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자성헌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자성헌황후는 북송 철종의 황후로, 명주 출신이다. 원우 7년(1092년)에 황후가 되었으나, 1096년 주술 행위 혐의로 폐위되어 요화궁으로 쫓겨났다. 철종 사후 복위되었지만 휘종에 의해 다시 폐위되었고, 정강의 변으로 북송이 멸망한 후에는 장방창에 의해 원우황후로 추대되어 섭정했다. 남송 고종에 의해 융우태후로 존경받았으며, 묘유병변 당시 수렴청정을 통해 고종 복위에 기여했다. 소흥 원년(1131년)에 사망하여 소자성헌황후로 시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3년 출생 - 다비트 4세
다비트 4세는 11세기 말부터 12세기 초에 조지아 왕국을 통치한 군주로, 군사적 능력과 정치 개혁을 통해 조지아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셀주크 제국으로부터 조지아를 해방시키고 국가를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073년 출생 - 교황 아나스타시오 4세
교황 아나스타시오 4세는 1153년부터 1154년까지 재임한 제168대 교황으로, 로마 출신 추기경으로서 선출되어 마그데부르크 관구 주교 임명 문제와 요크 관구 분쟁 해결에 힘쓰며 평화 조정자 역할을 수행했고 라테라노 대성당 장식과 로마 신전 복원 등 건축 사업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 남송의 황태후 - 현인황후
현인황후는 북송 휘종의 후궁이자 남송 고종의 생모로,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갔다가 돌아와 고종의 황위를 지키는 데 기여했고 80세에 사망하여 휘종과 합장되었다. - 남송의 황태후 - 공성인열황후
기생 출신으로 황후가 되어 이종을 옹립하고 수렴청정하며 권력을 행사한 공성인열황후는 예술적 재능과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국가 경제 강화와 국방에 기여했고 중국 역사상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평가받는다. - 1131년 사망 - 현숙황후
북송 휘종의 황후인 현숙황후는 흠성황후의 시녀였으나 뛰어난 용모와 시재로 휘종의 총애를 받아 황후가 되었고,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다 오국성에서 사망 후 휘종과 함께 영우릉에 합장되었다. - 1131년 사망 - 보에몽 2세
보에몽 2세는 보에몽 1세와 콩스탕스 드 프랑스 사이에서 태어나 안티오키아 공국의 공작을 역임했으며, 킬리키아 원정 중 사망하여 딸 콘스탄스가 공국을 상속받았다.
소자성헌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맹후 |
별칭 | 원우태후 융우태후 소자헌열황후 소자성헌황후 |
시호 | 소자성헌황후 (昭慈聖獻皇后) |
생애 | |
출생 | 희녕 5년 음력 12월 11일 (1073년 1월 21일) |
출생지 | 명주(洺州) |
사망 | 소흥 원년 음력 4월 14일 (1131년 5월 12일) |
사망지 | 임안부(臨安府) 행궁 서전(西殿) |
능묘 | 미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맹재(孟在) |
어머니 | 경국태부인(慶國太夫人) 왕씨(王氏) |
배우자 | 철종(哲宗) 조후(趙煦) |
자녀 | 복경공주(洵美帝姫) |
재위 기간 | |
황후 | 원우 7년 5월 16일 ~ 소성 3년 9월 29일 (1092년 6월 23일 – 1096년 10월 17일) |
원우황후 (1차 복위) | 원부 3년 음력 5월 10일 ~ 숭녕 원년 10월 갑술 (1100년 6월 19일 ~ 1102년 12월 4일)《송사》(宋史) 권19 〈본기〉(本紀) 제19 휘종(徽宗) 1 - 숭녕(崇寧) 원년 10월 갑술(甲戌) 기사 |
원우황후 (2차 복위) | 정강 2년 음력 4월 5일 ~ 건염 원년 음력 5월 2일 (1127년 5월 17일 ~ 1127년 6월 13일) |
황태후 | 건염 원년 음력 5월 2일 ~ 소흥 원년 음력 4월 14일 (1127년 6월 13일 ~ 1131년 5월 12일) |
칭호 | |
종교적 칭호 | 화양교주(華陽教主) 옥청묘정선사(玉淸妙靜仙師) 충진(沖眞) |
존호 | 원우황후(元祐皇后) 원우황태후(元祐皇太后) 융우황태후(隆祐皇太后) |
기타 | |
아버지 직위 | 맹원 |
2. 생애
명주 출신으로, 종8품 합문지후 맹재와 왕씨의 딸이다. 선인태후 등에 의해 명문가의 딸들 중에서 선택되어, 원우 7년(1092년) 5월 16일, 20세의 나이로 당시 17세였던 철종의 황후가 되었다. 철종은 첩여 유씨를 총애하여, 맹씨는 유씨와 자주 다투었다.[2]
소성 3년(1096년) 9월 29일, 맹씨는 액정의 옥으로 저주, 미약 사용, 병원 투여 죄목으로 황후에서 폐위되어 요화궁으로 쫓겨나 도사가 되었다. 법호는 "화양교주", "옥청정묘선사"였다.[25]
원부 3년(1100년) 철종이 붕어하자, 흠성황후에 의해 황궁으로 소환되어 황후로 복위되었고, 원우황후로 불렸다.
