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전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의전당은 2011년 부산 센텀시티에 개관한 영화 상영 및 문화 공간이다. 2001년 건립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5년 쿱 힘멜브라우의 설계 작품이 선정되었으며, 2008년 기공식을 거쳐 2011년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과 함께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시네마운틴, 비프힐, 더블콘, 야외극장, 빅루프, 스몰루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빅루프는 세계 최장의 캔틸레버 지붕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시네마테크 부산 등으로 사용되며, 연간 7,000회의 영화 상영과 2,000회의 행사가 열리는 문화 공간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예술 시설 - 부산문화회관
부산문화회관은 대극장, 중극장, 소극장, 전시실, 국제회의장, 야외무대 등의 시설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부산 시립 예술 단체들이 상주하며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통해 지역 예술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기여한다. - 부산광역시의 예술 시설 - 시네마테크 부산
시네마테크 부산은 다양한 영화 상영, 영화 필름 수집 및 보존, VOD 관람, 영화 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 열람, 찾아가는 상영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영화관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관 - 경기 인디시네마
경기 인디시네마는 경기도의 다양성 영화 발굴, 제작 지원, 상영 확대를 목표로 개봉, 배급, 홍보를 지원하고, 경기영상위원회가 주관하여 제작비 및 P&A 비용 지원, 배급 지원 영화 선정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 대한민국의 영화관 - 한국만화박물관
2001년에 개관한 한국만화박물관은 만화 전문 박물관으로, 만화도서관은 무료로, 상설전시관은 유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월요일과 명절 당일 및 전날은 휴관한다.
영화의전당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부산 영화의전당 |
한국어 명칭 | 영화의전당 |
한자 명칭 | 映畫의殿堂 |
로마자 표기 | Yeonghwaui-Jeondang |
별칭 | 두레라움 |
위치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120 |
개장일 | 2011년 9월 29일 |
소유 | 부산광역시 |
운영 | (재)영화의전당 |
건축가 | 쿱 힘멜브라우 |
건설 비용 | 1,678억 5천만 원 |
용도 |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 시네마테크 부산 한국영상자료원 분원 영화관 뮤지컬 콘서트 연극 등 |
수용 인원 | |
야외극장 | 4,000석 |
하늘연극장 | 841석 |
중극장 | 413석 |
소극장 | 212석 |
시네마테크 | 212석 |
시사실 | 36석 |
건축 및 설계 | |
설계 | 쿱 힘멜브라우 |
특징 | 세계 최장 캔틸레버 지붕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영화의전당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 2001년 11월: 영화제 전용관 필요성 제기
- 2004년 4월: 기본 계획 수립, 건설 부지로 센텀시티 확정
- 2005년 11월: 국제 공모전에서 쿱 힘멜브라우의 설계 작품 선정
- 2008년 10월: 기공식
- 2011년 9월: 개관[7]
- 2011년 10월 6일: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개최
- 2011년 10월 7일: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업무협약.[12]
3. 구조 및 시설
영화의 전당은 크게 시네마운틴, 비프힐, 더블콘의 세 건물과 야외극장(비프극장), 두레라움 광장(빅루프)으로 구성되어 있다. 32137m2 부지에 건설된 부산시네마센터는 공연, 식사, 엔터테인먼트, 행정 공간을 포함하여 총 54335m2의 면적을 차지한다.[4][5]
센터에는 두 개의 강철 지붕이 있는데, 빅루프는 길이 163m, 폭 60m이며, 85m 길이의 캔틸레버(외팔보) 구간을 가지고 있고 무게는 6376ton이다. 야외극장인 비프극장을 덮고 있는 스몰루프는 폭 70m, 면적 66m x 100m~120m이며 무게는 1236ton이다.[2] 빅루프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가장 긴 캔틸레버 지붕이다.[2] 빅루프와 스몰루프 천장에는 각각 23,910개와 18,690개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6]
영화의 전당(釜山시네마센터)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요 장소로 사용되며, 2005년 국제 설계 경쟁에서 오스트리아의 코프 힘멜블라우의 설계안이 당선되었다. 한진중공업의 시공을 거쳐 1.678조원의 건설비를 투입하여 2011년에 완공되었다.[7]
