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즈베리 스테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다진 쇠고기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음식으로, 1897년 미국에서 쇠고기 패티를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음식은 영양 치료를 위해 육류 중심 식단을 옹호한 미국의 의사 제임스 H. 솔즈베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유럽에서 유래된 다진 고기 요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 농무부의 규정에 따라 육류 함량, 지방 함량, 증량제 사용 등에 대한 기준을 따른다. 유사한 요리로는 함박 스테이크, 스웨덴의 판비프, 러시아의 코틀레타 루블레나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고기 요리 - 카울
카울은 웨일스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지는 전통 스튜 요리로, 양고기나 소고기와 제철 채소를 넣어 장시간 끓여 만들며 빵과 치즈를 곁들여 먹고 한국의 곰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 영국의 고기 요리 - 프리카세
프리카세는 16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고기를 기름에 볶아 육즙으로 졸여 만드는 스튜의 일종으로, 중세 프랑스에서 기원하여 닭고기, 토끼고기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지역별로 조리법과 풍미가 다르다. - 햄버거 - 와퍼
와퍼는 버거킹의 대표 햄버거로, 직화구이 패티와 참깨 번, 다양한 채소와 소스로 구성되며 크기와 종류, 채식 옵션이 다양하고 여러 광고 캠페인과 변화를 거쳐 판매되어 왔다. - 햄버거 - 로코모코
로코모코는 1949년 하와이 힐로의 식당에서 시작된 하와이 향토 음식으로, 밥 위에 햄버거 패티, 달걀 프라이, 그레이비 소스를 얹어 먹는 간편하고 저렴한 음식이며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미국의 고기 요리 - 아이리시 스튜
아이리시 스튜는 아일랜드 전통 스튜로, 양고기, 감자, 양파를 주재료로 하고 타임, 파슬리 등의 향신료로 맛을 내며,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대중 문화에서 아일랜드 문화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 미국의 고기 요리 - 검보
검보는 루이지애나 남부의 문화적 혼합을 상징하며, 고기, 해산물, 채소 등의 주재료와 오크라, 필레 파우더, 루 등의 증점제를 사용하여 독특한 질감을 내는 루이지애나의 대표적인 스튜 요리이다.
솔즈베리 스테이크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류 | 다진 쇠고기 요리 |
국가 | 미국 |
창시자 | 제임스 H. 솔즈베리 |
조리 정보 | |
주재료 | 다진 쇠고기 |
조리 시간 |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 정보 없음 |
제공 온도 | 뜨겁게 |
유사 음식 | 햄버거 |
칼로리 | 칼로리 정보 없음 |
단백질 | 단백질 정보 없음 |
지방 | 지방 정보 없음 |
탄수화물 | 탄수화물 정보 없음 |
글리세믹 지수 | 글리세믹 지수 정보 없음 |
이미지 | |
![]() |
2. 역사적 배경
다진 고기를 이용한 요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솔즈베리 스테이크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발전해 온 음식이다. 그 기원은 고대 로마의 '이시키아 오멘타타'(isicia omentata|이시키아 오멘타타la)[7]나 12세기 몽골 유목민들이 먹던 타르타르 스테이크[11]와 같은 다진 고기 요리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다진 고기 요리법은 유럽 각지로 퍼져나갔다.
