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이시돌목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이시돌목장은 아일랜드 출신 패트릭 제임스 맥그린치 신부가 제주도에 설립한 목장으로, 1961년 중앙실습목장 건립을 시작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목축업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사료 공장, 양돈 농가 조직 등을 통해 규모를 확장했다. 1980년대에는 가축 도입을 늘리고 치즈 가공 공장, 수직사 등을 건설하며 시설을 확충했다. 맥그린치 신부는 '임피제'라는 한국 이름으로 불리며,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헌신했으며,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도 알려져 있다. 목장 내에는 양로원, 피정센터, 성당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2. 연혁

1954년 4월 콜룸반외방선교회 소속 아일랜드 출신 패트릭 제임스 맥그린치 신부가 제주도에 와서 1961년 11월 성 이시돌의 이름을 따 중앙실습목장을 건립한 것이 성 이시돌 목장의 시초이다. 이후 목장은 배합사료공장 가동, 면양 및 종돈 도입, 개척단지 조성사업 지원, 농가 종축 개량용 소 도입 등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었다.[1]

1970년대에는 돈협업 농가 조직, 육용 종유 및 종돈 도입, 개척농가 조성 사업이 완료되었다. 1980년대에는 캐나다호주에서 육우, 유우, 면양 등을 도입하고, 치즈 가공 공장 건축 및 영업 허가를 받았다. 1990년대에는 성 이시돌 한림수직사 증축 및 성 이시돌 배합 사료 공장 현대화 시설을 준공하였다.[1]

2. 1. 설립 초기 (1954년 ~ 1970년대)

1954년 4월 콜룸반외방선교회 소속으로 제주도에 온 아일랜드 출신의 패트릭 제임스 맥그린치(P. J. Mcglinchey) 신부(한국명: 임피제)가 한라산 중산간 지대의 드넓은 황무지를 목초지로 개간하여 1961년 11월 성 이시돌의 이름을 따서 중앙실습목장을 건립하였다. 1964년 4월 성 이시돌 배합사료공장(현 성 이시돌 사료공장)이 가동되었고, 1969년 4월 뉴질랜드에서 면양과 종돈이 도입되었다.[1]

1969년 9월에는 개척단지 조성사업 자금 및 기술지원을 시작하였고, 1972년 2월 호주에서 농가 종축 개량용으로 소 968두를 도입하였다. 1973년 3월 양돈 농가 약 200세대가 돈협업 농가를 조직하였고, 1973년 6월에는 호주에서 육용 종유 980두와 종돈 39두를 도입하였다. 1976년 12월 개척농가 조성 사업이 완료되었다.[1]

2. 2. 확장 및 발전 (1980년대 ~ 현재)

1981년 7월 캐나다에서 농가 종축 개량용으로 육우·유우 겸용 축우 600두를 도입하였다. 1982년 5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서 육우 870두, 유우 156두, 면양 70두를, 1982년 10월에는 육우 1,016두를 도입하였다.[1]

1985년 10월 치즈 가공 공장 건축 허가를 받고, 1986년 2월 영업 허가를 받았다. 1990년 9월 성 이시돌 한림수직사를 증축, 준공하였으며, 1991년 10월 성 이시돌 배합 사료 공장 현대화 시설을 준공하였다.[1]

3. 임피제 신부와 성 이시돌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Patrick James Mcglinchey) 신부는 1973년 제주도 명예도민이 되면서 '임피제'라는 한국 이름을 얻었다. '성이시돌'의 '이시돌(Isidore)'은 농부 이시도르(라틴어 Isidorus)에서 유래했다.[1]

임피제 신부는 1954년 6.25 전쟁과 4·3 사건 등으로 피폐해진 제주도에 왔다. 그는 신자들의 믿음을 키우는 것뿐 아니라 가난 극복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한국에서 네 번째로 지역신용협동조합을 설립하고, 한라산 중산간 개간을 통한 목축업 육성을 추진하여 이시돌 목장을 탄생시켰다. 이 과정에서 '돼지 신부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또한 사회적 소외 계층을 위한 복지에도 힘썼다.[1]