3. 1. 주요 건물
센텀시티 신세계백화점 부근의 터에 면적 32137m2, 연면적 54335m2의 지하 1층, 지상 4층 ~ 9층 건물 3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 3개의 건물은 시네마운틴·비프힐·더블콘이며, 이들은 구름다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관객들은 편리하게 이곳저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야외 두레라움 광장을 덮는 지붕인 빅루프가 장관인데, 지붕 한쪽만 기둥이 받치고 있고 다른 곳은 허공에 뜬 형태의 캔틸레버(외팔보)형으로 지어졌다. 야외 극장을 덮는 지붕은 스몰루프이다. 이 두 지붕을 합치면 축구장의 약 2.5배에 달하는 면적이 된다. 투입된 사업비는 167850000000KRW(시비 107850000000KRW, 국비 60000000000KRW)이다.[13]명칭 | 규모 | 용도 |
---|---|---|
시네마운틴(Cinemountain) | 9층 건물 | 다목적 공연장인 하늘연극장(841석), 중극장(413석), 소극장(212석), 시네마테크(212석), 영화의전당 사무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비프힐(BIFF Hill) | 4층 건물 | BIFF사무국, 영화의전당 자료실, 시네마테크 부산, 부산아시아필름아카이브 등이 위치한다. |
더블콘(Double Cone) | 4층 건물 | 빅루프의 기둥, 카페·식당·BIFF 홍보관이 자리한다. |
야외극장(BIFF Theater) | 시네마운틴과 비프힐 사이의 공간으로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 가로 24m, 세로 13m의 야외 스크린[14], 스크린과 프로젝터 간 거리 60m로 설치되어 있고, 영화제 개·폐막식 뿐만 아니라 야외 공연과 행사를 위한 공간이다. |
빅루프(Big Roof) | 길이 163m(길이 163m 가운데 기둥부분 33m를 제외하면 앞쪽은 86m, 뒤쪽은 44m 길이), 너비 62m, 무게 4000ton, 면적 10000m2[14] 23,910 조의 LED.[15] | 두레라움 광장 지붕, 단 하나의 기둥으로 지탱하는 캔틸레버 구조의 건축물 중 세계 최장의 지붕으로 기네스북 등재. |
스몰루프(Small Roof) | 가로 99.2m∼120m, 세로 65.8m, 면적 7500m2[14] 18,690 조의 LED.[15] | 시네마운틴과 비프힐을 연결하며, 야외 극장 4000석을 덮는 지붕 |
필름시사실(Film Projection Room) | 36석, 스크린 7.1m X 3.1m, 7.1 채널의 음향시설, 4K 해상도 디지털 프로젝터 | 릴 방식 필름 프로젝터 및 디지털 프로젝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포맷의 영화, 영상자료 관람이 가능하다. |
편집실(Editing Room) | 멀티 포맷 컨버터 장비 구비 | 영상편집 교육을 진행하는 공간으로 AVID, 2개의 FINAL CUT PRO 시스템실로 구성되어 각각 12세트의 편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단.장편 영화의 편집 및 다양한 포맷의 입출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
하늘연극장(Haneulyeon Theatre) | 841석 프로시니움 무대 16.8m X 10m, 112개의 트랩테크로 구성 | 다목적공연장인 하늘연극장은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립할 수 있어서 어떤 장르의 작품이든 수용할 수 있다. |
중극장(Cinema I) | 413석, 스크린 18.2m X 7.7m | 중극장은 대형 실버스크린, 무대조명, 음향시스템(PA)을 보유하고 있어 영화 상영 외에도 관객과의 대화 등의 행사에 적합하다. |
소극장(Cinema II) | 212석, 스크린 11.7m X 7.1m, 7.1채널의 음향시설, 3D 영상 가능 | 소극장은 영상시설, 필름 프로젝터, 디지털 프로젝터 등을 구비한 상영관이다. |
시네마테크(Cinematheque) | 212석, 스크린 11.7m X 7.1m, 7.1채널의 음향시설, 3D 영상 가능 | 소극장과 동일한 규모와 장비를 구비하여 독립영화,고전영화,예술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
다목적홀(Multipurpose Hall) | 면적 941m2로 2개의 전동매입형 200"스크린과 프로젝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동형 파티션이 설치가능 | 전시나 컨벤션 형태로 다양한 공간 구성이 가능하다. |
자료실(Library) | 휴관 : 매주 월요일, 설 추석 연휴기간 등, 운영시간 : 10:00 ~ 19:00, 멀티미디어 관람석 14석 자료 열람석 30석, 자료검색용 키오스크 4석, 총 18,794종의 영화관련자료를 소장 | 영화에 관련된 다양하고 특별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시민들이 영화를 쉽게 접하고 공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공간이다. |
3. 2. 야외 공간
- '''야외극장'''(BIFF Theater)
- 규모: 시네마운틴과 비프힐 사이의 공간으로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 용도: 가로 24m, 세로 13m의 야외 스크린[14], 스크린과 프로젝터 간 거리 60m로 설치되어 있고, 영화제 개·폐막식 뿐만 아니라 야외 공연과 행사를 위한 공간이다.
