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라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 라이트는 1938년 고이와이 농장에서 태어난 경주마로, 1941년 사츠키상, 도쿄 유슌(일본 더비), 국화상을 모두 석권하며 일본 경마 역사상 최초의 삼관마가 되었다. 12번의 경주에서 9번 우승했으며, 특히 도쿄 유슌에서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은퇴 후 종마로 활동하며 여러 우수 자마를 배출했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미쓰비시 재벌 해체와 고이와이 농장의 서러브레드 생산 금지로 인해 교배 환경이 악화되었다. 1965년 사망했으며, 1984년 JR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세인트 라이트는 온순하고 다루기 쉬운 성격과 뛰어난 신체 능력을 갖춘 경주마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인트 라이트 | |
---|---|
경주마 정보 | |
말 이름 | 세인트 라이트 |
영어 이름 | St Lite |
![]() | |
성별 | 수말 |
털색 | 흑갈색 |
품종 | 서러브레드 |
출생일 | 1938년 4월 2일 |
사망일 | 1965년 2월 15일 |
아버지 말 | 다이오라이트 |
어머니 말 | 플리펀시 |
외조부 말 | 플람보연트 |
생산지 | 고이와이 농장 |
국적 | (이와테현 시즈쿠이시마을) |
마주 | 가토 유사쿠 |
조련사 | 다나카 가즈이치로 (도쿄) |
마방 | 야마자키 도모지로 |
경력 | |
통산 성적 | 12전 9승 2무 1패 |
총 상금 | 87,400 엔 |
주요 우승 | 요코하마 농림성 상전 4세 호마 (1941년) 도쿄 우준 경주 (1941년) 교토 농상성 상전 4세 호마 (1941년) 요코하마 노쇼 (1941년) |
수상 및 기념 | |
수상 | JRA 현창마 (1984년 선정) |
기념 | 나카야마 경마장 세인트 라이트 기념 |
2. 경력
1938년 미쓰비시 재벌 산하 고이와이 농장에서 태어난 세인트 라이트는 1940년 경매에서 출판사 비분각 사장 가토 유사쿠에게 낙찰되었다.[4][5]
1941년 사츠키상, 도쿄 유슌(일본 더비), 국화상을 제패하여 일본 경마 사상 최초의 3관마가 되었다. 특히 도쿄 유슌에서는 2착마 스테이츠를 8마신 차로 따돌리는 압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현재까지도 일본 더비 역사상 최다 착차 기록이다.[12] 통산 성적은 12전 9승이다.
제실어상전(천황상의 전신) 출전을 앞두고 은퇴했는데, 마주 가토는 4세마에게 72kg의 부담 중량을 지게 하는 것에 반대하여 은퇴를 결정했다.[17] 이에 대해 작가 기쿠치 칸은 "천하의 명마도 그와 같이 인정받고 비로소 끝을 온전히 할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라며 칭찬했다.[18]
은퇴 후에는 고이와이 농장에서 종마로 활동하며 오라이트, 오언스, 세인트 오 등 여러 우수한 자마를 배출했다.[1] 태평양 전쟁 이후, GHQ에 의해 미쓰비시 재벌이 해체되고 고이와이 농장이 서러브레드 생산을 금지당하면서, 1949년부터 이와테 축산 시험장으로 옮겨졌다.[20] 1965년 2월 1일, 노쇠로 인해 사망했으며, 1984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려 JR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경주 성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경마장 | 레이스명 | 인기 | 착순 | 거리 | 부담 중량 | 타임 | 기수 | 착차 | 우승마 (2착마) |