특히 독일의 항구 도시 함부르크에서 유래한 함부르크 스테이크는 솔즈베리 스테이크의 직접적인 전신으로 여겨진다. 19세기 함부르크는 미국으로 향하는 유럽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였고, 이들을 통해 함부르크 스타일의 다진 쇠고기 요리가 뉴욕 등 미국 도시에 소개되었다.[3] 처음에는 고급 레스토랑에서 비싼 가격에 판매되기도 했으나,[22][23] 점차 준비가 간편하고 비교적 저렴한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24]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세기 말, 미국의 의사 제임스 H. 솔즈베리가 특정 질환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의 일환으로 다진 쇠고기 스테이크를 권장하면서 '솔즈베리 스테이크'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4] 솔즈베리 박사가 제안한 레시피는 오늘날의 솔즈베리 스테이크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5] 그의 이름은 이 요리에 영구히 남게 되었다. 이후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미국 가정과 식당에서 그레이비 소스, 으깬 감자 등과 함께 제공되는 인기 메뉴로 발전했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미국에서 솔즈베리 스테이크가 고안되기 전부터 유럽에서도 이와 유사한 다진 고기 요리가 널리 식용되었다. 예를 들어 4세기경 고대 로마의 요리책 《아피키우스》에는 '이시키아 오멘타타'(isicia omentatala)라는 요리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요리는 갈거나 다진 소고기에 잣, 후추와 그린페퍼, 백포도주를 더한 파테를 구워 제공하는 것으로, 햄버그 스테이크의 가장 오래된 형태 중 하나로 여겨진다.[7]
12세기 몽골계 유목민은 마유주와 말고기 또는 낙타 고기로 만든 요리를 서방에 전했다.[8]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군은 현재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에 이르는 광대한 판도를 가진 조치 울루스를 건설했다.[9] 몽골군은 기병을 주력으로 삼았고, 때로는 식사할 시간을 아껴가며 행군했기에 말 위에서 먹는 경우가 많았다. 몽골 병사들은 안장 밑에 얇게 썬 고기를 몇 장 끼워두고, 행군으로 인한 움직임과 압력으로 고기가 으깨지도록 했으며, 말의 체온과 마찰로 반쯤 익혀 먹었다고 전해진다. 몽골 제국의 판도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다진 고기를 사용하는 조리법이 널리 퍼졌다.[10] 몽골군은 식량이 될 말, 양, 소 무리를 군대에 동반했으며, 마르코 폴로는 몽골 병사의 식량 사정에 대해 말 한 마리가 병사 100명의 하루 식량에 해당한다고 기록했다.
칭기즈 칸의 손자 쿠빌라이의 군대는 루스까지 이르렀는데, 이때 다진 말고기가 전해졌다. 루스인들은 몽골 등 동방의 유목민을 타타르라고 불렀기 때문에, 말 다진 고기를 사용한 요리를 타르타르 스테이크라고 부르게 되었다.[11] 현재 독일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도 다진 고기 요리가 도입되었으며, 케이퍼나 양파, 심지어 캐비어를 더한 것이 거리에서 팔리는 등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12]
2. 2. 함부르크와 미국의 연결


19세기 전반, 함부르크는 대서양을 건너는 항해의 주요 출발지였으며, 뉴욕은 가장 흔한 목적지였다. 이 때문에 다양한 뉴욕 레스토랑에서는 '함부르크 스타일의 미국식 필레'[1][2] 또는 '쇠고기 스테이크 아 함부르주아'와 같은 메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유럽 이민자들의 입맛에 맞춘 초기 미국식 다진 쇠고기 요리였다.[3]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한자동맹의 일원이었던 함부르크는 유럽 최고의 항만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대서양 횡단 항해의 거점이 되면서 상업적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유럽 국가들의 아메리카 대륙 진출 과정에서 함부르크는 구대륙의 요리법을 신대륙으로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16]
19세기 전반, 신세계로 향하는 유럽 이민자 대부분은 함부르크에서 출발했다. 1847년에 설립된 함부르크 아메리카 소포 수송 주식회사(HAPAG, 현재의 하파그로이드)는 거의 한 세기 동안 대서양 횡단 항로를 운영했다.[17] 이 회사는 1848년 독일 혁명을 피해 온 많은 독일계 이민자들을 실어 날랐다. 뉴욕이 함부르크발 여객선의 주요 기항지였기 때문에, 뉴욕 시내의 많은 레스토랑은 독일인 선원들을 유치하기 위해 함부르크풍 스테이크를 메뉴에 올렸다. 메뉴에는 '함부르크풍 아메리칸 필레'[18][19]나 프랑스 요리처럼 보이게 만든 '비프스테이크 아 함부르조이즈'(beefsteak à Hambourgeoise프랑스어) 등이 있었다. 이처럼 미국에서 다진 쇠고기 요리는 함부르크 항과 이민자들의 고향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며 유럽 이민자들의 취향에 맞게 발전했다.
