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 요시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요시요리는 쓰시마 후추번의 14대 번주로, 1818년에 태어나 1890년에 사망했다. 그는 1842년 가독을 상속받아 번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세자 문제로 인한 가쓰이 소동과 러시아 군함의 쓰시마 점령 사건 등 일련의 사건들을 겪었다. 1862년 은거 후, 고모다미나토 신사 궁사 등을 역임했으며, 메이지 시대에 정4위, 종3위로 추증되었다. 또한 1854년 가나가와 조약 협상 위원으로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쓰시마 후추번 사람 - 소 요시아키라
    소 요시아키라는 쓰시마 후추번의 마지막 번주이자 메이지 시대의 백작으로, 번주 재임 시절 조슈 정벌과 보신 전쟁을 겪었으며 메이지 유신 후에는 번지사와 외무대승을 지내며 조선과의 외교 교섭을 담당했다.
  • 막말 쓰시마 후추번 사람 - 나카라이 도스이
    나카라이 도스이는 일본의 소설가이자 언론인, 문학 평론가로, 한국 관련 기사 작성 및 춘향전 번역을 통해 한국 문학을 일본에 소개했으며, 『대보살 고개』 등의 작품으로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 쓰시마 후추번주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초대 번주이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했고, 조선과의 국교 회복에 힘써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단절되었던 조선과의 관계를 복원하는 데 기여했다.
  • 쓰시마 후추번주 - 소 요시나리
    소 요시나리는 1604년에 태어나 1657년에 사망한 쓰시마 후추번의 2대 번주이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반쇼인을 창건했으며, 조선 표류민을 송환하는 등 번정 안정에 힘썼다.
  • 소씨 (쓰시마)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소씨 (쓰시마)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초대 번주이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했고, 조선과의 국교 회복에 힘써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단절되었던 조선과의 관계를 복원하는 데 기여했다.
소 요시요리
기본 정보
소 요시요리
소 요시요리
이름소 요시요리
일본어 이름宗 義和
로마자 표기Sō Yoshiyori
출생문정 원년 8월 4일 (1818년9월 4일)
사망메이지 23년 (1890년) 8월 13일
묘소나가사키현대마시 이즈하라마치 코쿠분의 만송원
관직
관위종4위시종, 대마도부중번 주, 하리마노카미, 종3위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요시, 이에사다, 이에모치, 메이지 천황
대마부중번 번주
가문
씨족소 씨
가족 관계
소 요시치카, 다다 분조 딸 겐
형제요시아키라, 소 요시요리, 히구치 데쓰시로의 처, 시마오 마스키, 히구치 가즈마사
배우자아사노 나리아키라 딸 카요, 민 (가쓰이 씨), 모토 (이노우에 씨), 벽 (지헤키 씨) 등
자녀히코시치로, 가쓰치요, 요시타다, 하라 가즈노리, 이노우에 가즈토요, 구로다 가즈시, 사가 가즈이치, 니이 가즈쿠니, 스기무라 가즈하루, 가즈코, 우에코, 난바 소레의 처
기타 정보
어릴 적 이름헤이지로
개명헤이지로 (어릴 적 이름), 노부손 아키사다, 히구치 아키사다, 소 요시요리
통칭효부
시호없음
계명겐코인
영명없음
특기 사항없음

2. 생애

분세이 원년(1818년) 8월 4일, 소 요시요리쓰시마 후추번 13대 번주 소 요시카타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삼촌 나가쓰구 가타나오의 양자가 되었다가 다시 일족 히구치 가의 양자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형이자 14대 번주였던 소 요시아야에게서 이름자 한 자를 받아 아야사다라고 불렸다.

덴포 13년(1842년), 소 요시아야가 사망하자 그의 말기 양자가 되어 가독을 상속받았다. 같은 해 10월, 종4위하 시종 쓰시마노카미에 임명되었고, 이름을 요시요리로 고쳤다. 히구치 가문은 동생 요리타다가 이었다.

소 요시요리는 아버지 소 요시카타 시대부터 계속된 번정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재정 재건을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개혁은 실패로 돌아갔고, 번의 재정난은 더욱 심화되었다.

소 요시요리는 세자 요시노스케(훗날의 소 요시아키라)를 폐적하고, 총애하는 첩 미도리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가쓰치요를 세자로 삼으려 했다. 이로 인해 가쓰이 소동이 일어났고, 번 내부는 요시아키라파와 가쓰치요파로 분열되었다. 안세이 6년(1859년) 가쓰치요가 요절하면서 요시아키라파가 반격했고, 다시 요시아키라가 세자가 되었다. 만엔 원년(1860년) 미도리와 그 지지파는 쓰시마에서 추방되었다.