---|---|---|---|---|---|---|---|---|---|---|
1941. 3. 15 | 요코하마 | 신호마 | 7인 | 잔디 1700 (중) | 55 | 1.53.0 | 고니시 키조 | 5마신 | (오토모) | |
3. 30 | 요코하마 | 요코하마 농림성상전 4세 호마 | 1인 | 잔디 1850 (양) | 57 | 1.59.2 | 고니시 키조 | 3마신 | (미나미모아) | |
4. 5 | 나카야마 | 호마 | 1인 | 잔디 2000 (초) | 58 | 2.12.8 | 고니시 키조 | 2 1/2마신 | (카미와카) | |
4. 27 | 나카야마 | 호마 | 1인 | 잔디 2200 (양) | 58 | 2.23.4 | 아베 쇼타로 | 1 1/4마신 | (패스트 라이트) | |
5. 3 | 도쿄 | 고호마 특수 핸디캡 | 3인 | 잔디 2300 (양) | 58 | style="text-align: right;"| | 고니시 키조 | 머리 | 시지리다케 | |
5. 10 | 도쿄 | 고호마 | 1인 | 잔디 2300 (양) | 61 | 2.27.6 | 고니시 키조 | 머리 | (에스테이츠) | |
5. 18 | 도쿄 | 도쿄 유슌 경주 | 2인 | 잔디 2400 (중) | 57 | 2.40.2 | 고니시 키조 | 8마신 | (스테이츠) | |
9. 27 | 요코하마 | 고호마 특수 핸디캡 | 2인 | 잔디 2200 (양) | 66 | style="text-align: right;"| | 고니시 키조 | 스테이츠 | ||
10. 5 | 요코하마 | 고호마 | 2인 | 잔디 2200 (초) | 66 | 2.30.6 | 고니시 키조 | 1마신 | (에스테이츠) | |
10. 12 | 요코하마 | 요코하마 농림성상전 4·5세 호마 | 1인 | 잔디 2800 (양) | 56 | 3.08.0 | 고니시 키조 | 목 | (미스 미나미) | |
10. 18 | 교토 | 고호마 | 1인 | 잔디 2400 (중) | 68 | style="text-align: right;"| | 고니시 키조 | 2마신 | 코쿠초 | |
10. 26 | 교토 | 교토 농림성상전 4세 호마 | 1인 | 잔디 3000 (중) | 57 | 3.22.6 | 고니시 키조 | 2 1/2마신 | (미나미모아) |
2. 1. 탄생 배경
1938년, 미쓰비시 재벌이 경영하는 고이와이 농장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영국 클래식 경주 우승마인 다이올라이트였고, 어머니는 영국에서 수입된 플리펀시였다.[4][5] 플리펀시는 나중에 팔대 경주라 불리는 경주 우승마를 4마리나 배출한 일본 경마 사상 유일한 암말로, 4마리에서의 8대 경주계 8승은 사상 최다 기록이다. 또한, 후손으로부터도 야시마벨, 노스 거스트 등 수많은 활약마가 나왔다.가토 유사쿠는 다이올라이트를 열광적으로 지지하여 잡지에 '다이올라이트 예찬기'라는 문장을 기고하기도 하였다.[37][38]
1940년, 고이와이 농장의 경매에 출품된 세인트 라이트는 출판사 비분각 사장 가토 유사쿠에게 32200JPY(1만 2200엔이라는 설도 있음[7])에 낙찰되었다.[4][5]
2. 2. 경주 성적
날짜 | 경마장 | 레이스명 | 인기 | 착순 | 거리 | 부담 중량 | 타임 | 기수 | 착차 | 우승마 (2착마) |
---|---|---|---|---|---|---|---|---|---|---|
1941. 3. 15 | 요코하마 | 신호마 | 7인 | 잔디 1700 (중) | 55 | 1.53.0 | 고니시 키조 | 5마신 | (오토모) | |
3. 30 | 요코하마 | 요코하마 농림성상전 4세 호마 | 1인 | 잔디 1850 (양) | 57 | 1.59.2 | 고니시 키조 | 3마신 | (미나미모아) | |
