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는 세종교통, 세종제일운수,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운행하며, 2018년 3월 기준 운임 체계를 갖추고 있다. 시내버스, BRT, 광역버스, 마을버스로 구분되며, 2012년 7월부터 세 자리 번호 체계가 시행되었다. 세종시와 인접한 계룡시, 공주시, 대전광역시, 천안시, 청주시의 시내버스 노선과도 연계된다. 차량은 현대자동차, 대우버스 외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전기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교통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하며,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수도권 및 충청, 호남, 영남, 강원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있는 터미널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교통 -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은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위치하며, 서울, 대전 등 여러 지역으로 운행하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 |
---|---|
지역별 버스 교통 정보 |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세종특별자치시청 도로교통과 세종도시교통공사 |
차적지 | 세종특별자치시 |
운행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공주시, 천안시, 충청북도 청주시 |
노선 수 | 78 |
인가 대수 | 262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캐시비, 티머니, 레일플러스, 한페이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외환, 하나SK, 현대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
사이트 | 세종시 버스정보시스템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노선 안내 |
2. 운임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는 2018년 3월을 기준으로 연령에 따라 운임에 차이가 있다.[3] 버스 종류(일반, 급행, 광역, BRT, 마을버스)와 결제 수단(교통카드, 현금)에 따라 운임이 다르다.
BRT와 광역 노선(B2, B4, B6, 1000, 1001, 1004, 1005번)은 구간에 따라 별도 운임이 적용되며, B7번은 추가 요금이 있다. 일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시계외 요금이 없다.[4]
하차 후 1시간 이내에 3회까지 환승할 수 있다. 2024년 8월 26일부터는 청주시, 공주시 시내버스와 전면 환승 할인이 가능하며, 대전 시내버스는 지정된 노선에 한해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5]
2. 1. 기본 운임
wikitext2018년 3월 기준이다.[3]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일반/급행/광역/B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400KRW | 1500KRW |
청소년 (만 13세~18세) | 1100KRW | 1200KRW | |
어린이 (만 6세~12세) | 600KRW | 700KRW | |
마을 | 어른 (만 19세 이상) | 1300KRW | 1400KRW |
청소년 (만 13세~18세) | 1000KRW | 1100KRW | |
어린이 (만 6세~12세) | 600KRW | 700KRW |
2. 2. 시계외 운임 및 환승
BRT와 광역 노선인 B2번, B4번, B6번, 1000번, 1001번, 1004번, 1005번의 구간별 운임은 다음과 같다. B7번은 아래의 운임에 어린이 50원, 어른 및 청소년 100원이 추가된다.[4]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세종-대전, 세종-청주 | 어른 (만 19세 이상) | 1,700 | 1,800 |
청소년 (만 13세~18세) | 1,300 | 1,400 | |
어린이 (만 6세~12세) | 800 | 900 | |
오송-반석(B2, B4) | 어른 (만 19세 이상) | 2,000 | 2,100 |
청소년 (만 13세~18세) | 1,600 | 1,700 | |
어린이 (만 6세~12세) | 1,000 | 1,100 |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세종교통, 세종제일운수,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시내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외 일반시내(간·지선), 마을버스 노선은 시계외 요금이 없다.
환승은 하차 후 1시간 이내에 3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다. 2024년 8월 26일부터 청주시·공주시 시내버스 노선과도 전면 환승 할인이 적용되며, 대전 시내버스와는 지정된 노선에 한해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5]
3. 운수 업체
3. 1. 시내버스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는 세종교통, 세종제일운수,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운행하고 있다.
4. 노선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는 2012년 7월부터 번호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13년 4월 1일에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있었다. 시내버스 노선은 크게 간선급행버스(BRT), 광역, 간선, 지선, 마을버스로 구분되며, 세종시 내부뿐만 아니라 인접 지역인 대전광역시, 공주시, 청주시, 천안시, 계룡시 등과 연결된다.
4. 1. 번호 체계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는 2012년 7월부터 번호제를 시행하여 세 자리 번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3년 4월 1일에 대대적인 개편을 거쳤다. 노선 번호는 다음과 같은 체계로 구성된다.- 10번/100번 단위: 조치원역을 기점으로 조치원읍 인근 지역을 운행한다. 16번과 17번은 마을버스로 연기면까지 운행한다.
- 200번 단위: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순환 운행하며, 220번대는 금강을 건넌다.
- 30번 단위: 연동면이나 부강면을 경유하는 마을버스 노선이다.
- 300번 단위: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연동면을 경유한다.
- 400번 단위: 부강면 각지를 연결하며, 2018년 9월 현재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부강을 지나 문곡리로 가는 430번 노선만 운행 중이다.
- 50번/500번 단위: 장군면, 충청남도 공주시 등을 연결한다. 550번, 551번이 간선버스 노선이다.
- 60번/600번 단위: 세종터미널을 경유하며 행정중심복합도시 금강 이남 지역과 금남면 지역을 운행한다. 601번이 간선버스 노선이다.
- 70번 단위: 조치원역을 기점으로 연서면으로 운행한다.
- 80번/800번 단위: 전의면 각지를 연결한다. 801번이 간선버스 노선이다.
- 900번 단위: 조치원역에서 전동면 방면으로 운행한다. 991번은 소정면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금강 이남 지역까지 세종시 전역을 종단한다.
- 1000번 단위: 행정중심복합도시 곳곳을 경유하여 대전광역시의 반석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이다.
4. 2. 노선 목록
구분 | 노선 |
---|---|
BRT | B0 · B2 · B4 · B5 · B6 · B7 |
광역 | 1000 · 1001 · 1003 · 1004 · 1005 |
간선 | 340 · 430 · 550 · 551 · 601 · 655 · 801 · 991 |
지선 | 11 · 12 · 13 · 18 · 52 · 53 · 201 · 202 · 203 · 204 · 221 · 222 · 272 · 273 · 300 · 910 |
마을 | 16 · 17 · 35 · 61 · 62 · 63 · 64 · 65 · 66 · 661 · 67 · 69 · 691 · 71 · 72 · 73 · 74 · 75 · 76 · 81 · 82 · 83 · 84 · 85 · 86 · 93 · 94 · 95 |
4. 3. 인접 시·군 노선
지역 | 노선 |
---|---|
계룡 | 3002 |
공주 | 108 · 360 · 500 · 501 · 502 · 570 · 571 · 572 · 573 · 580 · 581 |
대전 | 72 · 75 · B1 · 1001 (대전) · 1002 |
천안 | 663 · 700 · 701 · 702 · 710 · 711 |
청주 | 412 · 502 · 521 · 525 · B3 · B7 (청주) |
5. 차량
현대자동차와 대우버스 차량이 주로 이용된다. 2015년 6월 22일부터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차량을 도입하여 전기버스가 운행하기 시작했다.[6]
참조
[1]
문서
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2]
문서
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3]
뉴스
세종특별자치시 고시 제2020-270호 세종시 버스요금 조정 고시
https://www.sejong.g[...]
2020-06-17
[4]
문서
B7번은 어린이 50원, 어른 및 청소년 100원 추가
[5]
웹사이트
https://traffic.daej[...]
[6]
뉴스
세종시 22일부터 전기버스 운행…충전시설 2곳 설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6-13
[7]
문서
세종특별자치시고시 세종특별자치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