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는 아일랜드 출신으로, 1948년 미 군정청 외교 파견 견학으로 제주도를 처음 방문한 후, 1951년 사제 서품을 받고 1954년 제주도로 돌아와 평생을 제주도 발전에 헌신했다. 그는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던 제주도민들을 위해 성 이시돌 목장을 설립하여 근대 목축업의 기반을 다졌으며, 1970년에는 성 이시돌 복지병원을 개원하여 무료 진료를 제공했다. 또한 대한민국 제주도 명예 도민증, 아일랜드 대통령상 등을 받았으며, 2015년에는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2018년 사망 후 대한민국 명예 국민증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명예국민 - 거스 히딩크
거스 히딩크는 네덜란드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PSV 에인트호번을 이끌고 트레블을 달성하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2002 FIFA 월드컵 4강 진출을 이끄는 등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 아일랜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패트릭 도슨
패트릭 도슨은 아일랜드 출신 가톨릭 사제이자 한국 독립운동가로,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항일 의식을 고취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광복 후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아일랜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세흐룬 케틴
세흐룬 케틴은 1569년경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작가이자 사제로, 아일랜드 역사를 다룬 주요 저서 《포라스 페사 아르 에이린》을 1634년경 완성하여 아일랜드 민족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제주시의 역사 - 북제주군
1946년 제주도 분리 당시 한라산 북쪽에 설치되었던 북제주군은 제주시와의 통합으로 2006년 폐지되어 현재는 제주시의 일부가 되었다. - 제주시의 역사 - 패트릭 도슨
패트릭 도슨은 아일랜드 출신 가톨릭 사제이자 한국 독립운동가로,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항일 의식을 고취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광복 후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
출생일 | 1928년 6월 6일 |
사망일 | 2018년 4월 23일 (향년 89세) |
안장 장소 | 제주도, 대한민국 |
시민권 | 아일랜드, 대한민국 (사후) |
알려진 업적 | 제주도 농업 개선 |
한국어 이름 | 임피제 (任皮濟) |
공직 정보 | |
원래 이름 | 임피제 (任皮濟), Patrick James McGlinchey |
출생일 | 1928년 6월 6일 |
사망일 | 2018년 4월 23일 |
임기 | 1994년 11월 1일 ~ 1995년 2월 28일 |
임기 2 | 1995년 11월 1일 ~ 1996년 2월 29일 |
출생지 | 더니골주 래포, 아일랜드 |
사망지 |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 |
경력 | 로마 가톨릭 사제 출신 |
정당 | 무소속 |
대통령 | 메리 로빈슨 아일랜드 대통령 |
주석 |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 |
총리 | 이영덕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홍구 대한민국 국무총리 |
차관 | 박건우 대한민국 외무부 차관 |
장관 | 공노명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
직책 | 대한민국 외무부 예하 국제 NGO 외교특보비서관 |
대통령 2 |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 |
총리 2 | 이홍구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수성 대한민국 국무총리 |
장관 2 | 김우석 대한민국 내무부 장관 |
차관 2 | 정태수 대한민국 내무부 차관 |
의장 2 | 신구범 대한민국 제주도 도지사 |
학력 | 미국 가톨릭 대학교 |
직책 2 | 대한민국 제주도 도청 복지행정특보위원 |
거주지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세례명: 파트리시오) |
배우자 | 無 |
서훈 | 아일랜드 행정인권상 대통령상,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 |
웹사이트 | 뉴스 보도 자료 - 001 뉴스 보도 자료 - 002 |
수상 | |
라몬 막사이사이상 | 수상 |
참고 자료 | |
한겨레 | [부고] 제주도의 '푸른 눈의 성인'이 세상을 떠나다 |
코리아 타임즈 | 아일랜드 신부, 사회 사업가 맥글린치가 사망하다 |
라몬 막사이사이상 재단 | 맥글린치, 패트릭 제임스 |
연합뉴스 | 늦은 아일랜드 가톨릭 신부, 명예 시민권 수여 |
2. 일생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신부는 한국에서 "임피제" 신부로도 불렸다. 그는 1951년 로마 가톨릭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1954년 대한민국 제주도에 와 평생을 헌신하였다.[1]
