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제국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제국 육군은 표트르 대제 시기 정규군 창설을 시작으로,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육군이다. 표트르 대제 이전에는 스트렐치와 신체제 연대가 존재했으며, 표트르 대제의 군사 개혁으로 징병제가 도입되었다.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의 활약과 나폴레옹 전쟁 참전을 거치며 유럽의 주요 열강으로 성장했다. 크림 전쟁 패배 이후 군사 개혁을 통해 근대화되었으며,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혁명으로 해체되었다. 육군은 황제의 지휘를 받았으며, 군관구를 중심으로 조직되었고, 다양한 계급 체계를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 육군 - 러시아 합동군사참모대학교
러시아 합동군사참모대학교는 1832년 모스크바에 설립되어 제정 러시아, 소련, 러시아 연방을 거치며 상급 군사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 1917년 폐지 - 내셔널 하키 협회
내셔널 하키 협회는 1909년부터 1917년까지 존속한 캐나다의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로, 동부 캐나다 하키 협회 분열 후 창립되어 스탠리 컵을 놓고 경쟁하며 혁신적인 변화를 시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내부 갈등으로 해체되었고, 현재 NHL의 기원이 되었다. - 1917년 폐지 - 입헌민주당 (러시아)
입헌민주당은 1905년 러시아 혁명기에 결성된 자유주의 정당으로, 입헌군주제와 의회제를 추구하며 지식인, 전문직, 자유주의 성향 지주 귀족을 지지 기반으로 하였으나, 1917년 2월 혁명 후 임시 정부 핵심 세력이 되었지만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의해 탄압받고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에 참여하며 쇠퇴하였다.
러시아 제국 육군 |
---|
2. 역사
2. 1. 표트르 대제 이전
표트르 대제 이전의 차르들은 스트렐치라고 불리는 전문적인 세습 총병 군단을 유지했다. 이들은 원래 이반 뇌제에 의해 창설되었으며,[2] 원래는 효과적인 부대였지만, 매우 믿을 수 없고 규율이 없는 존재가 되었다. 전쟁 시에는 농민들이 군대를 보강했다.신체제 연대, 또는 외국식 연대(''Полки нового строя'' 또는 ''Полки иноземного строя'', 폴키 노보보 (이노젬노보) 스트로야/Polki novovo (inozemnovo) stroyaru)는 17세기에 러시아 차르국에서 서유럽 군사 기준에 따라 형성된 군사 부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러시아 용어였다.[3]
정규군 (보병), 용기병, 라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연대가 있었다. 1631년, 러시아는 모스크바에 2개의 정규 연대를 창설했다. 1632년-1634년 스몰렌스크 전쟁 동안 6개의 정규 연대, 1개의 라이터 연대, 그리고 1개의 용기병 연대가 더 창설되었다. 초기에 이들은 토지가 없는 보야르의 자녀, ''스트렐치'', 지원병, 코사크 등을 모집했다. 지휘관은 주로 외국인으로 구성되었다. 폴란드와의 전쟁 이후, 모든 연대는 해산되었다. 또 다른 러시아-폴란드 전쟁 동안, 그들은 다시 창설되었고 러시아군의 주요 전력이 되었다. 종종, 정규 연대와 용기병 연대는 평생의 군 복무를 위해 ''다토치니예 류디''로 채워졌다. 라이터는 작거나 토지가 없는 젠트리와 보야르의 자녀들로 채워졌으며, 그들의 복무에 대한 대가로 돈(또는 토지)을 받았다. 지휘관의 절반 이상이 젠트리 출신이었다. 평화 시에는 일부 연대가 보통 해산되었다.