숭녕 원년(1102년), 휘종에 의해 다시 폐위되어 요화궁으로 옮겨졌다. 새 법호는 "희미원통지화묘정선사"였다. 요화궁에 화재가 발생하여, 맹씨는 연녕궁으로 옮겨졌고, 그 후 연녕궁도 소실되어 친가로 돌아갔다.
정강의 변 당시, 폐위된 후 친가에 있었던 덕분에 금에 붙잡혀 연행되는 것을 면했다. 금은 북송 재상 장방창을 대초 황제로 옹립하고, 북송의 옛 영토를 간접 통치하려 했다. 그러나 금군이 철수하자, 장방창은 즉시 제위를 포기하고, 맹씨를 원우황후[26]로 존봉하여 수렴청정하게 했다. 맹씨는 손수 글을 써서, 개봉을 탈출했던 강왕 조구가 일어나 송의 황통을 계승했음을 알렸다.
남송 건염 원년(1127년), 맹씨는 원우태후를 칭했다. 더 나아가 조부 맹원의 이름을 피휘하여, 융우태후로 개호했다. 소흥 원년(1131년) 4월, 월주의 행궁에서 붕어했다. 소자헌열황후로 시호되었고, 후에 '''소자성헌황후'''로 개칭되었다.[26]
2. 1. 황후 시절
고태후의 간택으로 맹씨는 철종의 정실 황후가 되어, 1092년 혼례를 올렸다. 맹씨는 명문가 출신으로 교육을 잘 받았으며, 입궁 후 "부인의 예절"을 배웠다.[1]맹씨와 철종의 관계는 좋지 않았는데, 고태후의 선택 때문으로 추정된다. 철종은 맹씨를 원망했고,[2] 시어머니 향황후는 맹씨를 좋게 보아 유씨에 맞서 맹씨 편을 들었다. 그러나 향황후는 맹씨와 유씨 모두 성격이 좋지 않아 경쟁을 벌였다고 인정했다.[4]
명주 출신으로, 종8품 합문지후 맹재와 왕씨의 딸인 맹씨는 선인태후 등에 의해 명문가 딸들 중에서 선택되어, 원우 7년(1092년) 5월 16일, 20세 나이로 17세 철종의 황후가 되었다. 철종은 첩여 유씨를 총애하여 맹씨와 자주 다퉜다.
소성 3년(1096년), 액정의 옥으로 맹씨는 저주, 미약 사용, 병원 투여 죄로 황후에서 폐위되어 요화궁으로 쫓겨나 도사가 되었다. 법호는 "화양교주", "옥청정묘선사"이다.[25]
원부 3년(1100년) 철종 붕어 후, 흠성황후에 의해 황궁으로 소환되어 황후로 복위, 원우황후로 불렸다. 숭녕 원년(1102년), 휘종에 의해 다시 폐위되어 요화궁으로 옮겨졌고, 새 법호 "희미원통지화묘정선사"를 받았다. 요화궁 화재로 연녕궁으로 옮겼다가, 연녕궁도 소실되어 친가로 돌아갔다.
정강의 변 당시, 폐위 후 친가에 있던 덕분에 금에 연행되지 않았다. 금은 북송 재상 장방창을 대초 황제로 옹립, 간접 통치하려 했으나, 금군 철수 후 장방창은 제위를 포기하고 맹씨를 원우황후[26]로 존봉하여 수렴청정하게 했다. 맹씨는 개봉 탈출 강왕 조구가 송 황통을 계승했음을 알렸다.
남송 건염 원년(1127년), 맹씨는 원우태후를 칭하고, 조부 맹원 이름 피휘로 융우태후로 개호했다.
