에 의한 규제 등 여러 난관을 극복했다. 이렇게 도지마 쌀 회소는 차금 결제를 포함한 세계 최초의 공인 선물 거래 시장으로 탄생했다. 도지마 쌀 회소는 1848년 시카고 상품 거래소 설립에 영향을 미쳤지만, 막부 말기에는 막부와 여러 번이 극단적인 투기를 벌여 시장의 혼란을 초래했고, 메이지 정부에 의해 폐지되었다.[37]

3. 목적 및 기능

선물 계약은 미래의 특정 시점을 목표로 하지만, 주된 목적은 그 기간 동안 어느 한쪽 당사자의 채무 불이행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물 거래소는 양 당사자 모두에게 초기 현금 또는 증거금으로 알려진 이행 보증금을 예치하도록 요구한다. 증거금은 때때로 선물 계약 가치의 일정 비율로 설정되며, 계약 기간 동안 계약을 보장하기 위해 유지되어야 한다. 이 기간 동안 계약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거래의 한쪽이 다른 쪽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채무 불이행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상품은 매일 시장 가격으로 평가되며, 초기 합의 가격과 실제 일일 선물 가격 간의 차이가 매일 재평가된다. 이를 변동 증거금이라고도 하며, 선물 거래소는 손실을 보는 당사자의 증거금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여 상대방의 계좌에 입금하여 정확한 손실 또는 이익이 매일 반영되도록 한다. 증거금 계좌가 거래소에서 설정한 특정 가치 이하로 떨어지면, 증거금 요구가 발생하고 계좌 소유자는 증거금 계좌를 보충해야 한다.

인도일에는 교환되는 금액은 계약에 명시된 가격이 아니라 현물 가치인데, 이는 모든 손익이 이미 시장 가격으로 평가되어 정산되었기 때문이다. 선물 거래에서는 시장이 기일(거래 최종일·납회일)을 정한다. 매매 당사자가 임의로 기일을 정하는 선도 거래와는 다르다.

거래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거래소에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내고, 그것이 거래 성립이 되면 매수 또는 매도의 지위('''포지션'''이라고 한다)를 얻게 된다.

기일까지의 기간 동안 '''반대 매매'''(예를 들어 처음에 매도를 한 사람이라면, 그 매도 포지션을 매수 주문으로 해소하는 것)를 하는 것이 제도상 가능하며, 반대 매매를 한 경우에는 '''차액 결제'''(결제 방식 중 하나. 각 포지션마다 포지션 취득 시의 가격과 해소 시의 가격의 차액을 결제(각 거래마다 이익이 되었는지 손실이 되었는지는 다르다))가 이루어진다.

기일 종료 시점에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중 하나의 최종 결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어느 쪽이 사용될지는 각 선물 거래의 제도,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포지션 보유자의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권리가 아닌 의무이므로 포기는 할 수 없다.


  • '''현물 인도 결제(인도 결제)'''

: 매수 포지션 보유자는 현금을 지불하고 현물을 받는다. 반면 매도 포지션 보유자는 현물을 넘겨주고 현금을 받는다. 최종 결제가 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선물 거래를 "현물 선물 거래"라고 부르기도 한다[29]

  • '''차액 결제'''

: 먼저, 거래소(또는 청산 기관)가 규정에 따라 최종 청산 수치[30](또는 최종 결제 가격[31])라는 것을 결정·공표한다. 예를 들어 니케이 225 선물 거래의 경우, 기일(거래 최종일) 다음 날의 닛케이 평균 주가를 구성하는 각 주식의 시가를 기준으로 최종 청산 수치가 결정된다[30]。 그 최종 청산 수치와 포지션 형성 시의 약정 가격과의 차액을 현금으로 결제한다. 최종 결제가 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선물 거래를 "현금 결제 선물 거래"라고 부르기도 한다[31]

선물 거래가 이루어지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가격 변동의 영향을 피하기 위한 위험 헤지
  • 적정 가격을 정하기 위한 상품 가격 조정 기능
  •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는 투기
  • (인수가 가능한 선물 거래의 경우) 상품의 조달처 및 판로 확보


선물 시장은 자금과 정보가 집중된다. 따라서 국내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중요한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즉, 기간 물자의 가격 결정권을 자국의 거래소가 가지는 것 자체가 국익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시장이 약해져 가격 결정권을 빼앗기면 산업에 영향이 미친다. 따라서 이나 원유 등의 가격 결정권을 가진 미국이나 중국 등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상품 선물 시장의 발전에 힘쓰고 있다.

예를 들어, 도쿄 전력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화력 발전용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액화 천연 가스(LNG)의 경우, "재팬 프리미엄"이라고 불리는 가격 할증이 당연해져, 일본 등 아시아 각국의 LNG 수입 가격은 천연 가스 파이프라인이 정비된 구미 각국에 비해 2~6배나 높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도쿄 상품 거래소에 LNG를 상장하여 세계 최대 LNG 수입국으로서 수급 상황이 반영된 "도쿄 발" 지표 가격을 형성함으로써, 할증된 수입 가격의 인하를 노리는 경제산업성 주도의 계획도 있다.

일본 국내의 상품 선물 시장에서는 기선(期先)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품 선물 시장에서는 기중(期中)이 거래의 중심인 데 반해, 미국의 상품 선물 시장이나 금융 선물 시장 등에서는 기근(期近)이 거래의 중심이다.