1681년에는 33개의 정규 연대(61,000명)와 25개의 용기병 및 라이터 연대(29,000명)가 있었다. 17세기 말에는 신체제 연대가 러시아 육군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18세기 초에는 정규군을 창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2. 2. 표트르 대제의 군사 개혁
표트르 대제는 1699년 12월 독일식 모델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정규군을 창설하고 징병제를 도입하였다.[4] 징집병들은 "모집병"이라고 불렸으며, 농민과 도시 사람들의 징병은 정착지별 할당량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다.[5] 처음에는 가구 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나중에는 인구수를 기준으로 징병하였다.[5] 또한, 재능 있는 평민이 장교 계급을 달성하면 귀족 칭호를 포함한 진급을 부여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에 폐지되었다.18세기의 복무 기간은 종신형이었으나, 1793년에는 25년으로 단축되었다. 1834년에는 20년, 예비군 5년으로 단축되었으며, 1855년에는 12년, 예비군 3년으로 단축되었다.[5]
2. 3.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
이 시대 러시아 육군의 역사는 역사상 거의 패배한 적이 없는 명장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의 이름과 주로 연관되어 있다.[6]
수보로프는 1777년부터 1783년까지 크림 반도와 코카서스에서 복무했으며, 1780년에는 중장, 1783년에는 그곳에서의 임무를 마치고 보병 대장이 되었다. 1787년부터 1791년까지 그는 1787-1792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터키와 싸워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수보로프의 지도력은 코시치우슈코 봉기 동안 폴란드에 대한 러시아의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주요 유럽 열강으로서 러시아는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제1제국을 둘러싼 전쟁을 피할 수 없었지만, 나폴레옹의 적대국으로서, 파벨 1세가 암살된 결과로 왕위에 오른 알렉산드르 1세 (재위 1801–1825)의 지도력이 중요해졌다.

1805년의 러시아군은 ''구체제'' 조직의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연대 이상의 영구적인 편성은 없었고, 고위 장교들은 주로 귀족 출신에서 충원되었으며, 러시아 군인은 18세기 관행에 따라 규율을 주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구타당하고 처벌받았다. 많은 하급 장교들은 훈련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전투에서 요구되는 복잡한 기동을 병사들에게 수행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은 육군 사관학교에서 훈련받은 병사들이 배치된 훌륭한 포병 부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자신들의 포가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정기적으로 치열하게 싸웠다.[7]
러시아군과 오스트리아군은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나폴레옹에게 결정적인 군사적 패배를 당했다.
2. 4. 나폴레옹 전쟁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1806–1807)에서 러시아 제국 육군은 프로이센, 작센, 스웨덴, 영국과 동맹을 맺고 프랑스에 대항했다.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프로이센군이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대패했지만, 러시아군은 레빈 아우구스트 폰 베니히센의 지휘 아래 동프로이센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공세를 펼쳤다. 모루겐 전투 이후 나폴레옹의 반격으로 아이라우 전투가 벌어졌으나,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고 물러섰다.[8] 6월 초 베니히센의 공세는 실패했지만, 하일스베르크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그러나 프리드란트 전투에서 대패한 후, 알렉산드르 1세는 틸지트 조약을 통해 나폴레옹과 동맹을 맺었다.[8]에르푸르트 회의(1808년 9월~10월)에서 러시아는 스웨덴을 대륙 봉쇄령에 강제 가입시키기로 합의했고, 이는 핀란드 전쟁(1808–1809)으로 이어져 핀란드는 러시아의 핀란드 대공국이 되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은 아우스터리츠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의 친러시아 호스포다르 축출로 시작되었으며, 러시아는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로 진격했다. 이 전쟁은 1812년까지 지속되었고, 러시아는 베사라비아를 획득했다.[8]

1810년, 알렉산드르 1세는 대륙 봉쇄령 거부와 함께 미하일 안드레아스 바클레이 드 톨리 국방장관 주도로 육군 개혁을 단행했다. 1812년, 나폴레옹은 러시아를 침공했고, 러시아는 조국 전쟁을 선포했다. 러시아군은 초토화 작전을 펼치며 후퇴했고, 보로디노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미하일 쿠투조프의 결정으로 모스크바를 내주었다. 모스크바는 대화재로 파괴되었고, 알렉산드르 1세의 항복 거부로 나폴레옹은 철수해야 했다. 러시아군의 추격과 혹독한 추위로 프랑스군은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8]
1813년 독일 전역에서 러시아군은 폴란드와 프로이센으로 진격했다. 타우로겐 협약으로 프로이센이 프랑스와의 동맹을 파기하면서 러시아군은 숙련된 장교 부족을 겪었지만, 페터 비트겐슈타인이 지휘를 맡았다.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예르몰로프는 라이프치히 전투 등에서 활약하며 중요한 지휘관으로 부상했다.[8]

북동 프랑스 전역 (1814)에서 러시아군은 파리를 향해 진격했고, 알렉산드르 1세의 기만 전술과 파리 점령으로 나폴레옹은 항복했다. 러시아, 영국,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은 사국 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유럽의 현상 유지를 목표로 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알렉산드르 1세는 유럽 지도를 다시 그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신성 동맹을 창설하여 기독교 원칙에 따른 통치를 추구했다.