2. 1. 1. 황후 책봉
선인태후는 100명의 여인들 중에서 맹씨를 직접 간택하여, 1092년(원우 7년) 철종의 황후로 책봉하였다.[30] 맹씨는 명주 출신의 명문가 자제로, 학식과 교양을 갖추어 태황태후와 황태후 상씨의 총애를 받았다.[30] 그러나 철종은 맹황후보다 유첩여를 총애하였으며, 유첩여는 맹황후를 얕잡아보고 무시하였다.[30] 철종은 총애하는 후궁인 유씨가 맹씨에게 무례하게 행동하는 것을 용인하거나 부추기기도 했다고 전해진다.[3]2. 1. 2. 첫 번째 폐위
1096년(소성 3년), 맹황후는 딸 복경공주(福慶公主)가 중병에 걸리자 병을 낫게 하려고 부적을 사용하는 등 주술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유첩여의 참소를 받아 폐위되었다.[5][6][7] 맹황후의 폐위에는 유첩여의 고변뿐만 아니라 철종 자신의 감정이 크게 개입되었으며, 철종의 뜻을 받든 신법파 대신들의 참소가 맞물렸다. 이 사건으로 맹황후는 체포되었고, 시녀와 환관 등 연루된 자들이 혹독한 고문을 받다 숨졌다.[8] 구법파와 신법파 간의 당쟁 과정에서 사건이 확대되면서 맹씨는 폐위되어 도교 사원인 요화궁으로 쫓겨났고, 머리를 깎지 않는 비구니가 되었다.당시 비구니와 환관은 유 귀비를 상대로 흑마법을 사용한 혐의로 처형되었고, 맹황후의 양어머니 또한 황제가 황후와 사랑에 빠지게 하기 위해 마법을 사용한 혐의로 처형되었다.[9] 맹황후는 작위를 박탈당하고 도교 사찰로 보내졌다.[10]
2. 1. 3. 복위와 두 번째 폐위
1100년(원부 3년) 2월, 철종이 붕어하자, 철종의 이복 동생인 휘종이 즉위하였고 황태후 상씨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구법파인 황태후는 철종에 의해 폐위된 맹씨를 황후로 복위시키고 철종의 연호인 '원우(元祐) 연간에 책봉된 황후'라는 의미로 맹황후를 '''''원우황후'''''(元祐皇后)로 칭하였다.[33]1101년(건중정국 원년), 맹황후를 복위시킨 황태후 상씨가 붕어하자, 구법파의 세력이 약화되었으며, 1102년(숭녕 원년), 맹황후는 원우당 사건에 연루되어 휘종에 의해 다시 폐위되었다. 폐위된 이후 도교사원인 요화궁으로 거처를 옮겨 '희미원통지화묘정선사(希微元通知和妙靜仙師)'라는 도사의 칭호를 받고 25년간 요화궁에 머물렀다.
2. 2. 정강의 변과 남송
정강의 변은 흠종 재위 기간에 금나라의 침입으로 일어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송나라는 멸망하고, 휘종과 흠종을 비롯한 황족들이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갔다. 그러나 맹씨는 폐위되어 사가에 있었기 때문에 화를 면했다. 금나라는 송나라 재상 장방창을 꼭두각시 황제로 내세워 초나라를 세우려 했고, 장방창은 맹씨를 태후로 추대하여 명분을 얻고자 했다. 이후 장방창이 죽고, 휘종의 아홉째 아들 강왕 조구가 고종으로 즉위하여 남송을 건국하면서 송나라의 명맥을 이었다. 맹씨는 고종의 즉위를 인정하고 그를 지지하였으며, 고종은 이에 대한 감사로 맹씨를 황태후로 복위시켰다.2. 2. 1. 정강의 변
흠종 연간에 요화궁이 소실되자 연녕궁으로 거처를 옮겼는데, 이후 연녕궁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자 사가로 거처를 옮겼다.[25] 정강의 변으로 불리는 금나라 군대의 대대적 침입으로 송나라가 멸망하면서 송나라 황족들이 금나라 군에 붙잡혀 금나라로 압송될 때, 맹씨는 폐위되어 사가에 있었기 때문에 화를 면하였다.[26]2. 2. 2. 남송에서의 역할
금나라가 휘종과 흠종을 비롯한 황족들을 포로로 잡아간 후, 송나라 재상 장방창(張邦昌)을 꼭두각시 황제로 세워 초(楚)나라를 세우려 했다. 이 과정에서 장방창은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폐위되어 사가에 있던 맹씨를 태후로 내세웠다.[15][16]정강의 변에서 화를 면한 휘종의 아홉째 아들 강왕(康王) 조구(趙構)가 고종으로 즉위하여 남송을 건국하자, 맹황후는 고종의 정통성을 인정하고 그를 지지하며 섭정에서 물러났다.[17] 고종은 맹씨의 이러한 행동에 감사를 표하며 그녀를 매우 존경했고, 융우태후(隆祐太后)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8]
2. 3. 황태후 시절
1127년(건염 원년), 고종은 맹씨를 원우태후(元祐太后)로 칭했다가, 맹태후의 조부인 맹원(孟元)의 '원(元)'자를 피휘하여 '''융우태후(隆祐太后)'''로 개칭하였다. 송나라 군대가 금나라와의 전투에서 연패하고 금나라 군이 남하하자, 개봉 수복이 어렵다고 판단한 맹태후는 고종을 따라 임안으로 남하하였다. 이때 바다를 건너 도주하는 과정에서 금나라 군대의 추격을 받았으나, 농민의 도움으로 피신하는 데 성공하였다.[22]1129년(건염 3년), 묘부와 유정언이 일으킨 쿠데타(묘유병변)로 고종이 폐위되고 그의 어린 아들 조부(趙敷)가 황제로 옹립되자, 맹태후는 수렴청정을 실시하였다.[19] 맹태후는 한세충과 양홍옥 부부 등을 통해 변란을 진압하고 고종을 복위시켰다.[34] 그녀의 섭정 기간은 25일 동안 지속되었다.[21]
