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묜 티모셴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묜 티모셴코는 러시아 제국, 소련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895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1914년 러시아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러시아 내전에서 적군에 합류하여 여러 전선에서 활약했다. 1930년대에는 붉은 군대의 기병대 사령관을 역임하고, 1939년에는 소련의 폴란드 침공을 지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핀란드와의 겨울 전쟁을 지휘하고, 독소전쟁 초기 서부 전선군 사령관, 최고 사령부 의장 등을 역임했다. 전후에는 여러 군관구 사령관을 거쳐 소련 원로 병사 위원회 의장을 지냈으며, 1970년 사망했다. 그는 두 번의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하일 키르포노스
미하일 페트로비치 키르포노스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한 소련 군인으로, 독소 전쟁 초기에 남서 전선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키예프 전투에서 전사 후 소련 영웅 칭호와 1급 조국전쟁 훈장을 받았다. - 우크라이나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니콜라이 기칼로
니콜라이 기칼로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러시아 제국군 군의관으로 복무하다가 볼셰비키에 가입하여 붉은 군대를 지휘했으며,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으나 대숙청으로 사형당했다가 사후 복권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스테판 반데라
우크라이나의 극우 민족주의자이자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의 지도자였던 스테판 반데라는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 나치 독일 협력, 소련 KGB 암살 등으로 점철된 논란의 인물이다. - 우크라이나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하일 키르포노스
미하일 페트로비치 키르포노스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한 소련 군인으로, 독소 전쟁 초기에 남서 전선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키예프 전투에서 전사 후 소련 영웅 칭호와 1급 조국전쟁 훈장을 받았다. - 러시아 혁명 관련자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임시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나 10월 혁명으로 실각하여 망명했다. - 러시아 혁명 관련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세묜 티모셴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895년 2월 18일 |
사망 | 1970년 3월 31일 (75세)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베사라비아 현, 오데사 주, 푸르마니우카 |
사망지 | 소련, 모스크바 |
안장지 | 모스크바, 붉은 광장, 크렘린 벽 묘지 |
소속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19–1970) |
군사 경력 | |
복무 | 러시아 제국 육군 (1914–1917) 러시아 공화국 (1917)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1918–1922) 소비에트 연방 (1922–1970) |
복무 기간 | 1914–1970 |
최종 계급 | 소비에트 연방 원수 |
주요 지휘 | 키예프 군관구 우크라이나 전선 (1939년) 레닌그라드 군관구 서부 전선 남서부 전선 북서전선 벨로루시 군관구 |
주요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겨울 전쟁 대조국 전쟁 |
정치 경력 | |
직책 | 소비에트 연방 국방 인민위원 |
임기 시작 | 1940년 5월 7일 |
임기 종료 | 1941년 7월 19일 |
수상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
이전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이후 | 이오시프 스탈린 |
훈장 | |
주요 훈장 | 소련 영웅 (2회) 승전 훈장 레닌 훈장 (5회) 10월 혁명 훈장 붉은 깃발 훈장 (5회) 수보로프 훈장 (3회) 성 게오르기 십자훈장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895년 베사라비아 현 아케르만 군 풀만카 마을(현재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풀마니우카)에서 태어났다. 1914년 러시아 제국 육군에 소집되어 기관총 사수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2. 1. 초기 생애
Семё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Тимоше́нко|세묜 콘스탄티노비치 티모셴코ru는 1895년 러시아 제국 베사라비아 현 아케르만 군 오르만(현재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푸르마니우카)에서 우크라이나인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4년 러시아 제국 육군에 소집되어 기관총 사수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1]2. 2.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세묜 티모셴코는 러시아 제국 군대에 징집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의 서부 전선에서 기병으로 복무했다.2. 3. 러시아 내전
1917년 러시아 혁명 발발 후, 티모셴코는 볼셰비키를 지지하여 1918년 적군에 합류했고, 1919년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했다.[2]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여러 전선에서 복무하며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브란겔의 백군, 네스토르 마흐노의 흑군 등에 맞서 싸웠다.[2]차리친에서 기병 연대를 지휘하며 이오시프 스탈린과 친분을 쌓았고,[2] 세묜 부됸니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휘하의 제1 기병대에서 복무했다.[2]
1917년 제1 흑해 적위대에 입대하여 코르닐로프 군 격멸에 참가했고, 1918년에는 세묜 부됸니의 제1기병 친위 연대에서 소대장, 중대장, 연대장을 역임하며 크림 및 쿠반에서 전투를 치렀다. 같은 해 11월, 제2 독립 기병 여단장이 되었고, 1919년에는 제6 기병 사단장으로서 보로네시, 카스토르노예, 로스토프나도누, 예고르루이스카야, 지토미르, 브로디 전투에 참가했다.