2. 5. 크림 전쟁과 군사 개혁
나폴레옹 전쟁 이후, 니콜라이 1세는 러시아를 유럽의 주요 강대국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유지했다. 1850년대 크림 전쟁 발발 당시 병력은 115만 명에 달했다. 그러나 알렉산드르 2세 치세 동안 러시아가 크림 전쟁에서 패배한 후, 드미트리 밀류틴 육군부(러시아) 장관은 1861년 농노 해방에 기반을 둔 일련의 군사 개혁을 단행했다.밀류틴의 개혁은 군 징병에 초점을 맞추었고 1874년에 이루어졌다. 1874년 1월 1일, 황제는 21세 모든 남성에 대한 군 복무를 의무화하는 징병법을 승인했으며, 육군 복무 기간은 6년, 예비군 복무 기간은 9년으로 단축되었다. 이 징병은 전쟁 발생 시 동원할 수 있는 숙련된 군 예비군의 대규모 풀을 만들었으며, 러시아 제국이 평시에도 더 적은 상비군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 군사 교육 시스템도 개혁되어 징집병 모두에게 초등 교육이 제공되었다.
밀류틴의 개혁은 러시아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표트르 대제가 도입한 군 징병 및 직업군을 폐지하고 21세기까지 지속된 러시아군을 창설했다. 또한 제국군의 현대화는 보다 나은 중앙 집권적 지도 체제를 위한 육군부 개편, 새로운 기술 및 지원 조직의 창설, 재정의 변화, 군사 훈련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혁을 포함했다. 육군 참모본부는 육군부에 종속되었고, 참모부 부서는 참모본부의 작전 부서가 되었다. 육군의 공병, 의료, 보급, 병기 부서도 육군부 산하로 배치되었다. 1874년 드미트리 밀류틴의 개혁 이전까지 러시아군은 영구적인 병영이 없었고, 참호와 판잣집에 주둔했다.
이후 러시아군은 러시아-투르크 전쟁 (1877–78)에서 투르크에 맞서 복무했으며, 의화단 운동 당시에는 만주 일부를 진압하고 철도를 확보하기 위해 10만 명의 병력이 투입되었다. 모신-나강 소총은 1891년에 생산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군의 예산 점유율은 1881~1902년 사이에 30%에서 18%로 감소했으며, 1904년까지 러시아는 각 병사에게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지출하는 비용의 각각 57%와 63%를 지출하고 있었다. 군대의 사기는 1883년부터 1903년까지 1500건 이상의 시위를 진압하면서 무너졌다.

러시아군은 1904~05년의 러일 전쟁에서 일본에게 패배했으며, 주요 교전으로는 여순항 포위전과 봉천 전투가 있었다. 1905년 봄 동원 이후, 여름까지 극동에 주둔한 러시아군은 거의 100만 명에 달했지만, 쓰시마 해전에서의 러시아 해군 패배로 평화 회담이 이루어졌다. 러일 전쟁을 위한 동원은 또한 더 많은 정치화된 대규모의 예비군을 병력에 투입했고, 병사들 사이에 혁명적 사상을 퍼뜨리기 시작했다. 1905년 가을부터 1906년 여름까지 400건 이상의 반란이 발생했다.
