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관은 고대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귀족의 지위를 나타내는 머리 장식이다. 영국에서는 왕족과 귀족의 소관 디자인이 다르며, 귀족 작위에 따라 디자인이 구분된다. 프랑스, 신성 로마 제국, 벨기에, 덴마크, 스페인, 스웨덴, 포르투갈 등 다양한 국가에서도 소관이 사용되었으며, 각 국가와 작위에 따라 디자인이 다르다. 캐나다 문장학에서는 유나이티드 제국 충성파 후손들이 문장에 소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코틀랜드의 지방 정부에서도 특정 형태의 소관을 사용한다.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coronet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co(u)ronne''('왕관')의 축소형이고, 다시 corona|왕관, 화환la과 κορώνη|korōnē|화환, 화관grc에서 유래되었다.
소관은 신분과 계급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특히 유럽 국가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2. 어원
전통적으로 이러한 머리 장식은 귀족과 그들의 문장에서 왕자와 공주가 사용하며, 군주는 사용하지 않는다. 영어에서 'crown'(왕관)이라는 단어는 관례적으로 군주에게만 사용되며, 많은 언어에서는 이러한 용어상의 구분이 없다. 소관은 해당 귀족의 지위를 나타내므로, 독일어와 스칸디나비아어에도 "rangkrone"(문자 그대로 '계급 왕관')이라는 용어가 있다.
3. 역사
영국에서는 귀족들이 국왕의 대관식 때 소관을 착용하는 전통이 있었으나, 찰스 3세 국왕의 2023년 대관식에서는 특별한 의례 역할을 수행하는 귀족을 제외하고는 소관 착용이 금지되었다.[2] 영국의 귀족 작위에 따라 소관의 디자인은 소유자의 작위를 나타내며,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순으로 소관 착용 권한을 획득했다.[3]
영국 왕실 구성원들도 소관을 사용하며, 대관식에서 실제 소관을 착용하기도 한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마가렛 공주는 1937년 아버지 조지 6세의 대관식에서 소관을 착용했다.[1] 왕실 소관은 군주의 관계에 따라 디자인이 다르며, 왕위 계승자의 소관은 지구본과 십자가가 있는 단일 아치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1]
프랑스에서도 귀족 계급에서 소관을 사용했으며, 영국의 귀족 계급과 유사한 체계를 가졌지만, 작위 소유자의 순위가 엄격하지는 않았다.[1] 작위는 제2 제국이 1870년에 몰락할 때까지 계속 부여되었고, 그 후손들 사이에서 법적으로 살아남았다.[1]
신성 로마 제국과 그 후계 국가들(오스트리아, 독일 등)에서도 소관이 사용되었으며, 영국과 유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지만 디자인은 달랐다.
이 외에도 벨기에, 덴마크, 스페인, 스웨덴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소관이 사용되었다.
3. 1. 영국
영국에서 소관은 신분과 계급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영국 귀족은 전통적으로 국왕의 대관식 때 소관을 착용하며, 대관식 예복과 함께 착용하는 것이 관례였다. 하지만 찰스 3세 국왕의 2023년 대관식에서는 특별한 의례 역할을 수행하는 귀족을 제외하고는 소관 착용이 금지되었다.[2]
영국 귀족 작위에서 소관의 디자인은 소유자의 작위를 나타낸다. 공작이 최초로 소관 착용 허가를 받았으며, 후작은 15세기, 백작은 16세기, 자작과 남작은 17세기에 소관을 획득했다. 1661년 이전에는 백작, 후작, 공작의 소관은 조각되었지만 자작의 소관은 평범했다. 그러나 1661년 이후 자작의 소관도 조각되었고, 남작의 소관은 평범하게 유지되었다. 소관에는 귀석이나 반귀석을 사용할 수 없다.[3]
3. 1. 1. 영국 왕족의 소관
영국 왕실 구성원은 종종 문장에 작은 왕관을 표시하며, 대관식에서 실제 작은 왕관을 착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엘리자베스 여왕과 마가렛 공주는 1937년 아버지 조지 6세의 대관식에서 작은 왕관을 착용했다.[1] 이러한 작은 왕관은 1661년 찰스 2세가 프랑스 망명에서 돌아온 직후 제정된 규정에 따라 만들어졌다. 찰스 2세는 프랑스 망명 생활을 통해 화려한 궁정 스타일에 대한 취향을 얻었으며, 당시 루이 14세는 베르사유에서 기념비적인 작업을 시작했다.[1]
작은 왕관은 군주의 관계에 따라 다르며, 때때로 추가적인 왕실 칙허장이 개인의 디자인을 변경하기도 한다. 작은 왕관에 관한 가장 최근(그리고 가장 포괄적인) 왕실 칙허장은 조지 5세의 1917년 11월 19일 칙허장이었다.[1] 영국의 왕위 계승자의 작은 왕관은 지구본과 십자가가 있는 단일 아치가 있어 독특하다. 찰스 3세는 2023년 대관식에서 왕족과 귀족 모두를 위해 작은 왕관을 사용하는 것을 선택하지 않았지만, 전통을 폐지하지는 않았다.[1]