선물 거래의 경우, 매도자와 매수자의 관계는 인기, 금리, 수급 상황, 주식의 배당금, 시기적 배경, 공급품 격차, 현물의 보관 비용 등에 대해서는 차익으로 나타날 뿐 제로섬 게임이지만, 주식의 신용 거래의 경우, 매도자와 매수자의 수취, 지불 금리 격차 및 매도자에 대해서는 대차 거래 대주료에 더하여 경우에 따라 역일보가 가산되는 등 중간 비용이 발생하므로, 선물 거래의 최대 기한 내라면 선물 거래와 비교하여 주식의 신용 거래의 비용이 더 높다.(위탁 수수료 등 제외)

현금 결제 선물 거래 방식에 의해 콩이나 팥과 같이 보존성이 없는 (신선도의 문제) 계란도 거래소가 여러 도매업자로부터 현물 가격을 수집하여 독자적인 계산에 근거한 가격을 매일 공표하고 인수를 동반하지 않고 특정일의 공표 가격의 평균 가격으로 최종 결제함으로써 상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현물 거래의 가격을 최종 결제 가격의 지표로 사용하여 최종 결제 가격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인수를 동반하지 않는 현금 결제 선물 거래 방식의 중동산 원유(도쿄 시장)나 LNG(계획 단계) 등도 있다.

더욱이, 고무 지수나 커피 지수 등과 같은 거래소가 각 가격을 수집하여 독자적인 계산에 근거한 지수값을 매일 공표하고, 특정일의 지수값을 이론 지수값으로 하여 최종 결제함으로써 지수 선물 거래를 상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수가 동반되지 않는 선물 거래의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수를 동반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현물 선물 거래밖에 인정하지 않는 선물 거래 제도와 비교하여 상장 가능한 상품의 폭이 넓어졌다(헤이세이 2년의 상품 거래소법 개정에 의해 제도의 충실). 또한, 평균 주가・주가 지수와 같이, 개별 현물 주식의 인수와 관련하여, 다수의 종목의 취급으로 번잡해지고, 또한, 엄격한 비율의 계산을 동반하기 때문에, 인수에 어려움을 동반하는 상품도 현금 결제 선물 거래 방식이나 지수 선물 거래 방식에 의한 선물 거래가 적합하다(오사카 시장의 닛케이 평균 주가를 대상으로 하는 선물 거래에서는, 기본적으로 만기일에 있어서 개별 현물 주식의 시가를 기초로 평균 주가 계산을 실시한 특별 청산 수치를 지표로 사용하여 특별 청산 수치의 신뢰성을 담보하고 있다).

그리고, 전은협 TIBOR 운영 기관이 공표하는 기간 3개월 유로엔 TIBOR(Tokyo InterBank Offered Rate)를 100에서 뺀 수치를 금융 지표로 하여 호가를 하는 유로엔 3개월 금리 선물 등과 같이 대상 상품이 추상적이고 대상 상품을 물리적으로 인수할 수 없는 상품도 현금 결제 선물 거래 방식으로 거래되고 있다(유로엔 3개월 금리 선물에 대해서는 전은협 TIBOR 운영 기관이 거래 최종일에 공표하는 기간 3개월 유로엔 TIBOR의 소수점 이하 제3자리 미만을 반올림한 것을 100에서 뺀 수치를 최종 결제 가격으로 하고 있다).

현물 인수・현물 인도(현물 받기)가 가능한 현물 선물 거래 방식의 인수에 대해, 당사자 간의 합의가 있는 인수의 경우 등을 제외하고, 인수 규정 범위 내에서, 매수자, 즉 현물 인수(현물 받기)하는 사람은 종목이나 인수 장소를 선정할 수 없지만, 현물 인도를 하는 매도자는 종목이나 인수 장소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인수에 대해, 도쿄 시장의 금과 같은 표준품과 동일하고 금전적인 격차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 종목도 존재하지만, 표준품과의 금전적인 격차(등급) 제도에 의한 표준품 이외의 인수 공급품도 존재하게 함으로써, 인수 공급품에 폭을 갖게 하는 상품도 존재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장기 국채 선물(장기 국채 표준물 "쿠폰: 6%, 잔존 기간: 10년")의 경우, 인수 적격 종목이 잔존 7년 이상 11년 미만의 10년 이자부 국채 중에서 표준물과 인수 결제 종목과의 교환 비율이 산출되어 매도자는, 가장 저렴한 종목(치페스트)을 선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생각이다. 또는, 호쿠리쿠산(이시카와, 후쿠이) 코시히카리를 표준품으로 하는 오사카 쌀의 경우도 표준품의 가격에 조정액을 고려한 가격으로 전국 코시히카리의 인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개 시장에서 다양한 사상(思惑)을 가진 다수의 참가자가 경쟁하여 매도자와 매수자의 역학 관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므로, 이론상 그 시점의 가장 공정한 가격이 결정된다. 반대로 말하면 선물 거래의 거래 쇠퇴는 거래 대상인 상장 상품의 가격이 불투명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품 선물 거래'''의 경우, 선물 가격을 지표로 생산자가 생산 조정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미래 가격이 높을 경우에는 생산량이 증가하고 수요가 후퇴하여 결과적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미래 가격이 낮을 경우에는 반대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선물 가격이 상당히 높을 경우에는, 생산 설비의 증설 등으로 증산에 따른 미래 시세 하락의 요인이 되며, 선물 가격이 상당히 낮을 경우에는 생산자의 도산이나 폐업으로 과도한 생산 설비가 정리되어 감산에 따른 미래 시세 상승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수요와 공급에 맞는 가격 형성이 가능하다(자유 경제는 가격 중심의 경제이며, 가격의 등락에 따라 장소적 또는 시간적으로 물자의 수요와 공급이 조절되는 경제이다). 이 때문에 상품 가격의 롤러코스터 현상이 줄어들고 가격 안정화를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공개 시장 내부의 일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생산자 등에 의한 가격 카르텔 실행을 어렵게 하는 측면도 있다. 다만, 시세 조종이나 펀드 등의 개입으로 가격이 어느 정도 급등락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매도 붕괴나 매점에 대해서는 최대한 배제되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시세에서의 헌트 형제의 매점이 세계적인 사건으로 알려져 있지만, 결국 단계적인 거래 규제에 의해 그들은 폭락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또한, 국가에 의한 안정 기준 가격 유지를 위해 사가 대책이라고 칭한 사실상의 가격 조작의 예로서, 사실상의 국가 통제[41](상하의 안정대 폭 안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살리면서 과도한 가격 변동을 방지하는 제도[42])에 의해 국내외 가격 차이가 너무 심할 경우도 문제점이 나타난다(국내 고가, 해외 저가).

