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스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유스 로켓은 1966년 최초 발사된, 보스토크 로켓을 개량한 러시아의 우주 발사체이다. R-7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 2단 로켓이며, 4개의 액체연료 로켓 엔진이 묶여 1단 로켓을 구성한다. 독특한 발사 방식으로, 발사대 지지 기둥이 점화 시에 열리는 튤립 발사 방식을 사용한다. 소유스 우주선과 프로그레스 우주선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소유스-L, 소유스-M, 소유스-U, 소유스-U2, 소유스-FG, 소유스-2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유스 계획 - 소콜 우주복
소콜 우주복은 러시아의 가압 우주복으로, 소유즈 우주선의 발사, 도킹, 착륙 시에 착용하며, 1973년 소유즈 12호에서 처음 사용되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 소유스 계획 - 소유스 (우주선)
소유스는 1960년대 초부터 개발된 소련과 러시아의 유인 우주선으로, 우주 정거장 건설 및 보급, 승무원 수송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후속 모델인 오리올 우주선이 개발 중이다. - R-7 로켓 - R-7 세묘르카
R-7 세묘르카는 소련이 개발한 2단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사용되어 우주 개발 경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소련의 주요 우주 발사체 개발의 토대가 되어 현재까지도 소유스 로켓 형태로 사용된다. - R-7 로켓 - 보스호트 (로켓)
보스호트 (로켓)은 로켓의 역사, 특징, 한국 사회와의 관련성, 현대적 의미와 과제 등을 다루는 문서이다.
소유스 로켓 | |
---|---|
개요 | |
![]() | |
종류 | 중형 로켓 |
제조사 | OKB-1 |
원산지 | 소비에트 연방 |
높이 | 50.7 m |
직경 | 10.3 m |
무게 | 308,000 kg |
단수 | 3단 |
상태 | 퇴역 |
발사장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1/5번 발사대 & 31/6번 발사대 |
총 발사 횟수 | 32회 |
성공 횟수 | 30회 |
실패 횟수 | 2회 (소유스 7K-OK No.1 & 소유스 18a) |
최초 발사 | 1966년 11월 28일 (코스모스 133) |
마지막 발사 | 1976년 10월 14일 (소유스 23) |
탑재물 | 소유스 우주선 |
성능 | |
LEO 수송 능력 | 6,450 kg |
로켓 가족 | |
계열 | R-7 (소유스) |
파생형 | 소유스-L 소유스-M 소유스-U |
1단 (부스터) | |
명칭 | 블록 B, V, G & D |
개수 | 4개 |
엔진 | 1 × RD-107MM |
추력 | 해면고도: 755.14 kN 진공: 921.86 kN |
비추력 | 해면고도: 257초 진공: 314초 |
연소 시간 | 118초 |
연료 | 액체 산소 / RG-1 |
2단 (코어) | |
명칭 | 블록 A |
엔진 | 1 × RD-108MM |
추력 | 해면고도: 676.68 kN 진공: 833.60 kN |
비추력 | 해면고도: 253초 진공: 316초 |
연소 시간 | 292초 |
연료 | 액체 산소 / RG-1 |
3단 | |
명칭 | 블록 I |
엔진 | 1 × RD-0110 |
추력 | 294 kN |
비추력 | 330초 |
연소 시간 | 246초 |
연료 | 액체 산소 / RG-1 |
2. 역사
세계 최초의 ICBM은 1957년 5월 발사된 R-7이며, 세계 최초의 우주로켓은 같은 해 10월 발사된 스푸트니크 로켓이다. 러시아는 2017년까지 R-7 생산라인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R-7이라고 안 부르고 소유스-FG 로켓이라고 부른다. 소유스 로켓은 핵미사일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며, 오직 우주로켓으로만 사용 중이다.[7][8]
1966년 최초 발사 이후, 보스토크 개량형을 거쳐 여러 차례 유인 발사가 이루어졌다.[7][8] R-7 로켓 기반의 '''11A511'''형 로켓은 러시아 국방부 GRAU 명칭이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는 A-2로 분류한다.