19세기 후반, 뉴욕 항구 주변의 고급 레스토랑 메뉴에 함부르크 스테이크가 등장하며 인기를 끌었다. 당시에는 손으로 다진 소고기를 가볍게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하여 양파와 빵가루와 함께 생으로 제공하는 형태였다.[20][21] 햄버그 스테이크가 처음 메뉴판에 등장한 것은 1873년 델모니코스 레스토랑으로, 미국인 셰프 찰스 란호퍼가 개발한 햄버그 스테이크를 11센트에 판매했다. 이는 당시 일반적인 소고기 안심 가격의 두 배에 달하는 고가로, 부유층을 위한 메뉴였다.[22][23] 그러나 19세기 말에는 준비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 덕분에 햄버그 스테이크의 인기가 높아졌고, 유명 요리책에도 상세한 조리법이 실릴 정도였다.[24] 1887년경부터는 일부 레스토랑에서 미리 조리된 형태로 제공되기 시작했으며, 병원 환자 식단에도 포함되었다. 햄버그 스테이크는 생으로 먹거나 살짝 익혀서 날달걀과 함께 제공되기도 했다.[25]
19세기 미국 상류층 레스토랑에서는 아침 식사 메뉴로 햄버그 스테이크가 자주 등장했다.[26]
2. 3. 솔즈베리 박사와 솔즈베리 스테이크
제임스 H. 솔즈베리(1823–1905)는 건강 증진을 위해 육류 중심의 식단을 옹호한 미국의 의사이자 화학자였다. 그의 이름을 딴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다진 쇠고기 패티 요리를 지칭하며, 1897년부터 미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4]솔즈베리 박사는 소화 불량 치료를 위해 영양 보충 목적으로 이 레시피를 권장했으며, 이는 오늘날의 솔즈베리 스테이크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가 제안한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구워낸 쇠고기 살코기 덩어리를 가열한다. 이 덩어리에는 결합 조직, 지방, 연골이 최대한 없어야 한다. [...]
다지기 전에 지방, 뼈, 힘줄, 근막을 모두 잘라내고 살코기를 약 2.54cm 에서 약 5.08cm 크기로 자른다. 엉덩이살 중앙을 잘라낸 스테이크가 이 용도에 가장 풍부하고 좋다. 쇠고기는 4~6세의 살이 찐 동물에서 얻어야 한다.
굽기 전에 덩어리를 너무 단단하게 누르지 않아야 간 맛이 난다. 덩어리를 함께 고정할 정도로만 살짝 누른다. 케이크를 약 1.27cm 에서 약 2.54cm 두께로 만든다. 불꽃과 연기가 없는 불 위에서 천천히 중간 정도로 굽는다. 요리된 후 뜨거운 접시에 담아 버터, 후추, 소금으로 간을 한다. 또한 원한다면 고기에 우스터 소스나 핼퍼드 소스, 겨자, 고추냉이 또는 레몬즙을 사용한다. 샐러리는 적당량의 곁들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5]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미국에서 지금도 인기 있는 요리로, 전통적으로 그레이비 소스와 으깬 감자 또는 파스타가 곁들여진다.
3. 명칭의 유래
제임스 H. 솔즈베리(1823–1905)는 건강 증진을 위해 육류 중심의 식단을 옹호한 미국의 의사이자 화학자였다. 주요리로 제공되는 쇠고기 패티를 지칭하는 용어인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으며, 1897년부터 미국에서 사용되어 왔다.[4]
솔즈베리는 소화 불량 치료를 위해 이 레시피(현대 솔즈베리 스테이크 레시피와 다소 차이가 있음)를 권장했다. 그가 설명한 원래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5]
: 구워낸 쇠고기 살코기 덩어리를 가열한다. 이 덩어리에는 결합 조직, 지방, 연골이 최대한 없어야 한다. [...]