1920년 8월, 제4 기병 사단장으로서 브란겔 군과 마흐노 군을 격파하여 적기 훈장 2개를 수여받았다. 그 후, 제3 기병 군단장을 역임했다.
3. 1930년대
러시아 내전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이후 티모셴코는 붉은 군대의 기병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이후 스탈린 치하에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33년), 키예프 (1935년), 북부 코카서스와 하르코프 (1937년) 그리고 다시 키예프 (1938년)에서 붉은 군대 사령관이 되었다. 1939년, 그는 서부 국경 지역 전체의 사령관을 맡아 소련의 폴란드 침공 동안 우크라이나 전선을 이끌었다. 또한 공산당의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레닌과 스탈린의 충실한 친구였던 티모셴코는 대숙청에서 살아남아 붉은 군대의 최고 전문 군인이 되었다.
1933년, 벨라루스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재임 중에 게오르기 주코프를 알게 되었다.[2] 1935년 9월, 키예프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 1937년, 북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이후 하르코프 군관구 사령관을 거쳐 1938년 2월에 키예프 특별 군관구 사령관이 되었다.[2] 1939년 9월, 폴란드령이던 서우크라이나 탈환을 위해 폴란드 침공을 지휘했다.[2]
4.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소련-핀란드 전쟁에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지휘 아래 소련군이 고전하자, 1940년 1월 티모셴코는 소련군을 지휘하여 카렐 지협의 핀란드 만네르헤임 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공로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5]
독일군의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기 직전, 티모셴코는 게오르기 주코프와 함께 독일 항공기의 잦은 소련 국경 침범에 대해 우려했다. 1941년 6월 13일,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서부 국경 병력에 경계 태세를 발령할 것을 요청했으나, 스탈린은 1942년 봄까지 독일의 침공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하며 이를 거부했다.[6]
이반 볼딘 장군의 회고록에 따르면, 1941년 6월 22일 독일의 침공 초기, 티모셴코는 "우리의 지식 없이 독일군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말라... 스탈린 동지는 독일군에 대한 포병 사격을 금지했다"는 지시를 내렸다.[7]
1941년 6월 23일, 티모셴코는 소련군 최고 사령부인 스타프카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8] 그러나 7월에 스탈린은 티모셴코를 국방인민위원 및 스타프카 의장직에서 해임하고 자신이 그 자리를 겸임했다. 이후 티모셴코는 스몰렌스크 전투를 지휘하기 위해 중앙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9]
1941년 9월, 티모셴코는 키예프 방어를 위해 세묜 부됸니를 대신하여 우크라이나로 이동했다. 10월 23일, 소련은 티모셴코에게 동부 전선의 남쪽 절반을, 게오르기 주코프에게 북쪽 절반을 지휘하게 했다.[10] 1941년 11월과 12월, 티모셴코는 로스토프 지역에서 반격을 조직했고, 1942년 1월에는 하르키우 남쪽 독일 방어선에 교두보를 만들었다.
