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 프로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미 프로는 1976년을 배경으로, 윌 페럴이 주연을 맡아, 아메리칸 농구 협회(ABA) 팀 플린트 트로픽스를 인수한 가수 재키 문의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영화이다. ABA와 NBA의 합병을 앞두고, 재키는 팀을 NBA에 진출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영화는 플린트 트로픽스의 선수들과 재키 문, 에드 모닉스, 클래런스 위더스 등의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흥행에는 성공하여 개봉 첫 주에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코미디 영화 - 슈팅 라이크 베컴
슈팅 라이크 베컴은 2002년 개봉한 영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영국계 인도인 소녀가 축구에 대한 열정을 가족과 사회적 편견 속에서 펼쳐나가는 이야기를 다루며,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 스포츠 코미디 영화 - 장난감이 살아있다
소심한 테이블 축구 선수 아마데오가 과거 자신에게 패배한 축구 스타 그로소에게 복수당할 위기에 처하자, 테이블 축구 인형들이 살아 움직여 그를 돕는다는 내용의 2013년 아르헨티나-스페인 합작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샌안토니오 스퍼스 - 프로스트 뱅크 센터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있는 프로스트 뱅크 센터는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홈구장이자 다양한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SBC 센터와 AT&T 센터를 거쳐 2023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샌안토니오 스퍼스 - 알라모돔
알라모돔은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있는 다목적 돔형 경기장으로,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대형 이벤트를 수용할 수 있으며 최대 72,000명까지 수용 가능하고, 1993년부터 2002년까지 NBA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알라모 볼,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 로열 럼블 등 주요 행사를 개최해왔다. - 미국의 농구 영화 - 코치 카터
《코치 카터》는 켄 카터 감독이 이끄는 리치먼드 고등학교 농구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2005년 미국 영화로, 사무엘 L. 잭슨이 연기한 카터 감독의 엄격한 교육 방식과 선수들의 성장, 그리고 승리보다 중요한 가치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미국의 농구 영화 - 식스맨 (영화)
《식스맨》은 1997년 개봉한 스포츠 코미디 영화로, 형제 앙투안과 케니 타일러가 농구를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앙투안의 유령 도움과 갈등을 거쳐 케니가 결승 슛을 성공시키며 팀을 우승으로 이끈다.
세미 프로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세미-프로 |
원제 | Semi-Pro |
장르 | 스포츠 코미디 영화 |
감독 | 켄트 알터먼 |
제작자 | 지미 밀러 |
각본 | 스콧 암스트롱 |
출연 | 윌 페럴 우디 해럴슨 앙드레 벤저민 모라 티어니 윌 아넷 데이비드 코에크너 |
음악 | 시오도어 샤피로 |
촬영 | 셰인 헐벗 |
편집 | 데브라 닐-피셔 피터 테슈너 |
스튜디오 | 모자이크 미디어 그룹 더 도너스 컴퍼니 |
배급사 | 뉴 라인 시네마 가가 (일본) |
개봉일 | 2008년 2월 29일 |
상영 시간 | 92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5500만 달러 |
흥행 수익 | 4390만 달러 |
2. 줄거리
1976년, 가수 재키 문(윌 페렐)은 자신의 원 히트 원더 곡 "Love Me Sexy"로 벌어들인 돈으로 아메리칸 농구 협회(ABA) 소속 농구팀인 플린트 트로픽스를 사들인다. 그는 구단주, 감독, 주전 파워 포워드, 그리고 경기 전 아나운서 역할까지 도맡는다. 하지만 트로픽스는 리그 최하위 팀이었다.
영화의 주연은 코미디언으로 유명한 윌 페럴이 맡았으며, 그는 가상의 아메리칸 농구 협회(ABA) 팀 '플린트 트로픽스'의 구단주이자 선수, 코치인 재키 문 역할을 연기한다. 이 외에도 우디 해럴슨이 전 NBA 선수 출신 에드 모닉스 역을, 래퍼 앙드레 벤자민이 NBA 진출을 꿈꾸는 클래런스 위더스 역을 맡았다. 모라 티어니는 에드 모닉스의 연인 린 역으로, 윌 아넷은 트로픽스의 괴짜 해설자 루 레드우드 역으로 출연한다. 상세한 등장인물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느 날 구단주 회의에서 ABA 커미셔너는 아메리칸 농구 협회(ABA)를 전미 농구 협회(NBA)와 합병할 계획을 발표하며, ABA 팀 중 상위 4개 팀만이 NBA에 합류할 수 있다고 밝힌다. 또한, 각 홈 경기마다 최소 2,000명의 관중을 동원해야 한다는 조건도 추가된다. 리그 최악의 성적과 인기를 가진 트로픽스는 해체될 위기에 놓인다. 재키는 팀의 존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상위 4개 팀이 합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커미셔너는 이를 받아들인다.