2. 6.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2. 7.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는 사촌인 니콜라이 대공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13] 동원령에 따라 러시아군은 115개 보병 사단과 38개 기병 사단을 포함하여 거의 7,900문(야전포 7,100문, 야전 곡사포 540문, 중포 257문)을 보유했다.[13] 육군에는 구급차 2대와 차량 679대만 있었다.[13]
전쟁 중 육군의 고위 부대에는 서부 전선, 북서부 전선 및 루마니아 전선이 있었다.[13] 동부 전선에서의 전쟁은 1914년 동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령 갈리치아 침공으로 시작되었다.[13] 전자는 탄넨베르크 전투 (1914년)에서 독일 제국에 대한 러시아의 패배로 끝났다.[13] 서부에서는 1915년 러시아 원정군이 프랑스로 파견되었다.[13]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와중에 제국 러시아 육군은 붕괴되고 해산되었다.[13] 제국 육군의 반란 잔당은 새로운 붉은 군대의 일부가 되었다.[13]



3. 지휘 체계
러시아 제국 육군의 주요 지도자는 1808년까지 황족이나 귀족들이 맡았으나, 1808년 육군성(1815년 전쟁성으로 개칭) 설치 이후에는 황족이 아닌 사람들이 전쟁성 장관을 맡게 되었다.[14] 해군은 1815년 별도의 해군성이 설치되어 통제되었지만, 최고 사령관은 황제(차르)였다.
1832년에는 참모 학교(Академия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ru, ''Akademiya general'nogo shtaba'')가 설립되었다. 러시아 제국군은 정규군, 카자크 부대, 무슬림 부대, 국가 민병대로 분류되었다.
행정 및 야전에서 러시아 제국 육군은 18세기와 동일한 원칙에 따라 조직되었으며, 부대는 작전 사령부에 배속되었고, "군대"는 수석 사령관이나 작전 지역으로 알려졌다. 행정적으로 연대는 군사 감찰에 배속되었으며, 징집병 훈련소, 수비대, 요새 병력, 탄약 병기창을 포함했다.[14]
파벨 1세에 의해 프로이센 모델에 따라 재편되었으나, 그의 사망 후 프로이센적인 요소는 상당 부분 제거되었다. 군대는 국왕 근위대, 일반 보병 및 기병, 야전 포병 외에도 대규모의 준정규 코사크 부대를 포함했는데, 이들은 높은 수준의 주도력과 자유로운 기동성으로 인해 다른 유럽 군대보다 뛰어난 정찰 서비스를 제공했다.[14] 제국의 우크라이나 지역은 경기병을 위한 후사르와 울란 연대를 제공했다. 이 시기에는 ''국민 의용군''도 구성되었다.[15]
1806년 대부분의 감찰이 폐지되고 프랑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사단으로 대체되었다. 1809년까지 25개의 보병 사단이 상설 야전 부대로 편성되었으며, 각 사단은 3개의 보병 여단과 1개의 포병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1810년 미하일 안드레아스 바클라이 드 톨리가 육군 장관이 되면서, 척탄병 사단을 만들고 각 사단에 예거 경기병 여단을 할당하여 산병 대형으로 전투를 벌였다.
니콜라예프 참모본부 사관학교는 1832년 앙투안 앙리 조미니의 참여로 참모 장교 양성을 위해 설립되었으나, 크림 전쟁 이전까지는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근위 부대는 황제와 황실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러시아 제국 근위대는 러시아 대공 콘스탄틴 파블로비치가 지휘했으며, '''제5 보병 군단'''으로 통합되었다. 보로디노 전투에서는 중장 라브로프가 지휘했고, 1814년에는 자체 포병과 수송 부대를 갖춘 2개의 기병 사단으로 성장했다.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근위대 포병은 소장 이반 카스퍼스키가 지휘하는 근위 포병 대대를 포함했다. 1812년 보로디노 전투에서 근위대 포병은 근위 보병 사단 소속 근위 포병 여단, 제1 기갑 사단 소속 코젠 대령 휘하의 근위 기마 포병, 근위 공병 대대를 포함했다.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근위 코사크 연대(5개의 ''소트냐'')는 근위 기병 사단의 제1 여단에 배속되었다. 1812년 보로디노 전투에서 근위 코사크는 근위 코사크 연대(5개의 ''소트냐''), 흑해 코사크 근위 소트냐, 근위 오렐 소트냐를 포함했다.
