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규 (테니스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민규는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이다. 용인시 출신으로 울산대학교를 졸업했으며,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남자 테니스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2013년 전국체육대회 테니스 남자 일반부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9년 ATP 광주 오픈 챌린저대회 남자 복식 준우승, 요카이치 챌린저, 바오터우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에서 남자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아크굴 아만무라도바
우즈베키스탄의 여자 테니스 선수인 아크굴 아만무라도바는 페드컵 대표로 활동하며 WTA 투어 복식 2회 우승 및 ITF 서킷 단식 10회 우승을 기록했고,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장즈전
장즈전은 2015년 ATP 투어 데뷔 후 마스터스 1000 시리즈 4강 진출, ATP 투어 단식 결승 진출, 윔블던 예선 통과 최초 중국계 남자 선수 기록,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 올림픽 은메달 획득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계 남자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남자 테니스 선수 - 정현 (테니스 선수)
정현은 대한민국 테니스 선수로, 그랜드 슬램 4강 진출과 세계 랭킹 19위를 기록, 넥스트 제너레이션 ATP 파이널 우승 등 활약했으나 부상으로 활동을 중단 후 2023년 복귀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테니스 선수 - 권순우
권순우는 2013년 프로 데뷔 후 ATP 투어에서 두 차례 우승한 대한민국 프로 테니스 선수로, 하드코트에서 직선 포핸드와 드롭샷을 주무기로 사용하며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지만, 아시안 게임에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 용인시 출신 - 이용구 (1964년)
이용구는 1964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판사, 사법연수원 교수, 변호사를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법무실장, 차관, 장관 직무대리를 역임했다. - 용인시 출신 - 송영근 (1947년)
대한민국 육군 중장 출신인 송영근(1947년)은 국군기무사령관을 지냈으며,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후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송민규 (테니스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이름 | 송민규 |
로마자 표기 | Song Mingyu |
한글 표기 | 송민규 |
국적 | 대한민국 |
거주지 | 서울특별시 |
출생일 | 1990년 8월 25일 |
출생지 | 경기도 용인시 |
플레이 스타일 | 오른손 (양손 백핸드) |
통산 상금 | $79,773 |
단식 | |
통산 전적 (ATP 투어 레벨, 그랜드 슬램 레벨, 데이비스 컵) | 0-0 |
통산 타이틀 | 0 |
최고 랭킹 | 587위 (2019년 5월 20일) |
현재 랭킹 | 1783위 (2022년 9월 12일) |
복식 | |
통산 전적 (ATP 투어 레벨, 그랜드 슬램 레벨, 데이비스 컵) | 3–8 |
통산 타이틀 | 0 |
최고 랭킹 | 113위 (2020년 3월 2일) |
현재 랭킹 | 223위 (2022년 9월 12일) |
호주 오픈 복식 최고 성적 | 2라운드 (2020, 2021) |
국가대표 | |
데이비스 컵 전적 | 0–3 |
유니버시아드 | |
메달 | 메달 나라: 메달 스포츠: 남자 테니스 메달 경기: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1 선전 단체전 |
2. 경력
송민규는 울산대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011년 대학종별테니스대회 남자 단식 및 복식 우승,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남자 테니스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로 선수로 데뷔한 2011년 이후, 2013년 한국실업테니스연맹전 남자 복식 준우승, 2013년 전국체육대회 테니스 남자 일반부 단체전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한국실업테니스마스터즈대회에서 각각 남자 단식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남지성과 함께 ATP 광주 오픈 챌린저대회, 지난 챌린저 테니스 대회 남자 복식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요카이치 챌린저, 바오터우 바오터우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전국체육대회 남자 테니스 일반부 개인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 1. 대학 시절 및 프로 데뷔 초기
송민규는 경기도 용인시 출신으로 울산대학교를 졸업했다. 2011년 대학종별테니스대회 남자 단식,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중국 선전에서 개최된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남자 테니스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2011년 김천 ITF 퓨처스 대회, 서울 삼성증권배 국제 남녀 챌린저 테니스 대회(ATP 챌린저 투어)에 참가하면서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2013년 한국실업테니스연맹전 남자 복식 준우승, 2013년 전국체육대회 테니스 남자 일반부 단체전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4년 한국실업테니스마스터즈대회 남자 단식 우승, 2015년 같은 대회 남자 단식 준우승을 차지했다.
