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셰르반 칸타쿠지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셰르반 칸타쿠지노는 그리스계 귀족 출신으로, 오스만 제국에 맞서 빈 전투에 참여했다. 그는 왈라키아 공국에서 옥수수를 도입하고, 루마니아어 성경인 칸타쿠지노 성서를 발간했으며, 최초의 루마니아 학교를 설립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빈 전투에서 그는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기 위해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협력했으며, 십자가를 세우는 등 기독교 편에 섰다. 1688년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는 독살설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왈라키아 공작 - 블라드 3세 체페슈
    블라드 3세 체페슈는 15세기 왈라키아 공국의 보이보드로서 "드라큘라"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며 잔혹한 통치로 "체페슈"라고도 불리며 오스만 제국에 맞섰으나 체포되어 유폐 후 전사했고 그의 통치는 과장되어 흡혈귀 드라큘라 신화의 원형이 되었으며 왈라키아 역사와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왈라키아 공작 - 미르체아 1세
    미르체아 1세는 왈라키아 공국의 통치자로서 정치, 경제, 군사적 발전을 이끌어 왈라키아의 황금기를 열었으며, 영토 확장, 오스만 제국에 대한 독립 유지, 폴란드 및 헝가리와의 동맹 강화, 정교회 지원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대튀르크 전쟁 관련자 - 얀 3세 소비에스키
    얀 3세 소비에스키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국왕으로서 용맹한 지휘관이었으며, 특히 제2차 빈 포위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격파하여 유럽 기독교 세계의 구원자로 칭송받았으나, 국내 정치 개혁 실패와 외교적 어려움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쇠퇴기를 맞이했다.
  • 대튀르크 전쟁 관련자 - 외젠 드 사부아 공자
    외젠 드 사부아 공자는 수아송 백작 외젠 모리스와 올림피아 만시니 사이에서 태어난 삼남으로,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셰르반 칸타쿠지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레지 수도원에 묘사된 셰르반 칸타쿠지노
후레지 수도원에 묘사된 셰르반 칸타쿠지노
원어 이름Șerban Cantacuzino
로마자 표기Syeorban Kantakujino
셰르반 칸타쿠지노의 문장
통치 정보
작위왈라키아의 보이보드
재위 기간1678년 - 1688년
이전 통치자게오르게 두카
다음 통치자콘스탄틴 브른코베아누
개인 정보
출생일1640년경
사망일1688년 10월 29일/11월 8일
매장지알 수 없음
가문
가문칸타쿠지노가
아버지콘스탄틴 칸타쿠지노
어머니엘리나
종교
종교정교회

2. 생애

셰르반 칸타쿠지노는 그리스계 귀족 가문인 칸타쿠지노 가문의 일원이었다. 신성 동맹에 동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빈 전투에서 패배로 끝난 오스만 제국의 원정에 참여해야 했다.[1] 모세 가스터에 따르면, 셰르반은 오스만 제국유럽에서 몰아내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진군할 계획을 세웠으며, 서방 열강은 그에게 사실상 지원을 약속했다고 한다.[2]

칸타쿠지노는 왈라키아와 오늘날 루마니아에 옥수수를 소개했으며,[3][4] 옥수수는 이후 이 지역의 주식이 되었지만, 그의 치세 동안에는 아직 널리 재배되지 않았다. 그는 다양한 인쇄기 설립에 동의했고, 부쿠레슈티에서 처음 출판(1688)된 유명한 루마니아어성서(''칸타쿠지노 성서'')를 주문했다.[5][6] 그의 영향으로 교회 슬라브어는 공식적으로 전례에서 폐지되었고, 루마니아어가 이를 대체했다.[2] 그는 최초의 루마니아 학교를 부쿠레슈티에 설립했으며, 코트로체니 수도원과 셰르반 보더 여관을 건설했다.[7]

그의 아들 게오르게 칸타쿠지노는 나중에 올테니아의 반으로 통치했고, 룩산드라 로세티와 결혼했다.

2. 1. 통치

1683년, 셰르반이 집권한 왈라키아 공국은 명목상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서, 빈 전투에 참여해야 했다.[1]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공국들의 충성심을 신뢰하지 않아, 이들의 군대는 다리 건설과 같은 보조 임무에만 투입되었다.[8]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셰르반은 발칸 반도 그리스도교인의 보호자를 자처하며 제국군과 협상하여 왈라키아가 그리스도교 측에 합류하도록 했다. 합스부르크는 그 대가로 콘스탄디누폴리스의 왕좌를 약속했다.[8]

1683년 7월 14일, 오스만 제국군은 빈 공성을 시작했다. 루마니아 자료에 따르면 셰르반 칸타쿠지노와 그의 병사들은 브리기테나우섬다뉴브강 위의 다리를 버리는 척하며 오스만 제국군의 공성을 비밀리에 방해하려 했다.[8]