:
: 다지기 전에 지방, 뼈, 힘줄, 근막을 모두 잘라내고 살코기를 약 2.54cm~약 5.08cm 크기로 자른다. 엉덩이살 중앙을 잘라낸 스테이크가 이 용도에 가장 풍부하고 좋다. 쇠고기는 4~6세의 살이 찐 동물에서 얻어야 한다.
:
: 굽기 전에 덩어리를 너무 단단하게 누르지 않아야 간 맛이 난다. 덩어리를 함께 고정할 정도로만 살짝 누른다. 케이크를 약 1.27cm~약 2.54cm 두께로 만든다. 불꽃과 연기가 없는 불 위에서 천천히 중간 정도로 굽는다. 요리된 후 뜨거운 접시에 담아 버터, 후추, 소금으로 간을 한다. 또한 원한다면 고기에 우스터 소스나 핼퍼드 소스, 겨자, 고추냉이 또는 레몬즙을 사용한다. 샐러리는 적당량의 곁들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미국의 표준 규격
미국 농무부는 가공 및 포장된 "솔즈베리 스테이크"에 대한 표준 규격을 정하고 있다. 이 규격은 제품에 포함되어야 하는 최소 육류 함량, 사용 가능한 육류의 종류와 비율(예: 돼지고기 사용 한도), 최대 지방 함량, 허용되는 증량제(예: 빵가루, 밀가루)의 종류와 비율 등을 상세히 명시한다. 특히 소 심장 육류를 제외한 내장과 같은 육류 부산물의 사용은 금지된다.
또한, "솔즈베리 스테이크"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완전히 조리된 상태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솔즈베리 스테이크용 패티(Patties for Salisbury Steak)"로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은 햄버거의 기준과는 차이가 있다. 햄버거는 미국 농무부 기준에 따라 쇠고기, 그중에서도 골격근만을 사용해야 하며, 빵가루 등 증량제를 첨가한 제품은 "햄버거"로 불릴 수 없고 "비프 패티(Beef Patty)"로 판매해야 한다는 점에서 솔즈베리 스테이크와 구별된다.
4. 1. 성분 및 함량
미국 농무부는 가공 및 포장된 "솔즈베리 스테이크"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제품은 최소 65%의 육류를 함유해야 하며, 이 중 돼지고기는 최대 25%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탈지 쇠고기나 탈지 돼지고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둘을 합쳐 최대 12%까지만 허용된다. 지방 함량은 30%를 넘을 수 없다. 소 심장 육류를 제외한 다른 내장과 같은 육류 부산물 사용은 허용되지 않는다.빵가루, 밀가루, 귀리 플레이크 같은 증량제는 전체 함량의 12%를 넘을 수 없다. 분리 대두 단백질의 경우, 최대 6.8%까지 허용되며 이는 다른 증량제 12%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나머지 성분은 조미료, 양파, 피망, 버섯 등의 채소, 계란을 포함할 수 있는 결합제, 그리고 물, 우유, 크림, 탈지유, 버터밀크, 염수, 식초 등의 액체로 구성된다.
"솔즈베리 스테이크"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반드시 완전히 조리된 상태여야 한다. 만약 완전히 조리되지 않았다면 "솔즈베리 스테이크용 패티(Patties for Salisbury Steak)"로 표시해야 한다.
한편, 햄버거는 미국 농무부 기준에 따라 고기로 쇠고기, 그중에서도 골격근만 사용해야 한다. 소금, 채소, 조미료 첨가는 가능하지만, 결합제나 빵가루 같은 증량제를 넣은 제품은 "햄버거" 또는 "버거"로 불릴 수 없으며, "비프 패티(Beef Patty)"로 판매해야 한다.