러시아 제국 황제는 군대의 최고 사령관이었으며, 전쟁부는 그의 명령을 수행했다. 1913년까지 전쟁부에는 황제에게 조언하는 군사 평의회(전쟁 장관이 이끌었다)가 있었다. 군사 작전을 담당하는 참모본부는 야전부, 군사 통신, 군사 지형, 조직 및 훈련, 동원 등을 담당하는 6개 부서로 나뉘었다. 행정 본부, 군사 기술 관리국, 보병, 기병, 포병, 공병, 군사 훈련 및 철도 병과를 위한 감찰관도 있었다. 1909년 보병 감찰부가 폐지되고 사격술 감찰부로 대체되었다.
러시아 참모본부는 나폴레옹 전쟁과 함께 시작되었지만, 크림 전쟁, 특히 1877-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참모본부 장교들이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군대 내에서 중요하고 권위 있는 기관으로 발전했다. 1865년 참모본부는 전쟁부 본부의 작전 부서가 되었으며, 본부는 조직, 훈련, 정보, 동원 및 육군의 모든 부서를 조정했다.
러시아 제국은 징병 및 동원을 위해 12개의 군관구로 조직되었다. 군관구 책임자는 민간 및 군사 권력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전쟁 장관에게 보고했다. 징병은 제국의 군관구 전역에서 208개의 징병 구역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208개 보병 연대에 해당했다. 그러나 각 연대에서 징집된 병력의 약 30%만이 해당 구역 출신으로 추정되었다.
야전 부대는 황제가 임명한 최고 사령관의 지휘를 받았다. 그는 참모총장, 병참부, 부관부, 철도부로 구성된 참모부의 보좌를 받았다. 병참총장은 작전을, 부관총장은 조직 및 인사를 지원했으며, 의료 서비스, 군목, 통신선, 헌병을 감독했다. 철도부장은 전쟁 지역의 철도를 조직하고 통신선을 지원했다. 야전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최대 규모의 야전 지휘부였다. 전시에는 여러 군대가 집단군으로 하나의 지휘 하에 작전할 수 있었다. 군은 3~5개의 군 군단, 1~2개의 기병 군단, 중포 3개 포대, 야전 헌병대 1개 중대, 무선 전신 1개 중대, 병원, 보급 수송대, 포병 및 공성 공원, 부교 부대, 비행기 파견대 등 다양한 지원 및 기술 부대로 구성되었다. 야전군 사령부의 고위 간부들은 사령관과 참모총장 외에 병참총장, 부관총장, 통신장교, 보급 책임자, 포병 및 공병 감찰관, 주임 계리관, 주임 감사관이 있었다.
1913년 기준으로 총 37개의 군단이 있었고, 평시에는 기병 군단이 없었다. 평시 군단에는 제1군단에서 제25군단, 근위 군단, 척탄병 군단, 제1 카프카스 군단에서 제3 카프카스 군단, 제1 투르케스탄 군단과 제2 투르케스탄 군단, 제1 시베리아 군단에서 제5 시베리아 군단이 포함되었다. 각 군단의 구성은 다양했지만, 일반적인 군단은 보병 사단 2개, 기병 사단 1개, 부착된 곡사포, 공병 대대, 행정 부대로 구성되었다. 투르케스탄 군단은 2~3개의 소총 여단을, 시베리아 군단은 2개의 소총 사단을 보유했다. 전시에는 기병 군단이 기병 사단 2개와 보급대 열로 구성되었다. 일부 군단에는 부교 대대, 무선 전신 중대, 항공 중대가 부착되기도 했다. 군단 사령부에는 사령관, 참모총장, 부관 외에 사령부 사령관(헌병대장), 군단 포병 감찰관, 군단 보급 책임자, 공병, 외과 의사, 수의사, 계리관, 감사관이 있었다.