1942년 5월, 티모셴코는 64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을 시작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1] 1942년 7월, 스탈린은 티모셴코를 스탈린그라드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2] 1942년 10월부터 1943년 3월까지는 북서부 전선의 전체 사령관을 맡았다.[13]
1943년 3월부터 티모셴코는 스타프카의 대표로서 여러 전선의 작전을 조율했다. 1943년 3월부터 6월까지 레닌그라드 전선과 볼호프 전선을, 12월까지 북캅카스 전선과 흑해 함대를 조율하여 노보로시스크 해방과 케르치 반도 상륙 작전을 감독했다. 1944년 2월부터 6월까지는 제2 및 제3발트 전선의 작전을, 8월부터 종전까지는 제2, 제3, 제4 우크라이나 전선의 작전을 조율했다.[14]
티모셴코는 캅카스와 크림 반도에서의 전공으로 수보로프 훈장 1급을 처음으로 수여받았다.[15] 야시-키시네프 공세 중 키시네우 해방 후, 티모셴코는 스탈린에게 전보를 보내 말리노프스키와 표도르 톨부힌을 소련 원수로 진급시킬 것을 요청했고, 이들은 실제로 진급되었으며 티모셴코는 또 다른 수보로프 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16][17] 1945년 6월 4일, 티모셴코는 승리 훈장을 수여받았다.
4. 1. 겨울 전쟁
1940년 1월, 티모셴코는 소련-핀란드 전쟁에서 핀란드와 싸우는 소련군을 지휘하게 되었다. 이 전쟁은 전년도 11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재앙적인 지휘 아래 시작되었다. 티모셴코의 지도력 아래, 소련군은 카렐 지협에서 핀란드의 만네르헤임 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공로로 티모셴코는 소련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5]4. 2. 독소 전쟁
독소전 발발 직전 몇 주 동안, 티모셴코는 독일 항공기가 소련 국경을 빈번하게 침범하는 것에 대해 주코프와 함께 우려를 표했다. 1941년 6월 13일, 스탈린에게 서부 국경 병력에 경계 태세를 발령할 것을 요청했으나, 스탈린은 1942년 봄까지 독일의 침공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하며 이를 거부했다.[6]이반 볼딘 장군의 회고록에 따르면, 1941년 6월 22일 침공 초기, 티모셴코는 "우리의 지식 없이 독일군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말라... 스탈린 동지는 독일군에 대한 포병 사격을 금지했다"는 지시를 내렸다.[7]
1941년 6월 23일, 티모셴코는 소련군 최고 사령부인 스타프카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8] 그러나 1941년 7월, 스탈린은 티모셴코를 국방인민위원 및 스타프카 의장직에서 해임하고, 자신이 그 자리를 겸임했다. 동시에 서부 전선은 세 구역으로 나뉘었고, 티모셴코는 중앙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스몰렌스크 전투를 지휘했다.[9]
1941년 9월, 티모셴코는 우크라이나로 이동하여 부됸니를 대신하여 키예프 방어를 지휘했다. 10월 23일, 소련은 티모셴코에게 동부 전선의 남쪽 절반 전체를, 게오르기 주코프에게 북쪽 절반을 지휘하게 했다.[10] 1941년 11월과 12월, 티모셴코는 로스토프 지역에서 반격을 조직했고, 1942년 1월에는 하르키우 남쪽 독일 방어선에 교두보를 만들었다.
1942년 5월, 티모셴코는 64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을 시작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1]
1942년 7월 22일, 스탈린은 티모셴코를 바실리 고르도프로 교체하여 스탈린그라드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티모셴코를 "최고 사령부 의장"으로 임명했다.[12] 1942년 10월부터 1943년 3월까지는 북서부 전선의 전체 사령관을 맡았다.[13]
1943년 3월부터 티모셴코는 스타프카의 대표로서 여러 전선의 작전을 조율했다. 1943년 3월부터 6월까지 레닌그라드 전선과 볼호프 전선을, 1943년 12월까지 북캅카스 전선과 흑해 함대를 조율하여 노보로시스크 해방과 케르치 반도 상륙 작전을 감독했다. 1944년 2월부터 6월까지는 제2 및 제3발트 전선의 작전을, 1944년 8월부터 종전까지는 제2, 제3, 제4 우크라이나 전선의 작전을 조율했다.[14]
티모셴코는 캅카스와 크림 반도에서의 전공으로 수보로프 훈장 1급을 처음으로 수여받았다.[15] 야시-키시네프 공세 중 키시네우 해방 후, 티모셴코는 스탈린에게 전보를 보내 말리노프스키와 표도르 톨부힌을 소련 원수로 진급시킬 것을 요청했고, 이들은 실제로 진급되었으며 티모셴코는 또 다른 수보로프 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16][17] 1945년 6월 4일, 티모셴코는 승리 훈장을 수여받았다.