7월 22일, 칸타쿠지노의 군대는 쇤브룬으로 이동했다. 그는 정보원 게오르크 쿠니츠를 통해 빈 방어군에게 로렌 공작의 군대가 도착하면 즉시 다리 작업을 중단하고 전투 없이 철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오스트리아군에게 왈라키아인들이 다리 건설 작업을 하는 것을 보고 철수할 때 가짜 대포 몇 발을 쏴 줄 것을 요청했다. 8월 30일, 칸타쿠지노의 군대는 다리에서 밤새도록 작업한 후 첫 번째 대포 사격을 시작했는데, 이는 쿠니츠가 오스트리아 군대 사령관과 맺은 합의에 따른 것이었다.[8]

칸타쿠지노 십자가의 복제품


9월 1일, 셰르반은 쇤브룬 근처 가테르횔첼숲에 3미터의 오크 십자가를 만들라고 명령했다. 포위가 끝나기 며칠 전, 그는 군대에게 십자가를 묻으라고 명령하며, 타타르족에게서 구출한 포로에게는 오스만군이 떠난 후 콜로니치 대주교에게 가서 십자가를 파내고 빈 사람들에게 매일 기려질 적합한 장소에 세워야 한다고 전하게 했다. 공성전이 끝난 후 십자가는 도시로 이송되어 경당 안 처음 세워졌던 자리에 설치되었다.[8] 1961년 경당이 복원되었으며, 현재는 그 십자가의 소형 복제품이 있다.[9]

십자가에 새겨진 문구는 다음과 같다.

:+ CRUCIS EXALTATIO EST CONSERVATIO MUNDI CRUX DECOR ECCLESIAE CRUX CUSTODIA REGUM CRUX CONFIRMATIO FIDELIUM CRUX GLORIA ANGELORUM ET VULNUS DEMONUM
——————————
NOS DEI GRATIA SERVANUS CANTHACUZENUS VALACHIAE TRANSALPINAE PRINCEPS EIUSDEMQUE PERPETUUS HÆRES AC DOMINUS § EREXIMUS CRUCEM HANC IN LOCO QUAVIS DIE DEVOTIONE POPULI ET SACRO HONORATIO IN PERPETUAM SUI SUORUMQUE MEMORIAM TEMPORE OBSIDIONIS MAHOMETANAE VEZIRIO KARA MUSTAPFA BASSA VIENNENSIS INFERIORIS AUSTRIAE MENSE SEPTEMB DIE I. ANNO 1683
VIA
TOR
MEMENTO MORI


9월 12일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공격 이후, 왈라키아 군대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다뉴브강을 건너 동쪽으로 향했다.[8]

2. 2. 빈 전투 (1683년)

전투 후 그리스도교인들에게 선물로 남겨진 깃발


1683년, 셰르반 칸타쿠지노가 통치하던 왈라키아 공국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이었기에, 미하이 아파피의 트란실바니아 공국, 게오르게 두카의 몰다비아 공국과 함께 빈 전투에 참전해야 했다.[1] 오스만 제국은 이들의 충성심을 믿지 않아, 각 공국의 군대는 다리 건설 등 보조 임무에만 투입되었다.[8]

셰르반은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 신분이었지만, 발칸 반도 그리스도교인의 보호자를 자처하며 제국군과 협상하여 왈라키아가 그리스도교 측에 합류하도록 했다. 합스부르크는 그 대가로 셰르반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왕좌를 약속했다.[8]

2. 2. 1. 전투 과정

1683년, 셰르반 칸타쿠지노가 통치하던 왈라키아 공국은 명목상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서, 빈 전투에 참전해야 했다.[1]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왈라키아 군대를 신뢰하지 않아 다리 건설과 같은 보조 임무만 맡겼다.[8]

셰르반은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칸 반도 그리스도교인의 보호자를 자처하며 제국군과 협상하여 왈라키아가 그리스도교 측에 합류하도록 했다. 합스부르크는 그 대가로 셰르반에게 콘스탄디누폴리스의 왕좌를 약속했다.[8]

1683년 7월 14일, 오스만 제국군은 빈 공성을 시작했다. 루마니아 자료에 따르면 셰르반과 그의 군대는 브리기테나우섬다뉴브강 다리를 버리는 척하며 오스만 제국군의 공성을 비밀리에 방해하려 했다.[8]

7월 22일, 칸타쿠지노의 군대는 쇤브룬으로 이동했다. 셰르반은 정보원 게오르크 쿠니츠를 통해 빈 방어군에게 로렌 공작의 군대가 도착하면 즉시 다리 작업을 중단하고 전투 없이 철수할 것이라고 알렸다. 또한 오스트리아군에게 왈라키아인들이 철수할 때 가짜 대포 몇 발을 쏴 줄 것을 요청했다. 8월 30일, 칸타쿠지노의 군대는 쿠니츠가 오스트리아 군대 사령관과 맺은 합의에 따라 다리에서 밤샘 작업 후 첫 번째 대포 사격을 시작했다.[8]