연대는 러시아군의 기본 부대이자 가장 중요한 사회 조직으로, "징집병과 장교는 입대와 동시에 고유의 전통, 독특한 방식, 법인적 존재를 가진 '가족'에 들어갔다. 다른 유사 부대와의 관계는 과거의 영광, 차르에 대한 공통된 충성심, 종교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동방 정교회 제국의 이상에 기반을 두었다." 러시아 보병 연대는 약 4,000명으로, 250명의 16개 중대로 구성된 4개 대대로 편성되었다. 기병 연대는 기병대와 중대로, 포병 여단은 대대와 포대로 편성되었다. 모든 행정 업무는 연대 수준에서 이루어졌으며, 대대는 전술 부대에 불과했고, 연대는 정규 보병의 경우 대령, 제국 근위대의 경우 소장이 지휘했다. 연대 지휘관은 병사 급여 및 재정 관리, 병사 승진 및 장교 승진 추천, 휴가 허가, 개인 병사와 연대 훈련 등 많은 책임을 졌다. 연대의 대다수는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국경 또는 시베리아, 중앙 아시아, 코카서스 산맥 변경에 주둔했으며, 소수는 러시아 내부에 주둔했다.
1913년 러시아 제국 육군의 평시 병력은 약 130만 명으로, 보병 81만 1,000명, 기병 13만 3,000명, 포병 20만 9,000명(포 3,904문), 공병 5만 9,000명, 지원 및 부속 병력 8만 8,000명이 포함되었다. 1914년 동원령으로 병력은 45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장교 수도 4만 명에서 8만 명으로 늘어났다. 1913년 추산에 따르면 러시아 육군의 총 현역 및 예비군 병력은 596만 2,396명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징집병 규모는 연간 약 50만 명이었다. 1911년에는 총 45만 5,000명이 징집되었으며, 이 중 1만 명은 해군, 1만 4,500명은 국경 경비대에 배정되었고, 나머지 43만 500명은 육군에 배정되었다.
육군 예비대(''자파스'')는 국가 민병대(''오폴체니예'')로 알려졌으며 두 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제1선 예비군은 현역 복무를 마쳤거나 복무 적격 판정을 받은 21세에서 43세 사이의 남성이었다. 제2선 예비군은 전투 임무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지만 여전히 신체 건강한 동일 연령대의 남성이었다. 제1선 예비군 일부는 최대 6주간의 두 차례 훈련을 받을 의무가 있었다. 예비 장교는 자원병으로, 일정 수준의 교육을 받은 남성으로 단기간 현역 복무 후 예비군에 합류할 수 있었으며, 소위(''프라포르시크'') 계급을 받았다.
러시아 제국 육군은 알렉산드르 2세 이후 군관구 - 군단 - 사단 - 여단 - 연대가 기본적인 지휘 계통이었다. 내(內) 군관구는 평시 최대 군사 작전 단위(전시에는 전선, 군 편성이 보이기도 했다)이며, 사령관은 병과 대장 또는 중장이었다. 군단장은 중장(드물게 병과 대장), 사단장도 중장(제1차 세계 대전 말기 등 극히 드물게 소장), 여단장은 소장(제1차 세계 대전 말기 등 극히 드물게 대좌), 연대장은 대좌(극히 드물게 소장)가 각각 임명되었다.
}}
|thumb|right|320px|러시아 제국 군관구 (1913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의 군관구는 다음과 같다.
- 모스크바 군관구
- 옴스크 군관구
- 프리 아무르 군관구
- 상트페테르부르크 군관구
- 투르케스탄 군관구
4. 계급 제도
러시아 제국 육군의 계급 체계는 보병, 포병, 일반 기병, 코사크 기병대 등 병과별로 다양한 명칭을 사용했다.[41] 각 병과의 계급은 다음과 같다.
