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천안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산천안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천안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82.04km의 고속도로이다. 1996년 고속국도 제21호선으로 지정되어 200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 노선 번호가 고속국도 제25호선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분기점으로는 논산 분기점, 공주 분기점, 천안 분기점이 있으며, 2023년 2월 호남고속도로와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산천안고속도로 - 풍세 요금소
풍세 요금소는 논산천안고속도로에 설치되어 2002년 개통, 하이패스 차로 운영 및 양방향 요금소로 전환되었으며,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2016년 철거되었다. - 논산천안고속도로 - 논산 분기점
논산 분기점은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논산천안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이며, 충청남도 논산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에 걸쳐 있는 분기점이다. - 부여군의 도로 - 충절로
충절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홍성군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백제의 계백 장군과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2009년 8월에 명명되었으며 각 지역의 주요 읍·면 중심지를 연결한다. - 부여군의 도로 - 대백제로
대백제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논산시를 잇는 도로로, 서천군의 동백대교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논산시 광석면까지 이어지며 국도 제4호선, 제21호선, 제77호선과 연결되어 충청남도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 논산시의 도로 -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순천에서 충청남도 천안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1973년 전 구간 개통 후 확장 및 개선 공사를 거쳐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으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논산시의 도로 - 호남고속도로지선
호남고속도로지선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서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을 잇는 총 연장 54.0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로, 2001년 호남고속도로에서 분할되어 고속국도 제251호선으로 지정되었다.
논산천안고속도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논산천안고속도로 |
다른 이름 | 천안논산고속도로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25호선의 일부 |
총 연장 | 83.0 km |
개통일 | 2002년 12월 23일 |
기점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
종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AH1) 호남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3호선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Nonsan Cheonan Gosok Doro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Nonsan Ch'ŏnan Kosok Toro |
기타 정보 | |
운영 회사 | 천안논산고속도로 |
교량 수 | 44개 |
나들목 수 | 7개 |
2. 역사
- 1997년 8월 1일: 2002년 12월까지 천안 ~ 정안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면 웅원리 ~ 광덕면 원덕리 14.07km 구간,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사현리 ~ 내촌리 3.0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
- 1997년 12월 4일: 천안 ~ 논산고속도로 민자유치사업 실시계획 고시[4]
- 1997년 12월 29일: 2002년 12월까지 정안 ~ 논산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내촌리 ~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60.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98년 6월 27일: 2002년 12월까지 공주 ~ 인풍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광덕면 원덕리 ~ 정안면 인풍리 3.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1999년 8월 9일: 2002년 12월까지 천안 분기점, 남천안 나들목, 정안 나들목 개량, 천안시 광덕면 일대 종단면 변경, 신무교 연장 조정으로 인해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면 응원리 ~ 공주시 정안면 내촌리 2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 2000년 1월 18일: 2002년 12월까지 정안휴게소, 탄천휴게소 설치를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내촌리 ~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60.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2001년 4월 2일: 2002년 12월까지 천안 요금소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미죽리 1.2km 구간, 논산 요금소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마전리 8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 국도 제40호선 선형 변경으로 인해 공주 나들목 접속부 선형 조정을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봉정동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9]
- 2001년 7월 16일: 2002년 12월까지 탄천휴게소 (논산방향) 설치를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 ~ 장선리 1.1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02년 7월 27일: 2002년 12월까지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확장 및 나들목 연결 램프 선형 조정을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신화리 1.2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2]
- 2004년 11월 10일: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14]
- 2007년 11월 8일: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15]
- 2010년 9월 1일: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16]
- 2014년 7월 29일: 남풍세 나들목 개통[17][18]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종점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로 명시[19]
- 2016년 8월 8일: 정안휴게소를 정안알밤휴게소로 명칭 변경[20][21]
- 2016년 9월 1일: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22]
2. 1. 개요
1996년 7월 1일: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면 ~ 논산시 연무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21호선 천안논산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2]1997년 12월 26일: 전 구간 착공
2001년 8월 25일: 노선 번호 및 노선명 변경 (고속국도 제21호선 → 고속국도 제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11]
2002년 12월 23일: 전 구간 개통[13]
2009년 5월 28일: 하이패스 차로 개통 및 풍세 요금소, 남논산 요금소 양방향 요금소로 변경, 공주 분기점, 북공주 분기점 개통
2016년 11월 11일: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풍세 요금소와 남논산 요금소 철거
2019년 12월 23일: 통행료 대폭 인하[23]
구분 | 대상 차량 | 이전 통행료 | 변경 통행료 |
---|---|---|---|
1종 | 2축 차량, 윤폭 279.4mm 이하 (승용차, 소형승합차, 소형화물차) | 9400KRW | 4900KRW |
2종 | 2축 차량, 윤폭 279.4mm 초과, 윤거 1,800mm 이하 (중형승합차, 중형화물차) | 9600KRW | 5000KRW |
3종 | 2축 차량, 윤폭 279.4mm 초과, 윤거 1,800mm 초과 (대형승합차, 2축 대형화물차) | 10000KRW | 5200KRW |
4종 | 3축 대형화물차 | 13400KRW | 6600KRW |
5종 | 4축 이상 특수화물차 | 15800KRW | 7600KRW |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 연장은 82.04km이다. 전 구간 최고 속도 110km/h, 최저 속도 50km/h로 제한되어 있다. 구간 과속단속은 천안 방향 인풍교 ~ 차령터널 ~ 무학천교 6.6km 구간과 논산 방향 서논산 나들목 ~ 연무 나들목 6.9km 구간에서 시행되고 있다.[26]
2023년 2월 10일: 고시상으로 호남고속도로와 통합[24][25]
3. 구성
3. 1. 터널
4. 나들목 · 분기점
국도 제23호선 (득안대로)
지방도 제645호선 (장마루로·만마름길)
(151호선 서천공주고속도로)
당진방향 진출시 서천공주고속도로 간접 연결
천안방향의 경우 서산영덕고속도로(영덕방향), 공주 나들목 진출 불가능
호남권 고속버스 환승 가능
국도 제43호선 (정안세종로·차령로)
국도 제23호선 (세종로)
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국도 제23호선 (세종로·천안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