분큐 원년(1861년) 2월, 러시아 군함이 쓰시마 섬에 내항하여 쓰시마 점령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에도 주재 쓰시마 가로 사스 이오리는 막부쓰시마 섬공의어료(公儀御料), 즉 쇼군 직할령으로 삼고 소 씨를 다른 영지로 전봉해달라고 비밀리에 탄원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발각되었고, 후계자 싸움의 여파로 인해 이오리는 존왕양이파 의당에 의해 암살되었다. 이로 인해 의당은 번정의 주도권을 잡았고, 분큐 2년(1862년)에는 조슈번과 다이초 동맹(対長同盟)을 맺었다. 의당은 번정 쇄신을 이유로 소 요시요리에게 은거를 요구했고, 요시요리는 분큐 2년 12월 25일(혹은 분큐 3년 1월 5일)에 소 요시아키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분큐 2년(1862년), 의당은 번정 쇄신을 이유로 소 요시요리에게 은거를 요구했고, 요시요리는 12월 25일(이설로 분큐 3년(1863년) 1월 5일이라고도)에 요시아키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폐번치현 이후, 소 요시요리는 고모다미나토 신사와 가이진 신사의 궁사, 나가사키 황전구구분소(皇典購究分所) 감독 등을 역임했다. 1885년(메이지 18년) 정4위에 서임되었고, 1890년(메이지 23년) 종3위로 승진했으나, 그해 8월 13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가독 상속

분세이 원년(1818년) 8월 4일, 소 요시요리는 쓰시마 후추번 13대 번주 소 요시카타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삼촌 나가쓰구 가타나오의 양자가 되었다가 다시 일족 히구치 가의 양자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형이자 14대 번주였던 소 요시아야에게서 이름자 한 자를 받아 아야사다라고 불렸다.

덴포 13년(1842년), 소 요시아야가 사망하자 그의 말기양자가 되어 가독을 상속받았다. 같은 해 10월, 종4위하 시종 쓰시마노카미에 임명되었고, 이름을 요시요리로 고쳤다. 히구치 가문은 동생 요리타다가 이었다.

2. 2. 번정 개혁과 실패

소 요시요리는 아버지 소 요시카타 시대부터 계속된 번정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재정 재건을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개혁은 실패로 돌아갔고, 번의 재정난은 더욱 심화되었다.

2. 3. 가쓰이 소동과 후계자 분쟁

소 요시요리는 세자 요시노스케(훗날의 소 요시아키라)를 폐적하고, 총애하는 첩 미도리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가쓰치요를 세자로 삼으려 했다. 이로 인해 가쓰이 소동이 일어났고, 번 내부는 요시아키라파와 가쓰치요파로 분열되었다. 안세이 6년(1859년) 가쓰치요가 요절하면서 요시아키라파가 반격했고, 다시 요시아키라가 세자가 되었다. 만엔 원년(1860년) 미도리와 그 지지파는 쓰시마에서 추방되었다.

2. 4. 쓰시마 점령 사건과 막부와의 갈등

분큐 원년(1861년) 2월, 러시아 군함이 쓰시마 섬에 내항하여 쓰시마 점령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에도 주재 쓰시마 가로 사스 이오리는 막부에 쓰시마 섬을 공의어료(公儀御料), 즉 쇼군 직할령으로 삼고 소 씨를 다른 영지로 전봉해달라고 비밀리에 탄원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발각되었고, 후계자 싸움의 여파로 인해 이오리는 존왕양이파 의당에 의해 암살되었다. 이로 인해 의당은 번정의 주도권을 잡았고, 분큐 2년(1862년)에는 조슈번과 다이초 동맹(対長同盟)을 맺었다. 의당은 번정 쇄신을 이유로 소 요시요리에게 은거를 요구했고, 요시요리는 분큐 2년 12월 25일(혹은 분큐 3년 1월 5일)에 소 요시아키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2. 5. 은거와 메이지 유신 이후

분큐 2년(1862년), 의당은 번정 쇄신을 이유로 소 요시요리에게 은거를 요구했고, 요시요리는 12월 25일(이설로 분큐 3년(1863년) 1월 5일이라고도)에 요시아키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폐번치현 이후, 소 요시요리는 고모다미나토 신사(小茂田湊神社)와 가이진 신사의 궁사, 나가사키 황전구구분소(皇典購究分所) 감독 등을 역임했다. 1885년(메이지 18년) 정4위에 서임되었고, 1890년(메이지 23년) 종3위로 승진했으나, 그해 8월 13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가나가와 조약 협상 참여

소 요시요리는 1854년 3월 8일 매튜 페리 제독과 그의 부하들을 만나는 조정 위원의 선임 위원으로 임명되었다.[1][2] 그는 회의에서 하야시 아키라 다이가쿠노카미 옆에 앉아 협상에 참여했다. 미국과의 협상에서 소 요시요리의 직위는 하야시에 이어 두 번째로 여겨졌다.