보병 | 포병 | 일반 기병 | 코사크 기병대 | 그림 |
---|---|---|---|---|
병사 | ||||
랴도보이/рядовойru (병사) | 카노니르/канониръru (포수) | 랴도보이/рядовойru (병사) | 카자크/казакъru (코사크) | ![]() |
예프레이토르/ефрейторъru (병장) | 봄바르디르/бомбардиръru (포병장) | 예프레이토르/ефрейторъru (병장) | 프리카즈니/приказныйru | ![]() |
부사관 | ||||
믈라치 운테르-오피체르/младшій унтеръ-офицеръru (하사) | 믈라치 페예르베르케르/младшій фейерверкеръru (하사) | 믈라치 운테르-오피체르/младшій унтеръ-офицеръru (하사) | 믈라치 우랴드니크/младшій урядникъru | ![]() |
스타르시 운테르-오피체르/старшій унтеръ-офицеръru (중사) | 스타르시 페예르베르케르/старшій фейерверкеръru (중사) | 스타르시 운테르-오피체르/старшій унтеръ-офицеръru (중사) | 스타르시 우랴드니크/старшій урядникъru | ![]() |
펠트페벨/фельдфебельru (상사) | 펠트페벨/фельдфебельru (상사) | 바흐미스트르/вахмистръru (상사) | 바흐미스트르/вахмистръru | ![]() |
포드프라포르시치크/подпрапорщикъru (원사) | 포드프라포르시치크/подпрапорщикъru (원사) | 포드호룬지/подхорунжійru | ![]() | |
자우랴드-프라포르시치크/зауряд-прапорщикъru (준위) | 자우랴드-프라포르시치크/зауряд-прапорщикъru (준위) | ![]() | ||
위관장교 및 영관장교 | ||||
프라포르시치크/прапорщикъru (하급 소위) | 프라포르시치크/прапорщикъru (하급 소위) | ![]() | ||
포드포루치크/подпоручикъru (소위) | 포드포루치크/подпоручикъru (소위) | 코르네트/корнетъru (기수) | 호룬지/хорунжійru (기수) | ![]() |
포루치크/поручикъru (중위) | 포루치크/поручикъru (중위) | 포루치크/поручикъru (중위) | 소트니크/сотникъru (백부장) | ![]() |
시탑스-카피탄/штабсъ-капитанъru (보좌대위) | 시탑스-카피탄/штабсъ-капитанъru (보좌대위) | 시탑스-로트미스트르/штабсъ-ротмистръru (보좌중대장) | 포디예사울/подъесаулъru | ![]() |
카피탄/капитанъru (대위) | 카피탄/капитанъru (대위) | 로트미스트르/ротмистръru (중대장) | 예사울/есаулъru | ![]() |
포드폴코브니크/подполковникъru (중령) | 포드폴코브니크/подполковникъru (중령) | 포드폴코브니크/подполковникъru (중령) | 보이스코보이 스타르시나/войсковой старшинаru | ![]() |
폴코브니크/полковникъru (대령) | 폴코브니크/полковникъru (대령) | 폴코브니크/полковникъru (대령) | 폴코브니크/полковникъru (대령) | ![]() |
장군 계급 | ||||
게네랄-마요르/генералъ-майоръru (소장) | 게네랄-마요르/генералъ-майоръru (소장) | 게네랄-마요르/генералъ-майоръru (소장) | 게네랄-마요르/генералъ-майоръru (소장) | ![]() |
게네랄-레이테난트/генералъ-лейтенантъru (중장) | 게네랄-레이테난트/генералъ-лейтенантъru (중장) | 게네랄-레이테난트/генералъ-лейтенантъru (중장) | 게네랄-레이테난트/генералъ-лейтенантъru (중장) | ![]() |
게네랄 오트 인판테리/генералъ отъ инфантеріиru (보병대장) | 게네랄 오트 아르틸레리/генералъ отъ артиллеріиru (포병대장) | 게네랄 오트 카발레리/генералъ отъ кавалеріиru (기병대장) | ![]() | |
게네랄-펠트마르샬/генералъ-фельдмаршалъru (야전원수) | ![]() | |||
1913년, 모든 연대에 야전 회색(녹색 회색) 군복이 지급되었고, 제국 근위대, 기병, 코사크, 기병 포병 부대는 별도의 예복을 유지했다. 쿠반 및 테레크 코사크는 야전 군복 블라우스 대신 체르케스카를 입었다.
계급장은 어깨 끈을 통해 구별되었으며, 제국 근위대 부대는 파이핑 및 단추 색상으로, 그 외 부대는 연대 번호, 문자, 머리글자, 기호 등을 조합한 구별 표시로 구분했다. 야전 군복 대외투의 어깨 끈 색상은 보병, 기병, 코사크 부대에 따라 달랐지만, 포병 및 공병은 진홍색, 지원 부대는 파란색 어깨 끈을 사용했다.
장군의 호칭은 "각하", 중장과 소장은 "각하", 야전 장교는 "고귀한 명예", 다른 장교는 "명예", 부사관은 "미스터"("gospodin") 다음에 계급을 붙여 불렀다.