2. 4. 사망
소흥 원년(1131년) 4월, 월주의 행궁에서 붕어하였다. 처음에는 소자헌열(昭慈獻烈)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후에 '''소자성헌황후'''로 개칭되었다.[26]3. 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맹재(孟在) | ? ~ ? | |
어머니 | 경국부인 왕씨(慶國夫人 王氏) | ? ~ ? | |
남편 | 철종(哲宗) | 1076년 ~ 1100년 | 북송 제7대 황제 |
장녀 | 복경공주(福慶公主) | 1094년 ~ 1096년 |
4. 평가
맹황후는 공손하고 신중한 성격이었다.[30] 맹황후는 독한 술을 즐겼으나, 고종이 술을 줄이라고 권하며 단 술을 보내자 그 이후로는 독한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한다.[35]
참조
[1]
서적
Emperor Huizong
[2]
서적
Emperor Huizong
[3]
서적
Emperor Huizong
[4]
서적
Emperor Huizong
[5]
서적
Emperor Huizong
[6]
서적
Emperor Huizong
[7]
서적
Emperor Huizong
[8]
서적
Emperor Huizong
[9]
서적
Emperor Huizong
[10]
서적
Emperor Huizong
[11]
서적
Emperor Huizong
[1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3]
서적
Emperor Huizong
[14]
서적
Emperor Huizong
[15]
간행물
The Chin dynas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7]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8]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9]
서적
Branches of Heaven: A History of the Imperial Clan of Sung China
[20]
서적
Branches of Heaven: A History of the Imperial Clan of Sung China
[21]
서적
Branches of Heaven: A History of the Imperial Clan of Sung China
[22]
서적
Branches of Heaven: A History of the Imperial Clan of Sung China
[2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24]
문서
『宋史』巻26, 高宗紀三 紹興元年四月庚辰条による。
[25]
문서
『宋史』巻18, 哲宗紀二 紹聖三年九月乙卯条による。
[26]
문서
張邦昌は「楚 (張邦昌)|楚」の帝位にあった4月5日、実家にあった孟氏を宋太后に封じた。4月10日、金軍が遠のくと、張邦昌は即座に帝位と「楚」の国号を放棄し、孟氏を皇宮に迎えて宋の元祐皇后として垂簾聴政させた。
[27]
문서
《송사》(宋史) 권19 〈본기〉(本紀) 제19 휘종(徽宗) 1 - 숭녕(崇寧) 원년 10월 갑술(甲戌) 기사
[28]
문서
《송사》(宋史) 권18 〈본기〉(本紀) 제18 철종(哲宗) 2 - 소성(紹聖) 3년 9월 을묘(乙卯) 기사
[29]
문서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07 - 건염(建炎) 4년 12월 기묘(己卯) 기사 - 「奉隆祐皇太后生辰。」
[30]
문서
《송사》(宋史) 권243 〈열전〉(列傳) 제2 후비(后妃) 하 - 소자성헌맹황후(昭慈聖獻孟皇后)
[31]
문서
《송사》(宋史) 권26 〈본기〉(本紀) 제26 고종(高宗) 3 - 소흥(紹興) 원년 4월 경진(庚辰) 기사
[32]
문서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서와 《송사》(宋史)는 공통적으로 소자성헌황후가 5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고 기록하면서 사망년도를 《속자치통감》과 《송사》고종 본기에는 [[음력]] [[1131년]] [[음력 4월 14일|4월 14일]]로, 《송사》후비 열전에는 [[1135년]]으로 기재하였는데, 1131년과 1133년에 시호를 받은점과 철종보다 3세 연상이었다는 기록을 종합할 때 《송사》후비 열전의 사망년도를 오기재로 보고 있다.
[33]
문서
《송사》(宋史) 권119 〈본기〉(本紀) 제19 휘종(徽宗) 1
[34]
문서
《송사》(宋史) 권25 〈본기〉(本紀) 제25 고종(高宗) 2
[35]
문서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108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