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평택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평택로는 세종특별자치시와 충청남도, 경기도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2002년 소정 ~ 배방 구간 착공을 시작으로, 2017년 12월 27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가 있으며, 주요 교차로 및 나들목으로는 남풍세 나들목, 안중 나들목, 오성 나들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천안시의 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논산에서 천안을 잇는 총 연장 82.04km의 고속도로로, 1996년 고속국도 제21호선으로 지정되어 200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3년 2월 호남고속도로와 통합되었다. - 아산시의 도로 - 당진청주고속도로
당진청주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 연장 71.8km의 고속도로이며, 2013년 옥산 분기점 구간 민간 투자 사업을 시작으로 2023년 당진시까지 기점이 연장되고 아산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구간에서 과속 단속이 시행 중이다. - 아산시의 도로 - 서해로
서해로는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경기도 안산시를 잇는 도로로, 1987년부터 확장 및 개통, 폐지 구간이 발생했으며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어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여러 도시들을 지난다. - 평택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평택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세종평택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자동차전용도로 |
노선명 | 세종평택로 |
노선번호명 | 국도 제43호선의 일부 |
총연장 | 42.47km |
개통년 | 2016년 11월 19일 |
기점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운당리 |
주요 경유지 |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
종점 |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숙성리 |
주요 교차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24호선 지방도 제628호선 |
지도 정보 | |
![]() |
2. 연혁
세종평택로는 2002년 12월 첫 구간 착공을 시작으로 건설되어, 여러 구간이 순차적으로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고 개통되었다. 2016년까지 주요 구간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2017년 12월 27일 '''세종평택로'''라는 명칭으로 공식 고시되었다.[10]
2. 1. 착공 및 구간별 개통
- 2002년 12월 : 소정 ~ 배방간 도로 착공
- 2003년 7월 31일 : 연기군 소정면 운당리 ~ 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8.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
- 2004년 12월 : 배방 ~ 음봉간 도로 착공
- 2005년 12월 19일 : 천안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11.8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
- 2007년 3월 : 음봉 ~ 영인간 도로 착공
- 2008년 1월 11일 :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둔포면 봉재리 5.9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
- 2009년 5월 : 영인 ~ 팽성간 도로 착공
- 2009년 8월 : 오성 ~ 청북간 도로 착공
- 2009년 12월 : 팽성 ~ 오성간 도로 착공
- 2010년 4월 5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봉재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5.9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
- 2012년 4월 4일 :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양교리 11.2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2012년 12월 28일 : 소정 ~ 배방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8.9km 구간 신설 개통[6]
- 2015년 3월 28일 : 배방 ~ 음봉간 도로(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송촌 교차로) 11.9km 구간 신설 개통[7]
- 2016년 11월 19일 : 음봉 ~ 팽성간 도로(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11.93km 구간 신설 개통[8], 팽성 ~ 오성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숙성리) 11.27km 구간 신설 개통[9]
- 2017년 8월 26일 : 음봉 ~ 오성간 자동차전용도로 신대 교차로 부근 평택국제대교 건설현장 교량붕괴로 오성에서 음봉방향 진입통제, 팽성 교차로 ~ 신남 교차로 전 구간 통제
- 2017년 9월 9일 : 오후 2시부터 신대 교차로를 제외한 나머지 도로 재개통
- 2017년 12월 27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세종평택로'''를 고시[10]
2. 2.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
- 2003년 7월 31일 : 연기군 소정면 운당리 ~ 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8.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
- 2005년 12월 19일 : 천안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11.8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
- 2008년 1월 11일 :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둔포면 봉재리 5.9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
- 2010년 4월 5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봉재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5.9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
- 2012년 4월 4일 :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양교리 11.2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2. 3. 기타
- 2002년 12월: 소정 ~ 배방 구간 도로 착공
- 2003년 7월 31일: 당시 연기군 소정면 운당리 ~ 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8.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
- 2004년 12월: 배방 ~ 음봉 구간 도로 착공
- 2005년 12월 19일: 천안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11.8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
- 2007년 3월: 음봉 ~ 영인 구간 도로 착공
- 2008년 1월 11일: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둔포면 봉재리 5.9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
- 2009년 5월: 영인 ~ 팽성 구간 도로 착공
- 2009년 8월: 오성 ~ 청북 구간 도로 착공
- 2009년 12월: 팽성 ~ 오성 구간 도로 착공
- 2010년 4월 5일: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봉재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5.9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
- 2012년 4월 4일: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양교리 11.2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2012년 12월 28일: 소정 ~ 배방 구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8.9km 구간 신설 개통[6]
- 2015년 3월 28일: 배방 ~ 음봉 구간 도로(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송촌 교차로) 11.9km 구간 신설 개통[7]
- 2016년 11월 19일: 음봉 ~ 팽성 구간 도로(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11.93km 구간 및 팽성 ~ 오성 구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숙성리) 11.27km 구간 신설 개통[8][9]
- 2017년 8월 26일: 음봉 ~ 오성 구간 자동차전용도로 신대 교차로 부근 평택국제대교 건설 현장에서 교량 붕괴 사고 발생. 이로 인해 오성에서 음봉 방향 진입 및 팽성 교차로 ~ 신남 교차로 구간 통제.
- 2017년 9월 9일: 오후 2시부터 신대 교차로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 재개통.
- 2017년 12월 27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세종평택로'''를 고시[10]
3. 주요 경유지
3. 1.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3. 2. 충청남도
(2012년)(2015년)
(2016년)
(2016년)
(2016년)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