세계 최초의 ICBM인 R-7은 1957년 5월에 발사되었고, 세계 최초의 우주로켓인 스푸트니크 로켓은 같은 해 10월에 발사되었다. 러시아는 2017년까지 R-7 생산라인을 유지했으며, 현재는 R-7 대신 소유스-FG 로켓으로 불린다. 소유스 로켓은 더 이상 핵미사일로는 사용되지 않고, 우주로켓으로만 사용된다.[7][8]
1966년 무인 발사가 최초였으며, 보스토크를 개량한 것이었다. 그 뒤를 이어 19번의 유인 발사가 있었다. 소유스 우주선 발사에는 일반적으로 R-7을 개량한 '''11A511'''형 로켓이 사용된다. 11A511은 러시아 국방부의 GRAU 명칭이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는 A-2로 부른다. 소유스 우주선과 함께 소유스 로켓이라고도 불린다.
R-7 로켓의 개량형은 스푸트니크 1호 및 유리 가가린이 탔던 보스토크 우주선을 발사한 실적이 있다. R-7 로켓은 원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개발되었으며, 로켓에서 우주선을 핵탄두로 교체하면 그대로 핵미사일이 되어 미국에 발사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머큐리 계획에 사용된 레드스톤 로켓도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개발된 것이었으며, 이는 우주 개발이 군비 경쟁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R-7 로켓은 여러 차례 개량되기도 했지만, RP-1과 액체 산소를 연료로 하고, 2단 로켓 주위에 4개의 1단 로켓을 설치한 구성 등 기본적인 부분은 대대로 계승되고 있다. 소유스 우주선 발사에는 16호부터 TM-34까지 소유스 U 로켓이, TMA-1부터는 소유스 FG 로켓이 사용되었다. 프로그레스 우주선 발사에는, 몇 기가 소유스 FG 로켓의 시험을 겸해 발사된 것을 제외하면, 소유스 U 로켓이 사용되고 있다.
3. 특징
소유스 로켓은 2단 로켓이며, 4개의 액체연료 로켓 엔진이 묶여서 1단 로켓을 구성한다. 미국에서 각각 보조 로켓과 제1단 로켓이라고 부르는 것을 러시아에서는 제1단 로켓과 제2단 로켓이라고 부른다. R-7 로켓은 1, 2단계 모두 4개의 연소실과 그 주변의 보조 엔진으로 구성된다. 제1단은 RD-107, 제2단은 RD-108 엔진을 사용한다. 보조 엔진은 제2단에 4개, 제1단에 1개당 2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RD-107과 RD-108 엔진의 차이는 여기에 있다.
메인 엔진의 노즐은 고정되어 있지만, 보조 엔진은 짐벌 기구(노즐의 방향을 기울이는 기구)를 통해 로켓의 자세를 제어한다. 4개의 연소실로 구성된 기본 엔진에 연료를 보내는 펌프는 1개뿐이며, 펌프 앞의 연소실과 노즐 4개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연소실의 압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압력에 대한 요구 내구성이 낮아진다.
제3단 로켓 위에는 소유스 우주선이나 프로그레스 우주선이 탑재된다. 소유스 우주선에는 공기와의 마찰로부터 우주선을 보호하고 공기의 흐름을 정돈하기 위한 페어링이 부착되며, 그 위에 아폴로 우주선과 마찬가지로 긴급 탈출용 로켓이 부착된다. 이들은 제1단 로켓 분리 후, 대기권 상층에서 분리된다.
모든 부분을 합하면 최대 직경 10.3m, 길이 49.3m, 무게 310톤이 된다.
R-7 로켓의 발사에서 독특한 점은, 발사까지 로켓을 지지하던 기둥이 점화 시에 꽃잎처럼 열리는 방식이다. 소유스 로켓은 발사장의 MIK Building에서 수평으로 조립된 다음, 발사장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다음에 발사대에서 로켓을 수직으로 세운 후 발사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로켓의 경량화에 있다.