시세 조종에서 시세 조종 세력, 투기 세력이 생사 가격을 계속 높게 끌어올린 후, 생사 가격이 폭락했을 때, 그 시세 조종 세력, 투기 세력은 그 생사를 잠사 설탕류 가격 안정 사업단(잠당 사업단)에 가져가 잠당 사업단은 그 생사를 구입했다. 그 결과, 잠당 사업단의 재고 생사에 곰팡이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말았다. 이것은, 그 제도의 맹점과 생사 선물 거래를 시세 조종 세력이 잘 이용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잠당 사업단이 생사의 대량 재고를 떠안아 국고 부담을 낳고, 결국은 국민 부담(납세자 부담)이라는 형태로 결착된 예이다.[43] 이것은 회계 검사원으로부터 지적을 받아 결국 막대한 결손금을 낳았다.

하지만 시세 조종으로 예상 밖의 사태가 발생하여, 의외의 시세가 출현하더라도, 그 시세 조종이 종료되면, 이상 시세는 수정되어 결국 실세 시세가 된다. 또한, 공개된 자유로운 시장에서는 부자연스러운 고가는 매물을 부르고, 부자연스러운 저가는 매수를 불러 시세를 자연스러운 위치로 되돌리는 작용이 기능한다. 따라서, 매점이나 매도 붕괴는 실패하기 쉽다.

또한, 선물 상장에 의해 가져온 판매 마진 축소에 따른 국내의 휘발유나 금의 소매 가격 내의 판매 마진분 하락에도 기여한 예도 있어, 소비자에게도 메리트가 있다.[44]

4. 가격 결정

선물 가격은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과 관련하여 기대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본다. 즉, 불확실성이 없는 균형 상태에서는 선물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형성된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과 일치한다.

그러나 실제 거래 시장에서는 거래자들의 거래 동기에 따라 현재 선물 가격(Ft)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E[St])보다 큰 경우(Ft > E[St])와 작은 경우(Ft < E[St])가 나타난다. 전자를 콘탱고(contango)라고 하며, 후자를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라고 한다.

만약 인도 자산의 공급이 충분하거나 자유롭게 생성될 수 있다면, 선물 계약의 가격은 차익 거래 논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주가 지수 선물, 금리 선물, 그리고 상품 선물의 공급이 충분할 때(예: 수확 후의 농작물) 일반적이다. 하지만 인도될 상품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거나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 수확 전의 농작물, 유로달러 선물, 연방 기금 금리 선물)에는 선물 가격이 차익 거래에 의해 고정될 수 없고, 미래 자산에 대한 단순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효율적인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은 인도일에 자산 가격에 대한 편향되지 않은 기대의 현재 가치를 나타내는 선물 가격에서 균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이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5]

:F(t) = E_t\left\{S(T)\right\}e^{(r)(T-t)}

반대로, 얕고 유동성이 낮은 시장 또는 인도 가능한 자산의 대량이 시장 참여자로부터 의도적으로 보류된 시장(시장의 매점매석)에서는 선물 시장 청산 가격이 여전히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이 가격과 자산의 예상 미래 가격 간의 관계는 무너질 수 있다.

기대치 기반 관계는 위험 중립 확률에 대한 기댓값을 취할 때 무차익 거래 환경에서도 성립한다. 즉, 선물 가격은 위험 중립 확률에 대한 마팅게일이다. 이 가격 결정 규칙에 따르면 투기자는 선물 시장이 인도 가능한 상품을 공정하게 가격을 매길 때 본전을 기대할 수 있다.

4. 1. 보유비용모형

실제 거래되는 선물 가격을 측정하는 방법은 현물 자산을 구입하여 선물 계약이 만료될 때까지 보유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개념을 보유 비용 모형이라고 하며, 선물 가격(Ft)과 현재의 현물 가격(S0)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보유 비용을 C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F_t = S_0\ + C

이 식을 현물-선물 패리티(spot-futures parity)라고 하며, 여기서 금액 단위로 표시된 보유 비용 C를 자본비용의 관점에서 %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F_t = S_0\times (1+r)^{t} 또는 연속복리 가정 시 F_t = S_0\times e^{rt} \,

차익 거래 논리("합리적 가격 결정")는 인도 자산이 풍부하게 존재하거나 자유롭게 생성될 수 있을 때 적용된다. 여기서 선물 가격은 기초 자산의 할인된 예상 미래 가치를 무위험 이자율로 나타낸다. 이론적 가격에서 벗어나는 경우 투자자에게 무위험 이익 기회가 제공되고 차익 거래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선물 가격은 현재 시점에서 계약의 가치가 0이 되도록 하는 행사가 K로 정의한다. 이자율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선물 가격은 동일한 행사가 및 만기를 가진 선도 계약의 선도 가격과 같다. 기초 자산이 이자율과 상관관계가 없을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렇지 않으면, 선물(선물 가격)의 선도 가격과 자산의 선도 가격의 차이는 기초 자산 가격과 이자율 간의 공분산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무이자 채권에 대한 선물 계약은 선도 가격보다 낮은 선물 가격을 갖는다. 이것을 선물 "볼록성 보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금리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단순하고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자산의 경우 선물/선도 가격 ''F(t,T)''의 가치는 현재 시점 ''t''에서 만기 ''T''까지 현재 가치 ''S(t)''를 무위험 수익률 ''r''로 복리 계산하여 구한다.