9월 1일, 셰르반은 쇤브룬 근처 가테르횔첼숲에 3미터 오크 십자가를 만들게 했다. 포위가 끝나기 며칠 전, 십자가를 묻게 하고 타타르족 포로에게는 오스만군이 떠난 후 콜로니치 대주교에게 가서 십자가를 파내 빈 사람들에게 기려질 장소에 세우라고 지시했다. 십자가는 발견 후 도시로 옮겨져 경당 안 처음 세워졌던 자리에 설치되었다.[8] 1961년 경당 복원 후 현재는 소형 복제품이 있다.[9]

십자가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 CRUCIS EXALTATIO EST CONSERVATIO MUNDI CRUX DECOR ECCLESIAE CRUX CUSTODIA REGUM CRUX CONFIRMATIO FIDELIUM CRUX GLORIA ANGELORUM ET VULNUS DEMONUM
——————————
NOS DEI GRATIA SERVANUS CANTHACUZENUS VALACHIAE TRANSALPINAE PRINCEPS EIUSDEMQUE PERPETUUS HÆRES AC DOMINUS § EREXIMUS CRUCEM HANC IN LOCO QUAVIS DIE DEVOTIONE POPULI ET SACRO HONORATIO IN PERPETUAM SUI SUORUMQUE MEMORIAM TEMPORE OBSIDIONIS MAHOMETANAE VEZIRIO KARA MUSTAPFA BASSA VIENNENSIS INFERIORIS AUSTRIAE MENSE SEPTEMB DIE I. ANNO 1683
VIA TOR
MEMENTO MORI


9월 12일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공격 이후, 왈라키아 군대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다뉴브강을 건너 동쪽으로 향했다.[8]

2. 2. 2. 칸타쿠지노 십자가



1683년 9월 1일, 셰르반은 병사들에게 자신의 천막 근처 쇤브룬 가테르횔첼숲에 3m 높이의 오크 십자가를 만들라고 명령했다. 포위가 끝나기 며칠 전, 셰르반은 군대에 십자가를 묻으라고 명령했다. 타타르족에게서 구출한 포로에게는 오스만군이 떠난 후 콜로니치 대주교에게 가서 십자가를 파내고 빈 사람들에게 매일 기려질 적합한 장소에 세워야 한다고 말하라고 지시했다. 공성전이 끝난 후, 십자가는 발견되어 도시로 이송되었고, 경당 안 처음 세워졌던 자리에 설치되었다.[8] 1961년 경당이 복원되었으며, 현재는 그 십자가의 소형 복제품이 자리해 있다.[9]

십자가에 새겨진 문구는 다음과 같다.

:+ CRUCIS EXALTATIO EST CONSERVATIO MUNDI CRUX DECOR ECCLESIAE CRUX CUSTODIA REGUM CRUX CONFIRMATIO FIDELIUM CRUX GLORIA ANGELORUM ET VULNUS DEMONUM
——————————
NOS DEI GRATIA SERVANUS CANTHACUZENUS VALACHIAE TRANSALPINAE PRINCEPS EIUSDEMQUE PERPETUUS HÆRES AC DOMINUS § EREXIMUS CRUCEM HANC IN LOCO QUAVIS DIE DEVOTIONE POPULI ET SACRO HONORATIO IN PERPETUAM SUI SUORUMQUE MEMORIAM TEMPORE OBSIDIONIS MAHOMETANAE VEZIRIO KARA MUSTAPFA BASSA VIENNENSIS INFERIORIS AUSTRIAE MENSE SEPTEMB DIE I. ANNO 1683
VIA TOR
MEMENTO MORI

2. 3. 죽음

Șerban Cantacuzino|셰르반 칸타쿠지노ro는 1688년 10월 29일에 사망했다.[10][11] 그가 사실은 자신의 반오스만 정책에 반대한 보야르들(그의 형제인 콘스탄틴과 미하이로 추정됨)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추측이 존재하기도 한다.[12] 셰르반 사후, 왈라키아의 보이보드 직위는 외조카인 콘스탄틴 브른코베아누가 계승했다.

참조

[1] 간행물 Defense of the Integrity of the Romanian States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Social Science Monographs, Boulder 1983
[2] EB1911 Cantacuzino
[3] 서적 Istoria românilor din Dacia Traiană 1925
[4] 서적 O scurtă istorie a românilor povestită celor tineri 2002
[5] 웹인용 O carte fundamentală pentru limba română: Biblia lui Șerban Cantacuzino https://www.historia[...]
[6] 서적 Istoria Bisericii Românești și a vieții religioase a Românilor Tipografia „Neamul Românesc” 1908
[7] 웹인용 Revoluţiile Valahiei http://www.cimec.ro/[...] cimec.ro
[8] 웹인용 Participarea lui Șerban Cantacuzino la cel de-al Doilea Asediul Vienei https://www.historia[...] 2020-11-20
[9] 웹인용 Moldauer Kreuz https://www.geschich[...]
[10] 서적 Istoria Domniei lui Constantin Basarab Brîncoveanu Voievod (1688-1714) Editura Academiei Republicii Socialiste România
[11] 서적 Constantin Brâncoveanu. Zărnești 1690 Editura Militară
[12] 서적 Scurtă povestire despre stârpirea familiilor lui Brâncoveanu și a Cantacuzinilor Editura Miner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