- '''빅루프'''(Big Roof)
- 단 하나의 기둥으로 지탱하는 캔틸레버 구조의 건축물 중 세계 최장의 지붕으로 기네스북 등재.
- 규모: 길이 163m(길이 163m 가운데 기둥부분 33m를 제외하면 앞쪽은 86m, 뒤쪽은 44m 길이), 너비 62m, 무게 4000톤, 면적 1만m2[14], 23,910 조의 LED.[15]
- 용도: 두레라움 광장 지붕
- '''스몰루프'''(Small Roof)
- 규모: 가로 99.2∼120m, 세로 65.8m, 면적 7500m2[14], 18,690 조의 LED.[15]
- 용도: 시네마운틴과 비프힐을 연결하며, 야외 극장 4000석을 덮는 지붕
- '''두레라움 광장'''
- 빅루프 지붕 아래에 위치한 광장이다.
3. 3. 지붕
영화의전당의 지붕은 빅루프와 스몰루프로 구성되어 있다. 야외 두레라움 광장을 덮는 빅루프는 한쪽만 기둥이 받치고 다른 곳은 허공에 뜬 외팔보(캔틸레버)형으로 지어졌다. 야외 극장을 덮는 스몰루프와 빅루프를 합치면 축구장 약 2.5배 면적에 달한다. 건설에는 167850000000KRW이 투입되었다.[13]빅루프는 단 하나의 기둥으로 지탱하는 캔틸레버 구조의 건축물 중 세계 최장의 지붕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14] 길이는 163m(기둥 부분 33m 제외 시 앞쪽 86m, 뒤쪽 44m), 너비는 62m, 무게는 4,000톤, 면적은 1만m2이다.[14] 23,910개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15]
스몰루프는 가로 99.2∼120m, 세로 65.8m, 면적 7,500m2이며,[14] 18,690개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15] 시네마운틴과 비프힐을 연결하며, 야외 극장 4,000석을 덮는 지붕이다.
빅루프와 스몰루프에는 4만 2천 6백여 종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지붕 자체가 영상 작품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필요한 전력은 지붕 위 태양광 발전 장치에서 생산한다.