2. 2. 챌린저 및 퓨처스 투어
송민규는 경기도 용인시 출신으로 울산대학교를 졸업했다. 2011년 대학종별테니스대회 남자 단식,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중국 선전에서 개최된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남자 테니스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2011년 김천 ITF 퓨처스 대회, 서울 삼성증권배 국제 남녀 챌린저 테니스 대회(ATP 챌린저 투어)에 참가하면서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2013년 한국실업테니스연맹전 남자 복식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ATP 광주 오픈 챌린저대회, 지난 챌린저 테니스 대회에서 남지성과 함께 참가하여 남자 복식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요카이치 챌린저, 바오터우 바오터우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에서 남자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2. 2. 1. 단식
송민규는 울산대학교를 졸업하고 2011년에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2014년 한국실업테니스마스터즈대회에서 남자 단식 우승을 차지했고, 2015년에는 같은 대회에서 준우승을 했다. 2019년 전국체육대회에서는 남자 테니스 일반부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했다.범례 (단식) |
---|
ATP 챌린저 투어 (0–0) |
ITF 퓨처스 투어 (3–2) |
표면별 우승 |
---|
하드 (1–2) |
클레이 (2–0) |
잔디 (0–0) |
카펫 (0–0) |
결과 | 승–패 | 날짜 | 대회 | 등급 | 표면 | 상대 선수 | 점수 |
---|---|---|---|---|---|---|---|
패 | 0–1 | 홍콩 F3, 홍콩 | 퓨처스 | 하드 | 다케우치 겐토|다케우치 겐토일본어 | 2–6, 1–4 기권 | |
승 | 1–1 | 한국 F7, 안성 | 퓨처스 | 클레이 (실내) | 김청의|김청의한국어 | 6–3, 7–6(7–3) | |
승 | 2–1 | 한국 F3, 김천 | 퓨처스 | 하드 | 손지훈|손지훈한국어 | 6–3, 6–2 | |
승 | 3–1 | 한국 F6, 안성 | 퓨처스 | 클레이 (실내) | 신산희|신산희한국어 | 4–6, 7–6(8–6), 6–2 | |
패 | 3–2 | 태국 F7, 논타부리 | 퓨처스 | 하드 | 콘스탄틴 크라브추크|콘스탄틴 크라브추크ru | 3–6, 3–6 |
2. 2. 2. 복식
송민규는 주로 남지성과 함께 복식 경기에 출전했다.Legend (복식) |
---|
ATP 챌린저 투어 (7–7) |
ITF 퓨처스 투어 (23–8) |
표면별 우승 |
---|
하드 (26–15) |
클레이 (4–0) |
잔디 (0–0) |
카펫 (0–0) |
결과 | 승–패 | 날짜 | 대회 | 등급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패 | 0–1 | 2015년 5월 | 부산,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6–7(2–7), 6–3, [7–10] |
패 | 0–2 | 2015년 5월 | 한국 F1, 대구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홍성찬 이형택 | 3–6, 3–6 |
승 | 1–2 | 2015년 5월 | 한국 F2, 창원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최재원 김현준 | 6–2, 5–7, [10–6] |
승 | 2–2 | 2016년 6월 | 한국 F2, 상주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정윤성 임용규 | 6–4, 6–4 |
승 | 3–2 | 2016년 7월 | 한국 F4, 김천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이마이 신타로 니키 타쿠토 | 6–4, 6–4 |
패 | 3–3 | 2016년 7월 | 한국 F5, 김천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김청의 노상우 | 6–7(5–7), 7–6(7–4), [4–10] |
승 | 4–3 | 2016년 9월 | 한국 F8, 안성 | 퓨처스 | 클레이 (실내) | 남지성 | 나가오 카츠키 오쿠 히로마사 | 6–4, 6–4 |