4. 계보


  • 아버지 : 소 요시카타(1800-1838)
  • 어머니 : 겐(玄) - 다다 분조(多田文蔵)의 딸
  • 양아버지: 나가쓰구 하타나오
  • 양아버지: 히구치 나가히데
  • 양아버지: 소 요시아야(1818-1842)
  • 정실 : 가요(嘉代) - 신라쿠인(信楽院), 아사노 나리카타의 딸
  • 측실 : 다미(民) - 가쓰이 고로키치(勝井五郎吉)의 딸로 가쓰이 고바치로의 여동생
  • * 셋째 : 소 요시아키라(1847-1902)
  • 측실 : 모토(元) - 이노우에 사에몬의 딸
  • 측실 : 미도리(碧) - 지헤키 분사쿠(慈碧文作)의 딸
  • * 남자 : 가쓰치요(? -1859)
  • 측실 : 미와(美和) - 시마이 기에몬의 딸
  • 측실 : 세이(世伊) - 야마구치 분자에몬의 딸
  • 측실 : 나가루 씨(永留氏), 오가와 씨(小川氏)
  • 생모 불명의 자녀
  • * 남자 : 히코시치로(彦七郎)
  • * 넷째 아들 : 하라 요리노리
  • * 다섯째 아들 : 이노우에 가즈토요
  • * 여섯째 아들 : 구로다 요리유키(1851-1917) - 구로다 린코(黒田鏻子)의 입 남편
  • * 일곱째 아들 : 사가 요리카즈
  • * 여덟째 아들 : 니이 요리쿠니
  • * 아홉째 아들 : 스기무라 요리하루
  • * 딸 : 요리코 - 구조 미치타카의 정실
  • * 딸 : 우에코- 마쓰다이라 노부마사의 계실(継室)
  • * 딸 : 난바 무네노리(難波宗礼)의 아내

4. 1. 가족 관계

아버지 소 요시카타(1800-1838)와 어머니 겐(다다 분쇼(多田文蔵)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나가쓰구 하타나오, 히구치 나가히데, 소 요시아야를 양부로 두었다. 정실은 신라쿠인(信楽院)으로 불리는 가요(嘉代)이며 아사노 나리카타의 딸이다. 측실로는 다미(가쓰이 고로키치의 딸이자 가쓰이 고바치로의 여동생), 모토(이노우에 사에몬의 딸), 미도리(慈碧文作의 딸), 미와(시마이 요시고에몬(島井儀右衛門)의 딸), 세이(야마구치 분자에몬의 딸), 나가루 씨, 오가와 씨 등이 있었다.

소 요시요리는 여러 부인과의 사이에서 많은 자녀를 두었다. 셋째 아들 소 요시아키라, 여섯째 아들 구로다 요리유키(구로다 린코의 남편), 가쓰치요(1859년 사망), 히코시치로, 넷째 아들 하라 요리노리, 다섯째 아들 이노우에 가즈토요, 일곱째 아들 사가 요리카즈, 여덟째 아들 니이 요리쿠니, 아홉째 아들 스기무라 요리하루, 구조 미치타카의 정실이 된 요리코, 마쓰다이라 노부마사의 계실이 된 植子, 난바 무네노리의 아내가 된 딸 등이 그들이다. 특히 구로다 요리유키는 훗날 소 다케유키의 아버지가 되었다.

4. 2. 이름자를 받은 인물

소 요시요리는 자신의 이름자 '요리(和)'를 여러 아들과 가신들에게 내려주었다. 히구치 요리타다, 하라 요리노리, 이노우에 요리토요, 구로다 요리유키(여섯째 아들), 사가 요리카즈, 니이 요리쿠니, 스기무라 요리하루 등이 그 예이다.

5. 평가 및 영향

6. 영전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582–1941: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Logbook of the Captain's Clerk: Adventures in the China Seas Chas H. Glass & Co. 1905
[3] 뉴스 United States Treaty with Japan; an Account of Commodore Perry's Second Visit to Japan http://paperspast.na[...] Daily Southern Cross 1854-10-06
[4] 간행물 賞勲叙任 官報 1885-04-15
[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0-06-21
[6] 간행물 賞勲叙任 官報 1885-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