4. 2. 조리 상태
미국 농무부(USDA)는 가공 및 포장된 "솔즈베리 스테이크"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최소 65%의 육류를 함유해야 하며, 이 중 최대 25%까지 돼지고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탈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이 12%를 넘을 수 없다. 지방 함량은 30% 이하여야 한다. 육류 부산물은 사용할 수 없으나, 쇠고기 심장 육류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빵가루, 밀가루, 귀리 플레이크와 같은 증량제는 전체 함량의 12%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 대두 단백질은 6.8%까지 허용되는데, 이는 다른 증량제 12%와 동등하게 취급된다. 나머지 성분은 조미료, 양파, 피망, 버섯 등의 채소, 계란을 포함할 수 있는 결합제, 그리고 물, 우유, 크림, 탈지유, 버터밀크, 염수, 식초 등의 액체로 구성된다.
"솔즈베리 스테이크"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반드시 완전히 조리된 상태여야 한다. 만약 완전히 조리되지 않았다면 "솔즈베리 스테이크용 패티(Patties for Salisbury Steak)"로 표시해야 한다.
한편, 햄버거의 기준은 솔즈베리 스테이크와 차이가 있다. 햄버거는 고기로 쇠고기, 그중에서도 골격근만을 사용해야 한다. 소금이나 채소, 조미료 첨가는 가능하지만, 결합제나 빵가루 같은 증량제를 넣은 것은 "햄버거" 또는 "버거"로 불릴 수 없으며, "비프 패티(Beef Patty)"로 판매해야 한다.
5. 유사한 요리
솔즈베리 스테이크와 같이 다진 고기를 이용한 요리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몽골 제국, 근대 유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다진 고기 요리가 존재했으며[7][8][11], 이는 각 지역의 식문화와 역사적 배경 속에서 발전해왔다. 현대에도 함박 스테이크, 타르타르 스테이크, 미트 로프[13], 스웨덴의 판비프, 러시아의 코틀레타 루블레나야 등 다양한 유사 요리가 각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5. 1. 함박 스테이크 (한국)
함박 스테이크는 매우 비슷한 요리이다.5. 2. 기타 국가의 유사 요리

미국에서 솔즈베리 스테이크가 고안되기 전부터 유럽에서도 비슷한 다진 고기 요리가 널리 퍼져 있었다. 예를 들어, 4세기경 고대 로마의 요리책 《아피키우스》에는 isicia omentatala라는 요리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요리는 갈거나 다진 소고기에 잣, 후추, 그린페퍼, 백포도주를 더한 파테를 구워 만든 것으로, 햄버그의 가장 오래된 형태로 여겨진다.[7]
12세기 몽골계 유목민들은 마유주와 함께 말이나 낙타 고기로 만든 다진 고기 요리를 서방에 전파했다.[8]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군은 현재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에 이르는 광대한 조치 울루스를 건설했다.[9] 기병 중심의 몽골군은 이동 중 식사 시간을 아끼기 위해 말 위에서 식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병사들은 안장 밑에 얇게 썬 고기를 넣어두고, 말의 움직임과 압력으로 고기를 으깨고 열과 마찰로 익혀 먹었다. 이러한 방식의 다진 고기 요리법은 몽골 제국의 영토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0] 마르코 폴로는 몽골 병사들이 말 한 마리로 100명의 하루 식량을 해결했다고 기록하기도 했다.
칭기즈 칸의 손자 쿠빌라이의 군대가 루스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다진 말 고기 요리가 전해졌다. 당시 루스인들은 몽골 등 동방 유목민을 타타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 다진 말고기 요리를 타르타르 스테이크라고 부르게 되었다.[11] 현재의 독일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도 다진 고기 요리가 도입되어, 케이퍼나 양파, 캐비어 등을 첨가하는 등 독자적으로 발전했다.[12]
영국에서는 1763년 해나 글래스가 쓴 요리책 ''"Art of Cookery, Made Plain and Easy"''에 '함부르크 소시지'가 처음 등장한다. 이 요리는 다진 고기에 육두구, 클로브, 후추, 마늘 등 다양한 향신료와 소금을 넣고 토스트와 함께 먹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솔즈베리 스테이크와 유사한 요리는 여러 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스웨덴에는 Pannbiff|판비프sv라는 요리가 있는데, 돼지고기와 소고기 다진 것에 다진 양파, 소금, 후추를 넣고 만들어 삶은 감자, 크림 그레이비 소스, 볶은 양파, 링곤베리와 함께 먹는다.