:F(t,T) = S(t)\times (1+r)^{(T-t)}

또는, ''연속 복리''로

:F(t,T) = S(t)e^{r(T-t)} \,

이 관계는 보관 비용 ''u'', 배당 또는 소득 수익률 ''q'', 편의 수익률 ''y''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보관 비용은 선물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상품을 보관하는 데 드는 비용이다. 선물 가격으로 차익 거래하기 위해 현물 가격으로 자산을 판매하는 투자자는 선물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자산을 보관하는 데 지불했을 보관 비용을 얻는다. 편의 수익률은 판매를 통해 받은 현금 외에 선물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자산을 보유하는 것의 이점이다. 이러한 이점에는 예상치 못한 수요를 충족하는 능력 또는 생산에 자산을 투입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될 수 있다.[12] 투자자는 이러한 이점을 포기하기 때문에 현물 가격으로 판매할 때 편의 수익률을 지불하거나 포기한다. 이러한 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t,T) = S(t)e^{(r+u-y)(T-t)} \,

편의 수익률은 쉽게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없으므로, ''r''과 ''u''가 알려진 경우, 선물 가격으로 차익 거래하기 위해 현물에서 판매하는 투자자가 지불하는 부가적인 수익률로 ''y''가 자주 계산된다.[13] 배당 또는 소득 수익률 ''q''는 더 쉽게 관찰하거나 추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14]

:F(t,T) = S(t)e^{(r+u-q)(T-t)} \,

완전 시장에서 선물과 현물 가격 간의 관계는 위의 변수에만 의존한다. 실제로는 완전한 차익 거래를 방지하는 다양한 시장 불완전성(거래 비용, 차등 차입 및 대출 금리, 공매도 제한)이 존재한다. 따라서 실제 선물 가격은 이론적 가격 주변의 차익 거래 경계 내에서 변동한다.

4. 2. 기대가설

불확실성이 없는 균형 상태에서는 선물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형성된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과 일치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_t = E\left[S_T\right].

그러나 실제 거래 시장에서는 거래자들의 거래 동기에 따라 현재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보다 큰 콘탱고(contango) 상태나,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보다 작은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상태가 나타난다.

만약 인도 자산의 공급이 충분하거나 자유롭게 생성될 수 있다면, 선물 계약의 가격은 차익 거래 논리에 따라 결정된다. 하지만 인도될 상품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거나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물 가격은 차익 거래에 의해 고정될 수 없고, 미래 자산에 대한 단순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기대치 기반 관계는 위험 중립 확률에 대한 기댓값을 취할 때 무차익 거래 환경에서도 성립한다. 즉, 선물 가격은 위험 중립 확률에 대한 마팅게일이다. 이 가격 결정 규칙에 따르면 투기자는 선물 시장이 인도 가능한 상품을 공정하게 가격을 매길 때 본전을 기대할 수 있다.

4. 3. 콘탱고와 백워데이션

선물 가격 결정에 있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대 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본다. 즉, 불확실성이 없는 균형 상태에서는 선물 시장의 수요 공급에 의해 형성된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과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거래 시장에서는 거래자들의 거래 동기에 의한 포지션에 따라 현재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보다 크거나 작은 상태가 나타나는데, 전자의 경우처럼 현재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보다 큰 경우를 콘탱고(contango)라고 하며,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대값보다 낮은 경우를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라고 한다.

미래 인도 상품의 가격이 예상 현물 가격보다 높은 상황을 콘탱고라고 한다. 시장은 선물 가격이 현재 현물 가격보다 높고, 장기 만기 선물 가격이 단기 만기 선물 가격보다 높을 때 정상 시장이라고 한다. 반대로, 미래 인도 상품의 가격이 예상 현물 가격보다 낮은 경우를 백워데이션이라고 한다. 이와 유사하게, 시장은 선물 가격이 현재 현물 가격보다 낮고, 장기 만기 선물 가격이 단기 만기 선물 가격보다 낮을 때 역전 시장이라고 한다.

5. 위험 관리

선물 계약은 미래의 특정 시점을 목표로 하지만, 주된 목적은 계약 기간 동안 어느 한쪽 당사자의 채무 불이행 위험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물 거래소는 양 당사자에게 초기 현금 또는 증거금으로 알려진 이행 보증금을 예치하도록 요구한다. 증거금은 때때로 선물 계약 가치의 일정 비율로 설정되며, 계약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이 기간 동안 계약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거래의 한쪽이 다른 쪽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1]

채무 불이행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선물 계약은 매일 시장 가격으로 평가되며, 초기 합의 가격과 실제 일일 선물 가격 간의 차이가 매일 재평가된다. 이를 변동 증거금이라고 하며, 선물 거래소는 손실을 보는 당사자의 증거금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여 상대방의 계좌에 입금하여 정확한 손실 또는 이익이 매일 반영되도록 한다. 증거금 계좌가 거래소에서 설정한 특정 가치 이하로 떨어지면, 증거금 요구가 발생하고 계좌 소유자는 증거금 계좌를 보충해야 한다.[1]

인도일에는 교환되는 금액은 계약에 명시된 가격이 아니라 현물 가치인데, 이는 모든 손익이 이미 시장 가격으로 평가되어 정산되었기 때문이다.[1]

미국 선물 변동


규제된 선물 거래소에서 실행되는 거래는 청산소에 의해 보장되므로 거래자의 거래 상대방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청산소는 각 판매자에 대한 구매자가 되고, 각 구매자에 대한 판매자가 되어 거래 상대방이 채무 불이행하는 경우 청산소가 손실 위험을 감수한다. 이를 통해 거래자는 거래 상대방에 대한 실사를 수행하지 않고도 거래할 수 있다.[1]

마진 요구 사항은 적용되는 상품을 실제로 소유한 헤저 또는 포지션을 상쇄하는 계약을 가진 스프레드 거래자의 경우 일부 상황에서 면제되거나 감소한다.[1]
청산 마진, 고객 마진, 초기 마진, 유지 마진