개막식 등이 열리는 BIFF광장 상부에 있는 빅루프는 단일 지붕으로는 세계 최대이며, 기네스 세계 기록에도 등재되어 있다.[8]
3. 4. 기타 시설
시설명 | 규모 | 용도 |
---|---|---|
시네마운틴(Cinemountain) | 9층 건물 | 다목적 공연장인 하늘연극장(841석), 중극장(413석), 소극장(212석), 시네마테크(212석), 영화의전당 사무실 등으로 구성 |
비프힐(BIFF Hill) | 4층 건물 | BIFF사무국, 영화의전당 자료실, 시네마테크 부산, 부산아시아필름아카이브 등 |
더블콘(Double Cone) | 4층 건물 | 빅루프의 기둥, 카페·식당·BIFF 홍보관 |
야외극장(BIFF Theater) | 시네마운틴과 비프힐 사이 공간, 4,000명 수용 | 가로 24m, 세로 13m의 야외 스크린[14], 스크린과 프로젝터 간 거리 60m. 영화제 개·폐막식 및 야외 공연과 행사 |
빅루프(Big Roof) | 길이 163m(기둥 제외 86m, 뒤쪽 44m), 너비 62m, 무게 4000톤, 면적 1만m2[14], 23,910 조의 LED[15] | 두레라움 광장 지붕, 단일 기둥으로 지탱하는 캔틸레버 구조 건축물 중 세계 최장 지붕으로 기네스북 등재 |
스몰루프(Small Roof) | 가로 99.2∼120m, 세로 65.8m, 면적 7500m2[14], 18,690 조의 LED[15] | 시네마운틴과 비프힐 연결, 야외 극장 4000석 지붕 |
필름시사실(Film Projection Room) | 36석, 스크린 7.1m X 3.1m, 7.1 채널 음향, 4K 해상도 디지털 프로젝터 | 릴 방식 및 디지털 프로젝터 보유, 모든 포맷 영화 및 영상자료 관람 가능 |
편집실(Editing Room) | 멀티 포맷 컨버터 장비 구비 | AVID, 2개의 FINAL CUT PRO 시스템실(각각 12세트 편집 시스템), 단·장편 영화 편집 및 다양한 포맷 입출력 작업 |
하늘연극장(Haneulyeon Theatre) | 841석 프로시니엄 무대 16.8m X 10m, 112개 트랩테크 | 다목적공연장, 연출 의도에 따라 자유자재 조립 가능, 모든 장르 작품 수용 |
중극장(Cinema I) | 413석, 스크린 18.2m X 7.7m | 대형 실버스크린, 무대조명, 음향시스템(PA) 보유, 영화 상영 및 관객과의 대화 등 행사 |
소극장(Cinema II) | 212석, 스크린 11.7m X 7.1m, 7.1채널 음향, 3D 영상 가능 | 영상시설, 필름 프로젝터, 디지털 프로젝터 구비 |
시네마테크(Cinematheque) | 212석, 스크린 11.7m X 7.1m, 7.1채널 음향, 3D 영상 가능 | 소극장과 동일 규모 및 장비, 독립영화, 고전영화, 예술영화 상영 |
다목적홀(Multipurpose Hall) | 면적 941m², 전동매입형 200" 스크린 2개, 프로젝터, 이동형 파티션 | 전시, 컨벤션 등 다양한 공간 구성 가능 |
자료실(Library) | 운영시간 10:00 ~ 19:00 (매주 월요일, 설 추석 연휴기간 휴관), 멀티미디어 관람석 14석, 자료 열람석 30석, 자료검색용 키오스크 4석, 총 18,794종 영화관련자료 소장 | 영화 관련 자료 수집 및 서비스 제공 |
4. 건축 특징: 해체주의
영화의 전당은 뛰어난 조형성과 해체주의 건축 미학이 구현된 건축물이다. 세계적 건축 설계 회사인 오스트리아의 코프 힘멜블라우의 설계안으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와 같이 해체주의풍 건축물이다. 시네마운틴, 비프힐, 더블콘 등 3개의 건물과 빅루프와 스몰루프의 거대한 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7]
개막식 등이 열리는 BIFF광장 상부에 있는 빅루프는 '''단일 지붕으로는 세계 최대'''이며, 기네스 세계 기록에도 등재되어 있다.[8]
5. 특이 시설
빅루프와 스몰루프에는 4만 2천6백여 종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지붕 자체가 영상 작품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필요한 전력은 지붕 위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에서 생산한다.[4][5]
부산시네마센터에는 두 개의 강철 지붕이 있다. 빅루프는 길이 163m, 폭 60m이며, 85m 길이의 캔틸레버 구간을 가지고 있고 무게는 6,376톤이다. 야외극장인 비프극장을 덮고 있는 스몰루프는 폭 70m, 면적 66m x 100m~120m이며 무게는 1,236톤이다.[2] 빅루프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가장 긴 캔틸레버 지붕이다.[2] 빅루프와 스몰루프 천장에는 각각 23,910개와 18,690개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6]
6. 용도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12], 시네마테크 부산의 공간으로 사용되며, 연간 7,000회의 영화 상영과 2,000회의 행사가 펼쳐지는 문화 공간이다.