5. 병과
6. 참여한 주요 전쟁
러시아 제국 육군은 대북방 전쟁에 참전하였다. 또한 7년 전쟁에도 참전하였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도 활약했다. 크림 전쟁에서는 영국군 참호에 돌격하는 등 전투를 벌였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에도 참전했다. 북청 사건 진압에 참여했다. 러일 전쟁에서는 퇴각 중인 러시아 포병의 모습이 기록으로 남아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하였다.
참조
[1]
뉴스
Day of the Ground Forces of Russia. Dossier
https://tass.ru/info[...]
TASS
2015-08-31
[2]
간행물
Military Reforms in Russia: Brief Historical Reference
Voyennaya Mysl
1992-05-19
[3]
문서
This article includes content derived from the Great Soviet Encyclopedia, 1969–1978
[4]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Russia
2006
[5]
서적
Lord and Peasant in Russia from the Ni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1971
[6]
서적
Eagles Over the Alps: Suvorov in Italy and Switzerland, 1799
Emperor's Press
1999
[7]
문서
p. 33
[8]
웹사이트
Maps of Napoleon's Campaign In Poland 1806–7
http://www.mipolonia[...]
[9]
간행물
Losy żołnierzy powstania listopadowego wcielonych do armii carskiej
[10]
서적
A People's Tragedy
[11]
서적
A People's Tragedy
[12]
서적
A People's Tragedy
[13]
서적
The Soviet High Command 1918–1941: A Military-Political History 1918–1941
St Martin's Press (Macmillan)
1962
[14]
문서
2005
[15]
문서
2007
[16]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https://books.google[...]
Brill
2001
[17]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https://books.google[...]
Brill
2001
[18]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https://books.google[...]
Brill
2001
[19]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https://books.google[...]
Brill
2001
[20]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https://books.google[...]
Brill
2001
[21]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https://books.google[...]
Brill
2001
[22]
뉴스
How Russia's steppe warriors took on Napoleon's armies
https://www.rbth.com[...]
Russia & India Report
2014-07-29
[23]
서적
Swords Around a Throne: Napoleon's Grande Armée
https://books.google[...]
Perseus Books Group
1997
[24]
서적
Napoleon and the Struggle for Germany: Volume 2, The Defeat of Napoleon: The Franco-Prussian War of 181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4]
서적
Napoleon and the Struggle for Germany: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5]
서적
Russia, 1762–1825: Military Power, the State, and the People
https://books.google[...]
ABC-CLIO
2008
[26]
뉴스
Islam in the Russian Army
http://islam.ru/en/c[...]
Islam Magazine
2005
[27]
서적
Russian Eyewitness Accounts of the Campaign of 1807
https://books.google[...]
Frontline Books
2015
[28]
서적
In the Service of the Tsar Against Napoleon: The Memoirs of Denis Davidov, 1806–1814
https://books.google[...]
Greenhill Books
1999
[29]
서적
The Russian Empire: A Multi-ethnic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0]
서적
Minority Accommodation through Territorial and Non-Territorial Autonom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5
[31]
서적
Russia Against Napoleon: The True Story of the Campaigns of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0
[32]
서적
Russia Against Napoleon: The True Story of the Campaigns of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0
[33]
서적
Law, Rights and Ideology in Russia: Landmarks in the Destiny of a Great Pow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4]
서적
Threads of Empire: Loyalty and Tsarist Authority in Bashkiria, 1552–1917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
[35]
웹사이트
Military Service in Russia
http://www.yivoencyc[...]
2015-03-01
[36]
서적
Jews in the Russian Army, 1827–1917: Drafted into 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8-00 # August 2023에서 월 정보만 추출 가능. 정확한 일자는 알 수 없음.
[37]
웹사이트
Military Conscription in 19th Century Russia
http://www.jewishgen[...]
[38]
서적
Armies of the Baltic Independence Wars, 1918–20
Bloomsbury
[39]
서적
Latvia
Bradt Travel Guides
[40]
서적
General Staff, War Office
London
1914-00-00 # 정확한 날짜 정보 없음.
[41]
웹인용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uniforms and insignia
https://www.uniformi[...]
2024-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