  • 청산 마진: 회사 또는 기업이 고객의 미결제 선물 및 옵션 계약을 이행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재정적 안전 장치이다. 청산 마진은 선물 및 옵션 계약의 개별 구매자와 판매자가 브로커에게 예치해야 하는 고객 마진과 구별된다.[1]
  • 고객 마진: 선물 산업 내에서, 계약 의무의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선물 계약의 구매자와 판매자, 그리고 옵션 계약의 판매자에게 요구되는 재정적 보증이다. 선물 중개인은 고객 마진 계정을 감독할 책임이 있다. 마진은 시장 위험 및 계약 가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성과 보증 마진이라고도 한다.[1]
  • 초기 마진: 선물 포지션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자기 자본이다. 이는 일종의 성과 보증이다. 최대 노출은 초기 마진 금액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초기 마진 요구 사항은 거래일 내 계약 가치의 최대 예상 변화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초기 마진은 거래소에서 설정한다.[1]
  • 포지션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경우, 초기 마진의 금액 또는 비율은 해당 거래소에서 설정한다. 손실이 발생하거나 초기 마진의 가치가 감소하는 경우, 브로커는 사용 가능한 초기 마진 금액을 복구하기 위해 마진 콜을 한다. 종종 "변동 마진"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이유로 마진 콜은 일반적으로 매일 이루어지지만,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브로커가 장중 마진 콜을 할 수 있다.[1]
  • 마진 콜은 일반적으로 같은 날에 지불되고 수령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 않으면, 브로커는 마진으로 요구된 금액을 충족하기 위해 충분한 포지션을 청산할 권리가 있다. 포지션이 청산된 후, 고객은 고객 계정의 결과적인 적자에 대해 책임을 진다.[1]
  • 일부 미국 거래소에서는 "유지 마진"이라는 용어도 사용하는데, 이는 실제로 마진 콜이 발생하기 전에 초기 마진의 가치가 얼마나 감소할 수 있는지를 정의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국 외 브로커는 "초기 마진"과 "변동 마진"이라는 용어만 사용한다.[1]
  • 초기 마진 요구 사항은 선물 거래소에서 설정하며, 다른 증권의 초기 마진(미국 시장에서는 연준에서 설정)과는 대조적이다. 선물 계정은 매일 시가 평가된다. 마진이 선물을 상장하는 거래소에서 설정한 마진 유지 요구 사항 아래로 떨어지면, 해당 계정을 요구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마진 콜이 발행된다.[1]
  • 유지 마진: 고객이 마진 계좌에 유지해야 하는 미결제 선물 계약당 설정된 최소 마진이다.[1]
  • 마진 자본 비율: 투기꾼들이 사용하는 용어로서, 특정 시점에 마진으로 보유하고 있는 거래 자본의 양을 나타낸다. 선물 거래의 낮은 마진 요구 사항은 투자의 상당한 레버리지를 초래한다. 그러나 거래소는 계약 및 거래자에 따라 달라지는 최소 금액을 요구한다. 브로커는 요구 사항을 더 높게 설정할 수 있지만, 더 낮게는 설정할 수 없다. 물론 거래자는 마진 콜을 받지 않으려면 그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1]
  • 성과 보증 마진: 선물 계약 또는 옵션 판매자의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계약 조건을 이행하기 위해 예치하는 금액이다. 상품 마진은 상품 자체에 대한 자기 자본 지불이나 계약금 지불이 아니라, 일종의 보증금이다.[1]
  • 마진 수익률 (ROM): 종종 성과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는 필요한 마진에 반영된 거래소의 인식된 위험과 비교한 이익 또는 손실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ROM은 (실현 수익) / (초기 마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연간 ROM은 (ROM+1)(년/거래_기간)-1과 같다. 예를 들어, 거래자가 두 달 안에 마진으로 10%를 벌었다면, 이는 연간 약 77%가 된다.[1]

6. 선물 계약과 거래소

도지마 쌀 거래소는 1697년 오사카에 설립되었으며, 사무라이들이 쌀로 받는 봉급을 동전으로 안정적으로 바꿀 필요성이 커지면서 최초의 선물 거래소로 여겨진다.[6]

1864년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는 최초의 표준화된 '거래소 거래' 선물 계약을 상장했다.[7] 이는 곡물 거래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후 다양한 상품과 금융 상품에 대한 선물 계약이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875년까지 인도 뭄바이에서 면화 선물이 거래되었고, 이후 식용 종자 복합체, 황마 제품, 금괴 선물 등으로 확장되었다.[8]

1972년 시카고 상업 거래소는 국제 통화 시장(IMM)을 설립하여 세계 최초의 금융 선물 거래소를 만들고, 통화 선물을 출시했다. 1976년에는 미국 재무부 채권에 대한 금리 선물을, 1982년에는 주식 시장 지수 선물을 추가했다.[10]

선물 거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가격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한 위험 헤지
  • 상품 가격 조정 기능
  • 가격 변동을 이용한 투기
  • 상품 조달 및 판매 경로 확보


선물 시장은 자금과 정보가 집중되는 중요한 인프라이다.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선물 시장의 발전이 중요하며, 특히 이나 원유 등의 가격 결정권을 가진 거래소를 보유하는 것은 국익에 도움이 된다. 도쿄 전력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액화 천연 가스(LNG) 수입 가격이 급등하는 문제가 발생하자, 경제산업성은 도쿄 상품 거래소에 LNG를 상장하여 가격 안정을 꾀하고 있다.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미국의 선물 시장은 거래 중심 시기가 다르다. 일본은 기선(期先), 중국은 기중(期中), 미국은 기근(期近)이 중심이다. 선물 거래는 제로섬 게임이지만, 주식 신용 거래는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현금 결제 선물 거래 방식은 보존성이 없는 상품도 거래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계란, 현물 거래 가격을 지표로 사용하는 중동산 원유(도쿄 시장), LNG 등이 있다. 지수 선물 거래는 거래소가 가격을 수집하여 지수를 발표하고, 이를 기준으로 거래하는 방식이다. 인수(현물 인도)가 가능한 현물 선물 거래 방식에서는 매도자가 종목이나 인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공개 시장에서 다양한 참가자들의 경쟁을 통해 가격이 결정되므로 이론상 가장 공정한 가격이 형성된다. 선물 거래의 쇠퇴는 가격 불투명성을 의미한다. 상품 선물 거래의 경우, 선물 가격을 참고하여 생산량을 조절하므로 가격 안정화에 기여한다. 시세 조종이나 펀드 개입으로 가격이 급등락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도적으로 최대한 방지하고 있다. 헌트 형제의 시세 조종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국가의 가격 조작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데, 잠사 설탕류 가격 안정 사업단의 생사 재고 문제는 회계 검사원의 지적을 받았다. 선물 상장은 판매 마진 축소에 따른 소매 가격 하락에 기여하여 소비자에게 이익을 줄 수 있다.[44]