패 | 4–4 | 2017년 6월 | 한국 F3, 김천 | 퓨처스 | 하드 | 설재민 | 정영훈 김현준 | 7–5, 6–7(5–7), [4–10] |
패 | 4–5 | 2017년 6월 | 한국 F4, 대구 | 퓨처스 | 하드 | 설재민 | 임용규 노상우 | 3–6, 2–6 |
승 | 5–5 | 2017년 12월 | 태국 F11, 후아힌 | 퓨처스 | 하드 | 정홍 | 니콜라스 S. 휴 위샤야 롱차로엔차이쿨 | 6–4, 6–3 |
승 | 6–5 | 2017년 12월 | 태국 F12, 후아힌 | 퓨처스 | 하드 | 정홍 | 가오 신 쑨 파징 | 7–6(7–5), 3–6, [10–6] |
패 | 6–6 | 2018년 3월 | 일본 F3, 고후 | 퓨처스 | 하드 | 설재민 | 에하라 히로야스 가타야마 쇼 | 5–7, 6–7(5–7) |
승 | 7–6 | 2018년 4월 | 카자흐스탄 F3, 심켄트 | 퓨처스 | 클레이 | 설재민 | 티무르 하비불린 드미트리 지르몬트 | 7–5, 6–3 |
승 | 8–6 | 2018년 5월 | 베트남 F3, 트어티엔후에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키티랏 케르들라피 팔라품 코바피툭테드 | 6–1, 6–4 |
승 | 9–6 | 2018년 7월 | 중국 F9, 선전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가오 신 왕 아오란 | 3–6, 6–4, [10–4] |
승 | 10–6 | 2018년 7월 | 중국 F10, 선전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천티 루빈 스태텀 | 7–6(7–3), 6–2 |
승 | 11–6 | 2018년 8월 | 광주,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벤자민 록 루빈 스태텀 | 5–7, 6–3, [10–5] |
승 | 12–6 | 2018년 9월 | 한국 F6, 안성 | 퓨처스 | 클레이 (실내) | 이재문 | 정홍 노상우 | 6–2, 6–1 |
승 | 13–6 | 2018년 11월 | 태국 F9, 논타부리 | 퓨처스 | 하드 | 프루차 이사로 | 천티 후쿠다 소라 | 6–3, 4–6, [13–11] |
승 | 14–6 | 2019년 3월 | M15 니시토쿄, 일본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이마이 신타로 니키 타쿠토 | 4–6, 7–6(7–4), [10–7] |
패 | 14–7 | 2019년 5월 | 광주,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셰정펑 크리스토퍼 룽캇 | 3–6, 6–3, [6–10] |
승 | 15–7 | 2019년 5월 | M25 논타부리, 태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7–6(10–8), 6–1 |
승 | 16–7 | 2019년 6월 | M15 대구, 대한민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임용규 | 니키 타쿠토 오카무라 잇세이 | 6–3, 7–5 |
승 | 17–7 | 2019년 7월 | M25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후쿠다 소라 | 오치 마코토 토쿠다 렌타 | 6–4, 2–6, [10–3] |
패 | 17–8 | 2019년 8월 | 청두, 중화인민공화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아르준 카데 사케스 마이네니 | 3–6, 6–0, [6–10] |
승 | 18–8 | 2019년 8월 | 욧카이치, 일본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공마오신 장쩌 | 6–3, 3–6, [14–12] |
승 | 19–8 | 2019년 8월 | 바오터우, 중화인민공화국 | 챌린저 | 클레이 (실내) | 남지성 | 테이무라즈 가바슈빌리 사시쿠마르 무쿤드 | 7–6(7–3), 6–2 |
패 | 19–9 | 2019년 9월 | 지난, 중화인민공화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매튜 에브덴 디비지 샤란 | 6–7(4–7), 7–5, [3–10] |
패 | 19–10 | 2019년 10월 | 류저우, 중화인민공화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데니스 이스토민 미하일 엘긴 | 6–3, 4–6, [6–10] |
