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카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카세는 튀긴 후 액체에 졸여 만드는 프랑스 요리로, 16세기 중반 영어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어원은 프랑스어 'frire'(튀기다)와 'casser' 또는 'quasser'(조각내다)의 합성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닭고기, 토끼고기, 염소고기, 흰살 생선, 새우, 가리비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며, 육수, 허브, 레몬 껍질 등으로 끓인 후 크림, 달걀 노른자, 밀가루, 버터 등으로 소스를 걸쭉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블랑케트, 스튜와 유사하며, 오늘날에는 블랑케트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고기 요리 - 카울
카울은 웨일스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지는 전통 스튜 요리로, 양고기나 소고기와 제철 채소를 넣어 장시간 끓여 만들며 빵과 치즈를 곁들여 먹고 한국의 곰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 영국의 고기 요리 - 되네르
되네르는 "회전하는 케밥"이라는 뜻의 튀르키예 음식인 되네르 케바프에서 유래하여 독일에서 대중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발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 케이준 - 타바스코 소스
타바스코 소스는 1868년 에드먼드 매킬러니가 타바스코 고추를 사용하여 루이지애나주 에이버리 섬에서 처음 생산한 핫소스로, 독특한 병 디자인과 매콤한 맛으로 유명하며 전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하여 대중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지만, 그 역사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케이준 - 부댕 (음식)
부댕은 소시지, 블러드 소시지, 내장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음식으로, 프랑스, 벨기에, 케이준, 카탈루냐 등 다양한 지역에서 변형된 형태로 존재한다. - 프랑스의 고기 요리 - 콩피
콩피는 프랑스의 전통적인 조리법으로, 육류를 기름에 절이거나 과일을 설탕에 절여 보존하며, 최근에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조미료로도 활용된다. - 프랑스의 고기 요리 - 개구리 다리
개구리 다리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는 식재료이며, 특히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즐겨 먹지만, 동물 복지, 환경 문제, 종교적 관점 등 다양한 논쟁거리를 내포하고 있다.
프리카세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류 | 고기 요리 프랑스 요리 |
조리 정보 | |
방법 |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 |
2. 어원
프리카세(Fricassée)는 16세기 중반 영어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이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지만,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다. "볶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frire프랑스어와 "잘게 썰다"라는 뜻의 casser프랑스어 또는 quasser프랑스어의 합성어일 것으로 추정된다.[4]
프리카세 레시피는 1300년경 중세 프랑스 요리책 르 비앙디에(Le Viandier)의 초기 버전에서부터 튀긴 후 액체에 졸이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 1490년, Le Viandier프랑스어의 인쇄본에서 처음으로 friquassée프랑스어로 구체적으로 언급되었다.[5]
시몬 베크, 루이세트 베르톨, 줄리아 차일드는 저서 ''프랑스 요리 예술''에서 프리카세를 "소테와 스튜의 중간"이라고 묘사한다. 소테는 액체를 전혀 첨가하지 않지만, 스튜는 처음부터 액체를 포함한다. 프리카세에서는 잘게 썬 고기를 먼저 소테(하지만 갈색으로 만들지 않음)한 다음 액체를 넣고 끓여서 요리를 마무리한다.[9] 요리책 작가 제임스 피터슨은 일부 현대화된 레시피에서는 고기를 끓이기 전에 완전히 갈색으로 만들 것을 요구하지만, 고전적인 버전에서는 고기와 채소 모두 캐러멜화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한다.[10]
닭고기 프리카세는 "전형적인 옛날식 미국 요리"로 묘사되며,[12] 에이브러햄 링컨이 가장 좋아했던 요리 중 하나였다.[13] 또한 케이준 요리의 대표적인 "편안한 음식"이기도 하다.[14] 1734년 미국의 요리책에는 닭고기에 육두구, 파슬리, 양파, 메이스로 간을 하고 밀가루를 묻혀 버터에 갈색으로 구운 후, 소스, 달걀 노른자, 와인, 육두구와 함께 졸여 걸쭉한 크림과 같은 농도를 낸다는 레시피가 소개되어 있다.[15] 캘리포니아 요리의 19세기 레시피는 fricasa de pollos a la españolaes(스페인식 닭고기 프리카세)로, 닭고기를 라드에 양파, 샬롯, 마늘, 버섯을 잘게 썰어 볶은 후 토마토 주스, 올리브, 신선한 허브, 올리브 오일을 넣어 걸쭉한 스튜를 만든다.[16]
블랑케트와 스튜(크림 스튜)는 유사한 요리이다. 오늘날에는 블랑케트와 프리카세에 큰 차이가 없다고 여겨진다.
[1]
웹사이트
Audio pronunciation of 'fricassee'
http://dictionary.we[...]