재키는 팀의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세탁기를 파는 등 노력하며, 켄터키 콜로넬스로부터 전 보스턴 셀틱스 백업 포인트 가드 에드 모닉스(우디 해럴슨)를 영입한다. 모닉스는 NBA 우승 경험이 있지만 플레이오프에서는 뛰지 못했다. 재키는 관중 수를 늘리기 위해 살아있는 곰과 레슬링을 하는 등 필사적인 쇼맨십을 벌인다. 모닉스는 주전 포인트 가드이자 코치 보조 역할을 맡아, 선수들이 토할 때까지 뛰게 하는 'Puke' 전술 등으로 팀을 혹독하게 훈련시킨다.
모닉스의 지도와 팀의 에이스인 클래런스 위더스(앤드레 벤자민)의 집중력 향상 덕분에 트로픽스는 연승을 거두며 꼴찌에서 5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린다. 하지만 커미셔너는 NBA가 플린트를 충분히 큰 미디어 시장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설령 트로픽스가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1위 팀인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이겨 4위 안에 들더라도 NBA 합류는 불가능하다고 통보한다. 충격에 빠진 재키는 자신의 히트곡 "Love Me Sexy"가 사실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3주 전에 냅킨에 적어둔 것을 훔친 것이라고 고백한다. 자신의 모든 것이 거짓 위에 세워졌음을 깨달은 그는 위더스가 NBA에서 뛰는 꿈을 이룰 수 있도록 그를 스퍼스로 트레이드한다. 그러나 모닉스는 남은 선수들을 다시 규합하고, 비록 팀의 미래는 없더라도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싸우자고 독려한다.
운명의 스퍼스와의 마지막 홈 경기, '메가볼'이라 명명된 이 경기에서 트로픽스는 승리해도 NBA에 갈 수 없었지만 4위 자리를 놓고 싸웠다. 트로픽스는 초반 열세를 보이고, 재키는 전반 종료 직전 심한 파울을 당해 의식을 잃는다. 이를 지켜보던 위더스는 스퍼스에서의 기회를 포기하고 트로픽스 라커룸으로 돌아온다. 의식을 잃은 재키는 천국에서 어머니를 만나 노래를 훔친 것을 사과하고, 어머니로부터 승리의 비책을 얻는 꿈을 꾼다.
후반전, 트로픽스는 새로운 무기인 알리웁을 선보인다. 위더스의 복귀와 함께 알리웁은 효과를 발휘하지만, 심판은 처음에 이를 파울로 선언한다. 재키와 모닉스의 설득 끝에 정당한 플레이로 인정받는다. 경기 종료 몇 초 전, 스퍼스가 알리웁을 막아내며 점수는 117-115로 트로픽스가 2점 뒤진다. 모닉스는 타임아웃을 부르고 'Puke' 작전을 지시한다. 여러 번의 패스 끝에 공이 재키의 손에 들어간다. 그러나 그는 경기 종료 2초를 남기고 다시 심한 파울을 당해 자유투 2개를 얻는다. 할머니 스타일로 던진 첫 번째 자유투는 성공한다. 두 번째 슛은 림을 맞고 튕겨 나오지만, 모닉스가 버저비터 팁인 슛을 성공시켜 118-117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둔다. 경기장은 열광적인 축제 분위기에 휩싸인다.
경기 후, 스퍼스 코치는 위더스에게 다시 팀 합류를 제안한다. 전 ABA 커미셔너는 트로픽스를 성공적으로 이끈 재키의 마케팅 능력을 인정하여 그에게 NBA 마케팅 이사 자리를 제안한다.
3. 등장인물
3. 1. 플린트 트로픽스
1976년, 가수 재키 문은 자신의 원 히트 원더 히트곡 "Love Me Sexy"로 번 돈을 사용하여 미시간주 플린트를 연고지로 하는 아메리칸 농구 협회(ABA) 농구팀 '플린트 트로픽스'를 인수한다. 그는 팀의 구단주이자 선수(파워 포워드), 감독, 그리고 경기 전 아나운서 역할까지 도맡아 하지만, 시합 전 자신의 공연에만 집중하는 등 팀 운영에는 소홀하여 팀의 실력과 인기는 리그 최하위 수준에 머문다.