부산시네마센터는 시네마운틴, 비프힐, 더블콘 세 동의 건물과 야외극장인 비프극장(스몰루프), 그리고 두레라움 광장(빅루프)으로 구성되어 있다. 32137m2 부지에 건설된 부산시네마센터는 공연, 식사, 엔터테인먼트, 행정 공간을 포함하여 총 54335m2의 면적을 차지한다.[4][5] 센터에는 두 개의 강철 지붕이 있다. 빅루프는 길이 163m, 폭 60m이며, 85m 길이의 캔틸레버 구간을 가지고 있고 무게는 6,376톤이다. 야외극장인 비프극장을 덮고 있는 스몰루프는 폭 70m, 면적 66m x 100m~120m이며 무게는 1,236톤이다.[2] 빅루프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가장 긴 캔틸레버 지붕이다.[2] 빅루프와 스몰루프 천장에는 각각 23,910개와 18,690개의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6]
BIFF사무국과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영화의 전당 자료실, 시네마테크 부산, 부산아시아필름아카이브 등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7. 사건 및 사고
2011년 제16회 영화제 폐막식 당일 내린 비로, 불과 보름 전에 개관한 건물에서 빗물이 새면서 논란을 빚었다. 부산시 건설본부와 시공사인 한진중공업은 설계자가 '하늘과 땅의 소통'이라는 개념으로 설계하면서 별도의 차수 장치와 배수시설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확인하면서, 설계자와 협의를 거쳐 배수시설 설치 등 보완작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BIFF '영화의 전당'시대 개막
http://www.mt.co.kr/[...]
MoneyToday
2013-07-17
[2]
웹사이트
Longest cantilever roof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3-07-17
[3]
웹사이트
Busan Cinema Center
https://www.world-ar[...]
2023-10-05
[4]
웹사이트
'비상의 꿈, 세계를 열다' 영화의 전당 개관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3-07-17
[5]
웹사이트
한진중공업, 첨단공법으로 [영화의 전당] 개관
http://www.hanjinsc.[...]
Hanjin Heavy Industris & Construction Co., LTd.
2013-07-17
[6]
웹사이트
[탐방] 부산영상센터 85m 세계 최장의 캔틸레버 ‘영화의 전당’
http://ghs.thesome.c[...]
건축사 신문
2013-07-18
[7]
웹사이트
BIFF '영화의 전당'시대 개막
http://www.mt.co.kr/[...]
MoneyToday
2013-07-17
[8]
웹사이트
Longest cantilever roof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3-07-17
[9]
웹인용
부산영상센터 새 이름 '영화의 전당'
http://www.mt.co.kr/[...]
2011-07-26
[10]
웹인용
BIFF '영화의 전당'시대 개막
http://www.mt.co.kr/[...]
2011-09-30
[11]
웹인용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에서 영화보자
http://www.hani.co.k[...]
2011-07-26
[12]
웹인용
영화의전당,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과 업무협약(MOU)체결
http://www.asiatoday[...]
2011-10-10
[13]
웹인용
[새 명물 '영화의전당'] 시민·영화인 10년 염원, 우여곡절 끝 '대역사' 결실
http://news20.busan.[...]
2011-10-09
[14]
웹인용
'영화의 전당' 29일 역사적 개관
http://news.hankooki[...]
2011-09-30
[15]
웹인용
[탐방] 부산영상센터 85m 세계 최장의 캔틸레버 ‘영화의 전당’
http://ghs.thesome.c[...]
2013-07-18
[16]
웹인용
'영화의 전당' 비 샌 이유 '설계자 의도 때문'
https://news.naver.c[...]
2011-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