선물 거래는 채무 불이행 위험이 높은 계약 형태이므로 신뢰 관계가 중요하다. 거래소 선물 거래에서는 증거금, 가격 변동 폭 제한, 결제일 규정 등으로 위험을 줄이고, 청산소 설치 등으로 안전 장치를 마련한다. 미국에서는 1929년 대공황 이후 선물 거래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고, CFTC (미국 상품 선물 거래 위원회) 및 '''SEC'''(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시장 참여자 간 매매는 클리어링 하우스를 통해 결제되며, 이는 신용 리스크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리먼 쇼크 때에도 장외 거래와 달리 클리어링 하우스 덕분에 선물 거래는 원활하게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50][51] 주식회사 일본 상품 청산 기구와 주식회사 오사카 증권 거래소(현재는 오사카 거래소)의 결제 불이행 시 대응 사례가 있다.

낙농가와 농가옥수수 선물 거래 활용 예시를 통해 리스크 헤지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

일본의 상품 거래소 또는 금융 상품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 거래에는 상품 선물 거래, 금융 선물 거래(국채 선물 거래, 주가 지수 선물 거래, 금리 선물 거래) 등이 있다. 법률상 시장 외국환 증거금 거래(클릭365)와 시장 CFD(클릭 주식365)도 선물 거래로 취급된다. 외환은 현물 거래와 선물 거래로 나뉘며, 선물 거래는 다시 시장 파생 상품과 선도 거래로 나뉜다. 외국환 증거금 거래(FX)는 현물 외환을 취급하며, 시장 FX는 현물 외환 선물 거래, 장외 FX는 현물 외환 선도 거래로 법률상 취급된다.[53] 선물 외환 선물 거래는 국내 시장에는 없지만, 시카고 상품 거래소[54] 등에 존재한다. 과거에는 국채나 개별 주식의 선물 거래인 장기 청산 거래가 있었다.

6. 1. 선물 계약의 종류

선물 계약은 기초 자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외환 시장: 통화 선물
  • 단기 금융 시장: 금리 선물
  • 채권 시장: 금리 선물
  • 주식 시장: 주가 지수 선물, 개별 주식 선물
  • 상품 시장
  • 암호화폐: 영구 선물


상품 거래는 18세기 일본에서 쌀과 실크 거래로 시작되었고, 미국에서는 19세기 중반에 중앙 곡물 시장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41] 이러한 선도 계약은 오늘날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 계약의 전신이 되었다.

6. 2. 주요 선물 거래소

거래소설립/병합 연도주요 상품비고
도지마 쌀 거래소1697년최초의 선물 거래소로 여겨짐[6]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1864년곡물최초의 표준화된 선물 계약 상장[7]
시카고 상업 거래소(CME)1972년 국제 통화 시장(IMM) 설립통화, 금리, 주가지수세계 최초 금융 선물 거래소[10]
CME 그룹 (CBOT 및 CME)통화, 금리 파생 상품, 농산물, 지수, 금속뉴욕 상업 거래소(NYMEX) 포함
두바이 상업 거래소(DME)오만 원유, 두바이 플랫츠, 싱가포르 연료유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ICE Futures Europe)원유, 난방유, 가스유(경유), 정제 석유 제품, 전력, 석탄, 천연 가스, 배출권이전 국제 석유 거래소
NYSE 유로넥스트유로넥스트 흡수, LIFFE 병합연질 상품 (곡물, 육류), 지수 선물 (EURIBOR, FTSE 100, CAC 40, AEX 지수)1996년 LIFFE가 런던 상품 거래소(LCE) 인수
Eurex도이치 거래소 일부, SOFFEX 및 EEX 운영
SAFEX
시드니 선물 거래소
TOCOM
TFX유로엔 선물, 오버나잇 콜금리 선물, SpotNext RepoRate 선물
OSEJGB 선물, TOPIX 선물, 닛케이 선물, RNP 선물
런던 금속 거래소금속 (구리, 알루미늄, 납, 아연, 니켈, 주석, 강철)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ICE Futures U.S.)연질 상품 (코코아, 커피, 면, 오렌지 주스, 설탕)이전 뉴욕 상품 거래소
JFX 자카르타 선물 거래소
몬트리올 거래소(MX) (TMX 그룹 소유)금리 및 현금 파생 상품프랑스어로 Bourse De Montreal
KRX
SGX싱가포르 국제 통화 거래소(SIMEX) 병합
ROFEX - 로사리오(아르헨티나) 선물 거래소
NCDEX - 인도 국립 상품 및 파생 상품 거래소
NSE계약 건수 기준 최대 파생 상품 거래소[16]
EverMarkets Exchange (EMX)2018년 말 출시 예정글로벌 통화, 주식, 상품, 암호화폐
FEX Global - 호주 금융 및 에너지 거래소
다롄 상품 거래소(DCE)농산물 및 산업 제품
상하이 선물 거래소(SHFE)금속 및 식료품 상품
정저우 상품 거래소(ZCE)농산물 및 석유 화학 제품
중국 금융 선물 거래소(CFFEX)지수 선물 및 통화


7. 선물 계약과 선도 계약의 비교

선물 계약과 선도 계약은 미래의 특정 날짜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인도하는 계약이지만,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다르다.