3. 1. 임피제 신부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Patrick James Mcglinchey)는 성이시돌목장의 임피제 신부로 알려져 있다. 1973년 제주도 명예도민증을 받으며 '임피제'라는 한국 이름을 얻었다. 성이시돌의 이시돌(Isidore)은 농부 이시도르(라틴어 Isidorus)에서 유래되었다.[1]

임피제 신부는 25세에 사제 서품을 받고 1954년 제주에 왔다. 당시 제주도는 6.25 전쟁과 4·3 사건 등으로 매우 가난하고 정신적으로 피폐했다. 그는 가난에서 벗어날 길을 찾아주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했다.[1]

이를 위해 한국에서 네 번째로 지역신용협동조합을 설립했다. 이는 주민들의 사설 금융 수단인 '계(契)'가 깨져 신자 한 사람이 자살한 사건이 계기가 되었다.[1]

또한 한라산 중산간 개간을 통한 목축업 육성이 제주 지역에서 가난을 물리칠 가장 중요한 방안이라고 생각하여 이시돌 목장을 설립했으며, '돼지 신부님'이라는 별명도 이때 붙여졌다.[1]

임피제 신부는 사회적 소외 계층의 복지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병원을 설립하고 경로당과 양로원(요양원), 유아원과 유치원, 청소년 시설인 성이시돌 젊음의 집도 그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1]

3. 2. 성 이시돌의 유래

농부 이시도르(Isidorus)는 스페인 마드리드 출생의 농부이자 가톨릭 성인(축일, 5월 15일)이다. 성이시돌의 이시돌(Isidore)은 이 농부 이시도르에서 유래 되었다.[1]

4. 테쉬폰

성이시돌목장의 테쉬폰은 이라크 바그다드 인근의 테쉬폰(페르시아 테쉬폰 궁전)에서 유래한 건축 양식이다.[1] 제주도에는 1960년대에 보급되었다.[1]

4. 1. 테쉬폰의 기원과 특징

테쉬폰은 이라크 바그다드 인근의 테쉬폰(페르시아 테쉬폰 궁전)에서 유래한 건축 양식이다. 제주도에는 1960년대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1]

테쉬폰은 곡선 형태의 텐트 모양과 유사하며, 합판을 말아 지붕과 벽체의 틀을 만들고 고정한 후 억새, 시멘트 등을 덧발라 만든 건축물이다.[2]

4. 2. 테쉬폰의 의미

테쉬폰은 이라크 바그다드 인근의 테쉬폰(페르시아 테쉬폰 궁전)이라는 곳에서 유래한 건축 양식이다. 이 양식은 곡선 형태의 텐트 모양을 띠며, 합판을 말아 지붕과 벽체의 틀을 만들고 억새, 시멘트 등을 덧발라 건축물을 완성한다.[1][2] 제주도에는 1960년대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다.[1]

5. 천주교 성지

성이시돌목장은 삼위일체대성당 건립과 더불어 성이시돌양로원, 피정센터, 젊음의 집, 삼뫼소 은총의 동산, 금악성당, 성 이시돌 어린이집, 클라라관상수녀원, 농촌산업협회 등 다양한 천주교 관련 시설을 갖추면서 천주교 성지로서 알려지게 되었다.[1]

5. 1. 천주교 성지로서의 발전

성이시돌목장 안에 성이시돌양로원, 피정센터, 젊음의 집, 삼뫼소 은총의 동산, 금악성당, 성 이시돌 어린이집, 클라라관상수녀원, 농촌산업협회 등이 함께 있으며 삼위일체대성당이 건축되는 등 목장보다는 천주교 성지로 더 알려져 있다.[1]

5. 2. 주요 시설 및 활동

성이시돌목장 안에는 성 이시돌 양로원, 피정센터, 젊음의 집, 삼뫼소 은총의 동산, 금악성당, 성 이시돌 어린이집, 클라라관상수녀원, 농촌산업협회 등이 함께 있으며, 삼위일체대성당이 건축되는 등 목장보다는 천주교 성지로 더 알려져 있다.[1]

참조

[1] 간행물 이시돌목장 한국학중앙연구원
[2] 뉴스 제주에만 남은 아치형 건축물 '테쉬폰' 복원된다 http://www.yonhapnew[...] 2016-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