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교통은 1980년 6월 19일 삼흥여객 연기군 시내버스 영업소 대리점으로 설립되어 1986년 7월 1일 성일버스로 사업자 등록을 마쳤다. 세종특별자치시 승격에 맞춰 2010년 세종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을 위탁 관리하며, 티머니 교통카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현재 급행, 간선, 지선, 광역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KGM커머셜,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우진산전 등 다양한 제조사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기업 - 세종제일운수
세종제일운수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KGM커머셜 차량과 BYD 전기버스를 운용하며 BRT 노선 및 마을버스, 지선, 급행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990번, 991번 등의 주요 노선을 운행한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기업 - 세종도시교통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는 2016년 설립되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운영을 담당하며, 시영버스 인수 및 노선 확장을 통해 조치원읍 순환버스, BRT 노선, 광역 BRT 노선을 운행한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기업 - 세종제일운수
세종제일운수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KGM커머셜 차량과 BYD 전기버스를 운용하며 BRT 노선 및 마을버스, 지선, 급행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990번, 991번 등의 주요 노선을 운행한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교통 -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는 BRT, 광역, 간선, 지선, 마을버스 등 다양한 노선 유형으로 구성되어 세종교통, 금남고속, 충남교통 등이 운영하며, 운임은 노선 종류, 연령, 결제 방식에 따라 다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교통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하며,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수도권 및 충청, 호남, 영남, 강원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있는 터미널이다.
세종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세종교통 주식회사 | |
원어 | Sejong Traffic Corp. |
이전 상호 | 성일버스 (1980년 6월 19일 ~ 2010년 3월 20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당산로 389 (봉암리) |
인물 | 이창덕, 황인하 (공동 대표이사) |
창립 | 1980년 6월 19일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2. 역사
1980년 6월 19일 삼흥여객 연기군 시내버스 영업소 대리점(현 삼흥고속) 조치원영업소(연기군시내버스)를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1986년 7월 1일 성일버스로 사업자등록을 하였다. 2010년 3월 20일, 세종시 승격에 대비하여 사명을 '''성일버스'''에서 '''세종교통'''으로 변경하였고, 시 승격 후 번호판이 변경되었다. 2010년 10월 1일부터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을 위탁 관리하게 되었다. 2013년에는 티머니로 교통카드를 변경하였으며, 전국 최초로 교통카드 정산시스템에 LTE 통신망이 장착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80년대)
1980년 6월 19일 삼흥여객 연기군 시내버스 영업소 대리점(현 삼흥고속) 조치원영업소(연기군시내버스)를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1986년 7월 1일 성일버스로 사업자등록을 하였다.2. 2. 세종시 출범 전후 (2010년대)
2010년 3월 20일 사명을 '''성일버스'''에서 '''세종교통'''으로 변경하였으며, 세종시 승격 후 번호판이 변경되었다.[1] 2010년 10월 1일부터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을 위탁 관리하게 되었다.[2]2013년에는 티머니로 교통카드를 변경하였으며, 전국 최초로 교통카드 정산시스템에 LTE 통신망이 장착되었다.
3. 운행 노선
세종교통의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 급행버스
- B7번: 집현동 - 청주임시고속버스터미널 (동양교통, 동일운수, 청주교통, 한성운수 공동 배차)
- 991번: 국책연구단지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1001번: 집현동 - 대전광역시청 (동건운수 공동 배차)
- 간선버스
- 550번: 조치원역 - 봉암리 - 연기리 - 종촌 - 장군면 - 공주정보고 - 신관동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옥룡동 - 공주시내버스터미널 (공주교통 500번과 공동 배차)
- 551번: 조치원역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봉암리 - 연기리 - 종촌 - 장군면 - 공주정보고 - 신관동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옥룡동 - 공주시내버스터미널 (공주교통 502번과 공동 배차)