4. 5 | 나카야마 | 호마 | 1인 | 잔디 2000 (초) | 58 | 2.12.8 | 고니시 키조 | 2 1/2마신 | (카미와카) | |
4. 27 | 나카야마 | 호마 | 1인 | 잔디 2200 (양) | 58 | 2.23.4 | 아베 쇼타로 | 1 1/4마신 | (패스트 라이트) | |
5. 3 | 도쿄 | 고호마 특수 핸디캡 | 3인 | 잔디 2300 (양) | 58 | style="text-align: right;"| | 고니시 키조 | 머리 | 시지리다케 | |
5. 10 | 도쿄 | 고호마 | 1인 | 잔디 2300 (양) | 61 | 2.27.6 | 고니시 키조 | 머리 | (에스테이츠) | |
5. 18 | 도쿄 | 도쿄 유슌 경주 | 2인 | 잔디 2400 (중) | 57 | 2.40.2 | 고니시 키조 | 8마신 | (스테이츠) | |
9. 27 | 요코하마 | 고호마 특수 핸디캡 | 2인 | 잔디 2200 (양) | 66 | style="text-align: right;"| | 고니시 키조 | 스테이츠 | ||
10. 5 | 요코하마 | 고호마 | 2인 | 잔디 2200 (초) | 66 | 2.30.6 | 고니시 키조 | 1마신 | (에스테이츠) | |
10. 12 | 요코하마 | 요코하마 농림성상전 4·5세 호마 | 1인 | 잔디 2800 (양) | 56 | 3.08.0 | 고니시 키조 | 목 | (미스 미나미) | |
10. 18 | 교토 | 고호마 | 1인 | 잔디 2400 (중) | 68 | style="text-align: right;"| | 고니시 키조 | 2마신 | 코쿠초 | |
10. 26 | 교토 | 교토 농림성상전 4세 호마 | 1인 | 잔디 3000 (중) | 57 | 3.22.6 | 고니시 키조 | 2 1/2마신 | (미나미모아) |
세인트 라이트는 1941년 사츠키상, 도쿄 유슌(일본 더비), 국화상을 제패하며 일본 경마 역사상 최초의 3관마가 되었다. 특히 도쿄 유슌에서는 2착마 스테이츠를 8마신 차로 따돌리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는데, 이는 현재까지도 일본 더비 역사상 최다 착차 기록으로 남아있다.[12] 통산 성적은 12전 9승이다.
2. 3. 은퇴 및 종마 활동
1941년, 세인트 라이트는 제실어상전(천황상의 전신) 출전을 앞두고 은퇴했다. 마주 카토는 4세마에게 72kg의 부담 중량을 지게 하는 것에 반대하며 은퇴를 결정했다.[17] 통산 성적은 12전 9승이었다. 카토는 쿠모하타를 소유했을 때도 제실어상전에서 2착을 한 후 은퇴시켰는데, 이에 대해 작가 기쿠치 칸은 "상금을 벌어들일 생각이라면 아직 쓸 수 있는데, 아낌없이 은퇴시켜 버린다. 아, 저런 곳은 정말 훌륭하다. 천하의 명마도 그와 같이 인정받고 비로소 끝을 온전히 할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라고 칭찬했다.[18]은퇴 후 고이와이 농장에서 종마로 활동하며, 오라이트(1947년 평화상, 교토 기념), 오언스(1950년 천황상 봄, 1951년 교토 기념 봄, 한신 기념), 세인트 오(1952년 국화상, 교토 4세 특별) 등 여러 우수한 자마를 배출했다.[1] 1950년과 1952년에는 씨수말 순위 8위, 1951년에는 9위를 기록했다. 세인트 라이트의 자손들은 253번의 경주에서 우승하여 32207750JPY을 벌었다.[1]
태평양 전쟁 이후, GHQ에 의해 미쓰비시 재벌이 해체되고 고이와이 농장이 서러브레드 생산을 금지당하면서, 1949년부터 이와테 축산 시험장으로 옮겨졌다.[20] 만년에는 눈에 띄는 활약마가 나오지 않았다.[21]
1965년 2월 1일, 노쇠로 인해 사망했다.[22] 신잔이 세인트 라이트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삼관마가 된 지 몇 달 후의 일이었다.