러시아 요리에는 котлета рубленая|코틀레타 루블레나야ru(다진 커틀릿)가 있다. 19세기 후반에 정식 요리가 되었지만 당시에는 가격이 비싸 부유층만 즐길 수 있었다. 솔즈베리 스테이크와 비슷하지만, 소고기만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돼지고기나 혼합 다진 고기를 사용한다.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 고기에 잘게 썬 양파(때로는 볶은 양파), 마늘, 우유에 적신 빵가루, 달걀을 섞어 달걀 모양으로 만든 뒤, 가볍게 빵가루를 묻혀 식물성 기름에 지져낸다. 일본의 멘치카츠는 이 코틀레타 루블레나야와 매우 유사한데, 멘치카츠가 많은 기름에 튀겨내는 방식인 반면, 코틀레타 루블레나야는 적은 양의 기름으로 지져낸다는 차이가 있다.
그 외에도 미트 로프[13], 세르비아의 플레스카비차, 중동의 쾨프테,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미트볼 등 여러 나라에 다진 고기를 이용한 요리가 존재한다. 함박 스테이크 역시 솔즈베리 스테이크와 매우 유사한 요리이다.
참조
[1]
서적
The Epicurean: A Complete Treatise of Analytical & Practical Studies
[2]
서적
The Hamburger: A History (Icons of Americ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Moving Europeans: Migration in Western Europe Since 1650
Indiana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Salisbury steak
http://www.merriam-w[...]
2009-01-28
[5]
서적
The Relation of Alimentation and Disease By James Henry Salisbury
https://books.google[...]
[6]
간행물
Food Standards and Labeling Policy, USDA
http://www.fsis.usda[...]
FSIS
2011-02-05
[7]
웹사이트
Antique Roman Dishes - Collection
https://www.cs.cmu.e[...]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4-09-26
[8]
서적
Mongol Warrior 1200–1350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9]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2005-03
[10]
서적
"''The Mongols''"
Blackwell Publishers
1990-04
[11]
서적
Mongol Warrior 1200–1350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12]
문서
Ronald McDonald's The Complete Hamburger
[13]
서적
Boston Cooking-School Cookbook
Gramercy (ed. 1997)
[14]
서적
"''Sociology on the Menu: An Invitation to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Routledge
[15]
서적
The Port of Hamburg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American and His Food (The Rise of urban America)
Ayer Co Pub
1970-06
[17]
서적
Moving Europeans: Migration in Western Europe Since 1650
Indiana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Epicurean: A Complete Treatise of Analytical & Practical Studies
[19]
서적
The Hamburger: A History (Icons of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20]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21]
서적
The Food of the Western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Random House Inc
1976-01
[22]
서적
The Hamburger: A History (Icons of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23]
문서
Food in American History, Part 6 – Beef (Part 1): Reconstruction and Growth into the 20th Century (1865–1910)
[24]
서적
Boston Cooking-School Cookbook
Gramercy (ed. 1997)
[25]
서적
Cookery for Invalids
https://www.google.c[...]
White Stokes & Allen
2013-12-24
[26]
뉴스
Old Menus Tell the History of Hamburgers
Los Angeles, CA Metropolitan New-Enterprise newspaper
[27]
웹사이트
Salisbury steak
http://www.merriam-w[...]
2009-01-28
[28]
서적
The Relation of Alimentation and Disease By James Henry Salisbury
https://books.google[...]
[29]
간행물
Food Standards and Labeling Policy, USDA
http://www.fsis.usda[...]
FSIS
2011-02-05
[30]
간행물
Food Standards and Labeling Policy
http://www.fsis.usda[...]
USDA, FSIS
2011-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