- 601번: 반곡동 - 국책연구단지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첫마을 - 정부세종청사 - 연기리 - 월하리 - 조치원역
- 801번: 조치원역 - 상봉리 - 전동역 - 개미고개 - 전의역 - 민석아파트
- 지선버스
- 201번: 정부세종청사남측 - 세종충남대병원 ↔ 고운동커뮤니티센터북측 ↔ 고운고등학교 - 고운고등학교
- 202번: 정부세종청사남측 - 종촌고등학교 ↔ 고운고등학교 ↔ 가락마을20단지 ↔ 인사혁신처 - 정부세종청사남측(가재마을 방향)
- 202번: 정부세종청사남측 - 범지기마을 ↔ 두루중학교 ↔ 고운중학교 - 정부세종청사남측(아름동 방향)
- 204번: 공정거래위원회 - 다정동 ↔ 새롬동 ↔ 나성동 ↔ 세종예술고 - 공정거래위원회
- 222번: 수루배마을6단지 - 반곡초,중학교 ↔ 국책연구단지북측 ↔ 소담동(새샘마을)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어진중학교 ↔ 도담동(도램마을) - 축산품질평가원
- 340번: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내판 ↔ 명학산업단지 ↔ 국책연구단지 ↔ 세종시청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430번: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정부세종청사 ↔ 한별리 ↔ 명학산업단지 ↔ 부강 ↔ 문곡리 - 문곡리
- 655번: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첫마을 ↔ 용포리 ↔ 32사단 ↔ 외삼동 ↔ 반석역 ↔ 대전월드컵경기장 ↔ 유성고속버스터미널 ↔ 유성온천역 - 충남대학교
- 광역버스
- 1000번: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조치원역뒤편 - 가락마을 - 가재마을 - 첫마을(2단지)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금남면 행정복지센터 - 반석역[1]
- 1003번: 오송역 - 조치원역 - 조치원터미널 - 가락마을 - 새뜸마을 - 반석역
하위 섹션의 내용을 참고하여 중복되는 노선 정보를 간략하게 정리했다.
3. 1. 급행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공동 배차 회사 |
---|---|---|---|
B7번 | 집현동 | 청주임시고속버스터미널 | 동양교통, 동일운수, 청주교통, 한성운수 |
991번 | 국책연구단지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
1001번 | 집현동 | 대전광역시청 | 동건운수 |
3. 2. 간선버스
- 550번: 조치원역 - 봉암리 - 연기리 - 종촌 - 장군면 - 공주정보고 - 신관동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옥룡동 - 공주시내버스터미널 (공주교통 500번과 공동 배차)
- 551번: 조치원역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봉암리 - 연기리 - 종촌 - 장군면 - 공주정보고 - 신관동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옥룡동 - 공주시내버스터미널 (공주교통 502번과 공동 배차)
- 601번: 반곡동 - 국책연구단지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첫마을 - 정부세종청사 - 연기리 - 월하리 - 조치원역
- 801번: 조치원역 - 상봉리 - 전동역 - 개미고개 - 전의역 - 민석아파트
3. 3. 지선버스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
201번 | 정부세종청사남측 | 세종충남대병원 ↔ 고운동커뮤니티센터북측 ↔ 고운고등학교 | 고운고등학교 |
202번 | 정부세종청사남측 | 종촌고등학교 ↔ 고운고등학교 ↔ 가락마을20단지 ↔ 인사혁신처 | 정부세종청사남측(가재마을 방향) |
202번 | 정부세종청사남측 | 범지기마을 ↔ 두루중학교 ↔ 고운중학교 | 정부세종청사남측(아름동 방향) |
204번 | 공정거래위원회 | 다정동 ↔ 새롬동 ↔ 나성동 ↔ 세종예술고 | 공정거래위원회 |
222번 | 수루배마을6단지 | 반곡초,중학교 ↔ 국책연구단지북측 ↔ 소담동(새샘마을)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어진중학교 ↔ 도담동(도램마을) | 축산품질평가원 |
340번 |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내판 ↔ 명학산업단지 ↔ 국책연구단지 ↔ 세종시청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430번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정부세종청사 ↔ 한별리 ↔ 명학산업단지 ↔ 부강 ↔ 문곡리 | 문곡리 |
655번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첫마을 ↔ 용포리 ↔ 32사단 ↔ 외삼동 ↔ 반석역 ↔ 대전월드컵경기장 ↔ 유성고속버스터미널 ↔ 유성온천역 | 충남대학교 |
3. 4. 광역버스
4. 보유 차량
세종교통은 KGM커머셜(에디슨모터스),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우진산전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4. 1. KGM커머셜 (에디슨모터스)
4. 2. 자일대우버스
4. 3. 현대자동차
현대 그린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4. 4. 우진산전
우진산전 아폴로 11005. 기타
2011년부터 세종교통의 모든 시내버스에 LED 행선판이 설치되어 현재 전 차량에 LED 행선판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
[1]
문서
2018년 12월 1일부터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이관과 동시에 노선 일부 변경
[2]
문서
세종특별자치시고시 세종특별자치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