5. 전후
티모셴코는 종전 후 바라노비치 군관구 사령관으로 재임명되었다. 1946년 3월부터는 벨로루시 군관구 사령관, 1946년 6월부터는 남우랄 군관구 사령관, 1949년 3월부터 다시 벨로루시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벨로루시 군관구를 자신의 제2의 고향으로 생각했고,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소련 최고회의 대의원으로서 벨로루시의 경제 문제 해결을 돕기도 했다.[1]
1960년 4월, 티모셴코는 정년으로 인해 국방성 감찰총감으로 편입되었다. 1961년부터 1969년까지는 소련 원로 병사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4] 1970년 3월 31일 모스크바에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진 후 화장되어 유골함은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2]
6. 평가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는 티모셴코를 유능하고 경험 많은 지휘관으로 높이 평가했다. 주코프는 1941년 스탈린과의 논의에서 티모셴코가 스몰렌스크 방면에서 보여준 지휘 능력을 칭찬하며, 그가 최선을 다했고 병사들의 신뢰를 얻었다고 말했다.[19] 전쟁 후에도 주코프는 콘스탄틴 시모노프와의 인터뷰에서 티모셴코가 강한 의지와 훌륭한 교육, 풍부한 경험을 갖춘 군인이었다고 칭찬했다. 다만, 하르코프에서의 패배와 티모셴코가 상관에게 아첨하지 않는 성격 때문에 최전선 임무에서 물러났다고 언급했다.[20]
알렉산드르 포크로프스키 장군은 티모셴코를 훈련이 잘 된, 열심히 일하는 지휘관이며 군사 문제에 능숙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티모셴코는 스타프카(최고사령부) 참모들을 깊이 불신하여, 신뢰하는 측근 그룹과 함께 일하며 스타프카 그룹과 자신의 그룹이 수집한 데이터를 이중으로 확인하는 "비정상적"인 방식을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크로프스키는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티모셴코의 열망은 합리적이었다고 평가했다.[21] 세르게이 슈테멘코는 회고록에서 티모셴코가 자신을 포함한 최고 사령부 인원들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함께 일하면서 관계가 개선되었다고 회상했다.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의 오볼론 구에는 마르샬라 티모셴코 거리가 있었으나,[22] 2022년 10월 27일 키이우 시의회는 이 거리를 레프코 루키야넨코 거리로 바꾸었다.[22]
7. 수상 내역
상 | 내용 |
---|---|
소련 영웅 | 2회 |
승리 훈장 | 1회 |
레닌 훈장 | 5회 |
10월 혁명 훈장 | 1회 |
적기 훈장 | 5회 |
1급 수보로프 훈장 | 3회 |
8. 대중 문화
이삭 바벨은 폴란드와의 전쟁 중, 당시 25세였던 티모셴코가 지휘하는 기병대에 종군했으며,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쓴 이야기 중 최소 두 편에서 등장인물로 묘사했다. 그중 한 편은 원래 오데사에서 '티모셴코와 멜니코프'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이야기가 다시 출판되었을 때, 바벨의 작품이 부됤니에 의해 "문학적 타락자"의 "중상 모략"으로 비난받은 후, 그의 이름은 사비츠키로 변경되었다.[23] 바벨의 단편 ''나의 첫 거위''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제6사단 사령관 사비츠키가 나를 보자 일어섰는데, 나는 그의 거대한 몸의 아름다움에 압도되었다. 그는 일어섰다. 자주색 바지, 옆으로 삐딱하게 쓴 진홍색 모자, 훈장이 가슴에 달려 있었고, 마치 깃발이 하늘을 가르는 것처럼 오두막을 둘로 갈랐다. 그는 향수 냄새와 비누의 역겨운 차가움 냄새를 풍겼다. 그의 긴 다리는 마치 어깨까지 승마 부츠 속에 박힌 두 소녀처럼 보였다.|제6사단 사령관 사비츠키가 나를 보자 일어섰는데, 나는 그의 거대한 몸의 아름다움에 압도되었다. 그는 일어섰다. 자주색 바지, 옆으로 삐딱하게 쓴 진홍색 모자, 훈장이 가슴에 달려 있었고, 마치 깃발이 하늘을 가르는 것처럼 오두막을 둘로 갈랐다. 그는 향수 냄새와 비누의 역겨운 차가움 냄새를 풍겼다. 그의 긴 다리는 마치 어깨까지 승마 부츠 속에 박힌 두 소녀처럼 보였다.ru[24]
바벨의 ''말의 이야기''(원래 '티모셴코와 멜니코프')에서 '사비츠키'는 지휘관 자리에서 물러나 코사크 여인과 함께 살고 있으며, 라이벌 장교의 백마를 빼앗았다는 혐의를 받고 있으며, 그 장교는 말을 되찾으려 하지만 실패한다.