1984년, 그의 업적을 기려 JR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경주마로서의 특징
세인트 라이트는 온순하고 다루기 쉬운 성격으로, 경주에서는 어떤 위치에서든 경주를 할 수 있었고, 왕성한 투쟁심을 발휘하여 특히 경합에 강했다. 조교사 고니는 "경주에서는 아무 걱정도 없었습니다"라고 회고했다.[17]
체고(키)는 166cm, 체중은 500kg 이상[27]으로 당시 기준으로는 대형마였지만, "뚱뚱하고 뭉툭한 대형 전차"라는 조롱을 받을 정도로 스마트함이 부족한 체형이었다.[28] 그러나 매우 건강하고 튼튼한 신체를 지녔으며, "피로 회복이 빠른 말은 본 적이 없다"라는 평가를 받았다.[9]
3. 1. 성격
세인트 라이트는 매우 온순하고 다루기 쉬운 성격이었다. 경주에서는 어떤 위치에서든 경주를 할 수 있었고, 왕성한 투쟁심을 발휘하여 특히 경합에 강했다.[17] 조교사 고니는 "경주에서는 아무 걱정도 없었습니다"라고 회고했다. 또한 "삼관 경주 등의 큰 경주를 알고 있었다"라며 "질 수 없다며, 나에게 말하면서 달렸다"라고 말했다.[24]세인트 라이트는 평소에도 느긋한 편이었다. 마사가 있는 후추에서 요코하마까지 걸어갈 때, 보통 말이라면 8시간 걸릴 거리를 9시간이나 걸렸다고 한다.[10][25] 교토 농림성상전 4세 호마에 대비하여 서쪽으로 이동했을 때는, 마차가 없던 당시, 열차의 화차[26]에 흔들리며 2박 3일이라는 긴 여정이었지만, "태연한 얼굴로" 이를 해냈다고 한다.[15]
3. 2. 신체
세인트 라이트는 체고(키) 166cm, 체중 500kg 이상[27]으로 당시 기준으로는 대형마였다. 하지만, "뚱뚱하고 뭉툭한 대형 전차"라는 조롱을 받을 정도로 스마트함이 부족한 체형이었다.[28] 라이터 후지노 코이치로가 당시를 아는 조련사에게 취재한 결과, "저런 말은 전문가들은 사지 않는 말입니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28] 오가타 후지키치도 경매에서 세인트 라이트를 보았지만 구매를 피했다고 한다.[29] 일본중앙경마회 이사를 지낸 아오키 에이이치는 "검은 거체를, 제 기억으로는 큰 굽으로, 노싯노싯하는 느낌으로 마장에 나오는 모습은, 어둠 속의 소와 같은 느낌이었다"라고 회고했다.[30]그러나 세인트 라이트는 매우 건강하고 튼튼한 신체를 지녔다. 코니는 "세인트 라이트는 말상 중의 말상으로 미남은 아니었지만, 영리하고 튼튼했다. 감기 한번 걸린 적이 없었다. 요코하마에서 달릴 때 체고를 쟀더니 164cm였다. 그것이 도쿄에 와서 재니 2cm가 더 늘어 있었다. 속부터 튼튼하다는 증거라고 생각했지"라고 회고했다.[31] 다나카 와이치로는 "이렇게 피로 회복이 빠른 말은 본 적이 없다"라며 놀라워했다.[9]
세인트 라이트가 경주에 등록되기 직전까지, 일본경마회는 체고 164cm를 넘는 말의 등록을 인정하지 않았다. 만약 이 규정이 철폐되지 않았다면, 세인트 라이트는 지방 경마에서 뛰어야 했을 것이다.[9][27] 오카와 케이지로는 측정 시 앞다리 땅을 조금 움푹하게 하여 속였다는 이야기도 있었다고 한다.[32]
4. 혈통
St. Lite영어는 일본 코이와이 농장에서 생산된 갈색 수말이다. 경주마 시절 가토 유사쿠 소유, 다나카 가즈이치로 조련으로 경주에 참여했다.
아버지는 영국의 종마 다이올라이트로,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전후까지 4번의 리딩 사이어를 획득한 명종마였다. 하지만 일본에 수입될 당시에는 체형에 대한 평가가 낮아 그 성공을 의심받았다. 이러한 평가에 맞서 가토 유사쿠는 잡지에 '다이올라이트 예찬기'라는 글을 기고하는 등 열광적으로 다이올라이트를 지지했다.[37][38]
어머니 플리펀시는 일본 경마 사상 유일하게 팔대 경주 우승마를 4두나 배출한 암말이다. 4두의 팔대 경주 총 8승은 사상 최다 기록이다. 또한, 플리펀시의 후손들 중에서도 야시마벨(벚꽃상 우승), 노스 거스트(국화상 우승) 등 수많은 활약마가 나왔다.