  • 선물 계약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반면, 선도 계약은 '''장외'''에서 거래된다.
  • 선물 계약은 '''표준화'''되어 '''거래소'''를 상대하는 반면, 선도 계약은 '''맞춤형'''이며 거래소가 아닌 '''상대방'''을 상대한다.
  • 선물 계약은 마진이 적용되는 반면, 선도 계약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선물 계약은 '''신용 위험'''이 훨씬 적으며 자금 조달 방식도 다르다.


선도 계약은 신용 위험이 있지만, 선물 계약은 청산소가 거래의 양쪽을 모두 맡아 매일 밤 포지션을 시가 평가함으로써 채무 불이행 위험을 보장하기 때문에 신용 위험이 없다. 선도 계약은 기본적으로 규제되지 않는 반면, 선물 계약은 중앙 정부 수준에서 규제된다.

선물 산업 협회(FIA)는 2007년에 69억 7천만 건의 선물 계약이 거래되었으며, 이는 2006년 수치보다 거의 32% 증가한 것이라고 추산한다. 선물은 항상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반면, 선도는 항상 장외(OTC)에서 거래되거나, 두 당사자 간의 서명된 계약일 수 있다.[25]

구분선물 계약선도 계약
거래 장소거래소장외
계약 형태표준화맞춤형
거래 상대방거래소거래 당사자
마진 적용 여부마진 적용마진 미적용
신용 위험낮음 (청산소 보증)높음
규제중앙 정부 규제규제 없음


8. 선물 거래 관련 용어

; 기초자산: 만기일에 인도되는 자산을 말한다. 기초자산이 곡물, 원유와 같은 실물상품이면 ‘상품선물’이라고 하며, 외화, 채권과 같은 금융자산이면 ‘금융선물’이라고 한다.[11]

; 만기일: 선물계약에 의해 현물의 인도가 약속된 날을 말한다. 만기가 가까운 선물은 ‘근월물’, 만기가 많이 남은 선물은 ‘원월물’이라고 한다.[11]

; 결제방법: 만기일에 현물을 인수도하는 '실물인수도방식'(physical delivery settlement)과 선물가격과 선물만기일의 현물가격 차이만을 정산하는 '현금결제방식'(cash settlement)으로 구분된다.[11]

; 증거금: 선물 거래소는 양 당사자 모두에게 초기 현금 또는 증거금으로 알려진 이행 보증금을 예치하도록 요구한다. 증거금은 때때로 선물 계약 가치의 일정 비율로 설정되며, 계약 기간 동안 계약을 보장하기 위해 유지되어야 한다.[11]

; 변동 증거금: 계약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되며, 초기 합의 가격과 실제 일일 선물 가격 간의 차이가 매일 재평가된다. 이를 변동 증거금이라 하며, 선물 거래소는 손실을 보는 당사자의 증거금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여 상대방의 계좌에 입금하여 정확한 손실 또는 이익이 매일 반영되도록 한다.[11]

; 증거금 요구: 증거금 계좌가 거래소에서 설정한 특정 가치 이하로 떨어지면, 증거금 요구가 발생하고 계좌 소유자는 증거금 계좌를 보충해야 한다.[11]

; 현물 가치: 인도일에는 교환되는 금액은 계약에 명시된 가격이 아니라 현물 가치인데, 이는 모든 손익이 이미 시장 가격으로 평가되어 정산되었기 때문이다.[11]

; 청산소: 규제된 선물 거래소에서 실행되는 거래는 청산소에 의해 보장된다. 청산소는 각 판매자에 대한 구매자가 되고, 각 구매자에 대한 판매자가 되어 거래 상대방이 채무 불이행하는 경우 청산소가 손실 위험을 감수한다.[11]

; 헤저 및 스프레드 거래자: 포지션을 상쇄하는 계약을 가진 경우, 마진 요구 사항은 면제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11]

; 청산 마진: 회사 또는 기업이 고객의 미결제 선물 및 옵션 계약을 이행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재정적 안전 장치이다. 청산 마진은 선물 및 옵션 계약의 개별 구매자와 판매자가 브로커에게 예치해야 하는 고객 마진과 구별된다.[11]

; 고객 마진: 선물 계약의 구매자와 판매자, 그리고 옵션 계약의 판매자에게 요구되는 재정적 보증이다. 선물 중개인은 고객 마진 계정을 감독할 책임이 있다. 성과 보증 마진이라고도 한다.[11]

; 초기 마진: 선물 포지션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자기 자본이다. 거래소에서 설정한다.[11]

; 유지 마진: 고객이 마진 계좌에 유지해야 하는 미결제 선물 계약당 설정된 최소 마진이다.[11]

; 마진 자본 비율: 투기꾼들이 사용하는 용어로서, 특정 시점에 마진으로 보유하고 있는 거래 자본의 양을 나타낸다.[11]

; 성과 보증 마진: 선물 계약 또는 옵션 판매자의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계약 조건을 이행하기 위해 예치하는 금액이다. 상품 마진은 상품 자체에 대한 자기 자본 지불이나 계약금 지불이 아니라, 일종의 보증금이다.[11]

; 마진 수익률: (실현 수익) / (초기 마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연간 마진 수익률은 (ROM+1)(년/거래_기간)-1과 같다.[11]

; 실물 인도: 계약의 기초 자산의 명시된 수량이 계약 판매자에 의해 거래소로 인도되고, 거래소는 계약 구매자에게 인도한다. NYMEX의 대부분의 에너지 계약은 만기 시 이 청산 방법을 사용한다.[11]

; 현금 청산: 기초 기준 금리를 기준으로 현금 지급이 이루어진다. 당사자들은 계약 만료 시 계약과 관련된 손실/이익을 현금으로 지급/수령하여 청산한다.[11]

; 만기: 특정 선물 계약의 특정 인도 월의 거래가 중단되는 시간과 날짜이며, 해당 계약의 최종 청산 가격이기도 하다.[11]