그러던 중 ABA 구단주 회의에서 리그가 경영난으로 인해 경쟁 리그인 전미 농구 협회(NBA)와 합병될 것이라는 발표가 나온다. 합병 조건은 ABA 팀 중 상위 4개 팀만이 NBA에 편입되고, 나머지 팀들은 해체된다는 것이었다. 또한, NBA 편입을 위해서는 홈 경기마다 최소 2,000명의 관중을 동원해야 한다는 조건까지 붙는다. 최악의 성적과 낮은 인기를 가진 트로픽스는 해체될 위기에 놓이고, 재키 문은 팀을 살리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며 분투하기 시작한다.
'''주요 인물'''
설명 | |
---|
윌 페렐 (재키 문) | "Love Me Sexy"로 유명한 원 히트 원더 가수 출신으로 트로픽스의 구단주, 선수(파워 포워드), 감독을 겸임한다. | |
우디 해럴슨 (에드 모닉스) | 전 NBA 챔피언(보스턴 셀틱스) 출신의 베테랑 선수이지만, 전성기는 지난 상태이다. | |
앙드레 3000 (클래런스 위더스) | 커피 블랙이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NBA에서 뛰는 것을 꿈꾸지만 실력보다는 말만 앞서는 경향이 있다. | |
마우라 티어니 | 에드 모닉스의 연인이다. | |
앤디 데일리 (딕 페퍼필드) | 트로픽스의 홈 경기 중계를 담당하는 아나운서이다. | |
윌 아넷 (루 레드우드) | 경기 중계를 하면서 담배를 피우고 스카치를 마시는 등 자유분방한 모습을 보이는 해설자이다. | |
앤디 리히터 (바비 디) | 플린트 트로픽스의 단장이다. | |
데이비드 코에너 (앨런 올트) | ABA의 회장으로, 재키 문과 트로픽스 팀을 탐탁지 않게 여긴다. | |
롭 코드리 | 린의 남자친구이다. | |
맷 월시 (패트 신부) | 직업은 신부이지만, 트로픽스 홈 경기를 포함한 다수의 ABA 경기에서 심판을 본다. | |
재키 얼 헤일리 (듀크스) | 실업자이지만 트로픽스의 열성 팬으로, 팀이 상금 1만달러를 얻도록 하프라인 슛 챌린지에 성공한다. | |
데레이 데이비스 (비비 엘리스) | 트로픽스의 주요 후보 선수(식스맨) 역할을 하는 가드 겸 포워드이다. | |
조쉬 브라텐 (트위기 문슨) | 트로픽스 팀의 스몰 포워드 포지션을 맡고 있다. | |
제이 필립스 (스쿠치 더블 데이) | 트로픽스 팀의 포인트 가드이다. | |
피터 코넬 (바키디스) | 소련/리투아니아 출신의 센터로, 영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 |
3. 2. 기타 등장인물
- 윌 페럴 - 재키 문 역: 플린트 트로픽스의 구단주 겸 선수 겸 코치. 과거 디스코 히트곡 "Love Me Sexy"로 유명하다.
- 우디 해럴슨 - 에드 모닉스 역: 나이 든 포인트 가드. 전 NBA 챔피언이지만 보스턴 셀틱스 시절 모든 플레이오프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 앙드레 벤자민 - 클래런스 위더스(일명 커피 블랙) 역: NBA 진출을 꿈꾸지만 말로만 그치는 선수.
- 마우라 티어니 - 린 역: 에드 모닉스의 연인.
- 앤디 데일리 - 딕 페퍼필드 역: 트로픽스 경기 중계 아나운서.
- 윌 아넷 - 루 레드우드 역: 트로픽스 경기 해설자. 중계 중 흡연과 음주를 한다.
- 앤디 리히터 - 바비 디 역: 트로픽스의 단장.
- 데이비드 케크너 - 앨런 올트 역: 재키 문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ABA 커미셔너.
- 롭 코드리 - 카일 역: 린의 남자친구.
- 맷 월시 - 팻 신부 역: 신부임에도 불구하고 트로픽스 홈 경기를 포함한 거의 모든 ABA 경기의 심판을 본다.
- 재키 얼 헤일리 - 듀크스 역: 실업자이자 열성 팬. 트로픽스가 지급할 수 없는 1만달러를 벌기 위해 풀 코트 슛을 성공시킨다.
- 데레이 데이비스 - 비 비 엘리스 역: 트로픽스의 가드 겸 포워드이자 식스맨.
- 조쉬 브라텐 - 트위기 먼슨 역: 트로픽스의 스몰 포워드.
- 제이 필립스 - 스쿠치 더블 데이 역: 트로픽스의 포인트 가드.