3. 1. 2. 영국 귀족의 소관
영국에서 귀족은 전통적으로 국왕의 대관식 때 단 한 번 관을 착용한다. 이때는 표준화된 대관식 예복과 함께 착용한다. 그러나 찰스 3세 국왕의 2023년 대관식에서 정부의 권고에 따라 국왕은 특별한 의례 역할을 수행하는 귀족을 제외하고 초청된 귀족들의 관 착용을 금지했다.[2]
영국의 귀족 작위에서 관의 디자인은 독일, 프랑스 및 기타 다양한 문장학 전통과 마찬가지로 소유자의 작위를 나타낸다. 공작은 관을 착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최초의 개인이었다. 후작은 15세기에, 백작은 16세기에, 자작과 남작은 17세기에 관을 획득했다. 남작이 1661년에 관을 받기 전까지 백작, 후작 및 공작의 관은 조각되었지만 자작의 관은 평범했다. 그러나 1661년 이후 자작의 관은 조각되었고 남작의 관은 평범했다. 관에는 귀석이나 반귀석을 사용할 수 없다.[3] 관을 착용할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관을 관례적으로 문장의 방패 위, 투구와 문장 아래에 표시하므로 이는 주어진 문장의 소유자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그림 세부 정보 왕자와 공주 왕위 계승자 (Heir apparent) 군주의 자녀 왕위 계승자의 자녀 군주의 아들 자녀 군주의 딸 자녀 (비왕족) 귀족 및 귀부인 공작 또는 공작부인 후작 또는 후작 부인 백작 또는 백작 부인 자작 또는 자작 부인 남작 또는 남작 부인, 영주(Lord) 또는 귀부인(Lady of Parliament)
3. 2. 프랑스
프랑스 귀족 계급은 비왕족 작위에 있어서는 영국의 귀족 계급과 동일했지만, 작위 소유자의 순위가 엄격하지 않았다. 작위는 실제적인 우위나 선행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아니었으며, 조상, 결혼, 고위직, 군사 계급, 가문의 역사적 명성이 중요했다.[1] 몇몇 저명한 가문은 백작이나 남작보다 높은 작위를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그들의 오래된 기원을 자랑스러워했다.[1] 대부분의 귀족은 법적으로 작위가 없었으며, '칭호'는 프랑스 왕실의 규제 없이 자유롭게 사용되었다.[1] 17세기와 18세기에는 사람들은 실제로 가지고 있지 않은 계급의 관을 자유롭게 사용했고, 19세기와 20세기에도 '칭호'의 남용이 여전했다.[1] 작위는 제2 제국이 1870년에 몰락할 때까지 계속 부여되었고, 그 후손들 사이에서 법적으로 살아남았다.[1]
구체제 하에서 결코 찬탈되지 않았고, 그 이후에도 어떤 변명 없이 거의 찬탈되지 않은 유일한 작위는 ''공작'' 작위였다.[1] 이는 공작 작위가 프랑스 귀족원의 자격을 갖춘 사람에게 자주 부여되었으며, 파리 고등법원의 자리에 앉을 권리와 같은 특정 법적 특권을 부여했기 때문이다.[1] 그 결과, ''공작'' 작위는 왕족과 외국 군주 다음으로 최상위였으며, 다른 모든 귀족보다 우위에 있었다.[1]
작위 | 설명 |
---|---|
국왕(Roi) | 백합의 닫힌 관 (16세기 초까지는 관이 열려 있었음) |
도팽(Dauphin) | 처음에는 백합의 열린 관; 앙리 4세의 아들(1601–10)부터는 아치 대신 돌고래로 관이 닫힘 |
프랑스의 아들프랑스어(Fils de France)과 프랑스의 손자프랑스어(Petit-fils de France) | 백합의 열린 관 |
왕자(Prince du sang) | 원래는 백합과 아칸서스 잎(영국 문장에서는 딸기 잎이라고 함)이 번갈아 가며 있는 열린 관이었지만, 17세기와 18세기에는 백합의 열린 관이 사용됨 |
프랑스 귀족원 구성원(Pair de France) | 작위(보통 공작)의 관과 금색 술로 장식되고 족제비로 안감 처리된 armoyé 망토 |
공작(Duc) | 아칸서스 잎의 관 |
후작(Marquis) | 아칸서스 잎과 세 개의 진주 묶음(또는 일부 버전에서는 나란히 있는 두 개의 진주)이 번갈아 가며 있는 관 |
백작(Comte) | 진주의 관 |
자작(Vicomte) | 작은 진주와 번갈아 가며 있는 4개의 큰 진주(3개 보임)의 관 |
비담(Vidame) | 주교령의 세속 재산을 보호하는 특이한 프랑스 작위, 4개의 십자가의 관(3개 보임) |
남작 | 작은 진주 끈으로 묶인 금색 투구 |
기사(Chevalier) | 금색 투구 |
에퀴에(Ecuyer) | 투구 |
3. 3.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과 그 후계 국가들(오스트리아, 독일 등)은 영국과 매우 유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지만, 디자인은 달랐다.명칭 | 설명 | 이미지 |
---|---|---|
Herzogskrone | 공작(`Herzog`)의 소관은 5개의 잎이 보이며, 꼭대기에는 진홍색 보닛이 있고, 5개의 아치와 globus cruciger로 장식되어 있다. | -- |
