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텀시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텀시티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1940년부터 수영비행장이 있던 부지에 조성되었다. 1987년 수영비행장이 폐쇄된 후, 1996년 군용항공기지에서 제외되고 도시 개발 계획 승인을 거쳐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센텀시티는 부산 산업 구조 고도화, 정보화 시대 대응, 정보 콤플렉스 조성을 목표로 조성되었으며, 벡스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 롯데백화점, 영화의전당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센텀2지구(반여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도 추진 중이며,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지역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등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계획 도시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연기군 등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2012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특별자치시로, 다수의 정부 부처와 기관이 이전하여 행정 기능을 수행하며 스마트 도시로 설계되었으나, 서울과의 접근성 문제와 설계 부실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대한민국의 계획 도시 - 안산시
안산시는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대한민국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 안산군으로 불렸고, 1986년 시로 승격되어 현대적인 도시로 발전하여 현재는 상록구와 단원구로 구분된 수도권 대표 도시이다. - 부산 해운대구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부산 해운대구 - 반여도서관
반여도서관은 1999년 11월 개관한 부산광역시 도서관으로, 디지털 자료실과 인문학 도서관을 추가 개관하는 등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한다. - 부산광역시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부산광역시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센텀시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한글 표기 | 센텀시티 |
로마자 표기 | Senteom siti |
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행정동 | 재송동, 우동 |
도시 개발 | |
개발 목적 | IT, 영상, 방송 등 신성장 업종 유치 |
2. 역사
센텀시티는 원래 1940년부터 수영비행장이 있던 곳으로, 1948년 임시 국제공항으로 인정받은 후 1958년 부산비행장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3년 공식적으로 국제공항이 되었다. 그러나 1976년 국제공항 기능을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하면서 공군 비행장으로 사용되다가 1987년 폐쇄되었다.[1]
이후 1996년 2월 16일 군용 비행장에서 제외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부산시와 육군본부 간 국유재산 매매 계약이 체결되면서, 12월부터 센텀시티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1] 센텀시티 조성의 주요 목적은 부산 산업 지역의 산업 구조 고도화, 21세기 세계화 및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는 중앙 관리 기능 유치, 부산·경남 발전 계획에 반영된 정보 콤플렉스 조성 사업 추진이다.[1]
2. 1. 수영비행장 시절 (1940-1976)
원래 이곳에는 1940년부터 수영비행장이 있었으나, 1948년 임시 국제공항으로 인정된 후 1958년 부산비행장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3년 공식적으로 국제공항이 되었다. 1976년 국제공항 기능을 김해시(현재의 부산광역시 강서구)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을 개항한 후에는 공군 비행장으로 사용되었으나, 1987년 폐쇄되었다.
2. 2. 센텀시티 개발 (1996-현재)
1976년 8월 김해국제공항으로 공항 기능이 옮겨가면서, 부산시와 시민단체의 비행장 부지 이관 요구가 계속되었다.[1]1996년 2월 16일 수영비행장은 군용항공기지에서 제외되었고, 4월 1일 부산시와 육군본부 간에 국유재산 매매계약이 체결되었다.[1]
1996년 7월 건설교통부에 도시기본계획변경 승인 신청과 12월 승인을 받으면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였다.[1]
1997년 9월 20일 지방산업단지(공원결정 포함)로 지정 고시되었다.[1]
2000년 1월 6일 부산정보단지(공원포함) 실시계획 승인을 받았다.[1]
2000년 5월 12일 부산정보단지를 센텀시티로 이름을 바꾸었다.[1]
2000년 10월 12일 센텀시티 기반조성(공원) 공사를 착공하여 2005년 11월 30일 기반조성 공사가 준공되었다.[1]
부산 센텀시티 조성의 주요 목적은 다음 세 가지이다.[1]
- 부산 산업 지역의 산업 구조 고도화
- 21세기 세계화 및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는 중앙 관리 기능 유치
- 부산·경남 발전 계획에 반영된 정보 콤플렉스 조성 사업 추진

센텀(Centum)은 라틴어로 "100"을, 시티(City)는 영어로 "도시"를 의미한다. 즉, "100% 완벽한 최첨단 미래 도시를 창조한다"라는 의미로, 업계, 신문사, 주택 단지, 상업 시설이 부지 내에 모두 있으며 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최첨단 미래 도시를 지향한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 명칭은 일반 공모를 통해 결정되었다.
센텀시티에는 다양한 시설들이 있다.
원래 이곳에는 1940년부터 수영비행장이 있었으나, 1948년 임시 국제공항으로 인정된 후 1958년 부산비행장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3년 공식적으로 국제공항이 되었다. 1976년 국제공항 기능을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하고 후에는 공군 비행장으로 사용되었으나, 1987년 폐쇄되었다.[1]
그 후, 1996년 2월 16일 이곳은 군용 비행장에서 제외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부산시와 육군본부 간에 국유재산 매매 계약이 체결되어, 같은 해 12월부터 이 지역이 센텀시티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1]
3. 명칭의 유래
4. 주요 시설
4. 1. 전시 및 컨벤션
4. 2. 쇼핑 및 엔터테인먼트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은 2009년 6월에 세계 최대 백화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1] 현재 주차장 부지에 추가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은 센텀시티 내에서 가장 먼저 생긴 백화점으로, 신세계백화점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홈플러스 센텀시티점도 이 지역의 주요 쇼핑 시설 중 하나이다.
영화의전당은 축구장보다 큰 지붕과 지붕 아래 LED 조명이 특징인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이다.[1] CGV와 롯데시네마도 센텀시티 내에 위치해 있다.
벡스코(BEXCO)는 대한민국에서 킨텍스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전시장으로, 2005년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된 곳이다.[1]
신세계 센텀시티 내에는 아이스링크와 스파랜드, 교보문고/핫트랙스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스파랜드에서는 22종의 스파와 13종의 찜질방을 즐길 수 있다.[1]
4. 3. 문화 및 콘텐츠
4. 4. 공공기관 및 기타 시설
5. 센텀2지구 (반여도시첨단산업단지)
Centum 2 District|센텀2지구영어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반송동, 석대동 일원에 조성될 예정인 도시첨단산업단지이다. 사업 면적은 1946000m2이며, 2016년부터 2022년까지 1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었다. 유치 업종으로는 융합부품소재, 관광MICE,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헬스, 영상·컨텐츠 등이 계획되어 있다.
6. 교통
센텀시티는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동래에서 해운대(송정), 해운대(송정)에서 수영구 구간을 지나는 여러 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센텀시티역과 벡스코역, 동해선 광역전철 센텀역과 재송역을 이용할 수 있다.
6. 1. 대중교통
센텀시티는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이다. 동래에서 해운대(송정) 구간, 해운대(송정)에서 수영구 구간을 지나는 다양한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센텀시티역과 벡스코역이 있으며, 동해선 재송역과 센텀역도 이용 가능하다. 동해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센텀시티 내에 역이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1]참조
[1]
웹사이트
http://www.busan.go.[...]
Busan Metropolitan Council
2018-04-07
[2]
뉴스
변화의 중심 `센텀시티`…IT·영상·방송 등 신성장업종 입주 러시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0-12-10
[3]
웹사이트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 신도시 개념 및 건설현황
http://www.molit.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