4. 1. 상세 혈통표
세인트 라이트의 혈통 | |||
---|---|---|---|
부마 | 다이올라이트 (Diolite) | 1927년 흑록모 | |
모마 | 플리펀시 (Flippancy) | 1924년 흑록모 | |
부마의 부 | 디오폰 (Diophon) | 1921년 율모 | |
니들 록 (Needle Rock) | 1915년 녹모 | ||
모마의 부 | 플럼보이언트 (Flamboyant) | 1918년 녹모 | |
슬립 (Slip) | 1909년 녹모 | ||
부마의 부의 부 | 그랜드 퍼레이드 (Grand Parade) | ||
도네타 (Donnetta) | |||
부마의 모의 부 | 록 샌드 (Rock Sand) | ||
니들포인트 (Needlepoint) | |||
모마의 부의 부 | 트레이서리 (Tracery) | ||
시모나스 (Simonath) | |||
모마의 모의 부 | 로버트 르 디아블 (Robert Le Diable) | ||
스닙 (Snip) | |||
부마의 부의 부의 부 | 오비 (Orby) | ||
그랜드 제럴딘 (Grand Geraldine) | |||
부마의 부의 모의 부 | 도노반 (Donovan) | ||
리노바타 (Rinovata) | |||
부마의 모의 부의 부 | 세인트포인 (Sainfoin) | ||
로크브룬 (Roquebrune) | |||
부마의 모의 모의 부 | 아이싱글래스 (Isinglass) | ||
에투이 (Etui) | |||
모마의 부의 부의 부 | 록 샌드 (Rock Sand) | ||
토피어리 (Topiary) | |||
모마의 부의 모의 부 | 세인트 시몬 (St. Simon) | ||
필로마스 (Philomath) | |||
모마의 모의 부의 부 | 에어셔 (Ayrshire) | ||
로즈 베이 (Rose Bay) | |||
모마의 모의 모의 부 | 도노반 (Donovan) | ||
이사벨 (Isabel) (F-No.22-b) |
5. 주요 산구
6. 영향 및 평가
세인트 라이트는 1941년 사츠키 상, 도쿄 유슌, 키쿠카 상을 석권하며 일본 3관의 첫 번째 우승자가 되었다.[1]
참조
[1]
서적
Thoroughbred Breeding of the World
Pozdun Publishing
[2]
문서
当時は三栄冠馬と呼ばれた。後に[[シンザン]]、[[ミスターシービー]]、[[シンボリルドルフ]]、[[ナリタブライアン]]、[[ディープインパクト (競走馬)|ディープインパクト]]、[[オルフェーヴル]]、[[コントレイル (競走馬)|コントレイル]]と続く。
[3]
웹사이트
セントライト:競馬の殿堂 JRA
https://jra.jp/galle[...]
2024-07-27
[4]
서적
日本の名馬・名勝負物語
[5]
간행물
[6]
서적
日本の名馬
[7]
서적
調教師の本
[8]
문서
のちに[[栗林友二]]へ譲渡されたことに伴いクリヒカリと改名された。
[9]
서적
[10]
서적
日本の名馬・名勝負物語
[11]
서적
[12]
서적
調教師の本
[13]
서적
日本の名馬
[14]
간행물
[15]
서적
調教師の本
[16]
서적
調教師の本
[17]
서적
日本の名馬・名勝負物語
[18]
간행물
[19]
문서
当時は2歳戦が行われていなかった。言うまでもなく、デビューから三冠達成までの日数は史上最短である(225日)。
[20]
서적
サラブレッド101頭の死に方
[21]
서적
日本の名馬・名勝負物語
[22]
서적
サラブレッド101頭の死に方
[23]
문서
第1回競走は小西喜蔵が乗るイーストパレードが制した。同競走は1995年より菊花賞への[[トライアル競走]]として施行されている。
[24]
서적
[25]
서적
[26]
문서
鉄道で馬は通常の[[有蓋車]]で輸送していた。
[27]
서적
日本調教師会50年史
[28]
서적
[29]
서적
調教師の本
[30]
간행물
[31]
서적
調教師の本
[32]
서적
[33]
서적
日本の名馬
[34]
서적
[35]
웹사이트
血統情報:5代血統表|セントライト|JBISサーチ(JBIS-Search)
http://www.jbis.or.j[...]
公益社団法人日本軽種馬協会
2018-01-01
[36]
문서
당시는 삼미관마라 불렸다.
[37]
서적
日本の名馬
[38]
서적
후지노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