제1단 로켓 4개를 외부에 설치한 중앙의 제2단 로켓은, 경량화의 결과로 제1단 로켓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어졌기 때문에, 로켓의 중간 부분에 트러스 구조의 튼튼한 기둥을 매단 상태에서 발사된다. 이러한 방식은 튤립(Tyulpan) 발사 방식이며, 레닌그라드 금속 주조 공장에서 설계되었다. 로켓 엔진이 점화되고 출력이 로켓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되면, 기둥을 꽃이 피는 것처럼 사방으로 분리한다.
발사 후 118초 만에 제1단 로켓을 분리하고 더욱 가속하여, 160초 후에는 대기권 상층부에서 페어링을 분리하고, 300초 후에는 제2단 로켓을 분리, 제3단 로켓을 점화한다. 마지막으로 발사 583초 후에는 소유스 우주선이 지구 저궤도에 오르게 된다.
4. 제원
R-7 로켓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개발되었으나, 스푸트니크 1호 및 유리 가가린의 보스토크 우주선 발사에 사용되었다. 이는 우주 개발이 군비 경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R-7 로켓은 RP-1과 액체 산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2단 로켓과 4개의 1단 로켓으로 구성되며, 기본적인 구조는 유지하면서 개량을 거듭했다.
2단 로켓과 4개의 액체연료 로켓 엔진으로 구성된 1단 로켓으로 구성된다. 러시아에서는 제1단 로켓과 제2단 로켓으로 부르지만, 미국에서는 보조 로켓과 제1단 로켓으로 부른다. R-7 로켓은 1, 2단계 모두 4개의 연소실과 보조 엔진으로 구성된다. 제1단은 RD-107, 제2단은 RD-108 엔진을 사용하며, 제2단에 4개, 제1단에 1개당 2개의 보조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메인 엔진 노즐은 고정되어 있지만, 보조 엔진은 짐벌 기구를 통해 로켓의 자세를 제어한다. 4개의 연소실로 구성된 기본 엔진은 1개의 연료 펌프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으며, 연소실의 압력을 낮춰 내구성을 높인다.
전체적으로 최대 직경 10.3m, 길이 49.3m, 무게 310톤이다.
R-7 로켓은 발사 전까지 트러스 구조의 기둥에 매달려 지지되며, 엔진 점화 후 출력이 로켓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되면 기둥이 꽃잎처럼 열리는 튤립(Tyulpan) 발사 방식을 사용한다.
5. 파생형
R-7 로켓은 여러 차례 개량되었지만, RP-1과 액체 산소를 연료로 사용하고, 2단 로켓 주위에 4개의 1단 로켓을 설치하는 기본적인 구성은 유지되었다.
소유스 우주선 발사에는 16호부터 TM-34까지 소유스 U 로켓이 사용되었고, TMA-1부터는 소유스 FG 로켓이 사용되었다. 프로그레스 우주선 발사에는 소유스 U 로켓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소유스 FG 로켓 시험을 겸해 발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oyuz (11A511)
http://space.skyrock[...]
2016-05-06
[2]
Youtube
The Great Soviet Cosmonaut Conspiracy – Soyuz Conspiracy – Timeline
https://www.youtube.[...]
[3]
웹사이트
"Soyuz" – series launch vehicles
http://www.samspace.[...]
Samara Space Centre
[4]
뉴스
Soyuz 2-1b launches latest GLONASS-M spacecraft
https://www.nasaspac[...]
2023-03-19
[5]
웹사이트
Soyuz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4-16
[6]
웹사이트
"Soyuz" - series launch vehicles
http://www.samspace.[...]
Samara Space Centre
2013-12-11
[7]
웹인용
Soyuz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4-16
[8]
웹인용
"Soyuz" - series launch vehicles
http://www.samspace.[...]
Samara Space Centre
2013-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