2013-09-10
3. 역사
16세기 요리책 The Good Huswifes Jewell프랑스어에는 "양 머리와 내장 프리카세"에 대한 내용이 있다.[6]
''The perfect English cooke''에는 "양고기 또는 송아지 프리카세"를 준비하는 방법이 담겨 있다. 장-바티스트 타베르니에는 17세기 말 저서인 ''터키에서 페르시아까지의 여행기''에서 "맛있는 프리카세"를 묘사한다.[7]
영국식 프리카세는 일반적으로 달걀 노른자로 걸쭉하게 만들었고, 이탈리아의 fricasseait는 레몬과 달걀 노른자를 혼합하여 사용했다. 18세기에는 영국과 미국 요리에서 달걀 노른자가 밀가루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마사 워싱턴의 닭고기 프리카세 레시피에서는 닭고기를 육수에 졸인 다음 크림과 달걀 노른자로 소스를 만들었다.[8]
19세기 초 요리책 ''A New System of Domestic Cookery'' by 마리아 런델은 "가금류, 토끼, 흰 살 생선, 채소" 프리카세에 흰색 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닭 목이나 발로 만든 육수 또는 고기를 삶는 데 사용된 육수와 유사한 육수는 허브와 레몬 껍질과 함께 끓인 다음 크림(또는 달걀 노른자), 밀가루, 버터로 걸쭉하게 하여 소스를 만든다.
4. 조리법
한국어로는 브랑케트와 함께 크림 스튜로 불리기도 한다. 육류와 양파 등의 채소를 함께 볶은 후, 콘소메나 부이용으로 간을 하고 끓여서 생크림을 넣어 마무리하는 요리이다.
오늘날에는 닭고기를 사용한 프리카세의 인지도가 높지만, 토끼고기나 염소고기도 사용되었다. 또한, 흰살 생선, 새우, 가리비와 같은 어패류 프리카세도 있다.
프리카세는 "하얀 조림"이라는 의미이며, 볶는다는 의미의 frire|프리르프랑스어와 잘게 썬다는 의미의 casser|카세프랑스어의 합성어가 어원이라고 여겨진다.
5. 종류
스페인령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fricasé de pollo프랑스어(닭고기 프리카세)가 인기 있는데, 이는 프랑스 남부와 스페인에서 온 정착민들에 의해 전해졌다. 프랑스식 프리카세와 달리 토마토 기반 소스를 사용하며, 보통 적포도주를 넣는다.[17]
19세기 초 요리책 ''새로운 가정 요리법''에는 차가운 로스트 비프 프리카세가 등장하는데, 얇게 썬 쇠고기를 버터와 육수에 파슬리와 양파를 넣고 익힌 후, 달걀 노른자, 와인, 식초로 소스를 걸쭉하게 만든다. 이 레시피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여성 잡지인 ''고디스 레이디 북''에도 게재되었다.[11]
해나 글래스의 토끼 프리카세는 버터에 튀긴 빵가루를 입힌 토끼 작은 조각으로 만들고, 레드 와인 소스를 곁들여 제공한다.[18]
유대인 프리카세는 거의 항상 가금류(주로 거위 또는 닭)로 만들어지며, 내장 및 기타 닭고기 부스러기를 사용하고 때로는 미트볼을 포함하기도 한다. 아슈케나즈 유대 요리에서는 (잘게 썬 닭고기)라고 불리며, 모래주머니, 닭 목, 날개 끝, 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파르딕 요리사는 이 요리를 armin de poyolad 또는 (모로코에서) fricassadalad라고 부를 수 있다. 유대인들은 육류와 유제품 혼합 금지 때문에 슈말츠 (아슈케나지 지역) 또는 올리브 오일(세파르딕 세계)을 요리용 지방으로 사용했다. 프리카세는 걸쭉하고 소스가 많은 그레이비가 특징이며, 쌀, 국수, 보리 파르펠, 또는 만두와 함께 제공된다.[19]
오늘날에는 닭고기를 사용한 프리카세의 인지도가 높지만, 토끼고기나 염소고기도 사용되었다. 또한, 흰살 생선, 새우, 가리비와 같은 어패류 프리카세도 있다.
6. 유사 요리
프리카세는 재료를 볶은 다음 끓이지만, 블랑케트는 볶지 않고 끓인다는 어원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크림 스튜와 프리카세의 차이점은, 프리카세는 재료를 볶은 다음 끓이지만, 크림 스튜는 볶지 않고 끓인다는 것이다.
7. 사진
참조
[2]
웹사이트
fricassee {{!}} Lexico.com (Oxford Dictionary)
https://www.lexico.c[...]
2022-02-01
[3]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Comfort Food
https://books.google[...]
Penguin
2007
[4]
웹사이트
fricassee
http://www.etymonlin[...]
2012-10-08
[5]
서적
Martha Washington's Booke of Cookery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Good Housewife's Jewel
Equinox
[7]
OED
fricassee
[8]
서적
Classical Southern Cooking
https://books.google[...]
Gibbs Smiths
2009
[9]
서적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
Alfred A. Knopf
[10]
서적
Sauces: Classical and Contemporary Sauce Making
Wiley
[11]
서적
Civil War Recipes: Receipts from the Pages of Godey's Lady's Book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12]
서적
Masters of American Cookery: M. F. K. Fisher, James Andrew Beard, Raymond Craig Claiborne, Julia McWilliams Chi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5
[13]
서적
A Treasury of White House Cooking
https://archive.org/[...]
Putnam
[14]
웹사이트
Vermilionville Chicken Fricassee
https://www.lafayett[...]
[15]
문서
"A 'frikasie#REDIRECT \n\n{{Rcat shell|\n{{R from modification}}\n{{R from template shortcut}}\n}}, attributed to Mrs. John Burroughs, 1734, in Lucile Stimson Harvey, ''Food Facts for the Home-maker'', 1920, p. 63"
[16]
서적
El cocinero español
[17]
웹사이트
pollofricase
http://www.elboricua[...]
2016-10-04
[18]
서적
British Food: An Extraordinary Thousand Year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