- 피터 코넬 - 바키디스 역: 트로픽스의 소련/리투아니아 출신 센터. 영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 이언 로버츠 - 샌안토니오 스퍼스 코치 역
- 콜렛 울프 - 멀린다 역
- 필 헨드리 - 브루클린 네츠 코치 역
- 패티 라벨 - 재키의 어머니 역
- 조지 거빈 - 레스토랑 손님 역 (카메오 출연)
3. 3. 카메오
- 패티 라벨 - 문 부인 역. 재키의 꿈에 등장하여 앨리웁을 발명한다.
- 팀 메도우스 - 코넬리우스 뱅크스 역. 재키의 친구로 트로픽스 팀에서 뛰고 있다고 생각한다.
- 제이슨 서데이키스 - 나초 팬 역. 트로픽스 시즌 티켓 소지자 중 한 명이다.
- 크리스틴 위그 - 곰 조련사 역.
- 엘리아 잉글리쉬 - 퀸시 부인 역. 클래런스의 어머니로, 아들과 팀을 응원하기 위해 모든 트로픽스 경기에 자랑스럽게 참석한다.
- 에드 헬름스 - 터틀넥 역. 재키가 옷차림으로 부르는 기자이다.
- 브라이언 허스키 - 흰 바지 역. 재키가 옷차림으로 부르는 기자이다.
- 찰린 이 - 휠체어 조디 역.
- 폴 러스트 - 휠체어 소년 역.
- 스티브 배노스 - 감옥의 경찰 역.
- 조지 거빈 - 식당 손님 역.
또한, 전 아메리칸 농구 협회 선수인 아티스 길모어와 조지 거빈은 식당 손님 역할로, 이미 광범위한 ''SNL'' 출연진 목록에는 나이트클럽 DJ 역할의 제리 마이너가 크레딧에 오르지 않은 채 출연한다.[3]
4. 제작진
- 감독 - 켄트 알터먼
- 제작 - 지미 밀러
- 제작 총괄 - 로런 슐러 도너 외
- 각본 - 스코트 암스트롱
- 음악 - 시어도어 샤피로
- 촬영 - 셰인 할버트
- 편집 - 데브라 닐 피셔
- 의상 - 수잔 매시슨
5. 마케팅
- 예고편에 1-800-TROPICS 전화번호를 노출하여, 해당 번호로 전화하면 주인공 재키 문(윌 페렐 분)이 1976년 시즌 티켓 패키지를 홍보하는 녹음된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했다.
- 윌 페렐이 재키 문으로 분장하여 안호이저-부시(Anheuser-Busch) 광고를 여러 편 촬영했으며, 이 광고들은 슈퍼볼 XLII 중계 시간에 방영되었다.[5] 일부 광고는 1977년 11월 만료를 조건으로 유머러스한 판촉 상품을 홍보하기도 했다.[6]
- 재키 문의 극중 히트곡 "Love Me Sexy"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다.
- 윌 페렐은 올드 스파이스(Old Spice) 데오도란트 텔레비전 광고에도 재키 문 역할로 출연했다.
- 영화 개봉 2주 전, 텍사스주 오스틴의 알라모 드래프트하우스에서 사전 시사회가 열렸으며, 주연 배우 윌 페렐과 켄트 알터먼 감독이 참석했다. 이 시사회에서는 관객들에게 영화 속 윌 페렐이 입은 것과 유사한 농구 유니폼 착용을 요구했다.