Fürstenkrone | 군주(`Fürst`)의 소관은 5개의 잎이 보이며, 꼭대기에는 진홍색 보닛이 있고, 3개의 아치와 globus cruciger로 장식되어 있다. | -- |
Landgrafenkrone | 방백(`Landgraf`)의 소관은 5개의 잎이 보이며, 3개의 아치와 globus cruciger로 장식되어 있다. | -- |
Grafenkrone | 백작(`Graf`)의 소관은 9개의 진주가 박힌 뿔이 보인다. 일부 고위 백작 가문은 5개의 잎과 4개의 진주가 있는 소관을 사용했다. | -- |
Freiherrnkrone | 자유 남작de(`Freiherr`)의 소관은 7개의 진주가 박힌 뿔이 보인다. | -- |
Adelskrone | 아델(`Adel`, 작위가 없는 귀족) 구성원의 소관은 5개의 진주가 박힌 뿔이 보인다. 때로는 중앙 및 외부 뿔이 잎이고 다른 뿔은 진주로 장식된다. 바이에른과 뷔르템베르크의 남부 주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든 뿔이 진주로 장식된다. | -- |
신성 로마 제국의 종교적 성격을 고려할 때, 짧게 존속했던 나폴레옹 국가를 제외하고, 대륙의 세속적 문장 시스템은 역사적으로 영국의 왕관 아래만큼 깔끔하게 규제된 적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관과 왕관의 사용을 포함하는 전통이 종종 존재한다.
3. 4. 기타 국가
다음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문장관 및 코로넷의 종류이다.
4. 문장학에서의 사용
캐나다 문장학에서, 유나이티드 제국 충성파의 후손들은 문장에 충성파 군사 관(충성파 연대 구성원의 후손의 경우) 또는 충성파 시민 관(그 외의 경우)을 사용할 자격이 있다.
5. 현대적 사용
현대에는 특정 유형의 지방 정부나 문장(紋章)에서 특별한 관 형태가 사용되기도 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1973년부터 1996년까지 존재했던 지역 의회, 섬 의회, 구 의회와 현재까지 이어지는 커뮤니티 위원회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관을 사용했다.
캐나다 문장학에서 유나이티드 제국 충성파의 후손들은 문장에 충성파 군사 관(충성파 연대 구성원의 후손의 경우) 또는 충성파 시민 관(그 외의 경우)을 사용할 자격이 있다.
5. 1. 지방 정부 및 기타 용도
특정 유형의 지방 정부에는 특별한 관 형태가 지정되어 있다.
캐나다 문장학에서, 유나이티드 제국 충성파의 후손들은 문장에 충성파 군사 관(충성파 연대 구성원의 후손의 경우) 또는 충성파 시민 관(그 외의 경우)을 사용할 자격이 있다.
6. 한국의 관모
(이전 출력은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출력과 동일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원본 소스에서 '소관' 문서의 '한국의 관모'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찾아 작성합니다. 원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섹션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1917 royal warrant
http://www.heraldica[...]
[2]
웹사이트
Coronation row over hundreds of peers forbidden from wearing robes
https://www.telegrap[...]
2023-04-14
[3]
간행물
The Coronets of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of the Peerage
http://www.geocities[...]
2007-10-19
[4]
웹사이트
Honours of the Principality of Wales
https://www.royal.uk[...]
2022-11-18
[5]
웹사이트
Titles and Heraldry: Prince of Wales
https://www.princeof[...]
2022-11-18
[6]
웹사이트
Practical Heraldry for the Self-Isolator (5A)
http://courtofthelor[...]
Court of the Lord Lyon
2020-10-14
[7]
웹사이트
Practical Heraldry for the Self-Isolator (5B)
http://courtofthelor[...]
Court of the Lord Lyon
2020-10-14
[8]
웹사이트
Practical Heraldry for the Self-Isolator (5B)
http://courtofthelor[...]
Court of the Lord Lyon
2020-10-14
[9]
웹사이트
Practical Heraldry for the Self-Isolator (9A)
http://courtofthelor[...]
Court of the Lord Lyon
2020-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