2. 1. 대한민국 제주도와의 인연
1948년 1월 중순, 맥글린치 신부는 당시 미군정청에서 아일랜드와 미국 양국간 외교 파견 견학원으로 미 군정 조선 제주도를 처음 방문하였다. 그 후 1948년 2월 중순 아일랜드로 귀국하였으며, 1951년 로마 가톨릭 사제 서품을 받고 1954년 대한민국 제주도에 다시 왔다.[1] 이후 제주도에서 평생을 헌신하였다.[1] 1950년대 당시 제주도민들은 극심한 가난을 겪고 있었는데, 맥글린치 신부는 농부 이시도르 성인을 본따 성 이시돌(伊始乭) 목장(St. Isidore Farm)을 설립, 돼지·양과 소·말 등을 사육하며 대한민국 최대 목장으로 성장시켜 제주도 근대 목축업 체제의 기반을 마련했다.[1] 이로 인해 '돼지 신부'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패트릭 맥그린치'(Patrick MacGrintschee)라고 불리기도 하였다.[1] 1970년에는 성 이시돌 복지병원을 개원하여 제주 서부권 지역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무료 진료를 제공하였다.[1] 2016년 5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고령에도 불구하고 "성 이시돌 복지병원" 운영에 힘을 쏟아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1]2. 2. 제주도에서의 헌신
1948년 1월 중순 미군정청에서 아일랜드와 미국 양국 간 외교 파견 견학원으로 당시 미 군정 조선 제주도 제주 땅을 처음 방문하였으며, 1948년 2월 중순 아일랜드로 귀국하였다.[1] 1951년 로마 가톨릭 사제 서품 이후 1954년 대한민국 제주도에 재방문하여 평생을 제주도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1] 1950년대 당시 제주도민들은 극심한 가난을 겪고 있었는데, 그는 농부 이시도르 성인을 따서 "성 이시돌(伊始乭) 목장(St. Isidore Farm)"을 설립해 돼지, 양, 소, 말을 사육하면서 대한민국 최대 목장으로 키우는 등 제주도 근대 목축업 체제의 기반을 마련했다.[1] '돼지 신부'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1970년 "성 이시돌 복지병원"을 개원하여 제주도 서부권 지역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무료 진료를 펼치기도 하였다.[1] 2016년 5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노령에도 불구하고 "성 이시돌 복지병원"이 정상 운영되도록 힘을 기울여 화제를 모았다.[1]2. 3. 성 이시돌 목장 설립과 목축업 발전 기여
1950년대 당시 제주도는 극심한 가난을 겪고 있었다. 그는 농부 이시도르 성인을 따서 "성 이시돌(伊始乭) 목장(St. Isidore Farm)"을 설립해 돼지, 양, 소, 말을 사육하면서 대한민국 최대 목장으로 키웠으며, 제주도 근대 목축업 체제의 기반을 마련했다.[1] 이로 인해 '돼지 신부'라는 별명이 붙여졌다.[1]2. 4. 성 이시돌 복지병원 개원과 무료 진료
1970년 성 이시돌 복지병원을 개원하여 제주도 서부권 지역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무료 진료를 펼쳤다.[1] 2016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노령에도 불구하고 "성 이시돌 복지병원"이 정상 운영되도록 힘을 기울였다.[1]3. 서훈과 상훈
맥글린치 신부는 1973년 3월 대한민국 제주도 명예 도민증을 받았고,[1] 1975년에는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 행정인권상 대통령상"을 받았다.[1] 2014년 1월 "자랑스러운 제주인"으로 선정되었으며,[1] 2015년 2월에는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1]
3. 1. 대한민국 정부 포상
2015년 2월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1] 2014년 1월에는 "자랑스러운 제주인"으로 선정되었고,[1] 1973년 3월에는 "대한민국 제주도 명예 도민증"을 받았다.[1]3. 2. 아일랜드 정부 포상
1975년 아일랜드로부터 "아일랜드 행정인권상 대통령상"을 받았다.[1]3. 3. 기타 포상
2014년 1월, "자랑스러운 제주인"으로 선정되었고,[1] 2015년 2월에는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1]4. 사후
2018년 4월 23일 별세 후, 같은 해 2018년 6월 6일 대한민국 명예 국민증이 추서되었다.
참조
[1]
문서
New York State, Passenger and Crew Lists, 1917-1967
[2]
뉴스
[Obituary] Jeju's 'blue-eyed saint' passes away
http://english.hani.[...]
2018-05-04
[3]
뉴스
Irish priest, social entrepreneur McGlinchey dies
https://www.koreatim[...]
2018-04-29
[4]
웹사이트
McGlinchey, Patrick James
http://rmaward.asia/[...]
Ramon Magsaysay Award Foundation
2018-06-11
[5]
뉴스
Late Irish Catholic priest awarded honorary citizenship
http://english.yonha[...]
2018-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