패 | 19–11 | 2019년 11월 | M15 논타부리, 태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이재문 | 정홍 남지성 | 6–1, 3–6, [7–10] |
승 | 20–11 | 2022년 3월 | M25 베이커스필드, 미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다니엘 쿠키어먼 루안 로엘로프세 | 6–2, 6–0 |
승 | 21–11 | 2022년 3월 | M25 캘러배서스, 미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찰스 브룸 헨리 패튼 | 6–3, 7–6(7–4) |
패 | 21–12 | 2022년 4월 | M15 치앙라이, 태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홍성찬 김청의 | 6–4, 6–7(2–7), [8–10] |
승 | 22–12 | 2022년 4월 | M15 치앙라이, 태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하자와 신지 김청의 | 6–2, 6–4 |
승 | 23–12 | 2022년 4월 | M15 치앙라이, 태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바이 얀 니키 타쿠토 | 6–1, 6–4 |
패 | 23–13 | 2022년 6월 | M25 타무닝, 괌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남지성 | 마츠이 토시히데 우에스기 카이토 | 3–6, 6–0, [7–10] |
승 | 24–13 | 2022년 7월 | 누르술탄, 카자흐스탄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앤드류 폴슨 다비드 폴자크 | 6–2, 3–6, [10–6] |
승 | 25–13 | 2022년 7월 | M25 트빌리시, 조지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홍성찬 | 알렉산더 지기로프스키 | 6–7(3–7), 7–6(7–3), [10–6] |- | bgcolor=98fb98 | 승 | 26–13 | 2022년 8월 | M25 트빌리시, 조지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홍성찬 | 이반 류타레비치 다비드 폴자크 | 7–5, 6–2 |- | bgcolor=ffa07a | 패 | 26–14 | 2022년 8월 | 논타부리, 태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예브게니 돈스코이 알리베크 카흐마조프 | 3–6, 6–1, [7–10] |- | bgcolor=ffa07a | 패 | 26–15 | 2022년 10월 | 부산,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마크 폴먼스 맥스 퍼셀 | 7–6(7–5), 2–6, [10–12] |- | bgcolor=98FB98 | 승 | 27–15 | 2023년 1월 | 논타부리, 태국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얀 초인스키 스튜어트 파커 | 6–4, 6–4 |- | bgcolor=98FB98 | 승 | 28–15 | 2023년 7월 | 포조블랑코, 스페인 | 챌린저 | 하드 | 남지성 | 루크 존슨 벤자민 록 | 2–6, 6–4, [10–8] |- | bgcolor=98FB98 | 승 | 29–15 | 2024년 3월 | M15 히노데, 일본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이재문 | 이마무라 마사미치 우에스기 카이토 | 6–4, 7–5 |- | bgcolor=98FB98 | 승 | 30–15 | 2024년 4월 | 광주,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이재문 | 추이 지에 이덕희 | 1–6, 6–1, [10–3] |} 2. 3. 기타송민규는 경기도 용인시 출신으로 울산대학교를 졸업했다. 2011년 대학종별테니스대회 남자 단식,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중국 선전에서 개최된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남자 테니스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2013년 전국체육대회 테니스 남자 일반부 단체전 금메달, 2014년 한국실업테니스마스터즈대회 남자 단식 우승, 2015년 한국실업테니스마스터즈대회 남자 단식 준우승, 2019년 전국체육대회 남자 테니스 일반부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