- 공식 재키 문 ''세미 프로'' 의상이 2008년 여름 핼러윈 시즌을 겨냥하여 출시되었다.[7]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수영복 특집호에 윌 페렐과 모델 하이디 클룸이 함께 등장하는 화보가 실렸다.[8]
6. 평가
(내용 없음)
6. 1. 비평가 반응
''세미 프로''는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로튼 토마토는 161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영화에 22%의 긍정적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4.5/10이다. 이 사이트의 비평가 합의는 "''세미 프로''는 스포츠 풍자에 대한 간헐적으로 웃기지만, 열의가 부족한 시도이며, 윌 페렐의 영화 작품 중 약한 작품 중 하나이다."[9] 메타크리틱은 29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영화의 평균 점수가 100점 만점에 47점이라고 보고했다.[10]''뉴욕 타임스''의 맷 졸러 자이츠는 "''세미 프로''는 스포츠 멜로드라마와 패러디 사이의 균형점을 찾았으며, 90분 동안 즐겁게 이 균형점을 활용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1] ''롤링 스톤''에 글을 기고한 피터 트래버스는 "각본가 스콧 암스트롱이 헛발질을 할 때, 페렐은 슬램덩크를 한다."고 언급하며 배우의 연기를 높이 샀다.[12] ''USA 투데이''의 클라우디아 푸이그는 "정확히 슬램덩크는 아니지만, ''세미 프로''는 확실히 세미 웃음 이상이다."라고 평했다.[13] 반면, 더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윌론스키는 이 영화에 4점 만점에 2점을 주며, 켄트 알터먼 감독이 "거품에 약간의 진정성과 인간미를 더해 공식을 수정하려 했지만, 너무 모험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결국, 그것은 코미디식 편안한 음식이며, 상자에서 꺼낸 가루 같은 것이다."라고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14]
6. 2. 흥행 성적
개봉 주말에 이 영화는 미국과 캐나다의 3,121개 극장에서 15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15] AP통신의 알리샤 창은 이 영화의 개봉 실적이 윌 페럴의 이전 스포츠 풍자 영화인 4700만달러로 개봉한 ''Talladega Nights''와 3300만달러로 개봉한 ''Blades of Glory''에 비해 "저조하다"고 평가했다. 이 영화는 북미(미국 및 캐나다)에서 3347.9999999999995만달러, 해외에서 1041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전 세계적으로 총 4388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2]7.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결과 |
---|---|---|---|
2008 | ESPY 어워드 | 최우수 스포츠 영화 ESPY 어워드 | 수상 |
2008 | 2008년 틴 초이스 어워드 | 틴 초이스 어워드 - 영화 코미디 부문 | 후보 |
8. 사운드트랙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 음반은 2008년 2월 26일에 뉴 라인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음반에는 라벨, 워, 커티스 메이필드, 윌 페렐 등의 펑크 음악이 수록되었다. 특히 영화에서 윌 페렐이 연기한 가상의 인물 재키 문이 부른 "Love Me Sexy"가 첫 번째 트랙으로 실렸다.
번호 | 곡 제목 | 아티스트 |
---|---|---|
1 | "Love Me Sexy" | 윌 페렐 |
2 | "Get Da Funk Out Ma' Face" | 브라더스 존슨 |
3 | "레이디 마멀레이드" | 라벨 |
4 | "The World Is a Ghetto" | 워 |
5 | "Tell Me Something Good" | 로니 로스 |
6 | "Mr. Big Stuff" | 진 나이트 |
7 | "Give Me Just a Little More Time" | 체어맨 오브 더 보드 |
8 | "Why Cant We Be Friends" | 워 |
9 | "Walking in Rhythm" | 더 블랙버즈 |
10 | "Dance to the Music"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11 | "Love Rollercoaster"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 |
12 | "Que Sera, Sera (Whatever Will Be, Will Be)"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13 | "Move On Up" | 커티스 메이필드 |
14 | "Shining Star" | 엘리야 켈리 |
9. 기타
이 영화는 2008년 6월 3일에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로 출시되었다. 극장 개봉 버전은 R 등급 DVD로 나왔으며, 2 디스크 "Let's Get Sweaty" 무등급판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도 함께 발매되었다. 특별 부록에는 무등급 삭제 장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emi-Pro (2008)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
웹사이트
Semi-Pro (2008)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8-05-01
[3]
웹사이트
Which Movie Has the Most 'SNL' Cast Members In It?
https://www.vulture.[...]
2013-07-18
[4]
뉴스
Grizzly bear kills man at Southern California training site
https://www.usatoday[...]
2008-04-23
[5]
뉴스
Anheuser-Busch brews up batch of Bowl ads
https://www.usatoday[...]
2008-01-29
[6]
웹사이트
Will Ferrell/Jackie Moon Old Spice Semi-Pro Commercials
http://tv.popcrunch.[...]
TV Crunch
2008-02-11
[7]
웹사이트
Semi-Pro Costume
http://www.jackiemoo[...]
Jackiemooncostumes.com
[8]
간행물
SI.com: Will Ferrell & Heidi Klum
http://sportsillustr[...]
[9]
웹사이트
Semi-Pro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10]
웹사이트
Semi-Pro (2008): Reviews
http://www.metacriti[...]
Metacritic
[11]
뉴스
Semi-Pro - Movies - Review
https://www.nytimes.[...]
2008-02-29
[12]
간행물
Semi-Pro
https://www.rollings[...]
[13]
웹사이트
Will Ferrell scores points for comedy in 'Semi-Pro' - USATODAY.com
http://usatoday30.us[...]
[14]
뉴스
"Semi-Pro': Only Half Bad"
http://www.villagevo[...]
2008-02-26
[15]
웹사이트
Semi-Pro (2008) – Weekend Box Office Results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16]
웹인용
Semi-Pro (2008)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024-10-25
[17]
웹인용
Semi-Pro
https://www.boxoffic[...]
2024-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