워너 브라더스의 만화 영화 ''러시안 랩소디''에서 아돌프 히틀러의 캐리커처는 티모셴코를 "저 아일랜드 장군, 팀 오센코"라고 언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Маршал Тимошенко: непростой и противоречивый жизненный путь
https://grad.ua/isto[...]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2016
[3]
웹사이트
Тимошенко Семё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https://warheroes.ru[...]
[4]
서적
White Eagle Red Star,The Polish-Soviet war 1919–1920 and the 'Miracle on the Vistula'
Pimlico
2003
[5]
Youtube
Finland and France Join Hitler – WW2 – 094 – June 13 1941
https://www.youtube.[...]
TimeGhost History
2020-06-13
[6]
서적
Stalin's Folly, The Secret History of the German Invasion of Russia, June 1941
Weidenfeld and Nicolson
2005
[7]
서적
Russia At War, 1941–1945
Pan
1965
[8]
서적
Moscow to Stalingrad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9]
서적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Phoenix
2004
[10]
웹사이트
113 – Martial Law in Moscow, but is the Cavalry coming? – WW2 – October 24, 1941
https://www.youtube.[...]
2020-10-24
[11]
서적
Russian Cavalcade, a Military Record
https://babel.hathit[...]
Ives Washburn Inc.
2022-11-22
[12]
Youtube
Battlestorm Stalingrad E1 – The 6th Army Strikes!
https://www.youtube.[...]
2019-10-07
[13]
웹사이트
Biography of Marshal of Soviet Union Semen Konstantinovich Timoshenko – (Семе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Тимошенко) (1895–1970), Soviet Union
https://generals.dk/[...]
[14]
웹사이트
Тимошенко насіння Костянтиновича біографія коротко. Семен Костянтинович Тимошенко: біографія Маршал Тимошенко у роки Великої Вітчизняної
https://srcaltufevo.[...]
[15]
웹사이트
Тимошенко Семе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 Память народа
https://pamyat-narod[...]
[16]
뉴스
Тимошенко: уничтожение «Южной Украины» Об этом сообщает "Рамблер". Далее: https://news.rambler.ru/other/41742911/
https://news.rambler[...]
Рамблер
[17]
웹사이트
Тимошенко Семе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 Память народа
https://pamyat-narod[...]
[18]
서적
If This Is a Man – The Truce
Abacus
2013
[19]
서적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В 2 т.
Олма-Пресс
2002
[20]
서적
Глазами человека моего поколения. Размышления о И. В. Сталине.
АПН
1989
[21]
간행물
Записал Константин Симонов. Беседа с бывшим начальником штаба Западного и Третьего Белорусского фронтов 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ом Покровским Александром Петровичем. Предисловие и публикация Л. Лазарева
1990
[22]
뉴스
Chornobayivska Square, Kuzma Scriabin Lane, Levka Lukyanenko Street and General Kulczycki appeared in Kyiv
https://www.radiosvo[...]
2023-02-22
[23]
서적
Fear and the Muse Kept Watch, The Russian Masters – from Akhmatova and Pasternak to Shostakovich and Eisenstein – Under Stalin
The New Press
2015
[24]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Picador
2002
[25]
웹사이트
Тимошенко Семё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http://warheroes.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