참조

[1] 웹사이트 Understanding Derivatives: Markets and Infrastructure –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http://chicagofed.or[...] Chicagofed.org 2015-11-09
[2] 웹사이트 The Gold Futures Market | Guide & Information from https://www.bullionv[...] BullionVault 2015-11-09
[3] 웹사이트 Stock futures trade lower ahead of jobless claims, retail earnings https://www.foxbusin[...] 2020-11-19
[4] 간행물 Efficiency and the futures market in organs https://pubmed.ncbi.[...] 2023-12
[5] 웹사이트 Futures Contract Definition: Types, Mechanics, and Uses in Trading https://www.investop[...] 2024-04-07
[6] 간행물 Forwards and futures in Tokugawa-period Japan: A new perspective on the Dōjima rice market 1989-09
[7] 웹사이트 timeline-of-achievements http://www.cmegroup.[...] CME Group 2010-08-05
[8] 웹사이트 Convergence of Securities and Commodity Markets report http://www.fmc.gov.i[...] Forward Markets Commission (India) 2003-05
[9] 서적 Diet for a large plane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10] 웹사이트 Leo Melamed – Biographical Notes http://www.leomelame[...]
[11] 문서 Cash settlement on Wikinvest
[12] 간행물 Commodity Futures Prices: Some Evidence on Forecast Power, Premiums, and the Theory of Stora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서적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earson
[14] 서적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earson
[15] 서적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earson
[16] 웹사이트 NSE https://archives.nse[...]
[17] 웹사이트 Month Codes http://www.cmegroup.[...] CME Group 2015-11-09
[18] 웹사이트 Swaps, Forwards, and Futures Strategies https://www.cfainsti[...] CFA Institute
[19] 웹사이트 Swaps, Forwards, and Futures Strategies https://www.cfainsti[...] CFA Institute
[20] 뉴스 Commodity Bubbles Caused by Speculators Need Intervention, UN Agency Says https://www.bloomber[...] 2011-06-05
[21] 웹사이트 Swaps, Forwards, and Futures Strategies https://www.cfainsti[...] CFA Institute
[22] 웹사이트 CME Options on Futures: The Basics http://www.cmegroup.[...]
[23] 웹사이트 CME Equity Index Options on Futures Bloomberg Cheat Sheet https://www.cmegroup[...] 2022-04-25
[24] 서적 Arbitrage theory in continuous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 웹사이트 Understanding Derivatives: Markets and Infrastructure http://chicagofed.or[...]
[26] 웹사이트 Understanding EFRP Transaction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2021-02-26
[27] 웹사이트 CFTC Orders INTL FCStone Financial Inc. and FCStone Merchant Services LLC to Pay Penalty for Unlawful Exchange for Related Position Transactions https://www.cftc.gov[...] 2017-11-14
[28] 웹사이트 CFTC Orders Morgan Stanley & Co. LLC to Pay $5 Million Civil Monetary Penalty for Unlawful Noncompetitive Trades https://www.cftc.gov[...] 2012-06-05
[29] URL https://www.tocom.or[...]
[30] URL http://jpx-gr.info/r[...]
[31] URL https://www.tocom.or[...]
[32] 문서 The History of Financial Innovation
[33] 서적 Corporate Risk Manag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34] 서적 Commodity Derivatives Trading: Theory and Regulation Notion Press
[35] URL Bulb Bubble Trouble -That Dutch tulip bubble wasn’t so crazy after all. https://slate.com/bu[...]
[36] 간행물 NHKスペシャル『マネー革命 第3回・金融工学の旗手たち』 日本放送出版協会 1998-12-06
[37] 서적 ハーバードでいちばん人気の国・日本 PHP新書 2016
[38] 웹사이트 timeline-of-achievements http://www.cmegroup.[...] CME Group 2010-08-05
[39] 웹사이트 Convergence of Securities and Commodity Markets report http://www.fmc.gov.i[...] Forward Markets Commission (India) 2003-05
[40] 웹사이트 Timeline of CME Achievements https://www.cmegroup[...]
[41] 문서 第140回国会 - 衆 - 農林水産委員会 - 14号 平成9年5月22日
[42] 문서 第118回国会 - 衆 - 商工委員会 - 7号平成2年6月12日
[43] 문서 第108回国会-衆-物価問題等に関する特別委員会-3号 昭和62年5月21日草川昭三、 第108回国会 - 衆 - 決算委員会 - 2号 昭和62年4月6日草川昭三 大矢卓史
[44] 뉴스 北海道新聞 2009-04-13
[45] 문서
[46] PDF アメリカでの個別株先物の離陸 http://www.ose.or.jp[...]
[47] PDF 個別株先物の将来性 http://www.ose.or.jp[...]
[48] 웹사이트 「錫危機」が証明したカウンター・パーティ・リスクと価格消失の恐怖 http://www.tama-risk[...]
[49] 웹사이트 経営成績に影響を与える事象の発生に関するお知らせ(トレイダーズ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http://www.tradershd[...]
[50] 웹사이트 世界の石油市場と商品先物取引所 http://oilgas-info.j[...]
[51] 웹사이트 “クリアリング・システムこそが先物取引の心臓部であることの再確認” http://tama-riskmana[...]
[52] 웹사이트 6.店頭金融先物取引の仕組み - 金融先物取引の知識 - 刊行物のご案内 | 一般社団法人 金融先物取引業協会 https://www.ffaj.or.[...]
[53] PDF デリバティブ取引に対する参入規制および行為規制の整理―金融商品取引法および商品先物取引法を中心に― 金融法委員会 http://www.flb.gr.jp[...]
[54] 웹사이트 FX Product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55] 웹사이트 ICE Futures US | Futures Exchange for Softs, Power, FX & Equity Index https://www.theice.c[...]
[56] 웹사이트 No.1522 先物取引に係る雑所得等の課税の特例|国税庁 https://www.nta.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